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물리Ⅱ]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가 9.8m/s${}^{2}$의 등가속도로 계속 낙하할 때, 엘리베이터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저울에 나자난 물체의 무게는 0이 된다.
ㄷ. 손에 든 공을 가만히 놓으면 위로 올라간다.
ㄹ. 물이 든 컵의 바닥에 구멍을 뚫어도 물이 새지 않는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에 있는 힘의 쌍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overrightarrow{F_{2}}$, $\overrightarrow{F_{3}}$
ㄷ. $\overrightarrow{F_{3}}$, $\overrightarrow{F_{4}}$
ㄹ. $\overrightarrow{F_{1}}$, $\overrightarrow{F_{4}}$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충돌 후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은? (단, 물체 $A$가 쪼개지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없으며, 충돌 전후 물체들은 회전하지 않는다.) [2점]
① [$A_{2}$의 상태] : 정지 / [물체들의 운동에너지의 합] : 충돌 전보다 감소
② [$A_{2}$의 상태] : 정지 / [물체들의 운동에너지의 합] : 충돌 전보다 증가
③ [$A_{2}$의 상태] : 오른쪽으로 운동 / [물체들의 운동에너지의 합] : 충돌 전보다 감소
④ [$A_{2}$의 상태] : 오른쪽으로 운동 / [물체들의 운동에너지의 합] : 충돌 전보다 증가
⑤ [$A_{2}$의 상태] : 왼쪽으로 운동 / [물체들의 운동에너지의 합] : 충돌 전과 동일
① [압력] : $P$ / [온도] : $T$ / [내부 에너지] : $2U$
② [압력] : $P$ / [온도] : $T$ / [내부 에너지] : $\dfrac{U}{2}$
③ [압력] : $P$ / [온도] : $\dfrac{T}{2}$ / [내부 에너지] : $2U$
④ [압력] : $\dfrac{P}{2}$ / [온도] : $T$ / [내부 에너지] : $\dfrac{U}{2}$
⑤ [압력] : $\dfrac{P}{2}$ / [온도] : $\dfrac{T}{2}$ / [내부 에너지] : $U$
① 낮에는 해풍, 밤에는 육풍이 분다.
② 뜨거운 난로 곁에 가면 열기를 느끼게 된다.
③ 보온병의 진공 상태가 나빠지면 보온이 잘 되지 않는다.
④ 딸기잼을 만들 때 잘 저어 주면 아래 쪽이 타지 않는다.
⑤ 100℃의 수증기가 100℃의 물로 변화할 때 열을 방출한다.
(나) 대전된 금속판에 의한 단위 면적당 전기력선의 수는 금속판의 전하량에 비례한다.
(다) 전기력선은 대전된 금속판에 수직이다.
(라) 두 개의 대전된 금속판을 평행하게 가까이 놓을 때 각각의 전기력선은 서로 더해진다.
도선이 받는 힘의 세기
ㆍ 전류의 세기가 커지면, 도선이 받는 힘의 세기가 커진다.
ㆍ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면, 도선이 받는 힘의 세기가 커진다.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
ㆍ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이 바뀐다.
ㆍ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면,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이 바뀐다.
ㄴ. 가변 저항기로 저항값을 작게 해본다.
ㄷ. 클립으로 연결된 A 부분과 B 부분을 서로 바꾸어 연결해 본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영희는 [8번] 문제의 실험에서 도선이 힘을 받는 이유는 도선 속에서 이동하는 전자가 힘을 받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 생각과 [8번] 문제의 실험 결과들을 이용하여 자기장 속에 있는 대전 입자의 원운동에 관하여 예측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장의 세기가 클수록 구심력이 커진다.
② 대전 입자의 전하량이 클수록 구심력이 커진다.
③ 대전 입자의 회전 방향은 전하의 부호와 관계가 없다.
④ 정지 상태의 대전 입자는 자기장으로부터 힘을 받지 않는다.
⑤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가 대면, 대전 입자의 회전 방향도 반대가 된다.
철수는 가변 저항 R을 크게 하였을 때, 전구의 밝기가 어떻게 변화 할 지 <보기>와 같은 단계로 생각해 보았다. (단, 전구의 저항은 일정하고, 건전지의 내부 저항은 없다고 가정한다.)
단계(나) : 건전지의 내부 저항이 없다고 가정했으므로, 건전지의 단자 전업은 일정하다.
단계(다) :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작아진다.
단계(라) : 전구 A와 전구 B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똑같이 작아진다.
단계(마) : 전구 A의 밝기는 변하지 않고, 전구 A는 어두워진다.
① 단계 (가)
② 단계 (나)
③ 단계 (다)
④ 단계 (라)
⑤ 단계 (마)
ㆍ 점선을 따라 천천히 왔다 갔다 하면서 소리가 크게 들리는 지점들(A)과 작게 들리는 지점들(B)을 찾는다.
ㆍ 크게 들리는 지점(또는, 작게 들리는 지점)에서 거리 $L_{1}$과 $L_{2}$를 측정한다.
ㆍ $L_{1}$과 $L_{2}$의 차이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 파장의 몇 배 정도인지 알아본다.
① 회절
② 간섭
③ 굴절
④ 흡수
⑤ 편광
이 물질의 성질에 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빨간색과 보라색 광선에 대한 굴절률은 같다.
ㄷ. 이 물질로 만든 프리즘에 백색 광선을 통과시키면 여러 가지 색깔이 나타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A와 B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① [A] : 전자 / [B] : X선
② [A] : 양성자 / [B] : X선
③ [A] : 감마($\gamma$)선 / [B] : 알파($\alpha$)선
④ [A] : 베타($\beta$)선 / [B] : 알파($\alpha$)선
⑤ [A] : 전자파 / [B] : 중성자
① 헬륨은 폭발성 물질일 것이다.
② 태양계 안에 있는 헬륨의 대부분은 지구에 있을 것이다.
③ 일반적으로 화산 지대에는 자연 방사선이 적을 것이다.
④ 헬륨은 암석의 주성분인 규소(Si)와 강하게 결합할 것이다.
⑤ 이 화산 지역의 지하에는 우라늄이나 라듐 등을 포함한 암석이 있을 것이다.
이 장치를 이용한 실험 방법과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가) 용수철을 평형점으로부터 거리 $x$만큼 압축한 뒤 놓아 준다.
(나) 물체가 도달한 최대 수직 높이 $y$를 측정한다.
(다) 얻어진 $x$와 $y$ 사이의 관계는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운동 방향($\overrightarrow{v}$)의 반대 방향으로 힘($\overrightarrow{F}$)이 작용하면, 물체의 속력이 느려진다.
<운동 방향이 변할 때>
운동 방향($\overrightarrow{v}$)의 수직 방향으로 힘($\overrightarrow{F}$)이 작용하면, 물체의 운동 방향이 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