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0/02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래프는 수직으로 올라가는 열기구의 시간에 따른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열기구는 수평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는다.)
보기
ㄱ. 0~40초 동안 열기구의 속력은 계속 증가하였다.
ㄴ. 0~40초 동안 열기구의 평균 속력은 2.5m/s이다.
ㄷ. 40초 이후 열기구는 정지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판의 분포와 경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A~D 부분에서 일어나는 지각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부분은 두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대규모의 습곡 산맥이 만들어진 곳이다.
ㄴ. B 부분은 해양판이 대륙판 위로 솟아오르는 곳으로 천발 지진만 발생한다.
ㄷ. C 부분은 판의 발산형 경계로 화산 활동과 함께 천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ㄹ. D 부분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에 의해 심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질량이 같은 실험용 수레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1) 그림(가)와 같이 수레를 용수철 저울에 연결한 후,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수레의 운동을 종이테이프에 기록한다.
(2) 그림(나)와 같이 수레 한 개를 더 연결하고 10N의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1)의 실험을 반복한다.
(3) 수레를 한 개씩 더 연결하여 (1)의 실험을 반복한다.
위의 실험으로 얻을 수 있는 그래프는? (단,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그림 (가)와 (나)는 각각 우리나라의 어느 계절에 자주 나타나는 기압 배치이다.
이 자료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일기와 기후 현상 및 생활 자세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분다.

② (가)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폭우나 홍수에 대비해야 한다.

③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한랭 건조한 날씨가 계속된다.

④ (나)와 같은 기압 배치일 때는 황사나 산불에 대비해야 한다.

⑤ (가)는 북태평양 기단, (나)는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형성된 기압 배치이다.

그림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 때 과속의 위험성을 알리는 텔레비전 광고 내용의 일부이다.
…… 10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벽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은 40m 높이에서 떨어진 자동차가 지면에 충돌할 때 받는 충격과 같다. ……
다음은 충돌할 때,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를 자동차의 속력에 따라 나타낸 표이다.
자동차 속력(km/h)20406080100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m)1.66.414.425.640
위의 자료로부터 충돌 사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자동차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증가한다.
ㄴ. 120km/h로 달리는 자동차가 받는 충격은 70m 높이에서 떨어진 것과 같다.
ㄷ. 같은 속력이라도 질량이 큰 자동차일수록 같은 충격을 받는 높이는 낮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와 (나)는 각각 겨울철(2월)에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표층 수온과 염분 분포의 특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A와 B지점은 동일 위도이다.)
