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인문계](과학)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아닌 것은?
① 15m 지점을 철수가 먼저 통과하였다.
② 25m 지점을 두 사람이 동시에 통과하였다.
③ 출발점으로부터 25m 지점까지의 두 사람의 평균 속력은 같았다.
④ 출발점으로부터 50m 지점까지의 두 사람의 평균 속력은 같았다.
⑤ 철수가 50m 지점을 통과할 때, 영희는 이미 목표 지점에 도달하였다.
파란색 알갱이의 색을 분홍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금속 나트륨이 물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가연성 기체
ㄷ. 프로판이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이외의 물질
ㄹ. 얼음물이 들어있는 컵을 공기 중에 놓아두었을 때 컵의 바깥쪽에 맺히는 물질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ㄴ. B 지방의 월평균 기온은 1월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ㄷ. C 지방에 어제 저녁 집중호우가 내려 야구 경기가 중단되었다.
ㄹ. D 지방에 오늘 새벽 태풍이 상륙하여 많은 비가 내려 홍수가 발생했다.
① [날씨] : ㄱ, ㄴ / [기후] : ㄷ, ㄹ
② [날씨] : ㄱ, ㄷ / [기후] : ㄴ, ㄹ
③ [날씨] : ㄴ, ㄷ / [기후] : ㄱ, ㄹ
④ [날씨] : ㄴ, ㄹ / [기후] : ㄱ, ㄷ
⑤ [날씨] : ㄷ, ㄹ / [기후] : ㄱ, ㄴ
이 단면에 대한 조사 결과 철수가 내린 결론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 암석은 땅 속 가장 깊은 곳에 있으므로 나이가 가장 많다.
② B 암석은 모든 암석을 관입하였으므로 나이가 가장 적다.
③ C 지층은 경사져 있으므로 지각 변동을 받았다.
④ D 지층은 C 지층 위에 부정합으로 놓여 있다.
⑤ E 지층은 D 지층 위에 놓여 있으므로 D 지층보다 나이가 적다.
이 그래프를 해석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탄수화물이 완전히 소모된 후 지방이 소모되기 시작한다.
② 가장 먼저 소모되어 없어지는 영양소는 탄수화물이다.
③ 저장된 양이 가장 적은 영양소는 탄수화물이다.
④ 영양소의 종류에 따라 소모되는 속도가 다르다.
⑤ 소모되는 양이 가장 많은 영양소는 지방이다.
(나) 세균 A가 우유를 상하게 하였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다) 세균 A를 넣은 우유는 상하였고 세균 A가 많이 발견되었으나, 세균 A를 넣지 않은 우유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라) 완전히 멸균된 우유가 든 병 두 개를 준비하였다. 한 병에만 상한 우유에서 분리한 세균 A를 넣고, 두 병 모두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였다.
① (가)-(나)-(다)-(라)
② (가)-(라)-(나)-(다)
③ (나)-(다)-(라)-(가)
④ (나)-(라)-(다)-(가)
⑤ (라)-(나)-(가)-(다)
구분 | 주요 기능 |
간뇌 | 체온ㆍ혈압ㆍ혈당의 조절, 내장 작용의 조절 |
소뇌 | 운동, 자세의 조절 |
연수 | 호흡 운동, 심장 박동, 소화 기관의 기능 조절 |
구분 | 심장 박동 | 소화액 분비 | 위 움직임 | 침 분비 |
교감 신경 | 촉진 | 억제 | 억제 | 억제 |
부교감 신경 | 억제 | 촉진 | 촉진 | 촉진 |
ㄴ. 달리기를 할 때는 교감 신경의 작용이 활발해진다.
ㄷ. 음식을 먹은 후 바로 운동을 하면 교감 신경이 작용하여 소화가 잘된다.
ㄹ. 맛있는 음식을 보기만 하여도 침이 많이 나오는 것은 부교감 신경의 작용 때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ㄴ. 해령에서 해구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나이가 많아진다.
