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3년 11월 16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과학)
시행 : 1993.11.16(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ㆍ 둥근 원반 모양의 구조가 있다.
ㆍ 은하핵을 가로 지른 막대 모양의 구조가 있다.
ㆍ 나선 팔이 존재한다.
(나) 시험관 5개를 준비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용액을 섞고, 요오드 용액을 한방울씩 떨어뜨린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관 번호 | 시료 | 색깔 변화 |
1 | 녹말 용액+침 희석액 | 엷은 갈색 |
2 | 녹말 용액+침 희석액+희석된 이자액 | 엷은 갈색 |
3 | 녹말 용액+물 | 청남색 |
4 | 녹말 용액+희석된 이자액 | 엷은 갈색 |
5 | 녹말 용액+끓인 침 희석액 | 청남색 |
① 1, 2
② 1, 3
③ 1, 5
④ 4, 5
⑤ 2, 4
훅(Hooke)의 법칙($F=kx$)이 적용되는 한계까지 용수철이 압축되었을 때 용수철에 저장되는 탄성 에너지는 대략 얼마인가? [0.8점]
① 2J
② 4J
③ 40J
④ 200J
⑤ 400J
전자와 전자 사이의 반발력에 의한 원자나 이온의 크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떤 원자 또는 이온들을 서로 비교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가? [0.8점]
① $\text{Ne}$, $\text{Ar}$
② $\text{O}$, $\text{F}$
③ $\text{Na}$, $\text{Mg}^{2+}$
④ $\text{Li}^{+}$, $\text{Na}^{+}$
⑤ $\text{Cl}$, $\text{Cl}^{-}$
이러한 변화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0.8점]
① 돌연 변이가 주원인이다.
② 획득 형질이 유전되었다.
③ 사망률이 감소되었다.
④ 유전보다는 환경의 영향이 더 컸다.
⑤ 큰 키가 작은 키에 대해 우성이다.
위 실험 장치에서 한쪽 면이 둥근 반원통을 사용하는 이유는?
① 빛의 전반사를 막기 위해서
② 빛을 구면파로 만들기 위해서
③ 굴절각 $r$의 값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④ 빛의 회절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⑤ 빛이 물에서 공기로 나올 때의 굴절을 막기 위해서
ㄴ. (나)가 생성된 시기에 이 지역은 따뜻하였다.
ㄷ. (가)와 (다)는 같은 빙하기에 퇴적된 것이다.
ㄹ. 이 지역은 적어도 두 차례 이상의 빙하 작용을 받았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ㄹ
(가) 꽃에서 꽃밥을 딴다.
(나)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꽃밥의 화분을 뿌린다.
(다) 어떤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커버글라스로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실험 B. 생식 세포 분열의 관찰
(가) 꽃에서 꽃밥을 딴다.
(나) 면도날로 꽃밥을 자른 다음, 안의 내용물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짜낸다.
(다) 어떤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커버글라스로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재료 | 용액 | |||
실험 A | 실험 B | 실험 A | 실험 B | |
① | 꽃봉오리 | 활짝 핀 꽃 | 아세트산카민 용액 | 설탕 용액 |
② | 꽃봉오리 | 꽃봉오리 | 아세트산카민 용액 | 설탕 용액 |
③ | 활짝 핀 꽃 | 꽃봉오리 | 아세트산카민 용액 | 설탕 용액 |
④ | 활짝 핀 꽃 | 활짝 핀 꽃 | 설탕 용액 | 아세트산카민 용액 |
⑤ | 활짝 핀 꽃 | 꽃봉오리 | 설탕 용액 | 아세트산카민 용액 |
지역 | 주요 광물 |
(가) | 감람석 휘석 사장석 |
(나) | 휘석 각섬석 사장석 |
(다) | 감람석 사장석 |
세 곳이 마그마로부터 고결되어 생성된 순서를 바르게 추정한 것은?