보기
ㄱ. A는 B보다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ㄴ. 표층 해수의 염분은 A가 B보다 작다.
ㄷ. 황해는 수심이 얕고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동해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ㄹ. 황해는 해수의 결빙과 유입되는 강물의 감소로 동해보다 염분이 낮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와 B를 접촉시켰더니 물체 A는 온도가 내려갔고 물체 B는 온도가 올라갔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외부와의 열 출입은 없다.) [1점]
보기
ㄱ. 처음 온도는 A가 B보다 높다.
ㄴ. 비열은 A가 B보다 크다.
ㄷ. 열용량은 A가 B보다 크다.
ㄹ. A가 잃은 열량과 B가 얻은 열량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금속 A와 B를 묽은 염산에 넣고, 금속 C를 $\text{B}^{2+}$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넣었을 때의 실험 결과이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금속 A로 만들어진 못을 금속판 C에 박으면 못이 덜 부식된다.
ㄴ. 금속 B로 만들어진 주유소의 기름 탱크에 금속 A를 연결하여 묻으면 기름 탱크의 부식이 억제된다.
ㄷ. $\text{A}^{2+}$의 수용액을 금속 C로 만들어진 용기에 넣으면 금속 A의 앙금이 생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alpha$, $\beta$, $\gamma$선이 모두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납상자에 넣고 그 앞에 두꺼운 종이와 형광 물질을 칠한 스크린을 놓았더니 그림(가)와 같이 스크린의 중앙에서 빛을 내고 있었다. 그림(나)와 같이 방사선이 지나는 곳에 전기장을 걸어줄 때 스크린에 나타나는 모습 중 옳은 것은?
영희는 연료 A, B, C의 성분 원소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표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기체를 푸른색 염화코발트 종이 및 석회수에 통과시킬 때의 변화와 이 기체를 통과시킨 수용액의 액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연료염화코발트 종이석회수수용액의 액성
A붉은색변화 없음중성
B붉은색흐려짐강산성
C변화 없음흐려짐약산성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료 A의 실험에서 석회수의 변화가 없는 것은 황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ㄴ. 연료 B의 실험에서 수용액의 액성이 강산성을 나타내는 것은 생성된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ㄷ. 연료 C의 실험에서 염화코발트 종이의 변화가 없는 것은 연료에 수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수생 식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조건의 인공 습지를 여러 곳에 만든 후, 그림과 같이 각 습지마다 다른 종류의 수생 식물을 자라게 하였다.
표는 물이 인공 습지를 통과하기 전후에 무기 염류 농도와 용존 산소량(DO)을 조사한 결과이다.
(단위 : ppm)
인공 습지 통과 전인공 습지 통과 후
수생 식물이 없는 습지부들 습지부레옥잠 습지갈대 습지
인산염0.200.150.090.040.08
질산염3.002.601.200.601.00
DO2.503.003.805.004.10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DO를 증가시킨다.
ㄴ.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수질 정화 효과가 없다.
ㄷ. 인공 습지의 수생 식물은 물 속의 무기 염류를 감소시킨다.
ㄹ. 부들 습지를 지날 때 무기 염류의 농도가 가장 크게 감소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산성비가 내리기까지의 과정과 그 피해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산성비는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② 산성비 속에는 질산이나 황산이 포함되어 있다.

