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0년 11월 15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2000.11.15(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원자 | A | B | C | D | E |
원자가 전자수 | 1 | 3 | 4 | 6 | 7 |
전기 음성도 | 2.1 | 2.0 | 2.5 | 3.5 | 4.0 |
ㄴ. $\text{E}_{2}$(직선형)
ㄷ. $\text{BE}_{3}$(평면 삼각형)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분자 구조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분자 (가)의 모양은 정사면체이다.
② 분자 (가)에 존재하느 모든 결합각은 109.5°이다.
③ 쌍극자 모멘트 합의 크기는 분자 (가)와 (나)가 같다.
④ 분자 (나)의 모양이 직선형이 아닌 것은 비공유 전자쌍 때문이다.
⑤ 비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은 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크다.
위의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방출되는 빛의 파장 중 $a$에 해당하는 것이 가장 짧다.
ㄷ. $d$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c$에서 나오는 에너지보다 작다.
ㄹ. $b$에서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는 $\dfrac{(E_{3}-E_{1})}{h}$이다. (단, $h$는 플랑크 상수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물리적 성질 \ 결정 종류 | A | B | C |
녹는점(℃) | 80 | 730 | 2830 |
상온에서 상태 변화 | 서서히 승화한다 | 변화 없다 | 변화 없다 |
물에 대한 용해성 | 녹지 않는다 | 잘 녹는다 | 녹지 않는다 |
① [A] : 원자 결정 / [B] : 이온 결정 / [C] : 분자 결정
② [A] : 원자 결정 / [B] : 분자 결정 / [C] : 이온 결정
③ [A] : 분자 결정 / [B] : 이온 결정 / [C] : 원자 결정
④ [A] : 분자 결정 / [B] : 원자 결정 / [C] : 이온 결정
⑤ [A] : 이온 결정 / [B] : 원자 결정 / [C] : 분자 결정
ㆍ 용기 C와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모두 진공이며, 연결콕은 모두 닫혀 있다. (단, 연결콕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장치 내부로 새어 들어오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ㄴ. A 안에 들어 있는 수소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와 B 안에 들어 있는 질소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같다.
ㄷ. 열결콕 a, b를 열어 균일한 혼합 기체가 되었을 때, 수소의 부분 압력과 질소의 부분 압력은 다르다.
ㄹ. 열결콕 a, b, c를 모두 열어 균일한 혼합 기체가 되었을 때, 용기 A와 C 안의 압력은 다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text{Pt}(\text{NH}_{3})_{3}\text{Cl}]\text{Cl}$
$[\text{Pt}(\text{NH}_{3})_{4}]\text{Cl}_{2}$
① [(ㄱ) 전기 전도도를 갖는 것의 수] : 3 / [(ㄴ) 흰색 침전을 형성하는 것의 수] : 1
② [(ㄱ) 전기 전도도를 갖는 것의 수] : 3 / [(ㄴ) 흰색 침전을 형성하는 것의 수] : 2
③ [(ㄱ) 전기 전도도를 갖는 것의 수] : 2 / [(ㄴ) 흰색 침전을 형성하는 것의 수] : 0
④ [(ㄱ) 전기 전도도를 갖는 것의 수] : 2 / [(ㄴ) 흰색 침전을 형성하는 것의 수] : 1
⑤ [(ㄱ) 전기 전도도를 갖는 것의 수] : 2 / [(ㄴ) 흰색 침전을 형성하는 것의 수] : 2
1. 물 100mL와 디클로로메탄($\text{CH}_{2}\text{Cl}_{2}$) 100mL를 준비한 후, 분별 깔대기에 넣고 흔들어 주었다.
2. 이 액체 혼합물에 소량의 요오드($\text{I}_{2}$)와 황산구리 결정($\text{CuSO}_{4}ㆍ5\text{H}_{2}\text{O}$)을 차례로 넣고 흔들어 주었다.
<실험 결과>
ㆍ 용매는 서로 잘 섞이지 않고 두 층으로 분리되었다.
ㆍ 위의 액체층은 푸른 색으로, 아래의 액체층은 흑자색으로 변하였다.
① 황산구리는 물에 잘 녹는다.
② 아래 층의 액체는 디클로로메탄이다.
③ 요오드는 아래의 액체층에 잘 녹는다.
④ 물의 밀도는 디클로로메탄의 밀도보다 크다.
⑤ 물의 극성이 디클로로메탄의 극성보다 크다.
위의 입자 모델이 맞다고 가정할 때, 철수가 생각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나)에서 (다)로 변할 때 외부로 열을 방출한다.
② 입자 사이의 평균 거리는 (다)가 (나)보다 크다.
③ 1기압, 상온에서 나프탈렌은 (가)에서 (다)로 변한다.
④ 입자 사이의 인력의 크기는 $(가)>(나)>(다)$ 순이다.
⑤ 일반적으로 (가)의 밀도가 (나)의 밀도보다 크지만 물은 예외이다.
1. 1M의 포도당($\text{C}_{6}\text{H}_{12}\text{O}_{6}$) 용액, 염화나트륨(NaCl) 용액, 염화칼슘($\text{CaCl}_{2}$) 용액을 각각 준비하였다.