① (가)-(나)-(다)
② (가)-(다)-(나)
③ (나)-(다)-(가)
④ (다)-(가)-(나)
⑤ (다)-(나)-(가)
ㄴ. 이 반응의 화학 반응식
ㄷ. 실험에 사용한 금속의 질량과 발생한 수소 기체의 부피
ㄹ. 실험 조건에서 수소 기체 1몰이 차지하는 부피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ㄹ
③ ㄴ, ㄷ, ㄹ
④ ㄴ, ㄹ
⑤ ㄷ, ㄹ
이 엘리베이터의 시간과 위치 에너지($E_{p}$)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1.2점]
ㆍ 시험관 (나)에 물풀을 넣고 시험관 (가)와 함께 수조 (A)의 물 속에 넣었다.
ㆍ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리관의 물이 같은 눈금에 오게 하였다.
ㆍ 폭이 얇은 수조 (B)를 물로 채워 수조 (A)와 전구 사이에 놓았다.
ㆍ 5분 동안 빛을 쪼인 후 물이 이동한 거리를 읽었다.
ㆍ 전구의 밝기를 변경하면서 위와 같은 실험 과정을 반복하였다.
① 생성된 $\text{O}_{2}$의 양은 빛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한다.
② 생성된 $\text{O}_{2}$의 양은 흡수된 $\text{CO}_{2}$의 양에 비례한다.
③ 흡수된 $\text{O}_{2}$의 양은 물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한다.
④ 흡수된 $\text{CO}_{2}$의 양은 빛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 감소한다.
⑤ 생성된 $\text{CO}_{2}$의 양은 식물이 작을수록 감소한다.
① 지구 환경은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이다.
② 1기압 하에서 얼음의 녹는점은 0℃보다 높을 것이다.
③ 얼음은 물에 뜰 것이다.
④ 소금은 물에 거의 녹지 않을 것이다.
⑤ 물의 증발열은 더 큰 값을 가질 것이다.
이 반응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2점]
① 400℃ 이하에서, 정반응은 기체 분자의 총 수가 증가하는 반응이다.
② 400℃ 이하에서, 역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③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력은 높이고, 온도는 낮추어야 한다.
④ 압력 변화에 따른 수득률의 증가율은 높은 압력에서 더 크다.
⑤ 고온(600℃ 이상), 고압에서 생성물은 불안정하다.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고려하여 그림 (가)와 (나)를 비교할 때, 대기층이 있는 경우 지표면의 온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은? [1.2점]
① $a < c$
② $a < e$
③ $b < c$
④ $b < d$
⑤ $b < e$
① A-C, C-D, E-F
② A-C, B-F, E-F
③ A-D, C-E, F-B
④ A-D, D-E, F-B
⑤ A-F, C-D, E-B
별의 이름 | 겉보기등급($m$) | 시차($p''$) | 고유운동($\mu ''$/년) | 색지수($B-V$) |
시리우스 | $-1.46$ | 0.37 | 1.33 | 0.00 |
아크투르스 | $-0.06$ | 0.09 | 2.28 | 1.23 |
카펠라 | 0.08 | 0.07 | 0.44 | 0.79 |
프로시온 | 0.37 | 0.29 | 1.25 | 0.42 |
위 자료에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0.8점]
ㄴ. 가장 가까운 별은 시리우스이다.
ㄷ. 고유 운동이 가장 작은 별은 카펠라이다.
ㄹ. 겉보기로 가장 어두운 별은 프로시온이다.
① ㄱ, ㄹ
② ㄴ, ㄷ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위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1925년의 개체수가 2배로 증가하는 데 약 7년이 소요되었다.