ㄷ. 해령은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곳이고, 해구는 하강하는 곳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ㆍ 주석이 도금된 철에서는 주석 표면에 흠집이 생기면 철에 녹이 잘 생긴다.
ㆍ 주유소에서는 지하에 있는 유류 저장용 철탱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철탱크와 마그네슘을 도선으로 연결한다.
① 주석의 반응성이 마그네슘의 반응성보다 크다.
② 철의 반응성이 주석의 반응성보다 크다.
③ 마그네슘의 반응성이 철의 반응성보다 크다.
④ 아연의 반응성이 주석의 반응성보다 크다.
⑤ 아연의 반응성이 철의 반응성보다 크다.
연료 물질 | 탄소 수 | 대기압에서의 끓는점(℃) | 발열량(kj/kg) | 그을음 발생 정도 |
메탄 | 1 | $-161$ | 55,600 | 거의 없음 |
프로판 | 3 | $-42$ | 50,300 | |
부탄 | 4 | $-0.5$ | 49,300 | |
가솔린 | 5~10 | 30~200 | 47,000 | 많음 |
경유 | 15~20 | 250~350 | 45,000 | 매우 많음 |
① 메탄은 순물질이다.
② 가솔린은 혼합물이다.
③ kg당 발열량으로만 연료를 선택할 경우 메탄이 가장 적당하다.
④ 탄소 수가 많아지면 완전 연소하는 경향이 크다.
⑤ 같은 압력에서 메탄이 부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액화된다.
이 그래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 구간에서 자동차에 작용한 알짜힘(합력)이 일정하였다.
ㄷ. C 구간에서 자동차에 작용한 알짜힘(합력)이 0이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가) pH 4, 5, 6, 7, 8인 기질 용액을 200mL씩 비커에 각각 넣었다.
(나) 크기가 일정한 여과지 조각을 효소액에 적신 후, 각각의 기질 용액에 넣었다.
(다) 여과지가 비커의 바닥에 가라앉은 후부터 용액 표면까지 떠오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반응 속도를 결정하였다.(이 효소의 작용으로 산소가 발생하여 여과지를 떠오르게 한다.
<결 과>
pH | 4 | 5 | 6 | 7 | 8 |
여과지가 뜨는 데 걸리는 시간(초) | 80 | 55 | 40 | 45 | 60 |
전등 | 정격 소비 전력 (W) | 밝기 (루멘스) |
형광등 | 40 | 3,200 |
백열 전구 | 100 | 2,300 |
수은등 | 100 | 5,600 |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수은등 1개를 5시간 동안 켜 두면, 사용된 전력량은 0.5kWh이다.
ㄷ. 같은 밝기를 얻는 데 수은등이 백열전구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행성 \ 물리량 | 태양으로부터 거리(AU) | 적도 반지름(km) | 평균 밀도(g/cm${}^{3}$) | 대기 구성 성분 | 대기압(기압) |
A | 0.39 | 2,439 | 5.43 | 없음 | 0.00 |
B | 0.72 | 6,052 | 5.24 | $\text{CO}_{2}$ | 95.00 |
C | 1.00 | 6,378 | 5.52 | $\text{N}_{2}$, $\text{O}_{2}$ | 1.00 |
D | 1.52 | 3,397 | 3.93 | $\text{CO}_{2}$ | 0.02 |
E | 5.20 | 71,398 | 1.33 | $\text{H}_{2}$, $\text{He}$ | ― |
① A 행성은 대기가 없으므로 밤과 낮의 표면 온도 차가 클 것이다.
② B 행성의 $\text{CO}_{2}$에 의한 온실 효과는 D 행성보다 클 것이다.
③ C 행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④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행성의 적도 반지름은 일정하게 커진다.
⑤ E 행성은 A, B, C 행성들에 비해 평균 밀도가 훨씬 작으므로 행성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이 A, B, C 행성들과 다를 것이다.
이 가계도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점]
① 1의 유전자형은 aa이다.
② 2의 유전자형은 Aa이다.
③ 이 유전병은 우성 형질이다.
④ 이 유전병은 멘델의 유전 법칙에 따라 유전된다.
