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5년 11월 2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
시행 : 1995.11.2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ㄴ. 메스 실린더
ㄷ. 건강 음료의 비중
ㄹ. 건강 음료 속의 물과 첨가물의 질량비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ㆍ 단백질은 위액을 혼합한 용액에서 쉽게 분해된다.
ㆍ 수소와 산소의 혼합 기체는 백금 가루가 있으면 실온에서도 잘 반응한다.
ㆍ 체내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철 양이온에 의하여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① 촉매 반응
② 흡열 반응
③ 효소 반응
④ 분해 반응
⑤ 치환 반응
$$\text{Cu}^{2+}(aq)+\text{H}_{2}(g) ⇄ \text{Cu}(s)+2\text{H}^{+}(aq), K=3 \times 10^{11}$$ 여기서, $K$는 평형 상수이다.
그림과 같이 약 3g의 구리판을 1M 염산 용액 100mL에 완전히 잠기게 하여 며칠을 두었다. (단, 공기 중의 수소 기체의 양은 매우 적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구리판은 완전히 녹을 것이다.
② 평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량의 구리가 녹아 푸른색을 띨 것이다.
③ 구리의 양이 염산에 비해 많으므로 0.2몰의 구리가 녹을 것이다.
④ 구리는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이다.
⑤ 구리는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으므로 잘 녹을 것이다.
지각 (대기와 바다 포함) | 생물체 | ||
원소 | 조성비 (무게%) | 원소 | 조성비 (무게%) |
산소 | 49.5 | 산소 | 65 |
규소 | 25.3 | 탄소 | 18 |
알루미늄 | 7.5 | 수소 | 10 |
철 | 5.1 | 질소 | 3 |
칼슘 | 3.4 | 칼슘 | 2 |
나트륨 | 2.6 | 인 | 1 |
칼륨 | 2.4 | ||
마그네슘 | 2.0 | ||
소계 | 97.8 | 소계 | 99 |
수소, 티타늄, 염소, 인, 망간, 탄소, 황, 바륨, 질소 | 1.8 | 칼륨, 황, 염소, 나트륨, 마그네슘, 철 | 0.9 |
기타원소 | 0.4 | 기타원소 | 0.1 |
탄소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질의 기본 골격을 이룬다. 생물체의 탄소 조성비가 지각의 탄소 조성비와 다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생명 현상은? [0.8점]
① 공생과 기생
② 생식과 발생
③ 물질대사
④ 운동과 행동
⑤ 자극에 대한 반응
그래프와 같이 이산화탄소 분압에 따라 산소 헤모글로빈의 해리 곡선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헤모글로빈의 농도는 pH가 높아질수록 증가되기 때문이다.
② 헤모글로빈의 산소에 대한 결합력은 혈액이 산성화될수록 감소되기 때문이다.
③ 헤모글로빈은 산소 분압이 높아질수록 이산화탄소와 더 잘 결합하기 때문이다.
④ 산소 헤모글로빈의 농도는 일정한 산소 분압에서 pH가 낮아질수록 증가되기 때문이다.
⑤ 헤모글로빈은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아질수록 산소와 더 잘 결합하기 때문이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A의 질량은 B의 두 배이다.
ㄷ. A의 운동에너지는 B의 두 배이다.
ㄹ. 서로 미는 동안 A와 B가 서로 미는 힘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위치 | (A) | (B) | (C) |
관측값(초) | 279 | 1107 | 1715 |
전파의 속도를 $c$라 할 때, 위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 $\dfrac{(1715+1107+279)}{3} \times \dfrac{1}{2} \times c$
② $\dfrac{(1715+1107+279)}{3} \times c$
③ $\dfrac{(1715-279)}{2} \times \dfrac{1}{2} \times c$
④ $\dfrac{(1715+279)}{2} \times \dfrac{1}{2} \times c$
⑤ $\dfrac{(1715-279)}{2} \times c$
물질 | 비열(kcal/kgㆍ℃) |
알루미늄 | 0.22 |
철 | 0.11 |
구리 | 0.09 |
납 | 0.03 |
이 표의 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때, <보기>에서 옳은 진술을 모두 고른 것은? [0.8점]
ㄴ. 철 2kg과 알루미늄 1kg을 각각 1℃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은 같다.
ㄷ. 질량과 온도가 같은 알루미늄과 납에 같은 열량을 주면, 알루미늄의 온도가 더 높아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새로 연결된 저항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이 회로에서 건전지 내부 저항 $r$의 크기는 저항 $R$에 비해 매우 작다.)
① $\dfrac{R}{4}$
② $\dfrac{R}{2}$
③ $2R$
④ $4R$
⑤ $16R$
<보기>는 위의 자료를 가지고 이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내용이다.
ㄴ. 지진의 규모는 화산 활동 후가 화산 활동 전보다 더욱 작아졌다.
ㄷ. 지진의 깊이는 화산 활동 후가 화산 활동 전보다 더욱 깊어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ㆍ 탄소와 수소의 원자수 비가 1 : 1인 화합물은 C와 D이다.