2. 그림과 같이 크기가 같은 반투막을 세 개의 유리관 A, B, C에 씌운 후, 임의의 순서대로 준비된 용액을 같은 양 만큼 넣고, 증류수가 들어 있는 수조에 담그었다.
3.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 유리관 A, B, C 안의 용액 높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유리관 안의 용액의 높이는 $\text{A}>\text{B}>\text{C}$ 순이었다.
① [A 용액] : 포도당 / [B 용액] : 염화나트륨 / [C 용액] : 염화칼슘
② [A 용액] : 포도당 / [B 용액] : 염화칼슘 / [C 용액] : 염화나트륨
③ [A 용액] : 염화칼슘 / [B 용액] : 염화나트륨 / [C 용액] : 포도당
④ [A 용액] : 염화칼슘 / [B 용액] : 포도당 / [C 용액] : 염화나트륨
⑤ [A 용액] : 염화나트륨 / [B 용액] : 포도당 / [C 용액] : 염화칼슘
ㆍ 약간의 HCl을 첨가하였더니 반응 속도가 증가하였다.
ㆍ 분리된 생성물 C는 푸른 색 리트머스 시험지를 붉은 색으로 변화시켰다.
ㄴ. 생성물 C가 산성을 띠는 것은 메틸기($-\text{CH}_{3}$) 때문이다.
ㄷ. 위 반응에서 의 $\text{N}-\text{C}$ 결합이 끊어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의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의 온도에서 물 100g에 포화된 A와 B의 용액을 각각 10℃로 냉각시키면, B가 A보다 많이 석출된다.
ㄷ. A와 B가 50g씩 들어 있는 혼합물을 물 100g에 넣은 후, 온도를 올려 모두 녹이고 20℃로 냉각시키면, A만 석출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에서 $\text{HF}$의 끓는점이 분자량과 끓는점 간의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지 않는 것은 $\text{HF}$가 수소 결합을 하기 때문이다.
ㄷ. (나)에서 $\text{NH}_{3}$의 끓는점이 $\text{CH}_{4}$보다 높은 것은 $\text{NH}_{3}$가 수소 결합을 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ㆍ 각각의 염기 용액을 0.1M $\text{HCl}$ 용액으로 중화 적정하여 아래의 적정 곡선을 얻었다.
① A는 B보다 강한 염기이다.
② 중화점 부근에서 용액의 pH 변화는 A가 B보다 크다.
③ A와 염산의 적정에서 얻어진 용액은 중화점에서 중성을 나타낸다.
④ B와 염산의 적정에서 얻어진 용액은 중화점에서 염기성을 나타낸다.
⑤ 용액 A와 B에 0.1M $\text{HCl}$ 60mL를 각각 가했을 때 두 용액의 pH는 같다.
B전극 : $2\text{H}_{2}\text{O} → \text{O}_{2}+4\text{H}^{+}+4e^{-}$
전체 반응 : $6\text{H}_{2}\text{O} → \text{O}_{2}+2\text{H}_{2}+4\text{H}^{+}+4\text{OH}^{-}$
ㆍ A, B 각 전극에서 무색, 무취의 기체가 발생했다.
① A 전극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② B 전극에서 산소 기체가 발생한다.
③ A 전극과 B 전극에서 발생된 기체의 부피비는 2 : 1이다.
④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동안 나트륨 이온($\text{Na}^{+}$)은 A 전극으로 이동한다.
⑤ A 전극 주위의 용액이 붉은 색을 나타내는 것은 $\text{OH}^{-}$ 이온 때문이다.
ㆍ 평형 상태 혼합물의 온도를 충분히 낮추었더니 기체 혼합물은 거의 무색으로 되었다.
ㄴ. 온도를 높이면 평형 상수는 증가한다.
ㄷ. 온도를 낮추면 평형은 $\text{N}_{2}\text{O}_{4}$쪽으로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실험 | 반응물의 처음 농도(mol/L) | 처음 반응 속도 ($10^{-3}$mol/Lㆍs) | ||
[$\text{H}^{+}$] | [$\text{Br}^{-}$] | |||
[$\text{Br}^{-}$]를 다르게 하였을 때 | 1 2 3 | 0.10 0.10 0.10 | 0.10 0.20 0.30 | 0.9 1.8 2.7 |
[$\text{H}^{+}$]를 다르게 하였을 때 | 4 5 6 | 0.10 0.20 0.30 | 0.10 0.10 0.10 | 0.9 3.6 8.1 |
① 반응물 [$\text{Br}^{-}$] : ㄱ / 반응물 [$\text{H}^{+}$] : ㄱ
② 반응물 [$\text{Br}^{-}$] : ㄱ / 반응물 [$\text{H}^{+}$] : ㄴ
③ 반응물 [$\text{Br}^{-}$] : ㄴ / 반응물 [$\text{H}^{+}$] : ㄱ
④ 반응물 [$\text{Br}^{-}$] : ㄴ / 반응물 [$\text{H}^{+}$] : ㄷ
⑤ 반응물 [$\text{Br}^{-}$] : ㄷ / 반응물 [$\text{H}^{+}$] : 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