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0월 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2002.10.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이 자료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와 같은 변화는 태양의 영향 때문이다.
ㄷ. (나)와 같은 변화는 지구 자극의 이동 때문이다.
ㄹ. (나)와 같은 변화는 무선 통신 장애의 주된 원인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광물 | 색 | 굳기 | 비중 | 쪼개짐 | 구성 원소 |
감람석 | 담록색 | 6.5~7 | 3.2~3.6 | 없음 | O, Si, Mg, Fe |
휘 석 | 암록색 | 5~6 | 2.9~3.3 | 2방향 | O, Si, Ca, Mg, Fe |
각섬석 | 흑록색 | 5~6 | 2.5~3.0 | 2방향 | O, Si, Al, Ca, Mg, Fe |
흑운모 | 적갈색 | 2.5~3 | 1.5~2.0 | 1방향 | O, Si, Al, K, Mg, Fe |
사장석 | 회백색 | 6~6.5 | 2.6~2.7 | 2방향 | O, Si, Ca, Na, Al |
정장석 | 분홍색 | 6 | 2.6 | 2방향 | O, Si, K, Al |
석 영 | 무 색 | 7 | 2.5 | 없음 | O, Si |
① 위의 광물들 중 정장석과 석영만 규산염 광물이다.
② 무색 광물은 모두 Mg과 Fe 원소를 포함한다.
③ 일반적으로 굳기가 큰 광물은 비중이 작다.
④ 굳기가 큰 광물일수록 쪼개짐이 발달한다.
⑤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는 유색 광물이다.
북쪽에 위치한 아파트에도 사계절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아파트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자 할 때, <보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단, $h$는 태양의 남중 고도이다.) [2점]
ㄴ. 태양의 남중 고도는 「$h= 90\degree - (위도) + (\text{태양의 적위})$」에 의해서 구한다.
ㄷ. 아파트 사이의 거리는 $\dfrac{40\text{m}}{\tan h}$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변성 정도는 접촉한 부분에서 가장 약하고, 멀어질수록 강해진다.
② A, B, C 부분에 발달한 변성암은 각각 대리암, 편마암, 편암이다.
③ A, B, C 부분의 암석은 모두 편리 조직이 발달되어 있다.
④ A, B, C 부분의 변성 작용은 주로 화성암이 관입되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일어난다.
⑤ A, B, C 부분의 암석 중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이 나는 것은 A이다.
이 그래프를 해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강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입자들 중 유수에 의해 가장 먼저 침식되는 입자는 모래이다.
ㄷ. 점토는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잘 가라앉지 않으므로 멀리까지 운반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그림 (가)의 ㉠~㉤ 지점 중에서 이 지진의 진앙에 가장 가까운 곳은?
① ㉠
② ㉡
③ ㉢
④ ㉣
⑤ ㉤
그림 (가)의 A지역과 (나)의 B지역에서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을 비교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A지역은 B지역에 비하여 해양 지각의 연령이 많다.
ㄷ. A지역에서는 화산 활동만 있고, B지역에서는 지진만 발생한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① 바다 : 삼엽충 / 육지 : 양서류
② 바다 : 삼엽충 / 육지 : 공룡
③ 바다 : 암모나이트 / 육지 : 공룡
④ 바다 : 암모나이트 / 육지 : 매머드
⑤ 바다 : 화폐석 / 육지 : 매머드
세 지역의 지층들을 대비했을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세 지역에서 지층이 역전된 곳은 없다.)
ㄴ. (나), (다) 지역에는 부정합면이 각각 두 개씩 나타난다.
ㄷ. (가), (나), (다) 세 지역의 지층들 중에서 가장 먼저 생성된 것은 역암층이다.
ㄹ. (가), (나), (다) 세 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쌓인 지층의 총 수는 5개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을 그림의 P→A 및 P→B 과정과 옳게 짝지은 것은?
ㄴ. 따뜻한 물을 반쯤 담은 유리컵 안쪽 표면에 물방울이 맺힌다.
ㄷ. 안경을 쓴 사람이 추운 겨울날 밖에서 따뜻한 실내로 들어가면 안경이 흐려진다.
① | ② | ③ | ④ | ⑤ | |
P→A | ㄴ | ㄱ, ㄷ | ㄷ | ㄱ, ㄴ | ㄴ, ㄷ |
P→B | ㄱ, ㄷ | ㄴ | ㄱ, ㄴ | ㄷ | ㄱ |
위의 그림과 같은 편서풍 파동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① 상층의 A는 고기압, B는 저기압이다.
② 남북 간의 기온 차이가 작을수록 편서풍 파동이 크게 발달한다.
③ 온대 저기압이 발달하는 곳은 기압골의 동쪽 지상이다.
④ 상층 기압골의 서쪽에서는 공기의 발산이 일어난다.
⑤ 상층 기압골의 동쪽에서는 공기의 수렴이 일어난다.
수온 분포가 B와 같이 변하였을 때, 이 해역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바람이 더 강하게 부는 계절이 되었다.
ㄷ. 이 해역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증가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위 그림과 같은 표층 해류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해류의 유속은 A 해역이 C 해역보다 빠르다.
② 해수면의 높이는 B 해역이 A, C 해역보다 낮다.
③ 해류의 폭은 A 해역이 C 해역보다 좁다.
④ C 해역에서는 연안 용승이 발달한다.
⑤ 순환의 중심이 서쪽으로 치우치는 것은 지구 자전의 영향 때문이다.
행성의 공전 주기와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궤도 장반경)를 나타낸 그래프를 참고할 때 이 행성의 궤도 장반경과 회합 주기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단, 행성의 공전 주기를 $P$, 지구의 공전 주기를 $E$, 회합 주기를 $S$라 하면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dfrac{1}{P} = \dfrac{1}{E}\pm \dfrac{1}{S}$ ($+$) : 내행성, ($-$) : 외행성)
① | ② | ③ | ④ | ⑤ | |
궤도 장반경(AU) | 4 | 4 | 6 | 6 | 8 |
회합 주기(년) | $\dfrac{3}{2}$ | $\dfrac{8}{7}$ | $\dfrac{3}{2}$ | $\dfrac{8}{7}$ | $\dfrac{7}{8}$ |
별 | $m$ | $M$ | $P''$ | $B-V$ |
시리우스 | $-1.46$ | 1.4 | 0.37 | 0.00 |
아크투루스 | 0.10 | $-0.3$ | 0.09 | 1.23 |
카펠라 | 0.08 | $-0.6$ | 0.07 | 0.79 |
프록시온 | 0.37 | 2.6 | 0.29 | 0.42 |
ㄴ. 표면 온도가 가장 낮은 별은 아크투루스이다.
ㄷ. 절대 광도가 가장 작은 별은 카펠라이다.
ㄹ. 거리가 가장 먼 별은 프록시온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위의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백색 왜성은 표면 온도가 높으므로 광도가 크다.
② 거성은 대체로 푸른색, 초거성은 붉은색을 띤다.
③ 주계열성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반지름이 작아진다.
④ 그림 (나)와 같은 관계는 주계열성에서만 성립한다.
⑤ 그림 (나)에 의할 때 태양보다 질량이 10배 정도 큰 별의 광도는 태양보다 100배 정도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