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1년 11월 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생물Ⅱ]
시행 : 200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사람 세포와 쥐 세포의 막에 있는 단백질을 각각 다른 색의 형광물질로 염색하였다.
(나)
사람 세포와 쥐 세포를 배양접시에서 융합시킨 다음, 한 배양접시 4℃, 다른 하나는 37℃의 향온기에 옮겼다.
(다)
얼마 후 37℃에서 보관한 배양접시에서만 융합된 세포 표면에 형광물질이 골고루 섞여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① 온도에 따른 세포막의 성분 변화
② 온도에 따른 세포막의 유동성 변화
③ 온도에 따른 세포막의 투과성 변화
④ 융합된 세포의 크기와 온도와의 관계
⑤ 형광물질이 세포막에 부착하는 정도와 온도와의 관계
(단위 : kcal)
어항에 비추어진 빛 에너지량 | 10000 |
녹색 식물의 에너지량 | 70 |
초식 동물의 에너지량 | 7 |
육식 동물의 에너지량 | 1 |
① [녹색 식물] : 70/10000 / [초식 동물] : 7/70 / [육식 동물] : 1/7
② [녹색 식물] : 70/10000 / [초식 동물] : 7/10070 / [육식 동물] : 1/77
③ [녹색 식물] : 70/10000 / [초식 동물] : 7/10000 / [육식 동물] : 1/10000
④ [녹색 식물] : 78/10000 / [초식 동물] : 8/10000 / [육식 동물] : 1/10000
⑤ [녹색 식물] : 70/10000 / [초식 동물] : 7/10070 / [육식 동물] : 1/10077
이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세포 소기관 중 무겁고 크기가 큰 것은 저속의 원심분리에서도 분리할 수 있다.
② 소포체나 골지체 등은 초고속으로 오랜 시간 원심분리해야 분리할 수 있다.
③ 시험관 A의 상징액에는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의 세포 소기관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④ 시험관 B의 상징액에는 핵, 리보솜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⑤ 시험관 C의 상징액에는 세포액과 그 속에 녹아있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 혈액 내 이산화탄소 운반 형태의 형성 과정
(나) 운반 형태별 이산화탄소의 양
운반 형태 | 운반량(상대값) |
${\text{HCO}_{3}}^{-}+\text{HbCO}_{2}+\text{H}_{2}\text{CO}_{3}+\text{CO}_{2}$ | 10 |
$\text{HbCO}_{2}+\text{H}_{2}\text{CO}_{3}+\text{CO}_{2}$ | 2 |
$\text{H}_{2}\text{CO}_{3}+\text{CO}_{2}$ | 1 |
ㄴ. 이산화탄소의 주된 운반 형태는${\text{HCO}_{3}}^{-}$이다.
ㄷ. 혈장 안의 ${\text{HCO}_{3}}^{-}$는 주로 적혈구 내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ㄹ. $\text{CO}_{2}+\text{H}_{2}\text{O}→H_{2}\text{CO}_{3}$의 반응은 혈장에서 주로 일어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돌말 개체군의 크기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과 가장 유사한 현상은?
① 바다의 오염으로 인한 적조 현상
② 짚신벌레의 혼합 배양에 따른 경쟁 현상
③ 소나무 숲이 참나무 숲으로 변화되는 천이 현상
④ 공장 지대에 검은 나방이 증가하는 공업 암화 현상
⑤ 한강에 외래종인 베스가 갑자기 많아지는 생태계 파괴 현상
다음은 개구리 수정란의 중배엽 발생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실험이다.
(가) 초기 포배기의 각 부위를 분리하여 단독 배양했을 때, A 와 B는 외배엽으로, C는 내배엽으로 발생하였다.
(나) A와 C를 함께 배양했을 때, A는 외배엽과 중배엽으로, C는 내배엽으로 발생하였다. A와 B를 함께 배양했을 때, A, B 모두 외배엽으로 발생하였다.
① B는 A의 영향을 받아 중배엽으로 유도된다.
② A는 B가 외배엽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③ A는 C가 중배엽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④ C는 A의 영향을 받아 그 중 일부가 중배엽으로 유도된다.
⑤ A는 C의 영향을 받아 그 중 일부가 중배엽으로 유도된다.
(1) 클로렐라 배양액에 빛을 비추고 방사성을 띤 ${}^{14}\text{CO}_{2}$를 계속 공급하였다.
(2) 일정 시간 간격으로 클로렐라를 채취하여 물질을 추출하였다.
(3) 추출한 물질을 2차원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시킨 후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ㄴ. PGAL과 과당인산은 암반응의 중간 산물이다.
ㄷ. 암반응에서 최초로 생성되는 물질은 PGA이다.
ㄹ. 포도당을 구성하는 탄소는 $\text{CO}_{2}$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ㄴ. 자극을 가했을 때 반사작용에 의해 손이 움직였다.
