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1년 11월 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지구과학Ⅱ]
시행 : 200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B는 지구 내부에서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한다.
ㄷ. C에서는 S파가 전파되지 않아, 지표의 특정 지역에 S파의 암영대가 나타난다.
ㄹ. D는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지진파이 속도가 가장 빠르다.
ㅁ. 모든 물리량은 각 층의 경계면에서 급격하게 변한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ㄹ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ㅁ
⑤ ㄷ, ㄹ, ㅁ
ㄴ. 서울에서보다 태양의 남중 시각이 빠르다.
ㄷ. 서울에서보다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다.
ㄹ. 서울에서보다 푸코 진자의 진동면의 회전 주기가 짧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①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이 직교 상태였기 때문이다.
② 상부 편광판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③ 전원이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④ 배율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⑤ 초점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화성암 A, B, C의 $\text{SiO}_{2}$ 함량이 각각 70%, 58%, 49%라고 할 때, 철수가 내린 결론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 암석은 밀도가 세 암석 중에서 가장 높고, 지하 깊은 곳에서 만들어졌다.
ㄷ. C 암석은 유색 광물의 함량이 세 암석 중에서 가장 많고, 마그마의 분출에 의해 만들어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채취한 시료의 지질 시대 | 중기 석탄기 | 페름기 | 초기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제3기 | 제4기 |
암석으로부터 구한 복각 | $-22.3$° | $-12.2$° | 7.2° | 55.1° | 57.4° | 56.4° | 55.5° |
추정한 당시의 위도 | 11.6°S | 6.2°S | 3.6°N | 35.6°N | 38.0°N | 37.0°N | 36.0°N |
① 중생대 초기에는 이동이 없었다.
② 고생대 말기에는 적도 근처에 있었다.
③ 현재의 위치에 도달한 시기는 고생대이다.
④ 중생대 말기에 이동 속도와 방향이 급변했다.
⑤ 신생대 제3기로부터 동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ㄴ. 빙하가 녹아 고위도에서 표층 해수의 염분이 낮아져서
ㄷ. 증발에 의해 고위도에서 표층 해수의 밀도가 높아져서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H-R도에 있는 별들의 특성을 바르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수소핵 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 별도 있다.
ㄷ. 가장 밝은 별과 가장 어두운 별의 광도비는 10만 배보다 크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 그림으로부터 우주의 팽창 특성을 바르게 추론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그림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허블 상수의 값은 150km/(sㆍMpc)이다.
ㄷ. 거리가 1Mpc보다 가까운 은하들의 자료로는 허블 상수의 값을 구하기 어렵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원반의 온도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ㄷ. 원반의 회전 속도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빨라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관측시각 | 03시 | 06시 | 09시 | 12시 | 15시 | 18시 | 21시 |
기압(hPa) | 1013.5 | 1013.4 | 1013.3 | 1013.3 | 1013.4 | 1013.3 | 1012.9 |
온도(℃) | 7.0 | 7.0 | 10.5 | 17.3 | 22.5 | 19.1 | 13.2 |
상대습도(%) | 100 | 100 | 77 | 51 | 36 | 43 | 65 |
풍속(m/s) | 0 | 0 | 0.1 | 1.3 | 2.5 | 2.4 | 0.4 |
① 06시와 15시 전후로 6m/s로 바람이 불었다면 06시 온도는 7℃ 보다 상승하고 15시 온도는 22.5℃보다 하강했을 것이다.
② 21시의 기압은 평균 해수면 기압인 1013hPa보다 낮아졌기 때문에 이 시간대부터 저기압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③ 하루 종일 구름이 끼어 있었다면 06시와 15시의 온도는 표에 제시된 온도보다 모두 상승했을 것이다.
④ 06시의 수증기량은 15시 수증기량의 약 3배이다.
⑤ 표의 날씨는 전형적인 여름 날씨이다.
그림에서 지층이 쌓인 순서와 퇴적 당시 물이 흐른 방향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지층이 쌓인 순서] A→B / [물이 흐른 방향] C→D
② [지층이 쌓인 순서] A→B / [물이 흐른 방향] D→C
③ [지층이 쌓인 순서] B→A / [물이 흐른 방향] C→D
④ [지층이 쌓인 순서] B→A / [물이 흐른 방향] D→C
⑤ [지층이 쌓인 순서] C→D / [물이 흐른 방향] A→B
도시 | 기온(℃) | 이슬점 온도(℃) |
A | 3 | 2 |
B | 25 | 5 |
C | 25 | 18 |
ㄴ. 가장 건조한 도시는 B이다.
ㄷ. B도시와 C도시의 포화 수증기량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A 지역에서는 B 지역에서보다 퇴적 작용이 늦게 시작되었다.
② 구간 (가)에서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퇴적 속도가 빨랐다.
③ A 지역에서는 부정합이 나타난다.
④ 구간 (나)에서는 A 지역이 B 지역보다 퇴적 속도가 느렸다.
⑤ A 지역에서는 B 지역에서보다 퇴적 작용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해수면의 경사가 그림보다 완만해지고 다시 힘의 평형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전향력이 작아졌다.
ㄷ. 수압 경도력이 작아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 (가)의 B 지점의 고도 10km 상공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은? [2점]
① ㉠
② ㉡
③ ㉢
④ ㉣
⑤ ㉤
다음 중 이 기술을 사용하여 조사할 수 없는 것은? [1점]
① 구름이 가시 광선을 잘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한 태풍의 위치 조사
②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남극의 오존 구멍 크기
③ 해수면 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가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한 엘리뇨 현상 조사
④ 지구 내부의 불연속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세기가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한 지구 내부의 층상 구조 조사
⑤ 태양 표면의 온도에 따라 방출되는 가시 광선의 세기가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 표면에 나타나는 흑점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