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1년 11월 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인문계]
시행 : 200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ㄴ. (나)는 (가)보다 불안정한 상태이다.
ㄷ. (다)의 에너지 함량은 (가)보다 크다.
ㄹ. 반응이 진행되면 주위의 온도는 올라간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ㄱ, ㄴ, ㄹ
위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는 애드벌룬에 이용될 수 있다.
ㄷ. C는 하방치환으로 포집해야 한다.
ㄹ. 1L에 들어 있는 입자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A이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 자동차의 위치 | ㄱ. 모두 양달 ㄴ. 2대는 양달, 2대는 응달 |
◦ 자동차의 색 | ㄷ. 모두 같은 색 ㄹ. 검은 색, 흰색, 빨간색, 파란색 |
◦ 자동차의 종류 | ㅁ. 모두 같은 종류 ㅂ. 다양한 종류 |
◦ 온도 측정 위치 | ㅅ. 차 안의 같은 위치 ㅇ. 차 안의 서로 다른 위치 |
① [자동차의 위치] : ㄱ / [자동차의 색] : ㄷ / [자동차의 종류] : ㅁ / [온도 측정 위치] : ㅅ
② [자동차의 위치] : ㄱ / [자동차의 색] : ㄹ / [자동차의 종류] : ㅂ / [온도 측정 위치] : ㅅ
③ [자동차의 위치] : ㄱ / [자동차의 색] : ㄹ / [자동차의 종류] : ㅂ / [온도 측정 위치] : ㅅ
④ [자동차의 위치] : ㄴ / [자동차의 색] : ㄷ / [자동차의 종류] : ㅂ / [온도 측정 위치] : ㅇ
⑤ [자동차의 위치] : ㄴ / [자동차의 색] : ㄹ / [자동차의 종류] : ㅁ / [온도 측정 위치] : ㅇ
(1) 알칼리 금속 $\text{M}$을 할로겐 분자 $\text{X}_{2}$와 반응시켰더니 흰색 고체가 생성되었다. $$2\text{M} (s) + \text{X}_2 → 2\text{MX} (s)$$ (2) 생성된 흰색 고체를 물에 녹여 수용액을 만들었다. $$\text{MX} (s)\xrightarrow{\text{H}_{2}\text{O}} \text{M}^{+} (aq)+ \text{X}^- (aq)$$
ㄴ. 수용액에 $\text{AgNO}_{3}$ 수용액을 첨가한다.
ㄷ. 수용액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첨가한다.
ㄹ. 수용액을 백금선에 묻혀 불꽃반응을 관찰한다.
① [$\text{M}^{+}$] : ㄱ / [$\text{X}^{-}$] : ㄴ
② [$\text{M}^{+}$] : ㄱ / [$\text{X}^{-}$] : ㄹ
③ [$\text{M}^{+}$] : ㄴ / [$\text{X}^{-}$] : ㄷ
④ [$\text{M}^{+}$] : ㄹ / [$\text{X}^{-}$] : ㄴ
⑤ [$\text{M}^{+}$] : ㄹ / [$\text{X}^{-}$] : ㄷ
◦ 다운증후군 환자는 21번 염색체가 정상인보다 한 개 더 있다.
이 자료로부터 바르게 추론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C는 판과 판이 충돌하는 곳에 있다.
ㄷ. 남아메리카판과 아프리카판은 1억년 이전부터 서로 멀어지기 시작했다.
ㄹ. 남아메리카판과 아프리카판의 이동 방향과 속력은 거의 같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가 이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데 직접 알아야 할 내용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역전되지 않은 지층에서 위의 지층은 아래의 지층보다 새로운 것이다.
ㄷ. 부정합면을 경계로 위의 지층은 아래의 암석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쌓인 것이다.
ㄹ. 지층이 쌓인 순서에 따라서 각각의 지층에 포함된 동물 화석군의 내용이 변화한다.
