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3년 8월 20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과학)
시행 : 1993.8.20(금)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위 자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같은 주기에서 이온화 에너지는 원자번호가 클수록 크다.
② 이온화 에너지는 원소의 주기적 성질을 잘 보여주지 못한다.
③ 원자 반지름은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작아진다.
④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 반지름이 커진다.
⑤ 원자번호에 따른 이온화 에너지의 변화는 원자 반지름의 변화와는 무관하다.
나. 원반을 회전시켜 화분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힘의 크기가 중력의 크기와 같아지도록 한다.
다. 장기간 원반을 동일한 속력으로 회전시킨 후, 뿌리가 자란 방향을 조사한다.
① 나, 라
② 가, 다
③ 가, 나, 라
④ 다, 라, 마
⑤ 다, 마
이온 | A해역의 해수(‰) | B해역의 해수(‰) |
$\text{Na}^{+}$ | 9.2 | 4.6 |
$\text{Mg}^{2+}$ | 1.2 | 0.6 |
$\text{Ca}^{2+}$ | 0.4 | 0.2 |
$\text{Cl}^{-}$ | 16.6 | 8.3 |
$\text{SO}_{4}^{2-}$ | 2.4 | 1.2 |
기타 | 0.2 | 0.1 |
ㄴ. 두 해역 해수의 염분 중 $\text{Na}^{+}$ 이온의 염분비는 서로 다르다.
ㄷ. A해역의 해수와 B해역의 해수의 염분은 같다.
ㄹ. 염분 20‰의 해수에 들어있는 $\text{Na}^{+}$ 이온은 약 6.1‰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니크롬선에 걸린 전압과 흐르는 전류는 각각 얼마인가? [0.8점]
① 전압 : 1.60V : 전류 : 3.50A
② 전압 : 1.60V : 전류 : 35.0mA
③ 전압 : 1.60V : 전류 : 350mA
④ 전압 : 8.0V : 전류 : 35.0mA
⑤ 전압 : 8.0V : 전류 : 350mA
① ${}_{16}\text{S}^{2-}$, ${}_{17}\text{Cl}^{-}$, ${}_{19}\text{K}^{+}$, ${}_{20}\text{Ca}^{2+}$
② ${}_{3}\text{Li}$, ${}_{11}\text{Na}$, ${}_{19}\text{K}$, ${}_{37}\text{Rb}$
③ ${}_{11}\text{Na}$, ${}_{12}\text{Mg}$, ${}_{19}\text{K}$, ${}_{20}\text{Ca}$
④ ${}_{11}\text{Na}$, ${}_{11}\text{Na}^{+}$, ${}_{19}\text{K}$, ${}_{19}\text{K}^{+}$
⑤ ${}_{9}\text{F}$, ${}_{9}\text{F}^{-}$, ${}_{17}\text{Cl}$, ${}_{17}\text{Cl}^{-}$
이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못한 것은?
① 운동하는 동안 혈당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② 혈당량과 인슐린 양의 변화 형태는 대체로 비슷하다.
③ 식사 후 혈당량이 증가하면 인슐린의 양도 증가한다.
④ 운동에 의한 혈당량의 변화는 인슐린 양의 변화와 무관하다.
⑤ 인슐린 양의 극대치는 혈당량의 극대치보다 약간 늦게 나타난다.
모래 크기(mm) | A지역 중량비(%) | B지역 중량비(%) |
2.0 이상 | 5 | 0 |
1.0~2.0 | 15 | 5 |
0.5~1.0 | 45 | 25 |
0.25~0.5 | 30 | 65 |
0.25 이하 | 5 | 5 |
ㄴ. 두 지역 모래는 투수성이 같다.
ㄷ. 두 지역 모래는 다른 환경에서 퇴적되었다.
ㄹ. 두 지역 모래는 퇴적 시기와 속도가 같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별의 이름 | 겉보기 등급($m$) | 절대 등급($M$) |
크뤼거 60B (Krger 60B) | 11.2 | 13.2 |
데네브 (Deneb) | 1.3 | -6.9 |
안타레스 (Antares) | 1.0 | -4.5 |
알파 센타우리 A (Alpha Centauri A) | 0.0 | 5.5 |
아르크투루스 (Arcturus) | -0.1 | -0.3 |
ㄴ. 데네브는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이다.
