2002/10/02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는 수직으로 올라가는 열기구의 시간에 따른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열기구는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는다.)
보기
ㄱ. 0~40초 동안 열기구의 속력은 계속 증가하였다.
ㄴ. 0~40초 동안 열기구의 평균 속력은 2.5m/s이다.
ㄷ. 40초 이후 열기구는 정지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판의 분포와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D 부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부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대규모의 습곡 산맥이 만들어진 곳이다.
ㄴ. B 부분은 해양판이 대륙판 위로 솟아오르는 곳으로 천발 지진만 발생한다.
ㄷ. C 부분은 판의 발산형 경계로 화산 활동과 함께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ㄹ. D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에 의해 심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질량이 같은 실험용 수레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1) 그림(가)와 같이 수레를 용수철 저울에 연결한 후,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수레의 운동을 종이테이프에 기록한다.
(2) 그림(나)와 같이 수레 한 개를 더 연결하고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1)의 실험을 반복한다.
(3) 수레를 한 개씩 더 연결하여 (1)의 실험을 반복한다.
위의 실험으로 얻을 수 있는 그래프는? (단,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그림 (가)와 (나)는 각각 우리나라의 어느 계절에 자주 나타나는 기압 배치이다.
이 자료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일기와 기후 현상 및 생활 자세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분다.

②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폭우나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

③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한랭 건조한 날씨가 계속된다.

④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황사나 산불에 대비해야 한다.

⑤ (가)는 북태평양 기단, (나)는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형성된 기압 배치이다.

그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때 과속의 위험성을 알리는 텔레비전 광고 내용의 일부이다.
…… 10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벽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은 40m 높이에서 떨어진 자동차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과 같다. ……
다음은 충돌할 때,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를 자동차의 속력에 따라 나타낸 표이다.
자동차 속력(km/h)20406080100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m)1.66.414.425.640
위의 자료로부터 충돌 사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자동차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증가한다.
ㄴ. 12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받는 충격은 70m 높이에서 떨어진 것과 같다.
ㄷ. 같은 속력이라도 질량이 큰 자동차일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낮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와 (나)는 각각 겨울철(2월)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의 특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A와 B지점은 동일 위도이다.)
보기
ㄱ. A는 B보다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ㄴ. 표층 해수의 염분은 A가 B보다 작다.
ㄷ. 황해는 수심이 얕고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동해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ㄹ. 황해는 해수의 결빙과 유입되는 강물의 감소로 동해보다 염분이 낮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와 B를 접촉시켰더니 물체 A는 온도가 내려갔고 물체 B는 온도가 올라갔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외부와의 열 출입은 없다.) [1점]
보기
ㄱ. 처음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ㄴ. 비열은 A가 B보다 크다.
ㄷ. 열용량은 A가 B보다 크다.
ㄹ. A가 잃은 열량과 B가 얻은 열량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금속 A와 B를 묽은 염산에 넣고, 금속 C를 $\text{B}^{2+}$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넣었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금속 A로 만들어진 못을 금속판 C에 박으면 못이 덜 부식된다.
ㄴ. 금속 B로 만들어진 주유소의 기름 탱크에 금속 A를 연결하여 묻으면 기름 탱크의 부식이 억제된다.
ㄷ. $\text{A}^{2+}$의 수용액을 금속 C로 만들어진 용기에 넣으면 금속 A의 앙금이 생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alpha$, $\beta$, $\gamma$선이 모두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납상자에 넣고 그 앞에 두꺼운 종이와 형광 물질을 칠한 스크린을 놓았더니 그림(가)와 같이 스크린의 중앙에서 빛을 내고 있었다. 그림(나)와 같이 방사선이 지나는 곳에 전기장을 걸어줄 때 스크린에 나타나는 모습 중 옳은 것은?
영희는 연료 A, B, C의 성분 원소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표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기체를 푸른색 염화코발트 종이 및 석회수에 통과시킬 때의 변화와 이 기체를 통과시킨 수용액의 액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연료염화코발트 종이석회수수용액의 액성
A붉은색변화 없음중성
B붉은색흐려짐강산성
C변화 없음흐려짐약산성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료 A의 실험에서 석회수의 변화가 없는 것은 황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ㄴ. 연료 B의 실험에서 수용액의 액성이 강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생성된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ㄷ. 연료 C의 실험에서 염화코발트 종이의 변화가 없는 것은 연료에 수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수생 식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조건의 인공 습지를 여러 곳에 만든 후, 그림과 같이 각 습지마다 다른 종류의 수생 식물을 자라게 하였다.
표는 물이 인공 습지를 통과하기 전후에 무기 염류 농도와 용존 산소량(DO)을 조사한 결과이다.
(단위 : ppm)
인공 습지 통과 전인공 습지 통과 후
수생 식물이 없는 습지부들 습지부레옥잠 습지갈대 습지
인산염0.200.150.090.040.08
질산염3.002.601.200.601.00
DO2.503.003.805.004.10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DO를 증가시킨다.
ㄴ.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수질 정화 효과가 없다.
ㄷ.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물 속의 무기 염류를 감소시킨다.
ㄹ. 부들 습지를 지날 때 무기 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감소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산성비가 내리기까지의 과정과 그 피해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비는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② 산성비 속에는 질산이나 황산이 포함되어 있다.

③ 화석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면 산성비를 줄일 수 있다.

④ 차량 운행의 증가는 산성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⑤ 화력 발전소 대신 수력이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이용하면 산성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철수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삼각 플라스크에 5%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는다.
(나) 마그네슘 리본 조각 0.5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자마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량 변화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한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 다른 삼각 플라스크에 10%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은 후 실험 과정 (나)를 반복한다.
위에서 실험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보완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솜 마개 대신 고무 마개로 막는다.
ㄴ. 삼각 플라스크 대신 비커를 사용한다.
ㄷ. 삼각 플라스크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실험한다.
ㄹ. 일정한 길이의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을 사용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물이 든 용기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1~2 방울 넣은 후, 나트륨 조각을 넣고 용기의 입구를 마개로 단단히 막았다. 이 때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했으며, 반응 용기가 따뜻해 졌다.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기 속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용액 속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③ 나트륨과 물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④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으로 변한다.

⑤ 용기 속의 전체 물질의 질량은 일정하다.

다음은 철의 부식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이다.
(1) 시험관 속에 질량을 측정한 철가루를 붙여 그림 (가)와 같이 장치하였다.
(2) 1주일 후 관찰하였더니 그림 (나)와 같이 붉은 녹이 생기고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갔다.
(3) 그림 (나)에서 붉은 녹의 질량을 측정하여 처음 철가루의 질량과 비교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공기는 철의 부식과 관계가 있다.
ㄴ. 붉은 녹의 질량은 반응 전 철가루의 질량보다 크다.
ㄷ. 철이 녹슬 때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간 주 원인은 공기가 물에 녹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화학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금속 A와 금속 B를 묽은 황산에 넣고 꾸민 장치이다.
금속 A와 B를 묽은 황산에 각각 넣은 그림 (가)에서는 금속 A에서만 기체가 발생하였으나, 두 금속을 X자로 연결하여 묽은 황산에 넣은 그림 (나)에서는 주로 금속 B에서 기체가 발생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금속 A의 반응성은 금속 B보다 작다.
ㄴ. 그림 (가)와 (나)에서 용액 중 A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ㄷ. 그림 (나)에서 이동하는 전자는 대부분 금속 A로부터 용액 중의 $\text{H}^{+}$으로 직접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불을 피운 곳에 물을 뿌리면 발화점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므로 불이 꺼진다. 이 같은 사실은 물의 특이한 성질 때문인데, 이와 관련된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물이 수증기로 될 때 그 부피가 크게 증가한다.
ㄴ. 물을 가열하면 쉽게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ㄷ. 물이 수증기로 될 때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을 나타낸 것이다.
가족아버지어머니자녀
O형O형O형
A형B형O형
AB형A형B형
A형A형O형
위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가족 Ⅰ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순종이다.
ㄴ. 가족 Ⅱ에서 태어날 자녀가 AB형이 될 확률은 50%이다.
ㄷ. 가족 Ⅲ에서 어머니의 유전자형은 AA이다.
ㄹ. 가족 Ⅳ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호흡 운동에 따른 폐의 공기 출입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안정 상태에서 들숨, 날숨의 공기량
(나) 안정 상태에서 날숨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다) 안정 상태에서 들숨 후, 더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라) 최대로 공기를 내쉰 후, 폐 속에 남아 있는 공기량
그림에서 폐활량을 나타내는 것은? (단, 폐활량이란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로 내쉴 때의 공기의 총량을 뜻한다.)

① $(가)$

② $(가) + (나)$

③ $(가) + (다)$

④ $(가) + (나) + (다)$

⑤ $(가) + (나) + (라)$

사람의 위벽에 살고 있는 세균을 발견한 어느 과학자가 수행한 탐구 과정의 일부이다.
(가) 문제 인식 : 위염에 대해 연구하던 중 환자의 위벽에 세균이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염과 세균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졌다.
(나) 가설 :             
(다) 실험 및 결과
 1) 위염 환자의 위벽에서 추출한 세균을 배양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감염시킨 후,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시킨 세균이 발견되었다.
 2) 위염 환자에게 항생제를 복용시켜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이 치료되었고,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은?

① 사람에 따라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

② 항생제를 오래 복용하면 세균은 내성을 갖게 된다.

③ 위벽에 서식하는 세균은 위염 발병의 원인이 된다.

④ 세균의 종류에 따라 위산에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다르다.

⑤ 발견된 세균은 위염 증상을 나타내는 조직에서만 증식할 수 있다.