ㅁ. 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표의 변화와 지각의 변동은 과거 지질 시대에도 동일하게 일어났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ㄹ
③ ㄴ, ㄷ, ㄹ
④ ㄴ, ㄹ, ㅁ
⑤ ㄷ, ㄹ, ㅁ
위 과정에 의하여 복제된 쥐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쥐 C와 같은 형질을 가진다.
② 쥐 A와 같은 유전자를 가진다.
③ 쥐 B와 C 모두의 세포질을 가진다.
④ 쥐 A와 B의 형질을 동시에 가진다.
⑤ 쥐 A와 B로부터 염색체 수의 각각 절반씩을 물려받는다.
ㄴ. 액체 폐기물의 농축 찌꺼기는 시멘트로 굳힌 후 밀봉하여 저장고에 보관한다.
ㄷ. 고체 폐기물은 소각ㆍ압축으로 부피를 줄여 시멘트로 굳힌 다음 밀봉하여 저장고에 보관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그림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촉매가 있을 때 $E_{1}$은 감소한다.
ㄷ. 촉매가 있을 때 정반응의 활성화에너지 $E_{2}$는 80kJ이다.
ㄹ. 촉매가 있을 때 역반응의 활성화에너지는 $(60+E_{1})$kJ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ㄱ, ㄷ, ㄹ
ㄴ. 대기가 없는 경우
ㄷ.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2배 증가한 경우
ㄹ. 최근 10년간 분출된 양 만큼의 화산재가 성층권에 퍼져 있을 경우
① ㄷ-ㄱ-ㄴ-ㄹ
② ㄷ-ㄱ-ㄹ-ㄴ
③ ㄷ-ㄹ-ㄱ-ㄴ
④ ㄹ-ㄷ-ㄱ-ㄴ
⑤ ㄹ-ㄷ-ㄴ-ㄱ
새의 종류 | 먹이 | 서식지 | 근육 속의 DDT양(ppm) |
부엉이 | 개구리 | 산, 들 | 2.3 |
황조롱이 | 새, 개구리 | 산 | 4.0 |
개똥지빠귀 | 풀, 벌레 | 산, 들 | 0.3 |
산비둘기 | 풀씨 | 산, 들 | 0.5 |
쇠물닭 | 물풀 | 호수 | 0.4 |
농병아리 | 작은 물고기 | 호수 | 6.0 |
왜가리 | 큰 물고기 | 호수 | 12.2 |
ㄴ. DDT는 먹이를 많이 먹는 새의 체내에 많이 축적된다.
ㄷ. DDT는 초식성보다 육식성인 새의 체내에 많이 축적된다.
ㄹ. 초식성인 새의 DDT 축적 정도는 서식지와 관계없이 비슷하다.
① ㄱ, ㄹ
② ㄴ, ㄷ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1) 세 개의 삼각플라스크 A, B, C에 과산화수소 50mL를 각각 넣는다.
(2) 삼각플라스크 A에는 이산화망간을 넣지 않고, B와 C에는 각각 이산화망간을 1.0g, 2.0g을 넣고 발생하는 산소 기체의 부피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실험 결과>
◦ 반응 시간에 따라 발생한 산소의 부피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① 과산화수소수의 분해반응은 발열반응이다.
② 과산화수소수의 농도가 증가하면 반응속도는 빨라질 것이다.
③ 이산화망간을 많이 첨가하면 반응속도는 빨라질 것이다.
④ 이산화망간을 많이 첨가하면 발생하는 산소의 총 부피는 증가할 것이다.
⑤ 이산화망간이 첨가되는 반응은 온도가 증가하면 반응속도가 빨라질 것이다.
(가) 신장에서 물질의 여과량과 배설량
여과량(g/일) | 배설량(g/일) | |
포도당 | 150.0 | 0 |
크레아틴 | 1.5 | 1.8 |
요소 | 50.0 | 25.0 |
위의 자료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크레아틴은 그림 B 형태의 물질 이동을 한다.
ㄷ. 요소는 그림 B 형태의 물질 이동을 한다.
ㄹ. 여과되는 양이 많을수록 많이 배설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A 지점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재부터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보기>에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현재의 기상 분포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서에서 동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2점]
ㄴ. 비가 내린 후 따뜻해진다.
