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0/02

2002-10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경사면에 실험용 수레를 놓은 후, 시간 기록계로 수레의 운동을 종이 테이프에 기록하였다.
수레의 운동을 기록한 종이 테이프를 5타점 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레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가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ㄴ.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ㄷ. 출발 후 이동한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과 같이 원형의 길을 따라 장난감 자동차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고 있다. 이 자동차가 A지점을 지날 때, 가속도의 방향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점]
그림과 같이 수평면 위의 P지점에서 500원 짜리 동전을 2m/s의 속력으로 튕겼더니, 시간에 따라 속력이 그래프와 같이 변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전은 등가속도 운동을 하였다.

② 동전이 미끄러진 거리는 1m이다.

③ 1초 동안 동전의 평균 속력은 2m/s이다.

④ 1초 동안 동전에는 일정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였다.

⑤ 동전이 멈출 때까지 손실된 역학적 에너지는 동전의 처음 운동 에너지와 같다.

그림은 연직면에서 등속 원운동하는 놀이 기구이다. 놀이 기구에 탄 철수에게는 중력과 수직 항력이 작용하고 있다.
철수에게 작용하는 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철수에게 작용하는 중력은 최저점에서보다 최고점에서 더 크다.
ㄴ. 철수에게 작용하는 수직 항력은 최고점에서보다 최저점에서 더 크다.
ㄷ. 철수에게 작용하는 구심력은 최저점에서보다 최고점에서 더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마찰이 없는 에어트랙 위에서 물체 A를 2m/s의 속도로 정지해 있는 물체 B에 충돌시켰다. 충돌 후 두 물체의 속도가 아래 표의 [실험1]과 같았다.
B를 질량은 같으나 재질이 다른 물체로 바꾸고 같은 실험을 하여 표의 [실험2]의 결과를 얻었다.
구분충돌 후 A의 속도(m/s)충돌 후 B의 속도(m/s)
[실험1]02
[실험2]11
이 실험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A와 B의 질량은 같다.)
보기
ㄱ. B가 받은 충격량은 [실험2]보다 [실험1]에서 더 크다.
ㄴ. 두 실험에서 충돌 전의 운동량의 합과 충돌 후의 운동량의 합은 같다.
ㄷ. 충돌 과정에서 운동 에너지 손실은 [실험1]보다 [실험2]에서 더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질량이 같은 두 공을 같은 속력으로 각도를 달리하여 던졌더니 그림과 같이 운동하였다. 두 공이 올라간 높이는 달랐지만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는 같았다.텍스트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공기의 저항은 무시한다.)
보기
ㄱ. 두 공이 지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같다.
ㄴ. 최고점에서 두 공의 운동 에너지는 같다.
ㄷ. 최고점에서 두 공의 역학적 에너지는 같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다음은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r$인 원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 인공 위성의 속력에 대한 설명이다.
지구와 인공 위성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 인력이 구심력이다. 따라서, 인공 위성의 속력 $v$는 다음과 같다. $$G\dfrac{mM}{r^2} = m \dfrac{v^2}{r},  \therefore\,\,\,v =\sqrt{\dfrac{GM}{r}}$$ (단, $m$은 인공 위성의 질량, $M$은 지구의 질량, $G$는 만유 인력 상수로 $G = 6.67\times 10^{-11}\text{Nm}^2/\text{kg}^2$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궤도 반지름이 클수록 인공 위성의 속력은 느리다.
ㄴ. 궤도 반지름이 같을 때 인공 위성의 질량이 클수록 속력이 빠르다.
ㄷ. 인공 위성의 속력과 궤도 반지름을 알면 지구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과 같이 두 열량계에 서로 다른 액체 A, B를 넣고 전열선을 이용하여 가열하려고 한다.
같은 시간 동안 두 액체가 받은 열량을 같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물리량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열량계 밖으로 빠져나가는 열은 없다.)
보기
ㄱ. 두 액체의 질량
ㄴ. 두 액체의 비열
ㄷ. 전열선의 저항
ㄹ. 전열선에 걸린 전압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실린더 안에 들어있는 이상 기체를 다음 실험과 같이 세 가지 방법으로 부피를 팽창시켜 보았다.
[실험]
A :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B :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C :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한 채 부피를 2배로 증가시켰다.
기체가 한 일의 양을 바르게 비교한 것은? (단,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① A > B > C

② A > C > B

③ B > C > A

④ C > A > B

⑤ A = B = C

전기 저항이 각각 80Ω, 40Ω, 20Ω인 저항선 A, B, C와 전지를 그림(가)와 같이 연결하였다. 그림(나)는 그림(가)에서 저항선을 모두 90° 회전시킨 모습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저항선의 굵기는 각각 일정하며, 저항선 A와 C는 반원, 저항선 B는 직선이다.) [2점]
보기
ㄱ. (가)에서는 A에 가장 많은 전류가 흐른다.
ㄴ. (나)에서는 B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ㄷ. (가)와 (나)의 P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과 같이 장치한 후 가변 저항기의 저항을 점점 감소시키면서 단자 전압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래프는 서로 다른 두 전지 A, B를 가지고 전류에 따른 단자 전압을 측정한 결과이다.
위 실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두 전지의 기전력은 같다.
ㄴ. 전지 A의 내부 저항은 B보다 작다.
ㄷ. 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은 감소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같은 세기의 전류 I가 흐르는 긴 직선 도선이 그림과 같이 같은 평면 위에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 도선(가)에는 오른쪽으로, 도선(나)에는 위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있다.
두 도선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 A, B, C, D 중에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가 0인 점을 바르게 고른 것은? (단, 두 도선은 절연되어 있다.)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B, D

그림과 같이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균일한 자기장이 있다. 이 자기장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원형 도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고 있다.
이 때, 원형 도선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세기가 0인 곳은? (단, ‘•’은 지면에서 수직하게 나오는 자기장을, ‘×’는 지면으로 수직하게 들어가는 자기장을 나타낸다.)

① A, B

② A, C

③ A, E

④ B, D

⑤ A, C, E

그림은 공기 중에서 물 속으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보기
ㄱ. 볼록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이 작게 보인다.
ㄴ. 물 속에 반쯤 잠긴 젓가락이 꺾여 보인다.
ㄷ. 물을 채운 수영장의 깊이가 실제보다 얕아 보인다.
ㄹ. 물 위에 떠 있는 얇은 기름막에서 여러 가지 색깔의 무늬가 보인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가)와 같이 빛의 간섭 실험을 하였더니, 그림 (나)의 A와 같은 간섭 무늬가 스크린에 나타났다.
B와 같이 간섭 무늬의 간격이 A보다 넓어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① 슬릿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이중 슬릿을 사용한다.

② 이중 슬릿과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줄인다.

③ 파장이 더 짧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한다.

④ 더 밝은 레이저 광원을 사용한다.

⑤ 레이저 광원과 이중 슬릿 사이의 거리를 넓힌다

그림과 같이 광전관의 음극에 빛 A, B를 각각 비추었다. 그래프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압에 따른 광전류의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래프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빛의 세기는 A가 B보다 크다.
ㄴ. 빛의 진동수는 A가 B보다 크다.
ㄷ.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A를 비춘 경우가 B를 비춘 경우보다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