(가)는 어떤 단어를 듣고 발음할 때, (나)는 어떤 단어를 보면서 발음할 때 대뇌 피질의 활동 부위의 순서를 →로 나타낸 것이다. (단, 대뇌 피질의 A와 B는 감각령, C와 D는 연합령, E는 운동령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는 청각, B는 시각에 대한 감각령이다.
ㄴ. C와 D는 언어 중추에 해당하는 연합령이다.
ㄷ. (나)보다 (가)에서 E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ㄹ. 감각의 종류에 따라 발음을 담당하는 운동령의 부위가 다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생식 주기가 28일인 어떤 여성에 있어서 최근 16주 동안의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이 여성의 신체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3번의 배란이 있은 후 임신되었다.
ㄴ. 현재 이 여성의 황체는 퇴화된 상태이다.
ㄷ. 현재 이 여성의 자궁 내벽은 두터워진 상태이다.
ㄹ. 현재 이 여성의 난소에서는 새로운 난자가 성숙되고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모유나 우유 제품에 포함된 젖당은 소장에서 락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젖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설사나 복통, 탈수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표는 연령에 따른 락타아제의 분비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분비 유형 \ 연령0~5세20세 이후
A분비됨분비됨
B분비됨분비 안됨
C분비 안됨분비 안됨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락타아제의 분비량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ㄴ. C 유형의 사람은 유아기 때 모유 대신 젖당이 분해된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
ㄷ. 성인 B가 우유를 마신다면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가정에서 전등을 사용하기까지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에서 이동되는 에너지의 형태는? [1점]
ABC
화학 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화학 에너지빛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전기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그림 (가)와 같이 수평면에서 질량이 1kg으로 같은 두 물체 A와 B를 20N의 일정한 힘으로 오른쪽으로 각각 끌어당겼더니 시간에 따른 속도가 그림 (나)와 같았다.
(나)에서 물체 A, B의 속도 변화가 다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부피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수평면과의 마찰 계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수평면과의 접촉 면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수평면으로부터 받는 수직 항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은 전력을 송전할 때 송전 거리와 전압에 따른 전력 손실률에 대하여 조사한 표이다.
송전 거리(km)2030404040
송전 전압(kV)11.411.411.422.845.6
전력 손실률(%)8121641
위의 자료로부터 전력 손실률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송전 전압이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거리에 비례한다.
ㄴ. 송전 거리가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ㄷ. 송전 거리가 20km이고, 송전 전압이 22.8kV일 때 전력 손실률은 6%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줄로 연결된 썰매 두 대를 개들이 끌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썰매에 작용하는 힘들을 $F_{1}$, $F_{2}$, $F_{3}$로 나타내었다.
◦ $F_{1}$ : 개들이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2}$ : 썰매 A가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3}$ : 썰매 B가 썰매 A를 당기는 힘의 크기
썰매의 속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썰매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썰매를 연결한 줄의 무게는 무시한다.)
보기
ㄱ. $F_{1}$은 $F_{2}$보다 크다.
ㄴ. $F_{1}$은 $F_{3}$보다 크다.
ㄷ. $F_{2}$는 $F_{3}$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에서 1년 동안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옳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의 시점에 복사 평형이 이루어진다.
ㄴ. 이 지역의 기온은 a 시점부터는 하강하고, b 시점부터는 상승한다.
ㄷ. 태양 복사가 최대일 때는 6월 하순이고, 지구 복사가 최대일 때는 8월 초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북반구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변화가 계속된다고 할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극지방 빙하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ㄴ. 해수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할 것이다.
ㄷ. 평균 기온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할 것이다.
ㄹ. 지구 온난화로 기후와 생태계가 변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떤 화성암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이다.
◦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을 띤다.
◦ 광물 입자가 그림과 같이 조립질을 이룬다.
◦ 구성 광물은 주로 감람석, 휘석, 사장석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석은?

① 반려암

② 화강암

③ 대리암

④ 현무암

⑤ 역암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도이다. A는 화성암, B~H는 퇴적암, A와 B~H의 접촉부의 빗금 친 부분은 변성암을 나타내며, E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H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된다.
자료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지층 B~H의 접촉부에 분포하는 변성암의 조직은 편리 조직이다.
ㄴ. 가장 먼저 생성된 암석은 B이고,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암석은 A이다.
ㄷ. 이 지역에서는 습곡, 역단층, 부정합의 지질 구조가 나타난다.
ㄹ. 지층 E는 고생대에, H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표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을 태양으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주요 물리량을 비교한 것이다.
행 성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
거리(AU)0.390.721.001.525.209.5419.18
질량($지구=1$)0.060.821.000.113189514.5
반지름($지구=1$)0.380.951.000.5311.219.454.01
평균 밀도(g/㎤)5.45.25.53.91.40.71.3
자전 주기(일)5824311.030.410.440.72
위성수0012162315
행성의 질량과 어떤 물리량(X)을 두 축으로 하여 위 행성들을 그래프와 같이 A, B 두 집단으로 분류할 때, 물리량(X)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반지름
ㄴ. 위성수
ㄷ. 평균 밀도
ㄹ. 자전 주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은 어느 지방에서 측정한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는 하루 중 시간별로 측정한 복각과 편각의 변화이고, (나)는 파리와 런던에서 연도별로 측정한 복각과 편각의 변화이다.
이 자료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가)와 같은 변화는 밤보다 낮에 더 크다.
ㄴ. (가)와 같은 변화는 태양의 영향 때문이다.
ㄷ. (나)와 같은 변화는 지구 자극의 이동 때문이다.
ㄹ. (나)와 같은 변화는 무선 통신 장애의 주된 원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표는 주요 광물의 물리적 성질과 구성 원소를 나타낸 것이다.
광물굳기비중쪼개짐구성 원소
감람석담록색6.5~73.2~3.6없음O, Si, Mg, Fe
휘 석암록색5~62.9~3.32방향O, Si, Ca, Mg, Fe
각섬석흑록색5~62.5~3.02방향O, Si, Al, Ca, Mg, Fe
흑운모적갈색2.5~31.5~2.01방향O, Si, Al, K, Mg, Fe
사장석회백색6~6.52.6~2.72방향O, Si, Ca, Na, Al
정장석분홍색62.62방향O, Si, K, Al
석 영무 색72.5없음O, Si
위의 광물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위의 광물들 중 정장석과 석영만 규산염 광물이다.

② 무색 광물은 모두 Mg과 Fe 원소를 포함한다.

③ 일반적으로 굳기가 큰 광물은 비중이 작다.

④ 굳기가 큰 광물일수록 쪼개짐이 발달한다.

⑤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는 유색 광물이다.

그림 (가)는 우리나라에서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일주권을 나타낸 것이다. 어느 지방에서 그림 (나)와 같이 남북 방향으로 높이 40m인 아파트를 지으려 한다.
북쪽에 위치한 아파트에도 사계절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아파트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자 할 때, <보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단, $h$는 태양의 남중 고도이다.) [2점]
보기
ㄱ. 태양의 남중 고도는 하짓날의 남중 고도를 고려해야 한다.
ㄴ. 태양의 남중 고도는 「$h= 90\degree - (위도) + (\text{태양의 적위})$」에 의해서 구한다.
ㄷ. 아파트 사이의 거리는 $\dfrac{40\text{m}}{\tan h}$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사암, 셰일 및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지층에 화성암이 관입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변성 정도는 접촉한 부분에서 가장 약하고, 멀어질수록 강해진다.

② A, B, C 부분에 발달한 변성암은 각각 대리암, 편마암, 편암이다.

③ A, B, C 부분의 암석은 모두 편리 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④ A, B, C 부분의 변성 작용은 주로 화성암이 관입되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일어난다.

⑤ A, B, C 부분의 암석 중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이 나는 것은 A이다.

그래프는 유속과 입자의 크기에 따른 침식·운반·퇴적 작용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를 해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운반 중인 지름 10mm 정도인 입자는 유속이 약 50cm/s 이하로 되면 퇴적된다.
ㄴ. 강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입자들 중 유수에 의해 가장 먼저 침식되는 입자는 모래이다.
ㄷ. 점토는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잘 가라앉지 않으므로 멀리까지 운반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지진 관측소 A, B, C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어떤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 관측소 A, B, C의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 기상이다.
그림 (가)의 ㉠~㉤ 지점 중에서 이 지진의 진앙에 가장 가까운 곳은?

① ㉠

② ㉡

③ ㉢

④ ㉣

⑤ ㉤

그림 (가)는 북태평양 어느 해역의 해양 관측선에서 발사된 초음파가 해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나)는 대서양의 어느 해저 지각 속에 기록된 지구 자기 이상의 줄무늬가 B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대칭으로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단, 해수에서 초음파의 속력은 1500m/s이다.)
그림 (가)의 A지역과 (나)의 B지역에서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을 비교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지역은 판이 소멸되고 B지역은 판이 생성되는 곳이다.
ㄴ. A지역은 B지역에 비하여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다.
ㄷ. A지역에서는 화산 활동만 있고, B지역에서는 지진만 발생한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우리나라 경상남북도 일대에 분포하는 어느 육성 퇴적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층이 퇴적될 당시 전 세계 바다와 육지에서 각각 번성했던 생물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점]

① 바다 : 삼엽충 / 육지 : 양서류

② 바다 : 삼엽충 / 육지 : 공룡

③ 바다 : 암모나이트 / 육지 : 공룡

④ 바다 : 암모나이트 / 육지 : 매머드

⑤ 바다 : 화폐석 / 육지 : 매머드

그림은 비교적 가까운 세 지역 (가), (나), (다)의 지표 부근에 있는 지층들의 지질 주상도이다.
세 지역의 지층들을 대비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세 지역에서 지층이 역전된 곳은 없다.)
보기
ㄱ. (가) 지역은 지층들이 결층이 없이 모두 연속적으로 쌓여 있다.
ㄴ. (나), (다) 지역에는 부정합면이 각각 두 개씩 나타난다.
ㄷ. (가), (나), (다) 세 지역의 지층들 중에서 가장 먼저 생성된 것은 역암층이다.
ㄹ. (가), (나), (다) 세 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쌓인 지층의 총 수는 5개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그래프는 기온과 포화 수증기압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을 그림의 P→A 및 P→B 과정과 옳게 짝지은 것은?
보기
ㄱ. 얼음물을 담은 유리컵 바깥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힌다.
ㄴ. 따뜻한 물을 반쯤 담은 유리컵 안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힌다.
ㄷ. 안경을 쓴 사람이 추운 겨울날 밖에서 따뜻한 실내로 들어가면 안경이 흐려진다.
P→Aㄱ, ㄷㄱ, ㄴㄴ, ㄷ
P→Bㄱ, ㄷㄱ, ㄴ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지방의 상층에서 나타나는 편서풍 파동을 간략하게 그린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편서풍 파동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상층의 A는 고기압, B는 저기압이다.