ㄷ. 알파 센타우리 A는 지름이 가장 큰 별이다.
ㄹ. 아르크투루스는 겉보기로는 가장 밝으나 광도는 3번째로 높은 별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① 각 수레의 가속도는 점차 커졌다.
② 각 수레에 작용한 힘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았다.
③ 두 수레의 운동 에너지의 증가율은 같다.
④ 각 수레가 출발한 지점은 서로 다르다.
⑤ 각 수레에 작용한 마찰력의 크기는 같다.
다음 <보기> 중에서 점선과 같이 물의 온도가 변할 수 있는 경우로 짝지어진 것은?
ㄴ. 물의 양 : 100g / 전열기의 소비 전력 : 30W보다 크다
ㄷ. 물의 양 : 100g보다 적다 / 전열기의 소비 전력 : 30W
ㄹ. 물의 양 : 100g보다 많다 / 전열기의 소비 전력 : 30W보다 작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R$Ω의 저항 3개를 모두 연결하여 만들 수 없는 합성 저항값은?
① $\dfrac{R}{3}$Ω
② $\dfrac{2R}{3}$Ω
③ $\dfrac{3R}{2}$Ω
④ $2R$Ω
⑤ $3R$Ω
지의류가 대기 중의 이산화황의 오염 정도를 알아 보는 지표 식물이라고 할 때, 이 그래프를 가장 옳게 해석한 것은?
① 지의류 C는 분포 범위가 가장 넓다.
② 지의류 C가 이산화황에 가장 민감하다.
③ 지의류 A가 이산화황에 대한 내성이 가장 작다.
④ 8km 지점에서는 지의류 중 A의 상대 밀도가 가장 낮다.
⑤ 이산화황의 양이 증가할수록 지의류의 종류 수도 증가한다.
다음 <보기> 중, 위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것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ㄴ. 추의 질량이 크면 단진자 운동이 오래 지속된다.
ㄷ. 추시계가 느리게 가면 추의 길이를 줄여준다.
ㄹ. 추시계를 극지방에서 적도지방으로 가져가면 주기가 길어진다.
ㅁ. 그네를 혼자 타든지 두 사람이 타든지 주기에는 큰 차이가 없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ㄴ, ㅁ
⑤ ㄷ, ㅁ
다음 중 비탈길을 내려가고 있는 자전거가 지점 B를 통과할 때까지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볼 수 없는 것은?
성질 \ 물질 | A | B |
상태(1기압, 25℃) | 기체 | 고체 |
극성 | 있다 | 없다 |
끓는점 | -85℃ | 185℃ |
물에 대한 용해성 | 잘 녹는다 | 거의 녹지 않는다 |
① A : 이산화탄소 / B : 산화칼슘
② A : 염화소소 / B : 요오드
③ A : 황화수소 / B : 흑연
④ A : 황화수소 / B : 산화칼슘
⑤ A : 산소 / B : 요오드
마찰시킨 물체 | 양($+$)전하를 띤 물체 | 음($-$)전하를 띤 물체 |
ㄱ과 ㄴ | ㄴ | ㄱ |
ㄱ과 ㄷ | ㄱ | ㄷ |
ㄴ과 ㄹ | ㄹ | ㄴ |
ㄷ과 ㅁ | ㄷ | ㅁ |
① ㄱ과 ㄴ
② ㄱ과 ㄷ
③ ㄱ과 ㅁ
④ ㄴ과 ㄷ
⑤ ㄴ과 ㅁ
다음 질소 산화물 중 질소와 산소의 질량비가 위 그래프에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은? (단, 질소의 원자량은 14,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다.) [0.8점]
① $\text{N}_{2}\text{O}$
② $\text{NO}$
③ $\text{NO}_{2}$
④ $\text{N}_{2}\text{O}_{3}$
⑤ $\text{N}_{2}\text{O}_{4}$
이 자료를 근거로 마그마의 특성에 대해서 해석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text{SiO}_{2}$성분이 많은 마그마는 $\text{SiO}_{2}$성분이 적은 마그마보다 점성이 더 크다.
② $\text{SiO}_{2}$성분이 많은 마그마는 $\text{SiO}_{2}$성분이 적은 마그마보다 온도가 더 낮다.