ㄷ. 비가 내린 후 추워진다.
ㄹ.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하게 분다.
① ㄱ-ㄴ-ㄷ-ㄹ
② ㄱ-ㄹ-ㄴ-ㄷ
③ ㄱ-ㄹ-ㄷ-ㄴ
④ ㄹ-ㄱ-ㄴ-ㄷ
⑤ ㄹ-ㄴ-ㄷ-ㄱ
탐구 과정 | 영희의 추론 |
가벼워 보이는 이삿짐 상자를 수평 방향으로 살짝 밀어 보았으나 상자는 움직이지 않았다. | 상자의 가속도가 0이므로 알짜힘은 0이다. 이것은 바닥의 마찰력에 의하여 미는 힘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
수평 방향으로 조금 더 세게 밀었지만 상자는 움직이지 않았다. | 미는 힘을 세게 하면 마찰력도 같이 커진다. |
수평 방향으로 미는 힘을 충분히 세게 하자 상자가 움직였다. | 미는 힘을 충분히 세게 할 때 물체가 움직인다는 것은 마찰력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는 커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일단 움직이고 나서는 힘을 약간 줄여도 상자를 계속 밀고 갈 수 있었다. | 움직이는 동안에는 움직이기 직전보다 마찰력이 작아진다. |
ㄴ. 정지 마찰력은 물체를 움직이려는 힘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였다.
ㄷ. 운동 마찰력은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작았다.
ㄹ. 운동 마찰력은 물체의 속력이 늘어남에 따라서 점점 작아진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의 아버지가 수술을 받게 되어 가족 중에서 수혈을 하기로 했다. 수혈이 가능한 사람은? [2점]
① 철수만 가능
② 누나만 가능
③ 어머니만 가능
④ 철수와 누나만 가능
⑤ 3사람 모두 가능
2. 날씨 : 맑음
3. 관찰 내용
(1) 산으로 오르는 능선에 우뚝 솟은 암벽이 있음
(2) 암벽을 이룬 암석의 특징 :
◦ 연한 회색 또는 밝은 색
◦ 못으로 긁히지 않음
◦ 염산과 반응 안함
◦ 줄무늬 없음
(3) 확대경으로 관찰 :
◦ 한 종류의 광물로 이루어짐
◦ 광물의 크기와 형태가 비슷함
암석명 | 색 | 주요 구성 광물 | 염산 반응 | 기타 특징 |
화강암 | 밝은 색 | 석영,장석,운모 | 안함 | 조립질 |
편마암 | 밝은색/어두운색 | 석영,장석,운모 | 안함 | 엽리 |
셰일 | 어두운 색 | 점토 광물 | 안함 | 층리 |
대리암 | 밝은 색 | 방해석 | 반응함 | ― |
규암 | 밝은 색 | 석영 | 안함 | ― |
ㄴ. 이 암석은 주변 암석보다 풍화에 강하다.
ㄷ. 이 암석은 비석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토끼와 영희 사이의 거리가 10m가 되자 토끼는 영희보다 빠른 속력으로 되돌아가기 시작했다.
ㄷ. 0초에서 10초까지의 영희의 평균속도는 1.5m/s이다.
ㄹ. 10초부터 14초까지 토끼의 이동거리는 5m이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ㄷ, ㄹ
⑤ ㄱ, ㄷ, ㄹ
(가) 혈압 조절 요인
혈압을 증가시키는 요인 | 혈압을 감소시키는 요인 | |
혈관의 상태 | 수축 | 이완 |
심장 박동수 | 증가 | 감소 |
혈액 내 나트륨의 농도 | 증가 | 감소 |
혈액의 양 | 증가 | 감소 |
◦ 물질 B : 심장을 자극하여 심작 박동을 빠르게 한다.
◦ 물질 C :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돕는다.
◦ 물질 D : 신장에서 물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C, D
(1) 물과 금속을 준비한다.
(2) 물과 금속의 온도를 다르게 한다.