② 남북 간의 기온 차이가 작을수록 편서풍 파동이 크게 발달한다.

③ 온대 저기압이 발달하는 곳은 기압골의 동쪽 지상이다.

④ 상층 기압골의 서쪽에서는 공기의 발산이 일어난다.

⑤ 상층 기압골의 동쪽에서는 공기의 수렴이 일어난다.

그래프의 A는 우리나라 어떤 해역에서 깊이에 따른 수온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수온 분포가 B와 같이 변하였을 때, 이 해역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증발이 많이 일어나 염분이 더 낮아졌다.
ㄴ. 바람이 더 강하게 부는 계절이 되었다.
ㄷ. 이 해역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증가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북태평양에서 표층 해류의 아열대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과 같은 표층 해류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해류의 유속은 A 해역이 C 해역보다 빠르다.

② 해수면의 높이는 B 해역이 A, C 해역보다 낮다.

③ 해류의 폭은 A 해역이 C 해역보다 좁다.

④ C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발달한다.

⑤ 순환의 중심이 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지구 자전의 영향 때문이다.

어느 행성이 그림과 같은 공전 궤도를 따라 A에서 B까지 이동하는데 1년이 걸렸고, 이 시간 동안에 이 행성이 쓸고 지나간 면적은 전체 궤도 면적의 $\dfrac{1}{8}$이었다.
행성의 공전 주기와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궤도 장반경)를 나타낸 그래프를 참고할 때 이 행성의 궤도 장반경과 회합 주기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단, 행성의 공전 주기를 $P$, 지구의 공전 주기를 $E$, 회합 주기를 $S$라 하면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dfrac{1}{P} = \dfrac{1}{E}\pm \dfrac{1}{S}$ ($+$) : 내행성, ($-$) : 외행성)
궤도 장반경(AU)44668
회합 주기(년)$\dfrac{3}{2}$$\dfrac{8}{7}$$\dfrac{3}{2}$$\dfrac{8}{7}$$\dfrac{7}{8}$
표는 비교적 밝은 별들의 겉보기 등급($m$)과 절대 등급($M$), 연주 시차($P''$), 색지수($B-V$)를 나타낸 것이다.
$m$$M$$P''$$B-V$
시리우스$-1.46$1.40.370.00
아크투루스0.10$-0.3$0.091.23
카펠라0.08$-0.6$0.070.79
프록시온0.372.60.290.42
위의 별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맨눈으로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은 시리우스이다.
ㄴ. 표면 온도가 가장 낮은 별은 아크투루스이다.
ㄷ. 절대 광도가 가장 작은 별은 카펠라이다.
ㄹ. 거리가 가장 먼 별은 프록시온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 (가)는 태양에서 비교적 가까이 분포하는 별들의 H-R도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H-R도에 표시된 어떤 별들의 질량과 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백색 왜성은 표면 온도가 높으므로 광도가 크다.

② 거성은 대체로 푸른색, 초거성은 붉은색을 띤다.

③ 주계열성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반지름이 작아진다.

④ 그림 (나)와 같은 관계는 주계열성에서만 성립한다.

⑤ 그림 (나)에 의할 때 태양보다 질량이 10배 정도 큰 별의 광도는 태양보다 100배 정도 밝다.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가)는 어떤 반응과 관련된 세 물질의 상대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두 가지 반응의 에너지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생물체 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난다”는 가설을 세웠을 때, 이 가설을 지지하는 근거를 (가)와 (나)에서 찾아 옳게 짝지은 것은?
(가) (나)
A가 C로 변한다.반응 I
A가 C로 변한다.반응 II
B가 C로 변한다.반응 I
C가 A로 변한다.반응 I
C가 A로 변한다.반응 II
그림은 뉴런에 여러 가지 세기의 자극을 주었을 때 막전위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단, ↑의 위치는 자극을 준 시점을, ↑의 길이는 자극의 세기를 나타낸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첫 번째 자극의 세기는 역치보다 작다.
ㄴ. 자극의 세기가 커질수록 활동 전위의 크기가 증가한다.
ㄷ. 자극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더 큰 활동 전위가 발생한다.
ㄹ. 역치 이상의 자극에서는 자극이 강할수록 활동 전위의 빈도가 증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래프는 식물에 710nm와 680nm 파장의 빛을 각각 비춘 경우와 두 파장의 빛을 함께 비춘 경우에 광합성 속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단,↑은 빛을 비추기 시작한 때, ↓은 빛 비추기를 중지한 때를 나타낸다.)
위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추론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식물은 광합성에 주로 녹색 파장의 빛을 이용한다.
ㄴ. 광합성 속도는 710nm보다 680nm의 빛을 비추었을 때 더 크다.
ㄷ. 680nm와 710nm 파장의 빛을 함께 비출 때의 광합성 속도는 따로 따로 비출 때의 합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그래프는 사람 혈관의 총단면적과 각 혈관에 들어 있는 혈액량을 비교한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혈관의 총단면적이 클수록 혈액량이 많다.
ㄴ. 혈관의 평균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은 정맥이다.
ㄷ. 동맥보다 정맥에 들어 있는 혈액의 양이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에이버리가 두 종류의 폐렴쌍구균을 이용하여 수행한 형질 전환 실험이다.
[실험 1] 열 처리로 살균한 S형균에서 추출한 단백질, DNA, RNA를 R형균이 자라고 있는 배지에 각각 첨가하였다.
  → DNA를 첨가한 배지에서 R형균과 함께 S형균이 검출되었다.
[실험 2] S형균의 DNA를 DNA 분해 효소로 처리한 후, R형균이 자라고 있는 배지에 첨가하였다.
  → S형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위 실험의 결론으로 타당한 것은?

① R형균의 DNA가 R형균을 S형균으로 형질 전환시킨다.

② R형균의 단백질이 R형균을 S형균으로 형질 전환시킨다.

③ S형균이 열 처리를 받으면 비병원성균이 된다.

④ S형균의 RNA가 R형균을 S형균으로 형질 전환시킨다.

⑤ S형균의 DNA가 R형균을 S형균으로 형질 전환시킨다

그림은 초파리의 감수 분열 과정에 있는 한 쌍의 상동 염색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단, 염색체 상의 영문자는 유전자의 위치를, 1과 2는 교차가 일어나는 곳을 나타낸다.)
1과 2에서 동시에 교차가 일어나서 생식 세포가 형성될 경우, 생식 세포가 갖는 염색체의 유전자 배열로 옳지 않은 것은?
야행성 날다람쥐의 활동 리듬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록 장치가 연결된 통속에 날다람쥐를 넣어 실험한 결과이다.
(가)는 23일 동안 자연 상태와 유사하게 낮과 밤을 12시간씩 교대로 만들어 준 조건에서의 활동 리듬이다.
(나)는 23일 동안 지속적으로 밤 상태를 유지한 조건에서의 활동 리듬이다.
(나)의 다람쥐를 자연 상태로 옮겨 놓을 경우 활동 리듬이 다시 (가)와 같은 상태로 회복되었다. (단, 그래프의 검은 부분은 활발한 활동 상태를 나타낸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날다람쥐의 활동 리듬은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ㄴ. 자연 상태에서 날다람쥐는 일정한 시간대에 활동한다.
ㄷ. 지속적인 밤 상태에서 날다람쥐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간대는 매일 조금씩 빨라진다.
ㄹ. 밤낮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될 때 날다람쥐의 활동 리듬은 24시간의 주기를 갖는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그림은 지방의 소화에 관여하는 물질 A, B의 작용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지방의 소화와 관련하여 A와 B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와 B는 모두 소화 효소이다.
ㄴ. A는 지방과 소화 효소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ㄷ. A가 분비되지 않으면 지방의 소화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ㄹ. B가 분비되지 않으면 지방의 화학적 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표는 토마토 농장에서 발견되는 여러 생물의 개체수와 이들의 먹이를 조사한 자료이다.
생물개체수먹이
녹색진디3500수액
꿀벌268
과일충57녹색 과일
초파리1300익은 과일
무당벌레350녹색진디
갈색거미28초파리
두꺼비4거미류, 곤충류
위 자료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먹이 사슬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점]

① 꿀벌 → 과일충 → 무당벌레

② 무당벌레 → 꿀벌 → 두꺼비

③ 초파리 → 갈색거미 → 두꺼비

④ 녹색진디 → 무당벌레 → 초파리

⑤ 과일충 → 무당벌레 → 갈색거미

(가)는 몇 가지 동물의 특징을 관찰한 것이고, (나)는 관찰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검색표이다.
(가) 관찰한 동물의 특징
동물 \ 특징체절의 유무외골격의 유무다리의 수대칭성
있다있다6개좌우대칭
해파리없다없다없다방사대칭
지렁이있다없다없다좌우대칭
플라나리아없다없다없다좌우대칭
거미있다있다8개좌우대칭
(나) 관찰한 동물의 검색표
검색표를 만든 분류 기준 Ⅰ, Ⅱ를 옳게 나타낸 것은?[1점]