③ $\text{SiO}_{2}$성분이 많은 마그마는 $\text{SiO}_{2}$성분이 적은 마그마보다 유동성이 더 크다.
④ $\text{SiO}_{2}$성분이 많은 마그마일수록 지표에 분출되면 경사가 더 급한 지형을 만든다.
⑤ 온도가 높은 마그마일수록 점성이 더 작다.
나. 수정이 안된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여기에 “가”에서 채취한 핵을 이식하였다.
다. 핵을 이식받은 난자가 각 발생 단계(포배기 말기~올챙이 초기)까지 생존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 채취시 핵을 제공한 배의 발생 단계 (시간) | 핵을 이식받은 난자가 각 발생 단계까지 생존한 비율 | |||
포배기 말기(%) | 낭배기 초기(%) | 낭배기 말기(%) | 올챙이 초기(%) | |
6시간 | 100 | 98 | 94 | 85 |
12시간 | 100 | 100 | 98 | 79 |
25시간 | 100 | 96 | 79 | 53 |
39시간 | 100 | 94 | 75 | 47 |
58시간 (심장박동 시기) | 100 | 76 | 59 | 36 |
120시간 (올챙이 시기) | 100 | 80 | 54 | 19 |
① 핵을 이식받은 난자의 생존율은 일정하다.
② 핵을 제공한 배의 생존율은 일정하게 감소한다.
③ 올챙이 초기 단계까지 진행된 배의 생존율은 성체까지 그대로 유지된다.
④ 발생 단계가 이른 배 세포의 핵을 이식받은 난자일수록 생존율이 낮다.
⑤ 핵이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핵을 제공한 배의 발생 정도에 따라 다르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1천문 단위(AU)라고 할 때, 태양으로부터 4천문 단위의 거리에서 어느 행성이 발견된다면 다음 중 이 행성의 회합 주기에 가장 가까운 것은?
행성의 회합 주기($S$), 지구의 공전 주기($E$) 및 행성의 공전 주기($P$)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frac{1}{S} = \dfrac{1}{E} - \dfrac{1}{P}$ : 외행성인 경우
$\dfrac{1}{S} = \dfrac{1}{P} - \dfrac{1}{E}$ : 내행성인 경우
① 110일
② 420일
③ 510일
④ 620일
⑤ 730일
조사 결과를 근거로 산사태가 일어난 시기를 추리하면, 지금부터 몇 년 전인가? [0.8점]
① 7년 전
② 13년 전
③ 20년 전
④ 23년 전
⑤ 27년 전
[실험2] “실험1”에서 얻은 개체($F_{1}$)를 자가 수분시킨 결과($F_{2}$)는 아래와 같다.
$F_{2}$의 표현형 | 개체수 |
분홍 꽃, 황색 씨 | 302 |
붉은 꽃, 황색 씨 | 153 |
흰 꽃, 황색 씨 | 149 |
분홍 꽃, 녹색 씨 | 100 |
붉은 꽃, 녹색 씨 | 51 |
흰 꽃, 녹색 씨 | 52 |
① 특정 형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 인자는 한 쌍으로 되어 있다.
② 한 쌍의 유전 인자는 양친으로부터 하나씩 물려받은 것이다.
③ 개개의 유전 인자들은 변함없는 안정된 단위로서 유전된다.
④ 한 쌍의 유전 인자가 서로 다를 때 한 인자가 다른 인자를 억제시키고 그 인자만이 발현된다.
⑤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때 유전 인자들은 분리된 단위로서 각 배우자에게 독립적으로 분배된다.
나. 그 식물을 아래 그림과 같은 조건에서 3일간 유지하였다.
다. 두 식물의 잎을 증류수에 넣어 끓이고 에탄올로 탈색시켰다.
라. 탈색시킨 엷은 갈색으로, B의 식물 잎은 검은 보라색으로 변했다.
① 식물의 광합성에는 이산화탄소가 필요하다.
② 식물의 광합성에는 빛이 필요하다.
③ 식물의 광합성에는 물이 필요하다.
④ 식물의 광합성은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⑤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산소를 방출한다.
ㄴ. 온도
ㄷ. 습도
ㄹ. 광합성률
ㅁ. 이산화탄소
① ㄱ, ㄴ
② ㄱ, ㅁ
③ ㄹ, ㅁ
④ ㄱ, ㄴ, ㄷ
⑤ ㄷ, ㄹ, ㅁ
나. 기체가 발생된 지 3분 정도가 지나면 장치(B)를 가열한다.