⑤ 2와 3 사이에서 정상인 아이가 태어날 확률은 75%이다.
원소 | 원자량 | 25℃에서의 상태 | 전기 전도성 |
(가) | 4.0 | 단원자 기체 | 부도체 |
(나) | 6.9 | 고체 | 도체 |
(다) | 19.0 | 이원자 기체 | 부도체 |
(라) | 20.2 | 단원자 기체 | 부도체 |
(마) | 23.0 | 고체 | 도체 |
(바) | 35.5 | ||
(사) | 39.9 | 단원자 기체 | 부도체 |
① [상태] : 단원자기체 / [전기 전도성] : 부도체
② [상태] : 고체 / [전기 전도성] : 도체
③ [상태] : 고체 / [전기 전도성] : 부도체
④ [상태] : 이원자 기체 / [전기 전도성] : 부도체
⑤ [상태] : 이원자 기체 / [전기 전도성] : 도체
① 비탈면의 기울기를 변화시킨다.
② 시간 기록계의 입력 전압을 변화시킨다.
③ 비탈면에서의 수레의 출발 지점을 변화시킨다.
④ 비탈면에서의 수레의 출발 속력을 변화시킨다.
⑤ 종이 테이프에 찍힌 타점의 분석 구간을 변화시킨다.
이 때, 수레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마찰과 공기 저항 등의 영향은 무시한다.)
ㄴ. 수레의 질량을 변화시켜도, 비탈면에서 수레의 가속도는 같다.
ㄷ. 수레의 질량을 변화시켜도, 수레가 같은 출발점으로부터 비탈면을 완전히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여름철 양철 지붕 위에 물을 뿌려 시원하게 한다.
ㄷ. 석탄, 석유 등의 연료를 태워 난방에 사용한다.
ㄹ. 냉찜짐용 주머니에서는 질산암모늄과 물이 섞인다.
① [발열] : ㄱ, ㄴ / [흡열] : ㄷ, ㄹ
② [발열] : ㄱ, ㄷ / [흡열] : ㄴ, ㄹ
③ [발열] : ㄴ, ㄷ / [흡열] : ㄱ, ㄹ
④ [발열] : ㄴ, ㄹ / [흡열] : ㄱ, ㄷ
⑤ [발열] : ㄷ, ㄹ / [흡열] : ㄱ, ㄴ
① 유라시아 판은 변환 단층을 경계로 필리핀 판과 만난다.
② 필리핀 판은 태평양 판과 충돌하여 습곡 산맥을 형성한다.
③ 태평양 판은 유라시아 판과 충돌하여 유라시아 판 위로 올라간다.
④ 우리 나라는 세 개의 판이 만나는 경계점에 위치하여 지각 변동이 심하다.
⑤ 화산이 주로 판과 판의 경계 부근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화산 활동은 판의 상대적인 운동과 관계가 있다.
표층 해류에 관한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 해역의 해류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북한한류가 된다.
ㄷ. (가) 해역에는 동한난류, (나) 해역에는 쿠로시오 해류가 흐른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가) 시험관 A, B, C, D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각 시험관 안의 $\text{CO}_{2}$ 농도를 같게 하였다.
(나) 시험관 A와 C에는 같은 크기의 검정말을 넣었다.
(다) 시험관 A와 B는 빛이 잘 비치는 곳에, 시험관 C와 D는 어두운 곳에 두었다.
(라) 3시간이 지난 후 검정말을 꺼내고, 각 시험관 안의 $\text{O}_{2}$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시험관 | A | B | C | D |
$\text{O}_{2}$의 양 | +++++ | ++ | + | ++ |
ㄴ. A와 C를 비교하면 광합성에 의해 $\text{O}_{2}$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ㄷ. C와 D를 비교하면 식물의 호흡에 $\text{O}_{2}$가 소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ㄹ. C와 D를 비교하면 식물이 어두운 곳에서 $\text{CO}_{2}$를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위의 연료 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극에서는 산소 기체가 환원된다.