① Ⅰ : 체절의 유무 / Ⅱ : 다리의 수

② Ⅰ : 체절의 유무 / Ⅱ : 외골격의 유무

③ Ⅰ : 외골격의 유무 / Ⅱ : 대칭성

④ Ⅰ : 외골격의 유무 / Ⅱ : 체절의 유무

⑤ Ⅰ : 대칭성 / Ⅱ : 체절의 유무

유리관 A, B, C의 한 쪽을 셀로판 막으로 묶은 후, 각 유리관에 농도가 다른 설탕 용액을 같은 양씩 넣었다. 이것을 설탕 용액이 들어 있는 비커에 수면 높이를 맞추어 담가 두었다. 30분 후 각 유리관 속에 있는 용액의 높이가 그림과 같이 변하였다.
위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단, 셀로판 막은 반투과성 막이다.)
보기
ㄱ. 유리관에 들어있던 설탕 용액의 농도는 A < B< C이다.
ㄴ. 비커 속의 용액은 유리관 A에 들어 있던 용액보다 저장액이다.
ㄷ. 유리관 A의 수면이 낮아진 것은 설탕 입자가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ㄹ. 유리관 C에서 수면이 올라간 것은 삼투 현상 때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그림은 뫼비둘기 A, B, C 세 종류의 서식 장소와 먹이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를 해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B의 생태적 지위가 가장 높다.
ㄴ. A와 B는 서식 장소가 동일하다.
ㄷ. B와 C는 서식 장소와 먹이 형태가 유사하다.
ㄹ. A와 B의 경쟁보다 B와 C의 경쟁이 더 심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혈청을 토끼에 주사하여 항체가 생성된 후, 토끼의 혈청을 뽑아내어 여러 동물의 혈청과 섞어 침강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혈청 성분이 사람과 가장 유사한 동물은 캥거루이다.
ㄴ. 사람과 유연 관계가 가장 가까운 동물은 침팬지이다.
ㄷ. 말보다 비비의 혈청에 사람의 혈청 단백질과 유사한 단백질이 더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유전자 재조합에 이용되는 플라스미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플라스미드는 항생제인 앰피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의 위치를 절단하여 인슐린 유전자를 삽입한 재조합 DNA를 만들어 대장균을 형질 전환시켰다.
위에서 형질 전환된 대장균이 갖는 특성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인슐린을 생산한다.
ㄴ. 항생제 앰피실린을 생산한다.
ㄷ. 앰피실린이 포함된 배지에서 죽는다.
ㄹ. 테트라사이클린이 포함된 배지에서 죽는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다음은 빛의 세기에 따른 식물의 적응 현상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실험 1] 같은 종류의 양지 식물을 각각 강한 빛과 약한 빛에서 키운 후, 같은 장소에 옮겨놓고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2] 같은 종류의 음지 식물을 [실험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음지 식물보다 양지 식물이 키울 때의 빛의 조건에 따라 최대 광합성량이 더 크게 변한다.
ㄴ. 강한 빛에서 키운 음지 식물이 약한 빛에서 키운 음지 식물보다 광포화점이 훨씬 더 높다.
ㄷ. 양지 식물과 음지 식물은 키울 때의 빛의 조건에 따른 적응 방식이 다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세포 내에서 포도당이 분해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가) 과정에서 생성된 $C_3$화합물은 포도당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갖고 있다.

② (나) 과정에서 탈수소 효소가 작용한다.

③ (다) 과정에서 가장 많은 ATP가 생성된다.

④ (가)와 (나)에서 떨어져 나온 수소는 산소와 결합한다.

⑤ 포도당이 완전 분해되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음은 밀폐 용기 속에서 원소 A로 구성된 물질 X와 원소 B로 구성된 물질 Y가 반응하여 물질 Z를 생성하는 반응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모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물질 X와 Y는 홑원소 물질, 물질 Z는 화합물이다.
ㄴ. 반응 전과 반응 후의 총 분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ㄷ. 주어진 모형을 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text{A}_2 + 3\text{B}_2→2\text{AB}_3$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아세트산 발효는 아세트산 균이 산소가 존재할 때 에탄올을 아세트산과 물로 변화시키는 반응이다. $$\text{C}_2 \text{H}_5 \text{OH} + \text{O}_2 → \text{CH}_3\text{COOH} + \text{H}_2\text{O}$$ 포도주 500g 중 일부가 발효되어 아세트산 60g이 생성되었다. 전체 포도주 중에 발효되지 않고 남아 있는 에탄올의 질량을 계산하고자 할 때, 추가로 필요한 자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생성된 물의 질량
ㄴ. 원소 C, H, O의 원자량
ㄷ. 포도주 중의 에탄올의 % 농도
ㄹ. 발효 반응에 소모된 산소의 질량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보어의 원자 모형에 관한 사고 실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가) 장난감 구슬 발사 장치에서 계단을 향해 구슬을 쏘아 올린다.
(나) 계단에 쏘아 올려진 구슬은 더 낮은 계단이나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때 가장 높은 계단에 쏘아 올려진 구슬은 바닥으로 직접 떨어질 수도 있다.
(다) 구슬이 전자라고 가정하면 구슬이 더 낮은 계단이나 바닥으로 떨어질 때, 위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진동수의 빛이 방출된다.
(라)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한다.
위의 사고 실험에서 예상되는 스펙트럼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2점]
다음은 같은 주기의 두 원소 A, B에 대한 전자 친화도와 이온화 에너지를 나타낸 표이다.(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며, 이들 중 하나는 금속 원소, 다른 하나는 비금속 원소이다.)
원소AB
전자 친화도(kJ/mol)59.6322.0
이온화 에너지(kJ/mol)520.21681.0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의 원자 번호는 B보다 작다.
ㄴ. A는 B보다 음이온이 되기 쉽다.
ㄷ. A는 비금속 원소이고 B는 금속 원소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사이의 반응에서는 항상 일정한 부피비가 성립한다’는 기체 반응의 법칙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수소 + 염소 → 염화수소$
부피비 $1 : 1 : 2$
이와 같은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입자를 이용하여 3 가지의 반응 모형을 제안하였다.
위 반응 모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원자설을 만족하는 모형은 (A)와 (B)이다.
ㄴ. 같은 부피 속에는 같은 수의 단위 입자가 들어 있다.
ㄷ. 모형 (A)와 (B)로부터 원자설로는 기체 반응의 법칙을 설명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2, 3주기 원소들의 이온화 에너지가 원자 번호에 따라 변화하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단, A~H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와 E는 물과 반응하여 1가 양이온이 된다.

② B와 F의 원자가전자 수는 같다.

③ D와 H는 같은 족 원소이다.

④ $\text{C}^{2-}$와 D의 전자 수는 같다.

⑤ E와 G가 반응하면 공유 결합 물질이 생성된다.