③ 화석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면 산성비를 줄일 수 있다.

④ 차량 운행의 증가는 산성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⑤ 화력 발전소 대신 수력이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여 이용하면 산성비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철수는 반응 물질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삼각 플라스크에 5%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는다.
(나) 마그네슘 리본 조각 0.5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자마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량 변화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한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 다른 삼각 플라스크에 10% 염산 100mL를 넣고 저울 위에 올려놓은 후 실험 과정 (나)를 반복한다.
위에서 실험 목적에 적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보완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솜 마개 대신 고무 마개로 막는다.
ㄴ. 삼각 플라스크 대신 비커를 사용한다.
ㄷ. 삼각 플라스크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실험한다.
ㄹ. 일정한 길이의 마그네슘 리본 조각들을 사용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물이 든 용기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1~2 방울 넣은 후, 나트륨 조각을 넣고 용기의 입구를 마개로 단단히 막았다. 이 때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했으며, 반응 용기가 따뜻해 졌다.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기 속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용액 속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③ 나트륨과 물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④ 용액의 액성은 염기성으로 변한다.

⑤ 용기 속의 전체 물질의 질량은 일정하다.

다음은 철의 부식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이다.
(1) 시험관 속에 질량을 측정한 철가루를 붙여 그림 (가)와 같이 장치하였다.
(2) 1주일 후 관찰하였더니 그림 (나)와 같이 붉은 녹이 생기고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갔다.
(3) 그림 (나)에서 붉은 녹의 질량을 측정하여 처음 철가루의 질량과 비교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공기는 철의 부식과 관계가 있다.
ㄴ. 붉은 녹의 질량은 반응 전 철가루의 질량보다 크다.
ㄷ. 철이 녹슬 때 시험관 속의 수면이 올라간 주 원인은 공기가 물에 녹았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화학 전지의 원리를 알아보기 위하여 금속 A와 금속 B를 묽은 황산에 넣고 꾸민 장치이다.
금속 A와 B를 묽은 황산에 각각 넣은 그림 (가)에서는 금속 A에서만 기체가 발생하였으나, 두 금속을 X자로 연결하여 묽은 황산에 넣은 그림 (나)에서는 주로 금속 B에서 기체가 발생하였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금속 A의 반응성은 금속 B보다 작다.
ㄴ. 그림 (가)와 (나)에서 용액 중 A의 이온 수는 증가한다.
ㄷ. 그림 (나)에서 이동하는 전자는 대부분 금속 A로부터 용액 중의 $\text{H}^{+}$으로 직접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불을 피운 곳에 물을 뿌리면 발화점 이하로 온도가 낮아지므로 불이 꺼진다. 이 같은 사실은 물의 특이한 성질 때문인데, 이와 관련된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물이 수증기로 될 때 그 부피가 크게 증가한다.
ㄴ. 물을 가열하면 쉽게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ㄷ. 물이 수증기로 될 때 많은 에너지를 흡수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을 나타낸 것이다.
가족아버지어머니자녀
O형O형O형
A형B형O형
AB형A형B형
A형A형O형
위 네 가족의 ABO식 혈액형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가족 Ⅰ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순종이다.
ㄴ. 가족 Ⅱ에서 태어날 자녀가 AB형이 될 확률은 50%이다.
ㄷ. 가족 Ⅲ에서 어머니의 유전자형은 AA이다.
ㄹ. 가족 Ⅳ에서 부모의 유전자형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호흡 운동에 따른 폐의 공기 출입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 안정 상태에서 들숨, 날숨의 공기량
(나) 안정 상태에서 날숨 후, 더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다) 안정 상태에서 들숨 후, 더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의 최대량
(라) 최대로 공기를 내쉰 후, 폐 속에 남아 있는 공기량
그림에서 폐활량을 나타내는 것은? (단, 폐활량이란 최대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최대로 내쉴 때의 공기의 총량을 뜻한다.)

① $(가)$

② $(가) + (나)$

③ $(가) + (다)$

④ $(가) + (나) + (다)$

⑤ $(가) + (나) + (라)$

사람의 위벽에 살고 있는 세균을 발견한 어느 과학자가 수행한 탐구 과정의 일부이다.
(가) 문제 인식 : 위염에 대해 연구하던 중 환자의 위벽에 세균이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염과 세균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하는 의문을 가졌다.
(나) 가설 :             
(다) 실험 및 결과
 1) 위염 환자의 위벽에서 추출한 세균을 배양하여 건강한 사람에게 감염시킨 후,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시킨 세균이 발견되었다.
 2) 위염 환자에게 항생제를 복용시켜 위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위염이 치료되었고,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다.
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로 타당한 것은?

① 사람에 따라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다르다.

② 항생제를 오래 복용하면 세균은 내성을 갖게 된다.

③ 위벽에 서식하는 세균은 위염 발병의 원인이 된다.

④ 세균의 종류에 따라 위산에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다르다.

⑤ 발견된 세균은 위염 증상을 나타내는 조직에서만 증식할 수 있다.

