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8년 11월 18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1998.11.18(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표는 온도에 따른 포화수증기량을 나타낸다.
온도(℃) | $-10$ | 0 | 10 | 20 | 30 |
포화 수증기량 (g/kg) | 2.0 | 3.5 | 7.0 | 14.0 | 26.5 |
① [(가) 초기] : 100% / [(나) 냉각 후] : 25%
② [(가) 초기] : 25% / [(나) 냉각 후] : 50%
③ [(가) 초기] : 25% / [(나) 냉각 후] : 75%
④ [(가) 초기] : 50% / [(나) 냉각 후] : 100%
⑤ [(가) 초기] : 75% / [(나) 냉각 후] : 25%
<보기>는 함께 관찰한 친구들의 이야기이다. 이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점]
ㄴ. 친구 B : 공룡의 발자국은 거대한 공룡의 무게로 단단 한 암석이 패인 것이다.
ㄷ. 친구 C : 공룡 발자국이 찍힌 모양으로 보아 이 공룡 들은 산을 타고 올라갔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 팔의 길이는 양 눈 사이의 거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② 연필의 시차는 양 눈 사이의 거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③ 연필의 시차는 영희와 연필까지의 거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④ 팔의 길이는 영희와 나무 판지 담까지의 거리와 어떤 관계 가 있는가?
⑤ 연필의 시차는 영희와 나무 판지 담까지의 거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ㄴ. 지구 전체에서 지각을 제외한 부분은 황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다.
ㄷ. 지구 전체는 주로 철과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8가지의 원소가 지구 전체의 99% 이상을 차지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 a와 b의 분류는 은하가 특정한 모양을 가지고 있는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② a 내의 c와 d의 분류는 나선 팔을 가지고 있는지가 기준이 될 수 있다.
③ c 내에서의 분류는 외관상 납작한 정도가 기준이 될 수 있다.
④ d 내의 e와 f의 분류는 은하 전체의 크기가 기준이 될 수 있다.
⑤ e 내에서의 분류는 나선 팔의 감긴 정도가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양의 수직 구조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심해층은 극지방에서 냉각된 해수를 공급받는 찬 해 수층이다.
ㄷ. 수온약층은 따뜻한 해수층과 찬 해수층의 경계로서 모든 위도에 분포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을 설명한 내용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A-B 사이의 기온감율과 B-C 사이의 기온감율은 동일 하다.
ㄷ. A, B, C 관측소에서 관측된 기압은 해면 기압으로 바꾸어 지상 일기도에 기입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① 적색 초거성
④ 적색 왜성
② 적색 거성
③ 주계열성
⑤ 백색 왜성
구조 | 조직 | 광물의 구성 비율 |
층리나 엽리 구조와 같은 특징적인 구조가 없음 | 조립 등립질 (결정의 평균 크기가 5mm 이상) | 사장석 66%, 각섬석 21%, 휘석 13% |
이 암석의 이름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화강암
② 섬록암
③ 안산암
④ 현무암
⑤ 반려암
대양의 주요 해류가 흐르는 곳에서는 그림과 같이 수온 변화가 크고 해수면의 경사가 크다. 이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ㄴ. 이 해수면 경사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힘의 균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ㄷ. 해류는 이 해수면 경사가 유지되고 있는 것과 관계가 없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ㄴ. 구간 C는 큰 규모의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안 정된 장소를 나타낸다.
ㄷ. 구간 D는 PS시를 나타내며, 진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증가한다.
ㄹ. P파와 S파의 도달 시간은 진앙으로부터의 거리가 멀 어짐에 따라서 완만하게 증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천체 | 태양 | 목성 | |||||
일시 \ 관측치 | 적경 | 적위 | 적경 | 적위 | 거리(AU) | 시직경(˝) | 겉보기등급 |
4월10일 | 1h 14m | 7°50′ | 14h 41m | -14°12′ | 4.50 | 43.8 | -2.49 |
4월20일 | 1h 51m | 11°24′ | 14h 37m | -13°50′ | 4.45 | 44.3 | -2.50 |
4월30일 | 2h 29m | 14°48′ | 14h 32m | -13°27′ | 4.42 | 44.5 | -2.52 |
5월10일 | 3h 11m | 17°48′ | 14h 27m | -13° 4′ | 4.43 | 44.4 | -2.51 |
5월20일 | 3h 46m | 19°55′ | 14h 22m | -12°42′ | 4.47 | 44.0 | -2.50 |
① 태양과 목성의 적경 차이가 거의 12h에 가깝다.
② 태양과 목성의 적위 차이가 거의 30°에 가깝다.
③ 목성의 시직경이 가장 크다.
④ 목성의 겉보기 등급을 보면 가장 밝다.
⑤ 지구와 목성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깝다.
(I) 케플러의 제 3법칙($P^{2}$(년)$\,\,=a^{3}$(AU))을 이용한다.
◦ 따라서, 핼리 혜성의 궤도 장반경(a)은 18AU이다.
(II) 핼리 혜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가 <그림>에서 0.6AU이므로, 가장 멀리 갔을 때의 거 리를 구하기 위해 궤도 장반경 18AU에서 0.6AU를 뺀다.
◦ 따라서, 핼리 혜성이 가장 멀리 갔을 때의 거리는 17.4AU이다.
(III) 아래 <표>를 이용한다.
거리 \ 행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 명왕성 |
태양과 행성간 의 거리(AU) | 5.20 | 9.54 | 19.18 | 30.06 | 39.44 |
① I
② II
③ III
④ I, II
⑤ I, III
ㄴ. 천해파가 해변으로 다가올 때 파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파장이 짧아지고 파고가 커진다.
ㄷ. 천해파가 등수심선에 대해 비스듬하게 진행할 때 파의 진행 방향이 바뀐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행성의 복사 평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ㄴ. 태양복사에 대한 대기의 반사율은 20%이다.
ㄷ. 지표가 방출하는 복사량의 20%는 대기를 투과한다.
ㄹ. 지표가 방출하는 복사량은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량 과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