철수는 다음과 같이 마그네슘과 황의 연소에 관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실험 (가) : 철판 위에서 건조시킨 마그네슘 리본을 태운다.
실험 (나) : 이산화망간과 과산화수소수가 든 집기병 속에 불붙인 황이 든 연소 숟가락을 넣는다.
[실험 결과]
실험 (가) : 밝은 빛을 내면서 타며 연소 후에는 흰 재가 남는다.
실험 (나) : 황은 집기병에 넣기 전보다 더 잘 타오르며 연소 후에는 재가 남지 않는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내용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가)에서 연소 생성물의 총질량은 반응 물질보다 작을 것이다.
ㄴ. 실험 (나)의 용기 안에서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황이 더 잘 타오른다.
ㄷ. 마그네슘의 연소 생성물과 황의 연소 생성물의 구성 단위는 모두 분자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표는 부탄, 아세톤 및 물에 대한 몇 가지 자료를 비교한 것이다.
물질분자식분자량끓는점(℃)구조식
부탄$\text{C}_4 \text{H}_10$58$-0.5$
아세톤$\text{C}_3 \text{H}_6 \text{O}$5856.5
$\text{H}_2 \text{O}$18100.0
위 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분자량이 클수록 끓는점이 높아진다.
ㄴ. 아세톤은 부탄보다 분자간 인력이 더 강하다.
ㄷ. 물의 끓는점이 가장 높은 이유는 수소 결합을 하기 때문이다.
ㄹ. 부탄의 끓는점이 가장 낮은 것은 부탄이 극성 분자이기 때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용하여 화합물을 합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아래와 같이 화합물 A를 메탄올과 반응시켜 생성 물질 B와 물을 얻었다.
위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단, $^{\ast}\text{O}$는 ${}^{18}\text{O}$을 나타낸 것이다.)
보기
ㄱ. A는 산성, B는 염기성을 나타낸다.
ㄴ. B는 $\text{FeCl}_3$ 수용액과 반응하여 적자색을 나타낸다.
ㄷ. 반응 과정에서 메탄올의 C-O 결합이 끊어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1643년 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는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 장치와 관련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수은의 밀도는 13.6g/mL이다.)
보기
ㄱ. 수은 기둥의 높이가 77cm인 곳에서 물의 끓는점은 100℃보다 높다.
ㄴ. 수은 대신 물을 사용하더라도 액체 기둥의 높이는 변하지 않는다.
ㄷ. 토리첼리의 실험 장치를 높은 산 위로 가져가면 수은 기둥의 높이가 증가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일정한 온도에서 내부 부피가 2L와 3L인 유리 용기에 각각 헬륨(He) 기체와 질소($\text{N}_2$) 기체를 채우고 압력을 측정하였더니 3기압과 4기압을 나타내었다.
콕을 열고 두 기체를 혼합시켜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이 혼합 기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단, 두 기체는 이상 기체로 가정하며 연결 부분의 부피는 무시한다.)
보기
ㄱ. 혼합 기체의 전체 압력은 7기압이다.
ㄴ. 질소 기체의 부분 압력은 2.4기압이다.
ㄷ. 헬륨 기체와 질소 기체의 몰수 비는 2 : 3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래프는 고체 물질 X의 물에 대한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물질 X가 물에 용해될 때 열이 발생한다.
ㄴ. $t_1$℃에서의 포화 용액은 온도가 올라가면 불포화 용액이 된다.
ㄷ. $t_2$℃의 포화 용액 $(100+b)$g을 $t_1$℃까지 냉각시키면 $(b-a)$g의 X가 석출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진행되는 두 종류의 화학 반응에서 시간에 따른 반응 물질의 몰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위 반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반응 (가)에서 반응 속도는 A의 몰농도에 반비례한다.
ㄴ. 반응 (나)에서 반응 시작 후 6초일 때 X의 몰농도는 0.05mol/L이다.
ㄷ. 반응 (나)에서 반응 속도는 X의 몰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산화질소($\text{NO}_2$)가 사산화이질소($\text{N}_2 \text{O}_4$)로 변화하는 반응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text{NO}_2 (g) ⇄ \text{N}_2 \text{O}_4 (g),\,\,\,\,\,\Delta\text{H}= x\text{kJ}$$
그래프는 일정 부피의 두 용기에 $\text{NO}_2$를 넣고 각각 $t_1$℃와 $t_2$℃를 유지하면서 $\text{NO}_2$의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위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반응 엔탈피 x의 값은 음수이다.
ㄴ. 온도를 올렸을 때 초기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ㄷ. 온도를 올렸을 때 평형 상수가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그래프는 이산화질소와 일산화탄소가 반응하여 일산화질소와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반응에서 반응 경로에 따른 에너지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반응열($\Delta\text{H}$)은 $-226$kJ이다.
ㄴ. 역반응의 활성화 에너지($\Delta\text{H}$)는 358kJ이다.
ㄷ. 정촉매를 사용하면 반응열이 작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영희는 산을 염기로 적정하면서 pH 미터를 이용하여 혼합 용액의 pH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0.1M HCl 용액 20mL를 이온화도($\alpha$)가 다른 두 가지 1가 염기 A, B의 용액으로 각각 적정하여 다음과 같은 적정 곡선을 얻었다.
위의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발생한 중화열의 크기는 같다.
ㄴ. 염기 A는 B보다 이온화도가 크다.
ㄷ. 염기 A의 용액은 B의 용액 보다 농도가 진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경사면에 실험용 수레를 놓은 후, 시간 기록계로 수레의 운동을 종이 테이프에 기록하였다.
수레의 운동을 기록한 종이 테이프를 5타점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레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가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ㄴ.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ㄷ. 출발 후 이동한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과 같이 원형의 길을 따라 장난감 자동차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고 있다. 이 자동차가 A지점을 지날 때, 가속도의 방향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점]
그림과 같이 수평면 위의 P지점에서 500원 짜리 동전을 2m/s의 속력으로 튕겼더니, 시간에 따라 속력이 그래프와 같이 변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전은 등가속도 운동을 하였다.

② 동전이 미끄러진 거리는 1m이다.

③ 1초 동안 동전의 평균 속력은 2m/s이다.

④ 1초 동안 동전에는 일정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였다.

⑤ 동전이 멈출 때까지 손실된 역학적 에너지는 동전의 처음 운동 에너지와 같다.

그림은 연직면에서 등속 원운동하는 놀이 기구이다. 놀이 기구에 탄 철수에게는 중력과 수직 항력이 작용하고 있다.
철수에게 작용하는 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철수에게 작용하는 중력은 최저점에서보다 최고점에서 더 크다.
ㄴ. 철수에게 작용하는 수직 항력은 최고점에서보다 최저점에서 더 크다.
ㄷ. 철수에게 작용하는 구심력은 최저점에서보다 최고점에서 더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마찰이 없는 에어트랙 위에서 물체 A를 2m/s의 속도로 정지해 있는 물체 B에 충돌시켰다. 충돌 후 두 물체의 속도가 아래 표의 [실험1]과 같았다.
B를 질량은 같으나 재질이 다른 물체로 바꾸고 같은 실험을 하여 표의 [실험2]의 결과를 얻었다.
구분충돌 후 A의 속도(m/s)충돌 후 B의 속도(m/s)
[실험1]02
[실험2]11
이 실험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A와 B의 질량은 같다.)
보기
ㄱ. B가 받은 충격량은 [실험2]보다 [실험1]에서 더 크다.
ㄴ. 두 실험에서 충돌 전의 운동량의 합과 충돌 후의 운동량의 합은 같다.
ㄷ. 충돌 과정에서 운동 에너지 손실은 [실험1]보다 [실험2]에서 더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질량이 같은 두 공을 같은 속력으로 각도를 달리하여 던졌더니 그림과 같이 운동하였다. 두 공이 올라간 높이는 달랐지만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는 같았다.텍스트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공기의 저항은 무시한다.)
보기
ㄱ. 두 공이 지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같다.
ㄴ. 최고점에서 두 공의 운동 에너지는 같다.
ㄷ. 최고점에서 두 공의 역학적 에너지는 같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다음은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r$인 원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 인공 위성의 속력에 대한 설명이다.
지구와 인공 위성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 인력이 구심력이다. 따라서, 인공 위성의 속력 $v$는 다음과 같다. $$G\dfrac{mM}{r^2} = m \dfrac{v^2}{r},  \therefore\,\,\,v =\sqrt{\dfrac{GM}{r}}$$ (단, $m$은 인공 위성의 질량, $M$은 지구의 질량, $G$는 만유 인력 상수로 $G = 6.67\times 10^{-11}\text{Nm}^2/\text{kg}^2$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궤도 반지름이 클수록 인공 위성의 속력은 느리다.
ㄴ. 궤도 반지름이 같을 때 인공 위성의 질량이 클수록 속력이 빠르다.
ㄷ. 인공 위성의 속력과 궤도 반지름을 알면 지구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과 같이 두 열량계에 서로 다른 액체 A, B를 넣고 전열선을 이용하여 가열하려고 한다.
같은 시간 동안 두 액체가 받은 열량을 같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물리량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열량계 밖으로 빠져나가는 열은 없다.)
보기
ㄱ. 두 액체의 질량
ㄴ. 두 액체의 비열
ㄷ. 전열선의 저항
ㄹ. 전열선에 걸린 전압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실린더 안에 들어있는 이상 기체를 다음 실험과 같이 세 가지 방법으로 부피를 팽창시켜 보았다.
[실험]
A :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B :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C :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기체가 한 일의 양을 바르게 비교한 것은? (단,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① A > B > C

② A > C > B

③ B > C > A

④ C > A > B

⑤ A = B = C

전기 저항이 각각 80Ω, 40Ω, 20Ω인 저항선 A, B, C와 전지를 그림(가)와 같이 연결하였다. 그림(나)는 그림(가)에서 저항선을 모두 90° 회전시킨 모습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저항선의 굵기는 각각 일정하며, 저항선 A와 C는 반원, 저항선 B는 직선이다.) [2점]
보기
ㄱ. (가)에서는 A에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른다.
ㄴ. (나)에서는 B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ㄷ. (가)와 (나)의 P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과 같이 장치한 후 가변 저항기의 저항을 점점 감소시키면서 단자 전압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전지 A, B를 가지고 전류에 따른 단자 전압을 측정한 결과이다.
위 실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두 전지의 기전력은 같다.
ㄴ. 전지 A의 내부 저항은 B보다 작다.
ㄷ. 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은 감소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같은 세기의 전류 I가 흐르는 긴 직선 도선이 그림과 같이 같은 평면 위에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 도선(가)에는 오른쪽으로, 도선(나)에는 위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다.
두 도선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 A, B, C, D 중에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가 0인 점을 바르게 고른 것은? (단, 두 도선은 절연되어 있다.)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B, D

그림과 같이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균일한 자기장이 있다. 이 자기장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원형 도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고 있다.
이 때, 원형 도선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세기가 0인 곳은? (단, ‘•’은 지면에서 수직하게 나오는 자기장을, ‘×’는 지면으로 수직하게 들어가는 자기장을 나타낸다.)

① A, B

② A, C

③ A, E

④ B, D

⑤ A, C, E

그림은 공기 중에서 물 속으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보기
ㄱ. 볼록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이 작게 보인다.
ㄴ. 물 속에 반쯤 잠긴 젓가락이 꺾여 보인다.
ㄷ. 물을 채운 수영장의 깊이가 실제보다 얕아 보인다.
ㄹ. 물 위에 떠 있는 얇은 기름막에서 여러 가지 색깔의 무늬가 보인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가)와 같이 빛의 간섭 실험을 하였더니, 그림 (나)의 A와 같은 간섭 무늬가 스크린에 나타났다.
B와 같이 간섭 무늬의 간격이 A보다 넓어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① 슬릿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이중 슬릿을 사용한다.

② 이중 슬릿과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줄인다.

③ 파장이 더 짧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한다.

④ 더 밝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한다.

