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1년 11월 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화학Ⅱ]
시행 : 200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물질 | 극성 여부 | 밀도(g/mL) | 끓는점(℃) | 분자량 |
핵산 | 무극성 | 0.66 | 69 | 86 |
에탄올 | 극성 | 0.79 | 78 | 46 |
물 | 극성 | 1.00 | 100 | 18 |
① 혼합물 A($핵산+물$) : 분별깔때기-극성과 밀도 / 혼합물 B($에탄올+물$) : 분별증류장치-끓는점
② 혼합물 A($핵산+물$) : 분별깔때기-분자량 / 혼합물 B($에탄올+물$) : 분별증류장치-끓는점
③ 혼합물 A($핵산+물$) : 분별깔때기-극성 / 혼합물 B($에탄올+물$) : 분별증류장치-밀도
④ 혼합물 A($핵산+물$) : 분별증류장치-끓는점 / 혼합물 B($에탄올+물$) : 분별깔때기-밀도
⑤ 혼합물 A($핵산+물$) : 분별증류장치-분자량과 밀도 / 혼합물 B($에탄올+물$) : 분별깔때기-끓는점
원소 | 60kg 중에서 차지하는 질량(kg) | 상대원자량 |
A | 36.0 | 16 |
B | 11.7 | 12 |
C | 5.3 | 1 |
D | 2.9 | 14 |
① 인체 내 주요 원소 중 A 원자의 수가 가장 많다.
② 인체 내 주요 원소 중 A 원자의 크기가 가장 크다.
③ 인체 내 주요 원소 중 B와 C는 몰수가 같다.
④ 인체 내 주요 원소 중 C 원자의 수가 가장 많다.
⑤ 인체 내 주요 원소 중 D 원자가 가장 무겁다.
ㄴ. 적당한 촉매를 가한다.
ㄷ. $\text{NO}_{2}$를 더 많이 가한다.
ㄹ. 온도를 낮추어 방출되는 열을 제거해 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위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A는 플루오르와 $\text{AF}_{2}$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ㄷ. $\text{B}(g)+734\text{kJ/mol}→\text{B}^{+}(g)+e^{-}$
ㄹ. 1차 이온화에너지는 2차 이온화에너지보다 작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ㄴ. 물이 끓어 수증기가 될 때 분자간 결합이 끊어진다.
ㄷ. 물의 분자내 결합 길이와 분자간 결합길이는 다음과 같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물 표면] : ㄱ / [때 표면] : ㄹ
② [물 표면] : ㄱ / [때 표면] : ㅁ
③ [물 표면] : ㄴ / [때 표면] : ㄹ
④ [물 표면] : ㄴ / [때 표면] : ㅁ
⑤ [물 표면] : ㄷ / [때 표면] : ㅁ
원자 | 원자번호 | 이온화에너지(kJ/mol) | 전자친화도(kJ/mol) | 이온 반지름(nm) |
Na | 19 | 419 | 48 | 0.133 |
Rb | 37 | 403 | 47 | 0.148 |
Cs | 55 | 376 | 46 | 0.169 |
ㄴ. 영희 :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Cl과의 화합물의 녹는점이 낮아진다. ―이온 반지름
ㄷ. 송화 :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음성도가 증가한다. ―전자친화도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HBr과 첨가 반응하여 광학 이성질체를 생성하는 화합물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ㄴ
⑤ ㄴ, ㄷ
(1) 다공성막으로 이등분된 관을 준비한다.
(2) 다공성막의 왼쪽 (A)에는 질소를 채우고 오른쪽 (B)에는 수소를 채운다.
(3) 관의 좌우 끝 부분을 비누막으로 동시에 막는다.
(4) 약 10초 후에 비누막의 모양이 두번째 그림처럼 달라졌다.
ㄴ. 수소 대신 $\text{SO}_{2}$를 사용해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ㄷ. 다공성막을 통해 이동한 분자수는 질소가 수소보다 더 많다.
