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분자 간의 힘을 갖는 물질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text{C}_{6}\text{H}_{6}$
ㄷ. $\text{CH}_{3}\text{OH}$
ㄹ. $\text{NH}_{3}$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text{Br}_{2} + 2\text{I}^{-} → 2\text{Br}^{-} + \text{I}_{2}$
분자 | 분자량 | 결합에너지(kJ/몰) | 밀도(g/L) | 할로겐 원소의 전자 친화도(kJ/몰) |
$\text{CL}_{2}$ | 71 | 242 | 3.21 | 349 |
$\text{Br}_{2}$ | 160 | 190 | 7.59 | 325 |
$\text{I}_{2}$ | 254 | 150 | 11.3 | 295 |
① 할로겐 분자의 밀도 때문이다.
② 할로겐 분자의 분자량 때문이다
③ 할로겐 원소의 전자 친화도 때문이다.
④ 할로겐 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분산력 때문이다.
⑤ 할로겐 분자 내에 존재하는 무극성 공유 결합의 세기 때문이다.
$q _{1}$, $q _{2}$ : 양이온과 음이온 각각의 전하량
$r$ : 양이온과 음이온의 핵간 거리
아래의 이온 결정 중에서 녹는점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2점]
① NaF
② KF
③ CaO
④ NaCl
⑤ KCl
성질 \ 유기 용매 | $\text{CH}_{2}\text{Cl}_{2}$ | $\text{CCl}_{4}$ |
극성 | 있다 | 없다 |
이성질체 | 없다 | 없다 |
착화합물 | 착화합물 1몰로부터 해리되는 $\text{Cl}^{-}$ 이온의 몰 수 |
$\text{CrCl}_{3}ㆍ6\text{NH}_{3}$ | 3 |
$\text{CrCl}_{3}ㆍ5\text{NH}_{3}$ | 2 |
$\text{CrCl}_{3}ㆍ4\text{NH}_{3}$ | 1 |
$\text{CrCl}_{3}ㆍ3\text{NH}_{3}$ | 0 |
ㄴ. $\text{CrCl}_{3}ㆍ4\text{NH}_{3}$는 수용액에서 $[\text{Cr}(\text{NH}_{3})4\text{Cl}_{2}]^{+}$와 $\text{Cl}^{-}$로 해리된다.
ㄷ. 1M $\text{CrCl}_{3}ㆍ6\text{NH}_{3}$ 수용액은 1M 설탕 수용액과 같은 전기 전도도를 보인다.
ㄹ. 1몰의 $\text{CrCl}_{3}ㆍ6\text{NH}_{3}$ 수용액에 충분한 양의 질산은 수용액을 첨가하면 3몰의 염화은 침전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ㆍ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62였다. (원자량은 $\text{C}=12$, $\text{H}=1$, $\text{O}=16$이다.)
ㆍ 작용기를 확인한 결과, 히드록시기를 가지고 있었다.
(나) 메스 실린더의 물을 가득 채우고 부탄 가스를 모으기 시작하였다.
(다) 수조와 메스실린더 내의 물의 높이가 같게 될 때까지 부탄가스를 모았다.
(라) 메스실린더 내의 채워진 부탄가스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마) 부탄가스통의 질량($m_{2}$)를 다시 측정하였다.
(단, 이 실험에서 튜브내의 가스에 대한 질량과 부피는 무시하였다.)
① 기체 상수
② 물의 밀도
③ 실내 온도와 대기압
④ 물의 온도에서의 수증기 압력
⑤ 메스실린더에 포집된 부탄가스의 질량($m_{1}-m_{2}$)
① pH 1.2~2.6
② pH 3.8~5.4
③ pH 4.2~6.2
④ pH 6.0~7.6
⑤ pH 8.0~10.0
각각의 그래프와 관련된 <보기>의 현상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ㄴ. 탄산 음료수의 병 뚜껑을 따면 거품이 나온다.
ㄷ. 햇빛이 잘 드는 창가에 물이 든 비커를 놓아두면 비커안에 기포가 맺힌다.