ㆍ B와 D는 적갈색의 브롬($\text{Br}_{2}$) 수용액을 탈색시키나, A와 C 는 탈색시키지 않는다.
① A : 시클로헬산 / B : 에틸렌 / C : 벤젠 / D : 아세틸렌
② A : 벤젠 / B : 에틸렌 / C : 아세틸렌 / D : 시클로헥산
③ A : 벤젠 / B : 아세틸렌 / C : 클로헥산 / D : 에틸렌
④ A : 에틸렌 / B : 벤젠 / C : 시클로헥산 / D : 아세틸렌
⑤ A : 에틸렌 / B : 시클로헥산 / C : 벤젠 / D : 아세틸렌
그래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2점]
ㄴ. 초기 반응 속도는 농도와 무관하다.
ㄷ. A, B, C 세 경우의 반응 속도 상수는 모두 다르다.
ㄹ. 반감기는 4초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지구 A, B, C 위치에서 관측할 수 있는 태양의 모양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이 그래프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2점]
ㄴ. 첫 번째 얼음물을 마시기 전에는 땀 분비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없다.
ㄷ. 얼음물을 마시면 땀 분비가 감소되면서 피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ㄹ. 시상하부의 온도 변화와 땀 분비에 의한 에너지 손실률의 변화는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보기>는 A, B, C, D 및 E 지점에서 관찰되는 암석의 특징을 예상한 내용이다. 예상을 바르게 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D의 암석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리면 거품이난다.
ㄷ. B의 암석은 C의 암석보다 광역변성을 더 많이 받았다.
ㄹ. B의 암석은 C의 암석보다 조직이 더 치밀하고 단단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래프에 대한 올바른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사탕을 반복해서 먹으면 pH는 약 4.5까지 낮아진다.
ㄷ. 그래프 (가)에서 사탕을 다 먹고난 후 먹기 전 상태로 회복하는 데 약 10분 걸린다.
ㄹ. 사탕을 반복해서 먹으면 한 번 먹을 때보다 치아 표면 에나멜층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pH가 더 낮아진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위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축곡선을 얻었다. 추가 올라간 높이는 $h$이고,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g$이다. (단, 추의 질량 이외의 다른 질량은 무시한다.)
이 실험에서 ‘수축기’ 동안의 근육의 평균 일률은?
① $\dfrac{mg}{h} \times \dfrac{1}{NT}$
② $\dfrac{mg}{h} \times NT$
③ $\dfrac{h}{mg} \times \dfrac{1}{NT}$
④ $gmh \times NT$
⑤ $mgh \times \dfrac{1}{NT}$
<표> 도시 A의 연평균 안개 발생 일수
담수 완료 이전 (1972~1980) | 담수 완료 이후 (1981~1989) |
25일 | 50일 |
도시 A에서 나타난 안개 발생 일수의 증가가 댐 건설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보기>와 같은 계획을 세웠다.
ㄴ. A에서 관측된 바람의 방향 분석
ㄷ. A에서 관측된 구름의 종류 분석
ㄹ. A와 호수 주변 일대의 지형 조사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위의 물질들을 배열하여 빛을 통과 시켰더니 다음 그림과 같이 굴절하였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각 물질들이 배열된 순서로 적절한 것은?
① (가) : 다이아몬드 / (나) : 유리 / (다) : 물
② (가) : 물 / (나) : 유리 / (다) : 물
③ (가) : 유리 / (나) : 물 / (다) : 다이아몬드
④ (가) : 유리 / (나) : 물 / (다) : 유리
⑤ (가) : 다이아몬드 / (나) : 유리 / (다) : 다이아몬드
다음 그래프는 자극이 주어질 때 세포막 내부와 외부 간의 전위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전하 분포가 역전되는 축색돌기 부분의 전기 용량을 $C_{0}$ 패럿(F)이라 할 때, 역전되는 과정에서 세포막을 통과한 나트륨 이온의 총 전하량은 몇 쿨롱(C)인가? [1.2점]
① $0.02C_{0}$
② $0.1C_{0}$
③ $2C_{0}$
④ $10C_{0}$
⑤ $50C_{0}$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① 미생물에 의해 강물에서 자정 작용이 일어난다.
② 폐기물이 유입되면 용존산소량이 증가한다.
③ 폐기물이 한 번만 유입되어도 미생물이 계속 증가한다.
④ 미생물이 많이 사는 곳은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 적다.
⑤ 폐기물이 유입된 지점에는 많은 종의 수중 생물이 있다.
① 이온화 에너지는 13.60eV이다.
② 에너지는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③ $n$이 아주 크면 에너지는 거의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④ 1.89eV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흡수하면 $n=2 \to n=3$으로 전이된다.
⑤ 들뜬 상태에서 $n=\infty$로 전이될 때 가장 짧은 파장의 빛을 방출한다.
