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8년 11월 18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1998.11.18(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위 그림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ㄴ. Ne보다 Na 원자 반지름이 큰 이유는 전자 껍질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ㄷ. $\text{N}^{3-}$, $\text{O}^{2-}$, $\text{F}^{-}$의 이온 반지름은 그에 해당하는 원자 반지름 보다 작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할로겐화수소(HX) | HF | HCl | HBr | HI |
끓는점 (℃) | 20 | $-85$ | $-67$ | $-35$ |
수소 결합 | 있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전기 음성도 차 | 1.9 | 0.9 | 0.7 | 0.4 |
분자량 | 20.0 | 36.5 | 80.9 | 127.9 |
ㄴ. 전기 음성도 차이가 제일 큰 HF는 가장 강한 산일 것이다.
ㄷ. 끓는점이 $\text{HCl} < \text{HBr} < \text{HI}$의 순으로 높아지는 것은 분산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위 그림을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흑연이 다이아몬드로 변하는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ㄷ. 반응 A, B의 반응열은 각각 다이아몬드와 흑연의 연소열에 해당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보기>는 상평형 그림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자연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나) 추운 겨울에 밖에 널어 놓은 언 빨래가 마른다.
(다) 얼음 위에 스케이트를 신고 올라서면 얼음이 녹는다.
① (가) : AT / (나) : BT / (다) : CT
② (가) : AT / (나) : CT / (다) : BT
③ (가) : BT / (나) : AT / (다) : CT
④ (가) : BT / (나) : CT / (다) : AT
⑤ (가) : CT / (나) : AT / (다) : BT
농도 \ 실험 | 1 | 2 | 3 | 4 | 5 |
[$\text{H}_{2}$](mol/L) | 0.01 | 0.03 | 0.05 | 0.07 | 0.09 |
[$\text{I}_{2}$](mol/L) | 0.09 | 0.07 | 0.05 | 0.03 | 0.01 |
ㄴ. 전자 구름의 끝을 명확하게 정할 수 없다.
ㄷ. 핵으로부터 거리가 같으면 전자가 발견될 확률은 같다.
ㄹ. 전자 구름 모형에서 각각의 점들은 전자 하나에 해당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위 실험 결과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ㄴ. 가해진 산소의 양이 0.2 몰일 때 용기 속의 수소는 거의 모두 물로 변한다.
ㄷ. 가해진 산소의 양이 0.2 몰 이상일 때는 용기 속에 생성되었던 물이 다시 분해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 물질에 대한 서술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C의 원자량은 12이다.) [2점]
① 분자식은 $\text{C}_{60}$이다.
② 분자량은 720이다.
③ 상온에서 고체이다.
④ 밀도는 다이아몬드보다 작다.
⑤ 분자 내의 모든 결합은 이중 결합이다.
표는 유리 용기를 유리판으로 덮은 후 시간에 따른 두 비커 속의 액체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단, 비커의 크기는 같다.)
경과 시간(시간) | 0 | 2 | 4 | 6 | 8 |
물의 높이(mm) | 100 | 98 | 97 | 96 | 95 |
황산구리용액의 높이(mm) | 100 | 101 | 102 | 103 | 104 |
ㄴ. 두 액체 표면에서 증발하는 물의 양은 같다.
ㄷ. 용기 위의 유리판을 제거해도 액체 높이의 변화는 위 실험 결과와 같을 것이다.
에틴(아세틸렌) $\text{HC}≡\text{CH}$ 분자의 경우, 이와 같은 에너지 곡선을 그렸을 때 A점의 이동 방향을 바르게 예측한 것은? [1점]
① 핵간 거리($x$축) : 오른쪽 / 에너지($y$축) : 아래쪽
② 핵간 거리($x$축) : 오른쪽 / 에너지($y$축) : 위쪽
③ 핵간 거리($x$축) : 왼쪽 / 에너지($y$축) : 아래쪽
④ 핵간 거리($x$축) : 왼쪽 / 에너지($y$축) : 위쪽
⑤ 핵간 거리($x$축) : 변화 없음 / 에너지($y$축) : 위쪽
분자 | 극성 | 중심 원자의 원자가 전자쌍 수 | 중심 원자의 공유 전자쌍 수 |
$\text{BeF}_{2}$ | 무극성 | 2 | 2 |
$\text{BCl}_{3}$ | 무극성 | 3 | 3 |
$\text{CH}_{4}$ | 무극성 | 4 | 4 |
$\text{PCl}_{5}$ | 무극성 | 5 | 5 |
$\text{H}_{2}\text{O}$ | 극성 | 4 | 2 |
$\text{PCl}_{3}$ | 극성 | 4 | 3 |
① 중심 원자의 종류
② 중심 원자의 공유 전자쌍 수
③ 중심 원자의 원자가 전자쌍 수
④ 중심 원자에 결합된 원자의 종류
⑤ 중심 원자의 비공유 전자쌍 존재 유무
<보기>에서 이 물질의 온도에 따른 성질의 변화를 바르게 표현한 것을 모두 고르면?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구성된 전지에서 관찰된 반쪽 전지의 변화는 표와 같다.
전지 구성 | 산화가 일어나는 반쪽 전지 | 환원이 일어나는 반쪽 전지 |
A와 B | B | A |
A와 E | A | E |
B와 D | D | B |
C와 E | E | C |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A, B, C 단계에 따라 측면에서 기체를 관찰할 때 색깔이 진한 정도를 가장 바르게 비교한 것은? (단,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밀도가 높아지면 색깔이 진해진다.)
① $\text{A} = \text{B} = \text{C}$
② $\text{A} = \text{B}>\text{C}$
③ $\text{A}>\text{B}=\text{C}$
④ $\text{B}>\text{A}$, $\text{B}>\text{C}$
⑤ $\text{B}>\text{A}$, $\text{C}>\text{B}$
<실험 결과>
확인 실험 \ 시약병 | A | B | C |
$\text{Br}_{2}$을 가한다 Na을 넣는다 메틸오렌지를 가한다 | 무색 반응 안함 변화 없음 | 갈색 반응함 변화 없음 | 갈색 반응함 산성을 나타냄 |
① A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 B : $\text{CH}_{3}\text{COOH}$ / C : $\text{CH}_{3}\text{CH}_{2}\text{OH}$
② A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 B : $\text{CH}_{3}\text{CH}_{2}\text{OH}$ / C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③ A : $\text{CH}_{3}\text{CH}_{2}\text{OH}$ / B : $\text{CH}_{3}\text{COOH}$ / C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④ A : $\text{CH}_{3}\text{CH}_{2}\text{OH}$ / B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 C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
⑤ A : $\text{CH}_{3}\text{COOH}$ / B : $\text{CH}_{3}\text{CH}_{2}\text{OH}$ / C : $\text{CH}_{3}\text{CH}=\text{CH}\text{C}_{3}\text{H}_{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