다. 장치(B)가 가열되면 산화구리(Ⅱ)는 장치(A)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을 일으킨다.
라. 반응이 모두 끝나면 실험 장치를 실온까지 식힌다.
마. 반응한 수소와 산소의 질량을 구한다.
① 장치(A)를 통과한 기체는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② 구리는 장치(A)를 통과한 기체보다 반응성이 더 크다.
③ 장치(B)에 들어있던 공기는 가열하기 전에 모두 빠져나간다.
④ 수소와 결합한 산소의 질량은 반응 전후에 장치(B)의 질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⑤ 생성된 수증기는 장치(C)에서 모두 응결된다.
ㄴ. 장치(A)의 반응 전후 질량
ㄷ. 장치(B)의 반응 전후 질량
ㄹ. 장치(C)의 반응 전후 질량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이 자료를 가장 타당하게 해석한 것은? [1.2점]
① 바닷물의 유속이 커질수록 개체군의 밀도는 계속 증가한다.
② 따개비의 산란량은 개체군의 밀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한다.
③ 따개비 개체군의 밀도는 일정 수준에 이르면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된다.
④ 개체군의 밀도보다 바닷물의 유속이 따개비의 산란에 미치는 영향이 더 작다.
⑤ 바닷물의 유속이 일정할 때 개체군의 밀도는 따개비 산란의 제한 요인이 된다.
실험 번호 | 1 | 2 | 3 | 4 | 5 |
반응한 금속의 질량(g) | 0.030 | 0.062 | 0.089 | 0.122 | 0.148 |
수소 기체의 부피(mL) | 10.3 | 23.5 | 32.9 | 46.0 | 55.4 |
금속 1g당 생성된 수소 분자의 몰 수 | 0.0140 | 0.0155 | 0.0151 | 0.0154 | 0.0153 |
① 금속의 질량이 실제 질량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② 수소 기체의 부피가 실제 부피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③ 부피 측정시 수소 기체의 실제 온도는 25℃보다 높았다.
④ 부피 측정시 수소 기체의 실제 압력은 1기압보다 낮았다.
⑤ 수소 기체를 포집할 때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었다.
① 24
② 32
③ 40
④ 65
⑤ 130
<보기>는 이 지질 단면도를 근거로 이 세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에 대하여 해석한 것이다.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층과 “나”충 사이는 부정합 관계이다.
ㄷ. “라”층의 연령은 3억 년보다 젊다.
ㄹ. “다”층은 3억 5천만 년 전부터 3억 년 전 사이에 쌓였다.
ㅁ. “마”층의 연령은 3억 5천만 년보다 젊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ㄴ, ㄷ, ㅁ
$\dfrac{1}{2}mv^{2}+mgH=2mgH$
$\therefore$ $\dfrac{1}{2}mv^{2}=mgH$ $\cdots\cdots$ ①
그런데, 최고점에서의 $E_{p}=$수면에서의 $E_{k}$
$2mgH=\dfrac{1}{2}mV^{2}$
①을 대입하면 $2\times \left(\dfrac{1}{2}mv^{2}\right)=\dfrac{1}{2}mV^{2}$
$\therefore$ $V=\sqrt{2}v$
① 공기 저항은 무시할 수 있다.
② 스프링보드의 탄성 에너지는 출발 속도($v$)에 비례한다.
③ 다이빙 선수의 속도에는 수평 성분이 없다.
④ 출발 속도($v$)는 스프링보드가 수평이 되는 순간의 값이다.
⑤ 다이빙 선수의 키는 $H$에 비해 매우 작다.
① 지표면이 흡수하는 평균 태양 복사 에너지는 $0.5\text{cal}/\text{cm}^{2}\cdot \text{min}$이다.
② 지구의 알베도(반사율)는 24%이다.
③ 지구 대기권의 태양과 지표면으로부터 흡수하는 총 에너지는 167%이다.
④ 지표면에서 증발에 의하여 지구 대기 중으로 흘러 들어가는 에너지는 30%이다.
⑤ 지표면에서 방출된 지구 복사 에너지 중 지구 대기에 흡수되지 않고 우주 공간으로 직접 나가는 에너지는 4%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