⑤ 레이저 광원과 이중 슬릿 사이의 거리를 넓힌다

그림과 같이 광전관의 음극에 빛 A, B를 각각 비추었다. 그래프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에 따른 광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래프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빛의 세기는 A가 B보다 크다.
ㄴ. 빛의 진동수는 A가 B보다 크다.
ㄷ.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A를 비춘 경우가 B를 비춘 경우보다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는 수직으로 올라가는 열기구의 시간에 따른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열기구는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는다.)
보기
ㄱ. 0~40초 동안 열기구의 속력은 계속 증가하였다.
ㄴ. 0~40초 동안 열기구의 평균 속력은 2.5m/s이다.
ㄷ. 40초 이후 열기구는 정지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판의 분포와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D 부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부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대규모의 습곡 산맥이 만들어진 곳이다.
ㄴ. B 부분은 해양판이 대륙판 위로 솟아오르는 곳으로 천발 지진만 발생한다.
ㄷ. C 부분은 판의 발산형 경계로 화산 활동과 함께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ㄹ. D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에 의해 심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질량이 같은 실험용 수레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1) 그림(가)와 같이 수레를 용수철 저울에 연결한 후,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수레의 운동을 종이테이프에 기록한다.
(2) 그림(나)와 같이 수레 한 개를 더 연결하고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1)의 실험을 반복한다.
(3) 수레를 한 개씩 더 연결하여 (1)의 실험을 반복한다.
위의 실험으로 얻을 수 있는 그래프는? (단,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그림 (가)와 (나)는 각각 우리나라의 어느 계절에 자주 나타나는 기압 배치이다.
이 자료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일기와 기후 현상 및 생활 자세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분다.

②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폭우나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

③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한랭 건조한 날씨가 계속된다.

④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황사나 산불에 대비해야 한다.

⑤ (가)는 북태평양 기단, (나)는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형성된 기압 배치이다.

그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때 과속의 위험성을 알리는 텔레비전 광고 내용의 일부이다.
…… 10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벽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은 40m 높이에서 떨어진 자동차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과 같다. ……
다음은 충돌할 때,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를 자동차의 속력에 따라 나타낸 표이다.
자동차 속력(km/h)20406080100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m)1.66.414.425.640
위의 자료로부터 충돌 사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자동차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증가한다.
ㄴ. 12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받는 충격은 70m 높이에서 떨어진 것과 같다.
ㄷ. 같은 속력이라도 질량이 큰 자동차일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낮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와 (나)는 각각 겨울철(2월)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의 특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A와 B지점은 동일 위도이다.)
보기
ㄱ. A는 B보다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ㄴ. 표층 해수의 염분은 A가 B보다 작다.
ㄷ. 황해는 수심이 얕고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동해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ㄹ. 황해는 해수의 결빙과 유입되는 강물의 감소로 동해보다 염분이 낮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와 B를 접촉시켰더니 물체 A는 온도가 내려갔고 물체 B는 온도가 올라갔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외부와의 열 출입은 없다.) [1점]
보기
ㄱ. 처음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ㄴ. 비열은 A가 B보다 크다.
ㄷ. 열용량은 A가 B보다 크다.
ㄹ. A가 잃은 열량과 B가 얻은 열량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금속 A와 B를 묽은 염산에 넣고, 금속 C를 $\text{B}^{2+}$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넣었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금속 A로 만들어진 못을 금속판 C에 박으면 못이 덜 부식된다.
ㄴ. 금속 B로 만들어진 주유소의 기름 탱크에 금속 A를 연결하여 묻으면 기름 탱크의 부식이 억제된다.
ㄷ. $\text{A}^{2+}$의 수용액을 금속 C로 만들어진 용기에 넣으면 금속 A의 앙금이 생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alpha$, $\beta$, $\gamma$선이 모두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납상자에 넣고 그 앞에 두꺼운 종이와 형광 물질을 칠한 스크린을 놓았더니 그림(가)와 같이 스크린의 중앙에서 빛을 내고 있었다. 그림(나)와 같이 방사선이 지나는 곳에 전기장을 걸어줄 때 스크린에 나타나는 모습 중 옳은 것은?
영희는 연료 A, B, C의 성분 원소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표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기체를 푸른색 염화코발트 종이 및 석회수에 통과시킬 때의 변화와 이 기체를 통과시킨 수용액의 액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연료염화코발트 종이석회수수용액의 액성
A붉은색변화 없음중성
B붉은색흐려짐강산성
C변화 없음흐려짐약산성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료 A의 실험에서 석회수의 변화가 없는 것은 황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ㄴ. 연료 B의 실험에서 수용액의 액성이 강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생성된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ㄷ. 연료 C의 실험에서 염화코발트 종이의 변화가 없는 것은 연료에 수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수생 식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조건의 인공 습지를 여러 곳에 만든 후, 그림과 같이 각 습지마다 다른 종류의 수생 식물을 자라게 하였다.
표는 물이 인공 습지를 통과하기 전후에 무기 염류 농도와 용존 산소량(DO)을 조사한 결과이다.
(단위 : ppm)
인공 습지 통과 전인공 습지 통과 후
수생 식물이 없는 습지부들 습지부레옥잠 습지갈대 습지
인산염0.200.150.090.040.08
질산염3.002.601.200.601.00
DO2.503.003.805.004.10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DO를 증가시킨다.
ㄴ.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수질 정화 효과가 없다.
ㄷ.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물 속의 무기 염류를 감소시킨다.
ㄹ. 부들 습지를 지날 때 무기 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감소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산성비가 내리기까지의 과정과 그 피해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비는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② 산성비 속에는 질산이나 황산이 포함되어 있다.

③ 화석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면 산성비를 줄일 수 있다.

④ 차량 운행의 증가는 산성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⑤ 화력 발전소 대신 수력이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이용하면 산성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철수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삼각 플라스크에 5%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는다.
(나) 마그네슘 리본 조각 0.5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자마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량 변화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한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 다른 삼각 플라스크에 10%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은 후 실험 과정 (나)를 반복한다.
위에서 실험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보완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솜 마개 대신 고무 마개로 막는다.
ㄴ. 삼각 플라스크 대신 비커를 사용한다.
ㄷ. 삼각 플라스크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실험한다.
ㄹ. 일정한 길이의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을 사용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물이 든 용기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1~2 방울 넣은 후, 나트륨 조각을 넣고 용기의 입구를 마개로 단단히 막았다. 이 때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했으며, 반응 용기가 따뜻해 졌다.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기 속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용액 속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③ 나트륨과 물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④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으로 변한다.

⑤ 용기 속의 전체 물질의 질량은 일정하다.

다음은 철의 부식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이다.
(1) 시험관 속에 질량을 측정한 철가루를 붙여 그림 (가)와 같이 장치하였다.
(2) 1주일 후 관찰하였더니 그림 (나)와 같이 붉은 녹이 생기고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갔다.
(3) 그림 (나)에서 붉은 녹의 질량을 측정하여 처음 철가루의 질량과 비교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공기는 철의 부식과 관계가 있다.
ㄴ. 붉은 녹의 질량은 반응 전 철가루의 질량보다 크다.
ㄷ. 철이 녹슬 때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간 주 원인은 공기가 물에 녹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화학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금속 A와 금속 B를 묽은 황산에 넣고 꾸민 장치이다.
금속 A와 B를 묽은 황산에 각각 넣은 그림 (가)에서는 금속 A에서만 기체가 발생하였으나, 두 금속을 X자로 연결하여 묽은 황산에 넣은 그림 (나)에서는 주로 금속 B에서 기체가 발생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금속 A의 반응성은 금속 B보다 작다.
ㄴ. 그림 (가)와 (나)에서 용액 중 A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ㄷ. 그림 (나)에서 이동하는 전자는 대부분 금속 A로부터 용액 중의 $\text{H}^{+}$으로 직접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불을 피운 곳에 물을 뿌리면 발화점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므로 불이 꺼진다. 이 같은 사실은 물의 특이한 성질 때문인데, 이와 관련된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물이 수증기로 될 때 그 부피가 크게 증가한다.
ㄴ. 물을 가열하면 쉽게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ㄷ. 물이 수증기로 될 때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을 나타낸 것이다.
가족아버지어머니자녀
O형O형O형
A형B형O형
AB형A형B형
A형A형O형
위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가족 Ⅰ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순종이다.
ㄴ. 가족 Ⅱ에서 태어날 자녀가 AB형이 될 확률은 50%이다.
ㄷ. 가족 Ⅲ에서 어머니의 유전자형은 AA이다.
ㄹ. 가족 Ⅳ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호흡 운동에 따른 폐의 공기 출입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안정 상태에서 들숨, 날숨의 공기량
(나) 안정 상태에서 날숨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다) 안정 상태에서 들숨 후, 더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라) 최대로 공기를 내쉰 후, 폐 속에 남아 있는 공기량
그림에서 폐활량을 나타내는 것은? (단, 폐활량이란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로 내쉴 때의 공기의 총량을 뜻한다.)

① $(가)$

② $(가) + (나)$

③ $(가) + (다)$

④ $(가) + (나) + (다)$

⑤ $(가) + (나) + (라)$

사람의 위벽에 살고 있는 세균을 발견한 어느 과학자가 수행한 탐구 과정의 일부이다.
(가) 문제 인식 : 위염에 대해 연구하던 중 환자의 위벽에 세균이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염과 세균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졌다.
(나) 가설 :             
(다) 실험 및 결과
 1) 위염 환자의 위벽에서 추출한 세균을 배양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감염시킨 후,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시킨 세균이 발견되었다.
 2) 위염 환자에게 항생제를 복용시켜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이 치료되었고,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은?

① 사람에 따라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

② 항생제를 오래 복용하면 세균은 내성을 갖게 된다.

③ 위벽에 서식하는 세균은 위염 발병의 원인이 된다.

④ 세균의 종류에 따라 위산에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다르다.

⑤ 발견된 세균은 위염 증상을 나타내는 조직에서만 증식할 수 있다.

