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생물Ⅱ]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이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와 B는 각각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② A와 B를 함께 넣었을 때의 효과는 각각 넣었을 때의 효과를 더한 것보다 크다.
③ X는 A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X는 B의 효과를 억제한다.
⑤ X는 A와 함께 작용하여 B의 효과를 억제한다.
설탕물 농도(M) | 처음 질량(g) | 나중 질량(g) |
0.15 | 3.2 | 3.5 |
0.20 | 3.1 | 3.3 |
0.25 | 3.1 | 3.2 |
0.30 | 3.1 | 3.0 |
0.35 | 3.0 | 2.8 |
0.40 | 3.0 | 2.7 |
① 0.15~0.20M
② 0.20~0.25M
③ 0.25~0.30M
④ 0.30~0.35M
⑤ 0.35~0.40M
이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에서는 탄소가 유기물의 형태로 이동된다.
ㄷ. 생산자는 대기와 물 속의 $\text{CO}_{2}$ 양에 영향을 미친다.
ㄹ.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것은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가) 검정 필름통의 옆면에 세 개의 구멍을 뚫고 각 구멍에 녹색, 적색, 청색의 셀로판지를 붙였다.
(나) 물을 충분히 적신 흡습지를 깔고, 그 위에 배추 종자 네 개를 넣은 후 필름통으로 덮었다.
(다) 형광등이 계속 켜 있는 배양 상자 안에 넣어 셀로판 창을 통해 빛이 잘 들어가게 하였다.
(라) 3일 후 어린 식물의 생장 상태를 조사하였다.
<결 과>
어린 식물의 줄기 끝이 모두 청색 창 쪽으로 향하였다.
① 식물 줄기는 양분없이 3일간 얼마나 자랄까?
② 식물은 어떤 색깔의 빛에서 호흡을 잘 할까?
③ 식물 줄기는 어떤 색깔의 빛 쪽으로 굽어질까?
④ 식물 줄기는 중력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할까?
⑤ 식물은 필름통 안에서 살 수 있을까?
이 그래프에 대한 해석이나 추론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생리 식염수를 마신 경우 항이뇨 호르몬의 양은 거의 변화가 없다.
ㄷ. 항이뇨 호르몬은 마신 음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분비된다.
ㄹ. 항이뇨 호르몬은 체내 수분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나) 개구리의 발생 단계별 질소 배설물의 종류 및 구성비(%)
구분 | 암모니아 | 요소 | 기타 | 계 |
올챙이 | 75.0 | 10.0 | 15.0 | 100.0 |
개구리 | 3.2 | 91.4 | 5.4 | 100.0 |
ㄴ. 같은 양의 질소를 배설하는데 개구리는 올챙이보다 더 많은 물이 필요하다.
ㄷ. 올챙이나 개구리가 배설하는 주된 질소 화합물의 종류는 이들의 서식지와 관계가 있다.
ㄹ. 질소 배설물 중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과 요소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도는 관계가 없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이 실험에 대한 해석이나 예측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가)에서 포식자가 사라진 이유는 짚신벌레가 모두 잡아 먹혔기 때문이다.
② (가)에서 포식자 도입시, 피난처가 있었더라도 짚신벌레는 모두 잡아 먹혔을 것이다.
③ (나)에서 포식자가 사라진 이유는 잡아 먹을 수 있는 짚신벌레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④ (나)에서 피난처가 없었다면 짚신벌레가 먼저 사라졌을 것이다.
⑤ (나)에서 포식자가 사라진 후, 포식자를 다시 도입하더라도 짚신벌레는 살아 남을 것이다.
이 그래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이산화질소가 감소할 때 일산화질소는 증가한다.
② 오존의 농도는 햇빛이 약한 오전 8시 이전에 높다.
③ 탄화수소는 차량 통행이 적은 오후에 주로 발생한다.
④ 오존이 증가할 때 탄화수소와 이산화질소도 증가한다.
⑤ 햇빛이 강한 12시에서 14시 사이에 광화학 스모그가 많이 발생한다.
위 그림에서 척수의 빗금 친 부위를 다쳤을 때 예상되는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다친 부위 아래의 왼쪽에서 오는 통각을 느낀다.
ㄷ. 다친 부위 아래의 오른쪽에서 오는 촉각을 느끼지 못한다.
ㄹ. 다친 부위 위의 오른쪽에서 오는 촉각을 느끼지 못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폐포에서의 가스 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혈액의 $\text{CO}_{2}$ 분압은 A에서보다 B에서 더 높다.
② A는 폐동맥으로 연결되고 B는 폐정맥으로 연결된다.
③ 혈액의 $\text{O}_{2}$ 분압은 A에서 40mmHg이고 B에서 100mmHg이다.
④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 $\text{O}_{2}$와 $\text{CO}_{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확산된다.
⑤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는 0.2초 이내에 $\text{O}_{2}$와 $\text{CO}_{2}$의 교환이 거의 다 이루어진다.
이들 mRNA로부터 합성되는 단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돌연변이 1에서 합성된 단백질의 크기는 야생형과 같다.
ㄷ. 돌연변이 2에서 합성된 단백질의 기능은 야생형과 같다.
ㄹ. 돌연변이 3에서 합성된 단백질의 세 번째 아미노산은 트립토판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가) 어두운 곳에서 5일간 자란 옥수수의 뿌리 끝 10mm절편을 준비하였다.
(나) 여러 농도의 옥신과 지베렐린 용액에 절편을 넣고, 어두운 곳에서 5일 간 배양하였다.
(다) 절편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생장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① 옥신은 $10^{-9}$M에서 뿌리 절편의 생장을 가장 많이 촉진하였다.
② 지베렐린은 $10^{-7}$M에서 뿌리 절편의 생장을 가장 많이 촉진하였다.
③ 옥신과 지베렐린은 조사한 모든 농도에서 뿌리 절편의 생장을 촉진하였다.
④ 뿌리 절편의 생장을 촉진하는 최적 농도는 식물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⑤ 옥신은 $10^{-10}$M~$10^{-6}$M에서 지베렐린보다 뿌리 절편의 생장 촉진 효과가 더 크다.
그림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전자 A와 B는 연관되어 있다.
② 교차가 일어나는 두 염색체는 상동 염색체이다.
③ 한 개의 제1정모 세포에서 네 개의 정자가 만들어진다.
④ 정자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유전자 조합은 AB와 aB이다.
⑤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동안 DNA양의 변화는 정자에서의 양(x)을 기준으로 $4x → 2x → x$이다.
이 실험 결과의 해석이나 추론으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 할구의 세포질은 다른 수정란의 식물극 할구에서 2차 배를 형성하였다.
ㄷ. (가) 실험에서 주입된 B 할구의 세포질은 또 다른 원구 상순부를 유도하였을 것이다.
ㄹ. A 할구의 세포질이 다른 수정란의 동물극 할구에 주입되었다면 2차 배를 형성하였을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이 그래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운동 시작 후 20초 동안 근육 운동에 필요한 대부분의 에너지는 산소 없이도 공급된다.
ㄷ. 운동 시작 후 40초가 되면 근육 운동에 필요한 대부분의 에너지는 해당 작용에 의해 공급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실험의 결과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 구간에서 $C_{3}$ 식물의 광합성량은 호흡량보다 더 크다.
ㄷ. B 구간에서 $C_{4}$ 식물의 광합성량은 호흡량보다 더 크다.
ㄹ. A와 B 구간에서 $C_{4}$ 식물의 광합성 효율은 $C_{3}$ 식물보다 더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