ㄷ. 1932년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 주 원인은 순록의 평균 수명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ㄹ. 1938년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은 먹이 부족이 주 원인일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성질 \ 원소 | (가) | (나) | (다) |
$\text{X}_{2}$의 상태(상온) | 기체 | 기체 | 액체 |
$\text{X}_{2}$와 $\text{H}_{2}$의 반응성(상온) | 직사광을 쐬어 주면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 관찰하지 않았음 | 촉매를 사용해야 반응한다. |
HX의 끓는점 | $-85$℃ | 19.5℃ | $-67$℃ |
HX의 수용액 | 강한 산성 | 약한 산성 | 강한 산성 |
위 자료를 근거로 판단할 때 (가), (나), (다)로 가장 적절한 원소는?
① (가) Cl / (나) F / (다) Br
② (가) Cl / (나) F / (다) I
③ (가) F / (나) Cl / (다) Br
④ (가) F / (나) Cl / (다) I
⑤ (가) F / (나) I / (다) Br
ㄴ. 플라스크 안의 물을 드라이로 가열하여 증발시킨다.
ㄷ. 플라스크 안의 온도와 밖의 기온이 같아지도록 잠시 그대로 둔 후, 플라스크 외부를 단열 장치한다.
ㄹ. 공기가 서서히 빠져 나가도록 콕 a를 조금 열고 플라스크 안이 흐려질 때의 온도를 기록한다.
ㅁ. 플라스크 안이 흐려질 때부터 온도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흐려진 상태의 변화를 관찰한다.
① CD : ㄴ / DE : ㄹ
② CD : ㄷ / DE : ㄱ
③ CD : ㄷ / DE : ㄴ
④ CD : ㅁ / DE : ㄱ
⑤ CD : ㅁ / DE : ㄷ
ㆍ 그림 B와 같이 피펫을 꽂은 봉숭아를 물 밖으로 내 놓고 그 옆에 200W 전구를 켜 둔다.
ㆍ 전구와 복숭아 사이의 거리를 달리하면서 각 거리에서 10분마다 피펫의 눈금을 읽는다.
표. 증산 작용 실험 결과
가(변인) | |
나(변인) | 다(관찰 자료) |
① 가 : 온도 / 나 : 빛의 세기 / 다 : 물의 흡수량
② 가 : 식물의 크기 / 나 : 온도 / 다 : 물의 이동 거리
③ 가 : 빛의 세기 / 나 : 시간 / 다 : 물의 이동 거리
④ 가 : 물의 흡수량 / 나 : 온도 / 다 : 빛의 세기
⑤ 가 : 시간 / 나 : 물의 방출량 / 다 : 빛의 세기
만약 이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거의 0에 가깝다고 가정하면,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정촉매의 효과는 거의 없을 것이다.
② 서로 충돌한 반응물은 거의 100% 생성물로 될 것이다.
③ 반응 속도는 매우 느릴 것이다.
④ 역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도 거의 0일 것이다.
⑤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농도는 같을 것이다.
이 렌즈를 사용할 때, 가능한 물체와 상의 관계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는 실선으로, 상온 점선으로 나타냈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ㄹ
⑤ ㄴ, ㄷ, ㄹ
<보기>의 항목 중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두 개를 고른 것은?
ㄴ. 풍향은 서 또는 남서로 지속되다가 점차 북동으로 바뀐다.
ㄷ. 구름량이 증가하면서 비가 올 확률은 점차 높아진다.
ㄹ. 기온은 점점 낮아지다가 21일 9시 이전에 급격히 떨어진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어느 날 C 지역에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 그 원인이 화학 공장의 폐수에 포함된 황산 때문인지, 발전소에서 나오는 더운 물 때문인지, 또는 다른 원인 때문인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A, B, C 지역의 물을 이용하여 수행해야 할 실험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2점]
ㄴ. A, B, C 지역의 황산 농도와 온도를 측정한다.
ㄷ. A 지역의 물의 황산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물고기를 관찰한다.