(가)는 어떤 단어를 듣고 발음할 때, (나)는 어떤 단어를 보면서 발음할 때 대뇌 피질의 활동 부위의 순서를 →로 나타낸 것이다. (단, 대뇌 피질의 A와 B는 감각령, C와 D는 연합령, E는 운동령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는 청각, B는 시각에 대한 감각령이다.
ㄴ. C와 D는 언어 중추에 해당하는 연합령이다.
ㄷ. (나)보다 (가)에서 E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ㄹ. 감각의 종류에 따라 발음을 담당하는 운동령의 부위가 다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생식 주기가 28일인 어떤 여성에 있어서 최근 16주 동안의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이 여성의 신체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3번의 배란이 있은 후 임신되었다.
ㄴ. 현재 이 여성의 황체는 퇴화된 상태이다.
ㄷ. 현재 이 여성의 자궁 내벽은 두터워진 상태이다.
ㄹ. 현재 이 여성의 난소에서는 새로운 난자가 성숙되고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모유나 우유 제품에 포함된 젖당은 소장에서 락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젖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설사나 복통, 탈수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표는 연령에 따른 락타아제의 분비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분비 유형 \ 연령0~5세20세 이후
A분비됨분비됨
B분비됨분비 안됨
C분비 안됨분비 안됨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락타아제의 분비량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ㄴ. C 유형의 사람은 유아기 때 모유 대신 젖당이 분해된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
ㄷ. 성인 B가 우유를 마신다면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가정에서 전등을 사용하기까지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에서 이동되는 에너지의 형태는? [1점]
ABC
화학 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화학 에너지빛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전기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그림 (가)와 같이 수평면에서 질량이 1kg으로 같은 두 물체 A와 B를 20N의 일정한 힘으로 오른쪽으로 각각 끌어당겼더니 시간에 따른 속도가 그림 (나)와 같았다.
(나)에서 물체 A, B의 속도 변화가 다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부피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수평면과의 마찰 계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수평면과의 접촉 면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수평면으로부터 받는 수직 항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은 전력을 송전할 때 송전 거리와 전압에 따른 전력 손실률에 대하여 조사한 표이다.
송전 거리(km)2030404040
송전 전압(kV)11.411.411.422.845.6
전력 손실률(%)8121641
위의 자료로부터 전력 손실률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송전 전압이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거리에 비례한다.
ㄴ. 송전 거리가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ㄷ. 송전 거리가 20km이고, 송전 전압이 22.8kV일 때 전력 손실률은 6%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줄로 연결된 썰매 두 대를 개들이 끌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썰매에 작용하는 힘들을 $F_{1}$, $F_{2}$, $F_{3}$로 나타내었다.
◦ $F_{1}$ : 개들이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2}$ : 썰매 A가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3}$ : 썰매 B가 썰매 A를 당기는 힘의 크기
썰매의 속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썰매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썰매를 연결한 줄의 무게는 무시한다.)
보기
ㄱ. $F_{1}$은 $F_{2}$보다 크다.
ㄴ. $F_{1}$은 $F_{3}$보다 크다.
ㄷ. $F_{2}$는 $F_{3}$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에서 1년 동안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옳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의 시점에 복사 평형이 이루어진다.
ㄴ. 이 지역의 기온은 a 시점부터는 하강하고, b 시점부터는 상승한다.
ㄷ. 태양 복사가 최대일 때는 6월 하순이고, 지구 복사가 최대일 때는 8월 초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북반구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변화가 계속된다고 할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극지방 빙하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ㄴ. 해수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할 것이다.
ㄷ. 평균 기온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할 것이다.
ㄹ. 지구 온난화로 기후와 생태계가 변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떤 화성암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이다.
◦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을 띤다.
◦ 광물 입자가 그림과 같이 조립질을 이룬다.
◦ 구성 광물은 주로 감람석, 휘석, 사장석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석은?

① 반려암

② 화강암

③ 대리암

④ 현무암

⑤ 역암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도이다. A는 화성암, B~H는 퇴적암, A와 B~H의 접촉부의 빗금 친 부분은 변성암을 나타내며, E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H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된다.
자료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지층 B~H의 접촉부에 분포하는 변성암의 조직은 편리 조직이다.
ㄴ. 가장 먼저 생성된 암석은 B이고,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암석은 A이다.
ㄷ. 이 지역에서는 습곡, 역단층, 부정합의 지질 구조가 나타난다.
ㄹ. 지층 E는 고생대에, H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표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을 태양으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주요 물리량을 비교한 것이다.
행 성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
거리(AU)0.390.721.001.525.209.5419.18
질량($지구=1$)0.060.821.000.113189514.5
반지름($지구=1$)0.380.951.000.5311.219.454.01
평균 밀도(g/㎤)5.45.25.53.91.40.71.3
자전 주기(일)5824311.030.410.440.72
위성수0012162315
행성의 질량과 어떤 물리량(X)을 두 축으로 하여 위 행성들을 그래프와 같이 A, B 두 집단으로 분류할 때, 물리량(X)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반지름
ㄴ. 위성수
ㄷ. 평균 밀도
ㄹ. 자전 주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인문계](과학)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인문계](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인문계](과학)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는 수직으로 올라가는 열기구의 시간에 따른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열기구는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는다.)
보기
ㄱ. 0~40초 동안 열기구의 속력은 계속 증가하였다.
ㄴ. 0~40초 동안 열기구의 평균 속력은 2.5m/s이다.
ㄷ. 40초 이후 열기구는 정지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판의 분포와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D 부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부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대규모의 습곡 산맥이 만들어진 곳이다.
ㄴ. B 부분은 해양판이 대륙판 위로 솟아오르는 곳으로 천발 지진만 발생한다.
ㄷ. C 부분은 판의 발산형 경계로 화산 활동과 함께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ㄹ. D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에 의해 심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질량이 같은 실험용 수레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1) 그림(가)와 같이 수레를 용수철 저울에 연결한 후,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수레의 운동을 종이테이프에 기록한다.
(2) 그림(나)와 같이 수레 한 개를 더 연결하고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1)의 실험을 반복한다.
(3) 수레를 한 개씩 더 연결하여 (1)의 실험을 반복한다.
위의 실험으로 얻을 수 있는 그래프는? (단,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그림 (가)와 (나)는 각각 우리나라의 어느 계절에 자주 나타나는 기압 배치이다.
이 자료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일기와 기후 현상 및 생활 자세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분다.

②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폭우나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

③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한랭 건조한 날씨가 계속된다.

④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황사나 산불에 대비해야 한다.

⑤ (가)는 북태평양 기단, (나)는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형성된 기압 배치이다.

그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때 과속의 위험성을 알리는 텔레비전 광고 내용의 일부이다.
…… 10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벽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은 40m 높이에서 떨어진 자동차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과 같다. ……
다음은 충돌할 때,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를 자동차의 속력에 따라 나타낸 표이다.
자동차 속력(km/h)20406080100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m)1.66.414.425.640
위의 자료로부터 충돌 사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자동차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증가한다.
ㄴ. 12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받는 충격은 70m 높이에서 떨어진 것과 같다.
ㄷ. 같은 속력이라도 질량이 큰 자동차일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낮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와 (나)는 각각 겨울철(2월)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의 특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A와 B지점은 동일 위도이다.)
보기
ㄱ. A는 B보다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ㄴ. 표층 해수의 염분은 A가 B보다 작다.
ㄷ. 황해는 수심이 얕고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동해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ㄹ. 황해는 해수의 결빙과 유입되는 강물의 감소로 동해보다 염분이 낮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와 B를 접촉시켰더니 물체 A는 온도가 내려갔고 물체 B는 온도가 올라갔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외부와의 열 출입은 없다.) [1점]
보기
ㄱ. 처음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ㄴ. 비열은 A가 B보다 크다.
ㄷ. 열용량은 A가 B보다 크다.
ㄹ. A가 잃은 열량과 B가 얻은 열량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금속 A와 B를 묽은 염산에 넣고, 금속 C를 $\text{B}^{2+}$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넣었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금속 A로 만들어진 못을 금속판 C에 박으면 못이 덜 부식된다.
ㄴ. 금속 B로 만들어진 주유소의 기름 탱크에 금속 A를 연결하여 묻으면 기름 탱크의 부식이 억제된다.
ㄷ. $\text{A}^{2+}$의 수용액을 금속 C로 만들어진 용기에 넣으면 금속 A의 앙금이 생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alpha$, $\beta$, $\gamma$선이 모두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납상자에 넣고 그 앞에 두꺼운 종이와 형광 물질을 칠한 스크린을 놓았더니 그림(가)와 같이 스크린의 중앙에서 빛을 내고 있었다. 그림(나)와 같이 방사선이 지나는 곳에 전기장을 걸어줄 때 스크린에 나타나는 모습 중 옳은 것은?
영희는 연료 A, B, C의 성분 원소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표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기체를 푸른색 염화코발트 종이 및 석회수에 통과시킬 때의 변화와 이 기체를 통과시킨 수용액의 액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연료염화코발트 종이석회수수용액의 액성
A붉은색변화 없음중성
B붉은색흐려짐강산성
C변화 없음흐려짐약산성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료 A의 실험에서 석회수의 변화가 없는 것은 황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ㄴ. 연료 B의 실험에서 수용액의 액성이 강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생성된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ㄷ. 연료 C의 실험에서 염화코발트 종이의 변화가 없는 것은 연료에 수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수생 식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조건의 인공 습지를 여러 곳에 만든 후, 그림과 같이 각 습지마다 다른 종류의 수생 식물을 자라게 하였다.
표는 물이 인공 습지를 통과하기 전후에 무기 염류 농도와 용존 산소량(DO)을 조사한 결과이다.
(단위 : ppm)
인공 습지 통과 전인공 습지 통과 후
수생 식물이 없는 습지부들 습지부레옥잠 습지갈대 습지
인산염0.200.150.090.040.08
질산염3.002.601.200.601.00
DO2.503.003.805.004.10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DO를 증가시킨다.
ㄴ.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수질 정화 효과가 없다.
ㄷ.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물 속의 무기 염류를 감소시킨다.
ㄹ. 부들 습지를 지날 때 무기 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감소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산성비가 내리기까지의 과정과 그 피해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비는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② 산성비 속에는 질산이나 황산이 포함되어 있다.