ㄷ. 피실험자는 스스로 손을 움직일 수 없었다.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C, D
(나) 쓸개즙의 분비 및 기능
◦ 쓸개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쓸개에 저장된다.
◦ 음식물이 십이지장에 들어오면 쓸개관을 통하여 쓸개즙이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 쓸개즙은 지방을 유화시킨다.
ㄴ. 위액이 쓸개즙의 작용을 대신하게 된다.
ㄷ. 단백질의 소화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ㄹ. 지방의 소화가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못하게 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이 하천 생태계에서 생물들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하루살이 유충이 증가하면 날도래 유충은 감소한다.
ㄷ. 규조류의 양이 감소할수록 어린 송어의 먹이는 증가한다.
ㄹ. 등에 유충, 하루살이 유충, 물벼룩은 먹이를 두고 서로 경쟁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 (가)에서 3세대의 원심분리 결과로 나타나는 DNA의 위치와 양을 바르게 예측한 것은? [2점]
① [DNA의 위치] $A$, $B$ / [DNA의 양] $A>B$
② [DNA의 위치] $A$, $B$ / [DNA의 양] $B>A$
③ [DNA의 위치] $A$, $C$ / [DNA의 양] $A>C$
④ [DNA의 위치] $A$, $C$ / [DNA의 양] $C>A$
⑤ [DNA의 위치] $A$, $B$, $C$ / [DNA의 양] $A>B=C$
이 물질들은 세포 주기의 어느 시기에 작용하여 분열을 멈추게 하였는가?
① [물질 A] $G_{1}$기 / [물질 B] $G_{2}$기
② [물질 A] $G_{1}$기 / [물질 B] $S$기
③ [물질 A] $M$기 / [물질 B] $S$기
④ [물질 A] $G_{2}$기 / [물질 B] $S$기
⑤ [물질 A] $G_{2}$기 / [물질 B] $M$기
교배 결과 아래 <보기>와 같이 서로 다른 4가지 교차 유형의 자손이 태어났다.
총 1000개체의 자손 중 각 유형별로 550, 290, 150, 10개체를 얻었다면, <보기> 중에서 자손의 수가 많은 유형부터 적은 유형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ㄱ-ㄴ-ㄷ-ㄹ
② ㄱ-ㄷ-ㄴ-ㄹ
③ ㄴ-ㄱ-ㄷ-ㄹ
④ ㄴ-ㄷ-ㄱ-ㄹ
⑤ ㄷ-ㄴ-ㄱ-ㄹ
(가) 식물의 종류와 관찰한 특징
식물의 종류 | 씨방의 유무 | 나이테의 유무 | 잎맥의 모양 | 물관의 종류 |
벼 | 있다 | 없다 | 나란히맥 | 물관 |
콩 | 있다 | 없다 | 그물맥 | 물관 |
잣나무 | 없다 | 있다 | 없다 | 헛물관 |
참나무 | 있다 | 있다 | 그물맥 | 물관 |
대나무 | 있다 | 없다 | 나란히맥 | 물관 |
① (A) 물관의 종류 / (B) 씨방의 유무
② (A) 씨방의 유무 / (B) 잎맥의 모양
③ (A) 잎맥의 모양 / (B) 나이테의 유무
④ (A) 씨방의 유무 / (B) 물관의 종류
⑤ (A) 나이테의 유무 / (B) 잎맥의 모양
혈액 내의 포도당 농도가 급격히 감소되었을 때,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분비되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적합한 것은? [1점]
① A, E 과정의 촉진, D 과정의 억제
② B, E 과정의 촉진, G 과정의 억제
③ D, E 과정의 촉진, F 과정의 억제
④ D, E 과정의 촉진, G 과정의 억제
⑤ D, G 과정의 촉진, F 과정의 억제
(가) 귀리의 자엽초 끝을 자르지 않은 것과 자른 것에 왼쪽 방향에서 빛을 비추어 주고, 자엽초의 굴성을 관찰하였다.
(나) 자엽초 끝을 잘라 한천조각 위에 올려놓았다. 얼마 후, 이 한천조각의 하나는 끝이 잘린 자엽초 위의 한가운데, 다른 하나는 오른쪽 가장자리에 올려놓고 굴성을 관찰하였다.
(다) 굴광성이 일어난 귀리 자엽초의 굽어진 부분의 세포 크기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① 귀리의 자엽초는 끝 부분이 있을 때 굴광성을 보인다.
② 귀리 자엽초 끝 부분에는 굴성이 일어나게 하는 물질이 존재한다.
③ 귀리 자엽초의 굴성에 관여하는 물질은 한천조각으로 확산될 수 있다.
④ 귀리 자엽초의 굴광성에 관여하는 물질은 빛을 받는 부분의 세포 생장을 촉진한다.
⑤ 귀리 자엽초에서는 빛을 받는 부분과 받지 않는 부분의 세포 생장이 다르기 때문에 굴광성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