② 이 전지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③ 전지 반응이 일어날 때 오염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④ 발생되는 전자는 도선을 따라 ($-$)극에서 ($+$)극으로 이동한다.
⑤ 전지 반응이 진행되면서 $\text{OH}^{-}$ 이온의 전체 농도는 점차로 증가한다.
실험 \ 반응 조건 | 온도 | 염산의 농도 |
ㄱ | 20℃ | 5% |
ㄴ | 30℃ | 5% |
ㄷ | 20℃ | 10% |
ㄹ | 40℃ | 10%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ㄴ. 이 반응에 사용되는 효소는 반응 속도를 증가시킨다.
ㄷ. 생성되는 퀴논의 양은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양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사실로부터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옳은 것은? (단, 도르래와 줄의 질량, 도르래의 마찰력 등은 무시한다.) [2점]
① 정지 마찰 계수는 0.7이다
② 정지 마찰 계수는 0.3과 0.4 사이에 있다.
③ 운동 마찰 계수는 0.7이다
④ 운동 마찰 계수는 0.6과 0.8 사이에 있다.
⑤ 정지 마찰 계수와 운동 마찰 계수는 모두 0.5이다.
이 장치를 만들고 활용하기 위해 이 공학자가 결정한 사항과 이에 대한 이유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결정한 사항] : 방사선으로서 감마($\gamma$)선을 선택한다.
[이유] : 감마선은 투과력이 큰 편이며 철판 두께에 따라 방사선의 통과량이 다르다.
② [결정한 사항] : 오래 사용한 방사성 물질을 새 것으로 교체한다.
[이유] : 시간이 지날수록 방사선량이 줄어든다.
③ [결정한 사항] : 콘크리트 상자를 충분히 두껍게 한다.
[이유] : 대부분의 방사선은 두꺼운 콘크리트로 막을 수 있다.
④ [결정한 사항] : 사람이 이 장치에 가까이 가는 것을 제한한다.
[이유] : 방사선을 많이 쪼이면 사람 몸에 해로울 수 있다.
⑤ [결정한 사항] : 오래 사용한 방사성 물질을 고온 소각로에서 태운다.
[이유] : 완전 연소를 거쳐 방사성 물질이 안정한 물질로 바뀐다.
이 그래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이 하천은 자정 능력이 있다.
② 공장 폐수에는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③ 생활 하수는 무기 염류의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④ 무기 염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⑤ 생활 하수와 공장 폐수는 어류의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만약 지구의 반사율이 60%로 증가할 경우 예측할 수 있는 현상 중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대기와 구름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는 50%로 증가할 것이다.
ㄷ. 태양 복사 에너지의 60%는 지표면 반사, 구름 반사 및 대기 산란에 의해 대기권 밖으로 되돌아 갈 것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바람이 없고 맑은 날 평지에서 새벽과 한낮의 지표면 근처에서 높이에 다른 기온 변화와 음파의 전달 특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역전층이 형성되면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와 확산이 잘 일어난다.
② 역전층은 해가 떠서 지표면이 충분히 가열되면 자연적으로 소멸된다.
③ 대도시에서 역전층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대기 오염이 심해진다.
④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는 음파는 기온이 낮아지는 쪽으로 휘어진다.
⑤ 역전층이 형성되면 안개나 스모그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0~2세 사이와 12~16세 사이에 키가 급격하게 커진다.
ㄷ. 12세 이후에 남성 호르몬 A는 정자 생산과 관계가 있다.
ㄹ. 12세 이전에 남성 호르몬 A는 키를 크게 하는 주된 요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보기1>과 <보기2>에서 반도체와 초전도체 물질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을 각각 바르게 짝지은 것은? [1점]
① [반도체] : (가), (B) / [초전도체] : (다), (A)
② [반도체] : (나), (C) / [초전도체] : (라), (B)
③ [반도체] : (다), (A) / [초전도체] : (나), (C)
④ [반도체] : (라), (C) / [초전도체] : (가), (B)
⑤ [반도체] : (라), (A) / [초전도체] : (나),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