ㄹ. 10초 후, 전체 기체 분자의 수는 (A) 쪽이 (B) 쪽보다 더 많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분자 | $\text{BH}_{2}\text{F}$ | $\text{BF}_{3}$ | $\text{CH}_{2}\text{Cl}_{2}$ | $\text{PH}_{3}$ |
루이스 점자점식 | ||||
분자모양 | 삼각형 | 삼각형 | 사면체 | 삼각뿔 |
극성 여부 | 극성 | 무극성 | 극성 | 극성 |
ㄴ. $\text{BF}_{3}$와 $\text{PH}_{3}$
ㄷ. $\text{BF}_{3}$와 $\text{BH}_{2}\text{Cl}_{2}$
① (A) : ㄱ / (B) : ㄴ
② (A) : ㄱ / (B) : ㄷ
③ (A) : ㄴ / (B) : ㄱ
④ (A) : ㄴ / (B) : ㄷ
⑤ (A) : ㄷ / (B) : ㄱ
(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 B쪽 용액의 높이가 높아졌다.
(다) 높이가 높아진 B쪽 용액 위에 압력 P를 가하였더니 A쪽 용액의 높이가 B쪽 보다 더 높아졌다.
ㄴ. 위 현상은 반투막이 용질 분자만을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ㄷ. 그림 (다)의 현상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먹는 물로 정제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실험 결과, (가)의 경우는 질량이 일정 시간 동안은 감소하다가 그 뒤에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나)의 경우는 에탄올이 계속 줄어들면서 질량이 감소하였다.
위 실험과 관련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가)의 경우 평형에 도달하면 증발속도와 응결속도가 같다.
ㄷ. (나)의 경우 에탄올이 없어질 때까지 응결은 일어나지 않는다.
ㄹ. (나)의 경우 에탄올이 없어질 때까지 증발속도가 응결속도보다 빠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ㄱ. 생성물 C의 양이 감소하였다.
ㄴ. 정반응 속도상수 $k$가 증가하였다.
$\text{NH}_{4}\text{OH}(aq)+\text{HCl}(aq)→\text{NH}_{4}\text{Cl}(aq)+\text{H}_{2}\text{O}(l)$
<실험 방법>
(1) 묽은 암모니아수 10.0mL를 피펫으로 정확하게 취해 100mL 삼각플라스크에 담는다.
(2) 삼각플라스크에 변색 범위가 pH 8.3~10.0인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2~3 방울 첨가한 후 뷰렛 밑에 놓는다.
(3) 적정 전에 0.500M 염산($\text{HCl}$)이 담긴 뷰렛의 눈금을 정확하게 읽고, 콕을 열어 천천히 첨가한다.
(4) 용액이 흔들리지 않게 조심하며 지시약의 색이 변할 때까지 염산을 첨가한 후 최종 부피를 읽는다.
(5) 첨가된 염색의 농도와 부피 값으로부터 암모니아수의 농도를 계산한다.
ㄴ. 적정하려는 암모니아수는 삼각플라스크 대신 비커에 담는다.
ㄷ. 지시약으로 변색 범위가 pH 4.8~6.0인 메틸레드를 사용한다.
ㄹ. 적정 중에는 용액이 고루 섞이도록 삼각플라스크를 잘 흔들어 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반응 전 부피(L) | 반응 후 전체 부피(L) ($\text{C의 부피}+\text{반응 후 남은 반응물의 부피}$) | |
$\text{AB}$의부피 | $\text{B}_{2}$의 부피 | |
4 | 1 | 4 |
4 | 2 | 4 |
4 | 3 | 5 |
4 | 4 | 6 |
① $\text{A}_{2}\text{B}$
② $\text{AB}_{2}$
③ $\text{AB}_{3}$
④ $\text{A}_{2}\text{B}_{4}$
⑤ $\text{A}_{2}\text{B}_{6}$
<주석> $\text{Sn}^{2+}(aq)+2e^{-} → \text{Sn}(s)$
ㄴ. 은과 주석 1mol을 각각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은 서로 같다.
ㄷ. 같은 전기량에 의하여 석출되는 서로 다른 금속의 질량은 원자량이 큰 것이 크다.
ㄹ. 같은 전기량에 의하여 석출되는 서로 다른 금속의 질량은 각 금속의 $\dfrac{원자량}{\text{이온의 전하수}}$에 비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