(3) 금속을 물에 담가 열평형 상태에 이르게 한다.
ㄴ. 물과 금속의 부피
ㄷ. 열평형에 이르는 데 걸리는 시간
ㄹ. 물과 금속의 초기 온도와 열평형 상태의 온도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1) 그림 (가)와 같이 황이 들어 있지 않은 석탄 시료 10g을 실린더에 넣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면서 완전히 태운다.
(2) 그림 (나)와 같이 산소 밸브를 닫고 배기 밸브를 연 후, 피스톤을 밀어 모든 기체가 30mL의 증류수를 통과하게 한다.
(3) pH 시험지를 사용하여 기체가 통과한 수용액의 pH를 측정한다.
(4) 황이 포함된 석탄 시료 10g에 대하여 과정 (1), (2), (3)을 반복한다.
(5) 두 수용액의 pH를 비교한다.
① 황이 포함된 석탄을 태우면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것이다.
② 석탄에 황을 가하면 석탄의 연소 효율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
③ 석탄에 황을 가하면 황과 석탄의 반응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④ 석탄이 황과 반응하면 물에 녹지 않는 오염물질이 생성될 것이다.
⑤ 황이 포함된 석탄 연료는 산성비의 원인이 될 것이다.
그림 (나)와 같은 타점의 모양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추 1개의 질량은 1kg이고 마찰은 무시한다. 그리고 (가), (나)에서 동일한 고무줄들을 사용하며 고무줄이 늘어난 길이는 같다.)
ㄴ. 수레 위에 추 1개를 올려놓고 고무줄 4개로 당긴다.
ㄷ. 수레 위에 추 2개를 올려놓고 고무줄 4개로 당긴다.
ㄹ. 수레 위에 추 2개를 올려놓고 고무줄 6개로 당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 탐구 문제 : 개미들은 어떻게 집을 찾아올까?
2. 가설 : 개미는 분비물질로 표시를 하여 길을 찾을 것이다.
3. 실험
(1) 개미집이 보이지 않는 곳에 먹이를 두었다.
(2) 개미가 먹이를 찾아 개미집을 떠난 후 지나간 길의 흔적을 지웠다.
(3) 개미가 먹이를 찾은 후 집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4) 같은 방법으로 총 20마리의 길찾기 행동을 관찰하였다.
4. 결과 : 20마리 중 18마리는 개미집으로 돌아오지 못했고 2마리는 돌아왔다.
5. 결론 : 개미는 지나갈 때 분비한 물질로 표시해 둔 길을 따라 개미집으로 돌아온다.
① 돌아온 2마리 개미를 가지고 반복 실험을 하지 않았다.
② 개미가 배출한 화학 물질이 무엇인지 확인하지 않았다.
③ 개미가 집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지 않았다.
④ 개미가 집으로 돌아올 때 먹이를 가지고 오는지를 관찰하지 않았다.
⑤ 흔적을 지우지 않았을 때 개미가 같은 길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지 않았다.
ㄴ. 서로 같은 부호의 전하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며, 다른 부호의 전하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ㄷ. 두 점전하 사이의 전기력의 세기는 전하간의 거리가 가까우면 강하고, 멀면 약하다.
ㄹ. 전하의 움직임으로 전류가 생기면 주변에 자기장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ㄹ
ㄴ. 110-100W 전구의 저항
ㄷ. 전구를 220V 전원에 연결했을 때의 일률
ㄹ. 전구의 필라멘트가 파손될 때의 전류의 양
① ㄱ, ㄹ
② ㄱ,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행성 | 질량($지구질량=1$) | 태양으로부터의 거리(AU) | 자전주기 |
A | 0.06 | 0.4 | 58.6일 |
B | 318 | 5.2 | 9시간 50분 |
① 행성 A 표면에서의 중력가속도는 행성 B 표면에서의 중력가속도보다 크다.
② 태양과 행성 B 사이의 만류인력의 크기는 태양과 행성 A 사이의 만유인력의 크기보다 크다.