③ 화석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면 산성비를 줄일 수 있다.

④ 차량 운행의 증가는 산성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⑤ 화력 발전소 대신 수력이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이용하면 산성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철수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삼각 플라스크에 5%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는다.
(나) 마그네슘 리본 조각 0.5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자마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량 변화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한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 다른 삼각 플라스크에 10%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은 후 실험 과정 (나)를 반복한다.
위에서 실험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보완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솜 마개 대신 고무 마개로 막는다.
ㄴ. 삼각 플라스크 대신 비커를 사용한다.
ㄷ. 삼각 플라스크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실험한다.
ㄹ. 일정한 길이의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을 사용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물이 든 용기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1~2 방울 넣은 후, 나트륨 조각을 넣고 용기의 입구를 마개로 단단히 막았다. 이 때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했으며, 반응 용기가 따뜻해 졌다.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기 속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용액 속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③ 나트륨과 물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④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으로 변한다.

⑤ 용기 속의 전체 물질의 질량은 일정하다.

다음은 철의 부식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이다.
(1) 시험관 속에 질량을 측정한 철가루를 붙여 그림 (가)와 같이 장치하였다.
(2) 1주일 후 관찰하였더니 그림 (나)와 같이 붉은 녹이 생기고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갔다.
(3) 그림 (나)에서 붉은 녹의 질량을 측정하여 처음 철가루의 질량과 비교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공기는 철의 부식과 관계가 있다.
ㄴ. 붉은 녹의 질량은 반응 전 철가루의 질량보다 크다.
ㄷ. 철이 녹슬 때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간 주 원인은 공기가 물에 녹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화학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금속 A와 금속 B를 묽은 황산에 넣고 꾸민 장치이다.
금속 A와 B를 묽은 황산에 각각 넣은 그림 (가)에서는 금속 A에서만 기체가 발생하였으나, 두 금속을 X자로 연결하여 묽은 황산에 넣은 그림 (나)에서는 주로 금속 B에서 기체가 발생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금속 A의 반응성은 금속 B보다 작다.
ㄴ. 그림 (가)와 (나)에서 용액 중 A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ㄷ. 그림 (나)에서 이동하는 전자는 대부분 금속 A로부터 용액 중의 $\text{H}^{+}$으로 직접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불을 피운 곳에 물을 뿌리면 발화점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므로 불이 꺼진다. 이 같은 사실은 물의 특이한 성질 때문인데, 이와 관련된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물이 수증기로 될 때 그 부피가 크게 증가한다.
ㄴ. 물을 가열하면 쉽게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ㄷ. 물이 수증기로 될 때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을 나타낸 것이다.
가족아버지어머니자녀
O형O형O형
A형B형O형
AB형A형B형
A형A형O형
위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가족 Ⅰ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순종이다.
ㄴ. 가족 Ⅱ에서 태어날 자녀가 AB형이 될 확률은 50%이다.
ㄷ. 가족 Ⅲ에서 어머니의 유전자형은 AA이다.
ㄹ. 가족 Ⅳ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호흡 운동에 따른 폐의 공기 출입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안정 상태에서 들숨, 날숨의 공기량
(나) 안정 상태에서 날숨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다) 안정 상태에서 들숨 후, 더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라) 최대로 공기를 내쉰 후, 폐 속에 남아 있는 공기량
그림에서 폐활량을 나타내는 것은? (단, 폐활량이란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로 내쉴 때의 공기의 총량을 뜻한다.)

① $(가)$

② $(가) + (나)$

③ $(가) + (다)$

④ $(가) + (나) + (다)$

⑤ $(가) + (나) + (라)$

사람의 위벽에 살고 있는 세균을 발견한 어느 과학자가 수행한 탐구 과정의 일부이다.
(가) 문제 인식 : 위염에 대해 연구하던 중 환자의 위벽에 세균이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염과 세균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졌다.
(나) 가설 :             
(다) 실험 및 결과
 1) 위염 환자의 위벽에서 추출한 세균을 배양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감염시킨 후,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시킨 세균이 발견되었다.
 2) 위염 환자에게 항생제를 복용시켜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이 치료되었고,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은?

① 사람에 따라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

② 항생제를 오래 복용하면 세균은 내성을 갖게 된다.

③ 위벽에 서식하는 세균은 위염 발병의 원인이 된다.

④ 세균의 종류에 따라 위산에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다르다.

⑤ 발견된 세균은 위염 증상을 나타내는 조직에서만 증식할 수 있다.

(가)는 어떤 단어를 듣고 발음할 때, (나)는 어떤 단어를 보면서 발음할 때 대뇌 피질의 활동 부위의 순서를 →로 나타낸 것이다. (단, 대뇌 피질의 A와 B는 감각령, C와 D는 연합령, E는 운동령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는 청각, B는 시각에 대한 감각령이다.
ㄴ. C와 D는 언어 중추에 해당하는 연합령이다.
ㄷ. (나)보다 (가)에서 E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ㄹ. 감각의 종류에 따라 발음을 담당하는 운동령의 부위가 다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생식 주기가 28일인 어떤 여성에 있어서 최근 16주 동안의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이 여성의 신체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3번의 배란이 있은 후 임신되었다.
ㄴ. 현재 이 여성의 황체는 퇴화된 상태이다.
ㄷ. 현재 이 여성의 자궁 내벽은 두터워진 상태이다.
ㄹ. 현재 이 여성의 난소에서는 새로운 난자가 성숙되고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모유나 우유 제품에 포함된 젖당은 소장에서 락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젖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설사나 복통, 탈수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표는 연령에 따른 락타아제의 분비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분비 유형 \ 연령0~5세20세 이후
A분비됨분비됨
B분비됨분비 안됨
C분비 안됨분비 안됨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락타아제의 분비량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ㄴ. C 유형의 사람은 유아기 때 모유 대신 젖당이 분해된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
ㄷ. 성인 B가 우유를 마신다면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가정에서 전등을 사용하기까지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에서 이동되는 에너지의 형태는? [1점]
ABC
화학 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화학 에너지빛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전기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그림 (가)와 같이 수평면에서 질량이 1kg으로 같은 두 물체 A와 B를 20N의 일정한 힘으로 오른쪽으로 각각 끌어당겼더니 시간에 따른 속도가 그림 (나)와 같았다.
(나)에서 물체 A, B의 속도 변화가 다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부피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수평면과의 마찰 계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수평면과의 접촉 면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수평면으로부터 받는 수직 항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은 전력을 송전할 때 송전 거리와 전압에 따른 전력 손실률에 대하여 조사한 표이다.
송전 거리(km)2030404040
송전 전압(kV)11.411.411.422.845.6
전력 손실률(%)8121641
위의 자료로부터 전력 손실률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송전 전압이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거리에 비례한다.
ㄴ. 송전 거리가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ㄷ. 송전 거리가 20km이고, 송전 전압이 22.8kV일 때 전력 손실률은 6%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줄로 연결된 썰매 두 대를 개들이 끌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썰매에 작용하는 힘들을 $F_{1}$, $F_{2}$, $F_{3}$로 나타내었다.
◦ $F_{1}$ : 개들이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2}$ : 썰매 A가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3}$ : 썰매 B가 썰매 A를 당기는 힘의 크기
썰매의 속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썰매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썰매를 연결한 줄의 무게는 무시한다.)
보기
ㄱ. $F_{1}$은 $F_{2}$보다 크다.
ㄴ. $F_{1}$은 $F_{3}$보다 크다.
ㄷ. $F_{2}$는 $F_{3}$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에서 1년 동안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옳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의 시점에 복사 평형이 이루어진다.
ㄴ. 이 지역의 기온은 a 시점부터는 하강하고, b 시점부터는 상승한다.
ㄷ. 태양 복사가 최대일 때는 6월 하순이고, 지구 복사가 최대일 때는 8월 초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북반구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변화가 계속된다고 할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극지방 빙하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ㄴ. 해수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할 것이다.
ㄷ. 평균 기온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할 것이다.
ㄹ. 지구 온난화로 기후와 생태계가 변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떤 화성암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이다.
◦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을 띤다.
◦ 광물 입자가 그림과 같이 조립질을 이룬다.
◦ 구성 광물은 주로 감람석, 휘석, 사장석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석은?

① 반려암

② 화강암

③ 대리암

④ 현무암

⑤ 역암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도이다. A는 화성암, B~H는 퇴적암, A와 B~H의 접촉부의 빗금 친 부분은 변성암을 나타내며, E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H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된다.
자료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지층 B~H의 접촉부에 분포하는 변성암의 조직은 편리 조직이다.
ㄴ. 가장 먼저 생성된 암석은 B이고,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암석은 A이다.
ㄷ. 이 지역에서는 습곡, 역단층, 부정합의 지질 구조가 나타난다.
ㄹ. 지층 E는 고생대에, H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표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을 태양으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주요 물리량을 비교한 것이다.
행 성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
거리(AU)0.390.721.001.525.209.5419.18
질량($지구=1$)0.060.821.000.113189514.5
반지름($지구=1$)0.380.951.000.5311.219.454.01
평균 밀도(g/㎤)5.45.25.53.91.40.71.3
자전 주기(일)5824311.030.410.440.72
위성수0012162315
행성의 질량과 어떤 물리량(X)을 두 축으로 하여 위 행성들을 그래프와 같이 A, B 두 집단으로 분류할 때, 물리량(X)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반지름
ㄴ. 위성수
ㄷ. 평균 밀도
ㄹ. 자전 주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