(가)는 어떤 단어를 듣고 발음할 때, (나)는 어떤 단어를 보면서 발음할 때 대뇌 피질의 활동 부위의 순서를 →로 나타낸 것이다. (단, 대뇌 피질의 A와 B는 감각령, C와 D는 연합령, E는 운동령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는 청각, B는 시각에 대한 감각령이다.
ㄴ. C와 D는 언어 중추에 해당하는 연합령이다.
ㄷ. (나)보다 (가)에서 E의 활동이 더 활발하다.
ㄹ. 감각의 종류에 따라 발음을 담당하는 운동령의 부위가 다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생식 주기가 28일인 어떤 여성에 있어서 최근 16주 동안의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이 여성의 신체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3번의 배란이 있은 후 임신되었다.
ㄴ. 현재 이 여성의 황체는 퇴화된 상태이다.
ㄷ. 현재 이 여성의 자궁 내벽은 두터워진 상태이다.
ㄹ. 현재 이 여성의 난소에서는 새로운 난자가 성숙되고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모유나 우유 제품에 포함된 젖당은 소장에서 락타아제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젖당이 분해되지 않으면 설사나 복통, 탈수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표는 연령에 따른 락타아제의 분비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분비 유형 \ 연령0~5세20세 이후
A분비됨분비됨
B분비됨분비 안됨
C분비 안됨분비 안됨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락타아제의 분비량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
ㄴ. C 유형의 사람은 유아기 때 모유 대신 젖당이 분해된 우유를 섭취해야 한다.
ㄷ. 성인 B가 우유를 마신다면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가정에서 전등을 사용하기까지 에너지가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에서 이동되는 에너지의 형태는? [1점]
ABC
화학 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화학 에너지빛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전기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열에너지
빛에너지화학 에너지전기 에너지
그림 (가)와 같이 수평면에서 질량이 1kg으로 같은 두 물체 A와 B를 20N의 일정한 힘으로 오른쪽으로 각각 끌어당겼더니 시간에 따른 속도가 그림 (나)와 같았다.
(나)에서 물체 A, B의 속도 변화가 다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부피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③ 수평면과의 마찰 계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수평면과의 접촉 면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수평면으로부터 받는 수직 항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은 전력을 송전할 때 송전 거리와 전압에 따른 전력 손실률에 대하여 조사한 표이다.
송전 거리(km)2030404040
송전 전압(kV)11.411.411.422.845.6
전력 손실률(%)8121641
위의 자료로부터 전력 손실률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송전 전압이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거리에 비례한다.
ㄴ. 송전 거리가 같을 때, 전력 손실률은 송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ㄷ. 송전 거리가 20km이고, 송전 전압이 22.8kV일 때 전력 손실률은 6%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줄로 연결된 썰매 두 대를 개들이 끌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썰매에 작용하는 힘들을 $F_{1}$, $F_{2}$, $F_{3}$로 나타내었다.
◦ $F_{1}$ : 개들이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2}$ : 썰매 A가 썰매 B를 당기는 힘의 크기
◦ $F_{3}$ : 썰매 B가 썰매 A를 당기는 힘의 크기
썰매의 속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썰매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썰매를 연결한 줄의 무게는 무시한다.)
보기
ㄱ. $F_{1}$은 $F_{2}$보다 크다.
ㄴ. $F_{1}$은 $F_{3}$보다 크다.
ㄷ. $F_{2}$는 $F_{3}$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에서 1년 동안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와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옳게 해석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의 시점에 복사 평형이 이루어진다.
ㄴ. 이 지역의 기온은 a 시점부터는 하강하고, b 시점부터는 상승한다.
ㄷ. 태양 복사가 최대일 때는 6월 하순이고, 지구 복사가 최대일 때는 8월 초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북반구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기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의 그림과 같은 변화가 계속된다고 할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극지방 빙하의 면적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ㄴ. 해수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할 것이다.
ㄷ. 평균 기온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할 것이다.
ㄹ. 지구 온난화로 기후와 생태계가 변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떤 화성암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이다.
◦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을 띤다.
◦ 광물 입자가 그림과 같이 조립질을 이룬다.
◦ 구성 광물은 주로 감람석, 휘석, 사장석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암석은?

① 반려암

② 화강암

③ 대리암

④ 현무암

⑤ 역암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도이다. A는 화성암, B~H는 퇴적암, A와 B~H의 접촉부의 빗금 친 부분은 변성암을 나타내며, E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H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된다.
자료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지층 B~H의 접촉부에 분포하는 변성암의 조직은 편리 조직이다.
ㄴ. 가장 먼저 생성된 암석은 B이고,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암석은 A이다.
ㄷ. 이 지역에서는 습곡, 역단층, 부정합의 지질 구조가 나타난다.
ㄹ. 지층 E는 고생대에, H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표는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을 태양으로부터 거리 순서에 따라 배열하고 주요 물리량을 비교한 것이다.
행 성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
거리(AU)0.390.721.001.525.209.5419.18
질량($지구=1$)0.060.821.000.113189514.5
반지름($지구=1$)0.380.951.000.5311.219.454.01
평균 밀도(g/㎤)5.45.25.53.91.40.71.3
자전 주기(일)5824311.030.410.440.72
위성수0012162315
행성의 질량과 어떤 물리량(X)을 두 축으로 하여 위 행성들을 그래프와 같이 A, B 두 집단으로 분류할 때, 물리량(X)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반지름
ㄴ. 위성수
ㄷ. 평균 밀도
ㄹ. 자전 주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