③ 행성 A가 태양을 끄는 힘의 크기는 태양이 행성 A를 끄는 힘의 크기와 같다.
④ 행성 A가 태양을 끄는 힘의 방향은 태양이 행성 A를 끄는 힘의 방향과 반대이다.
⑤ 행성 A와 태양 사이의 만유인력에 의해 생기는 행성 A의 가속도와 태양의 가속도는 그 크기가 다르다.
① 행성 A는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② 행성 A에 운석 구덩이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은 대기가 없기 때문이다.
③ 행성 A의 표면 온도는 행성 B의 표면 온도보다 높다.
④ 행성 B의 공전 주기는 행성 A의 공전 주기보다 길다.
⑤ 행성 B의 줄무늬는 빠른 자전과 관련된 대기 현상이다.
(1) 자외선이 투과되는 동일한 기체 반응용기 A, B, C, D를 준비하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한다.
(2) 각 용기에 $\text{O}_{3}$가 0.010% 포함된 $\text{O}_{2}$ 기체를 적당량 넣는다.
(3) 각 용기에 같은 양의 냉매를 아래 표와 같이 한 가지씩 소량 넣고, B와 C 용기에만 자외선을 쪼여준다.
(4) 10시간 후 각 용기에 들어 있는 $\text{O}_{3}$의 농도를 측정한다.
<실험 결과>
실험 조건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용기 | 냉매 | 자외선 유무 | 10시간 후 $\text{O}_{3}$ 농도(%) |
A | $\text{CF}_{2}\text{Cl}_{2}$ | 없음 | 0.010 |
B | $\text{CF}_{2}\text{Cl}_{2}$ | 있음 | 0.005 |
C | $\text{CF}_{3}\text{CH}_{2}\text{F}$ | 있음 | 0.011 |
D | $\text{CF}_{3}\text{CH}_{2}\text{F}$ | 없음 | 0.010 |
① 자외선은 항상 오존을 분해한다.
② $\text{CF}_{3}\text{CH}_{2}\text{F}$는 오존을 분해하지 않는다.
③ $\text{CF}_{2}\text{Cl}_{2}$는 자외선이 없어도 오존을 분해한다.
④ 자외선이 있으면 두 냉매 모두 오존을 분해한다.
⑤ $\text{CF}_{3}\text{CH}_{2}\text{F}$는 자외선이 없어도 오존을 분해한다.
2월 | 8월 | ||||
깊이(m) | 수온(℃) | 염분(‰) | 깊이(m) | 수온(℃) | 염분(‰) |
0 | 4.68 | 32.282 | 0 | 24.00 | 31.890 |
10 | 4.68 | 32.321 | 10 | 23.84 | 31.950 |
20 | 4.70 | 32.278 | 20 | 8.87 | 32.530 |
30 | 4.78 | 32.251 | 30 | 8.19 | 32.520 |
50 | 4.84 | 32.367 | 50 | 8.16 | 32.524 |
① 2월에는 표층 해수가 냉각되어 수온 약층이 나타나지 않는다.
② 2월에는 수직 혼합이 전 수심에 걸쳐 활발할 수 있다.
③ 8월에는 표층 해수가 가열되어 수온 약층이 형성된다.
④ 8월에는 강수량의 증가로 표층 해수의 염분이 낮아진다.
⑤ 8월에는 증발량의 증가로 하층 해수의 염분이 높아진다.
① ㄱ, ㄴ, ㄷ, ㅁ, ㅅ
② ㄱ, ㄴ, ㅁ, ㅅ, ㅇ
③ ㄴ, ㅁ, ㅅ, ㅇ, ㅈ
④ ㄴ, ㄷ, ㄹ, ㅂ, ㅇ
⑤ ㄷ, ㅂ, ㅅ, ㅇ, ㅈ
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서술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9월 6일은 아침부터 맑은 날씨였다.
ㄷ. 9월 7일 오후에는 한 때 구름이 끼었으나, 그 후에는 맑았다.
ㄹ. 9월 7일 저녁에 호흡량과 광합성량이 같아진 시각은 오후 7시경이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