① (가) : ㄱ / (나) : ㄴ
② (가) : ㄱ / (나) : ㄷ
③ (가) : ㄴ / (나) : ㄱ
④ (가) : ㄴ / (나) : ㄷ
⑤ (가) : ㄷ / (나) : ㄱ
(가) 0.1M 수산화나트륨 용액 1L에는 4g의 수산화나트륨이 녹아있어야 한다.
(나) 4g의 수산화나트륨을 얻기 위해서는 10% 수산화나트륨 용액 40g이 필요하다.
(다)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 )mL를 피펫으로 취한다.
(라) 메스 플라스크에 ( )mL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넣고 물을 첨가해 1L가 되도록 한다.
(위에서 (다)와 (라)의 ( )는 같은 값이다.)
① 1기압에서의 끓는점
② 1기압에서의 어는점
③ 실험 온도에서의 pH
④ 실험 온도에서의 증기압
⑤ 실험 온도에서의 밀도
물 100g에 설탕 10g을 녹인 용액과 물 100g에 포도당 10g 을 녹인 용액의 끓는점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설탕 용액의 끓는점은 $T_{1}$, 포도당 용액의 끓는점은 $T_{2}$였다.
실험 (나)
그림과 같이 U자관의 반투막을 경계로 왼쪽과 오른쪽에 실험 (가)에서와 같은 농도의 설탕 용액과 포도당 용액을 같은 높이로 넣었다. 하루가 지난 후, 두 액체 높이 $h_{1}$과 $h_{2}$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① [실험 (가)] : $T_{1} > T_{2}$ / [실험 (나)] : $h_{1} > h_{2}$
② [실험 (가)] : $T_{1} > T_{2}$ / [실험 (나)] : $h_{1} < h_{2}$
③ [실험 (가)] : $T_{1}=T_{2}$ / [실험 (나)] : $h_{1}=h_{2}$
④ [실험 (가)] : $T_{1} < T_{2}$ / [실험 (나)] : $h_{1} > h_{2}$
⑤ [실험 (가)] : $T_{1} < T_{2}$ / [실험 (나)] : $h_{1} > h_{2}$
반쪽 반응 | 표준 환원 전위(V) |
$\text{A}^{2+} + 2e^{-} → \text{A}$ | $-1.03$ |
$\text{B}^{2+} + 2e^{-} → \text{B}$ | $-0.76$ |
$\text{C}^{2+} + 2e^{-} → \text{C}$ | $-0.44$ |
$\text{D}^{2+} + 2e^{-} → \text{D}$ | $-0.13$ |
$\text{E}^{2+} + 2e^{-} → \text{E}$ | $+0.34$ |
① $\text{A}^{2+} + \text{D} → \text{A} + \text{D}^{2+}$
② $\text{B}^{2+} + \text{A} → \text{B} + \text{A}^{2+}$
③ $\text{C}^{2+} + \text{B} → \text{C} + \text{B}^{2+}$
④ $\text{D}^{2+} + \text{B} → \text{D} + \text{B}^{2+}$
⑤ $\text{E}^{2+} + \text{C} → \text{E} + \text{C}^{2+}$
(가), (나), (다)의 특성과 관련된 생활 주변 현상을 <보기>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ㄴ. 실온에서 쉽게 상하는 음식이 냉장고에 넣어두면 쉽게 상하지 않는다.
ㄷ. 밀가루 분진이 많은 밀가루 공장에는 작은 불꽃이 있어도 쉽게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① (가) : ㄱ / (나) : ㄴ / (다) : ㄷ
② (가) : ㄱ / (나) : ㄷ / (다) : ㄴ
③ (가) : ㄴ / (나) : ㄱ / (다) : ㄷ
④ (가) : ㄴ / (나) : ㄷ / (다) : ㄱ
⑤ (가) : ㄷ / (나) : ㄱ / (다) : ㄴ
이 반응에 대해 바르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압력을 높이면 평형 상수는 감소한다.
ㄷ. 압력을 높이면 오른쪽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ㄹ. 정반응의 반응 엔탈피($\Delta \text{H}$)는 양(+)의 값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