ㄹ. A 지역의 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물고기를 관찰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이 날, 그림 (다)에서 달은 어느 부근에 위치하는가? [1.2점]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① $F ∝ MR$
② $F ∝ MR^{2}$
③ $F ∝ \dfrac{R}{M}$
④ $F ∝ \dfrac{M}{R}$
⑤ $F ∝ \dfrac{1}{MR}$
실험 | 질산 용액의 농도(M) | 질산 용액의 부피(mL) | 대리석 조각의 상태 |
1 | 2.0 | 40 | 작은 조각 |
2 | 2.0 | 40 | 큰 조각 |
3 | 1.0 | 40 | 작은 조각 |
① 측정 결과 얻은 질량의 감소량은 발생한 $\text{CO}_{2}$의 질량과 같다.
② 실험 장치에서 솜마개를 하지 않아도 실험 결과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③ 플라스크 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수조 속의 물의 양은 충분해야 한다.
④ 대리석 조각의 상태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낼 수 있다.
⑤ 묽은 질산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낼 수 있다.
(단위 : g)
실험 \ 반응 시간(분) | 1 | 2 | 3 | 5 | 7 | 9 |
1 | 0.85 | 1.31 | 1.48 | 1.56 | 1.59 | 1.60 |
2 | 0.38 | 0.75 | 1.05 | 1.38 | 1.53 | 1.59 |
3 | 0.40 | 0.58 | 0.68 | 0.76 | 0.79 | 0.80 |
이 실험 결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질산 용액의 농도는 반응 속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② 반응이 진행될수록 반응 속도는 느려지는 경향을 보인다.
③ 대리석 조각의 크기가 작으면 발생한 $\text{CO}_{2}$의 총량도 적다.
④ 대리석의 양이 많을수록 발생하는 $\text{CO}_{2}$의 총량도 많다.
⑤ 질산 용액의 농도가 같으면 그 양에 관계 없이 발생하는 $\text{CO}_{2}$의 총량도 같다.
B : 옥신 첨가
C : 지베렐린 첨가
D : 옥신이나 지베렐린 첨가 안 함
① 지베렐린은 콩 줄기의 길이 생장을 억제하는 데 옥신보다 더 효과적이다.
② 옥신과 지베렐린이 콩의 굴광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일하다.
③ 옥신과 지베렐린은 농도에 따라 콩의 조직과 기관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억제한다.
④ 같은 농도에서는 지베렐린보다 옥신이 콩 줄기의 생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⑤ 옥신과 지베렐린은 같은 농도일지라도 콩의 조직과 기관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친다.
다음 표는 주요 광물의 화학적 풍화 산물을 보여 준다.
광물 | 용해되는 성분 | 용해되지 않은 물질 | |
운반되어 나가는 물질 | 남아 있는 물질 | ||
석영 | 석영 입자 | ||
정장석 | $\text{K}^{+}$ | 점토 | |
흑운모 | $\text{K}^{+}$ | 점토 | |
각섬석 | $\text{Ca}^{2+}$, $\text{Mg}^{2+}$ | 점토 |
이 표를 이용하여 위 그림의 화학적 풍화 과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가)에서 생성된 점토는 주로 각섬석이 분해된 것이다.
② (나)에서 생성된 점토는 주로 각섬석과 정장석이 분해된 것이다.
③ (가)에서는 주로 $\text{K}^{+}$가 용해되었다.
④ (나)에서는 주로 $\text{Ca}^{2+}$, $\text{Mg}^{2+}$가 용해되었다.
⑤ 화학적 풍화에 가장 약한 광물은 흑운모이다.
힘 | 작용점 | 방향 | 크기 |
근육이 위로 당기는 힘 | A | 수평선과 70° | $F$ |
골반이 다리뼈를 누르는 힘 | B | 연직선과 13° | $P$ |
다리의 무게 | C | 연직하방 | $W_{L}=\dfrac{1}{7}W$ |
지면이 발에 작용하는 힘 | D | 연직상방 | $W$ |
ㄴ. $F \sin 70°+P \cos 13°=0$
ㄷ. $F \sin 70°-P \cos 13°- \dfrac{1}{7} W+W=0$
ㄹ. $F \cos 70°+P \sin 13°+ \dfrac{1}{7} W-W=0$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