실험실에서 수소 원자가 $n=3 \to n=2$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광자의 에너지를 $E$라 하자. 그리고 후퇴하는 어떤 은하의 수소 원자가 $n=3 \to n=2$로 전이할 때 방출된 광자의 에너지를 지구에서 관측한 값은 $E^{\prime}$이라 하자.
이 경우 지구에서 그 은하까지의 거리 $d$는 다음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d=10^{10} \dfrac{E-E^{\prime}}{E}광년$$ $E^{\prime}$이 1.70eV로 관측된 은하까지의 거리는 대략 몇 광년이겠는가?
① $2\times 10^{8}$
② $5\times 10^{8}$
③ $1\times 10^{9}$
④ $3\times 10^{9}$
⑤ $5\times 10^{9}$
다음 그래프는 이 물체의 속도와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의 A, B, C는 각각 위 그림의 A, B, C 상태에 대응되는 점이다.
물체의 질량이 0.1kg일 때, 이 용수철의 용수철 상수는?
① 10N/m
② 20N/m
③ 40N/m
④ 60N/m
⑤ 80N/m
지구 주위를 도는 이 인공성의 주기를 $T$라 할 때, 궤도 반지름 $\dfrac{R}{4}$로 달 주위를 도는 같은 질량의 인공위성의 주기는? (단, 달의 질량은 $\dfrac{M}{80}$이다.)
① $\sqrt{\dfrac{80}{4^{2}}}T$
② $\sqrt{\dfrac{80}{4^{3}}}T$
③ $\sqrt{\dfrac{80^{2}}{4^{3}}}T$
④ $\sqrt{\dfrac{4^{2}}{80}}T$
⑤ $\sqrt{\dfrac{4^{3}}{80}}T$
ㆍ A와 C는 서로 잘 섞인다.
<조사 내용>
ㆍ A분자에는 비공유 전자쌍이 하나 있다.
ㆍ C와 D분자의 원자수는 같다.
ㆍ 분자 구조는 다음과 같다.
① A : ㄱ / B : ㄹ / C : ㄴ / D : ㄷ
② A : ㄴ / B : ㄷ / C : ㄱ / D : ㄹ
③ A : ㄴ / B : ㄹ / C : ㄱ / D : ㄷ
④ A : ㄷ / B : ㄴ / C : ㄹ / D : ㄱ
⑤ A : ㄹ / B : ㄱ / C : ㄷ / D : ㄴ
이 날의 기상 상태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2점]
① 우리나라에 부는 바람은 북풍 계열이다.
② 황해상에서 기단의 변질로 전선이 만들어지고 있다.
③ 황해상을 지나는 동안 대기 하층이 불안정해지고 있다.
④ 충청과 호남지방의 서해안에 눈이 내릴 가능성이 크다.
⑤ 동해상을 지나는 공기는 해수에서 열과 수증기를 공급받고 있다.
ㄴ. 분자 구조
ㄷ. 무질서도(마구잡이도)
ㄹ. 얼음과 물의 전체 몰 수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ㄹ
나. 그림과 같이 크기가 같은 화분에 같은 성분의 토양을 넣었다.
다. 각 화분에 생장 정도가 같은 콩모종을 심었다.
라. 모든 화분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같은 온실에 두었다.
마. 모든 화분에 매일 같은 양의 빛과 물을 충분하게 공급하였다.
바. 삼십 일 후 각 화분에서 자란 콩의 키를 측정하였다.
① 화분 크기에 따라 콩의 생장 속도가 다를 것이다.
② 퇴비 200g을 사용하면 콩이 더 크게 자랄 것이다.
③ 오래 썩힌 퇴비일수록 물을 많이 필요로 할 것이다.
④ 퇴비는 여러 종류의 식물을 섞어서 만드는 것이 좋을 것이다.
⑤ 오래 썩힌 퇴비일수록 콩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이 많을 것이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 $I$의 방향을 위 그림에서와 같이 나타낼 때, 시간에 따른 전류변화는 다음 그래프와 같았다.
이 경우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 $I^{\prime}$의 방향을 위 그림에서와 같이 나타낸다면 유도 전류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ㄴ. 과정 ‘ㄱ’에서 만든 용액을 충분히 식힌 다음 약 500mL가 되도록 묽힌 후, 이 중 20mL를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여 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였다.
ㄷ. 아스피린 시료 2g을 녹인 용액 50 mL에 선생님께서 만드신 페놀프탈레인 용액 약 5mL를 지시약으로 넣었다.
ㄹ. 적정을 시작하기 전 $\text{NaOH}$ 용액을 넣은 뷰렛의 눈금을 읽었더니 2.55mL 이었고, 종말점에서는 27mL이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위와 같은 현상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① 여름에 국화를 꽃 피우려면 단일처리를 한다.
② 가을보리는 가을에 파종하여야 이듬해 봄에 이삭이 팬다.
③ 식물의 줄기는 햇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자란다.
④ 뱀이나 개구리는 겨울잠을 잔다.
⑤ 식물의 뿌리는 굴지성을 보인다.
자동차 위쪽에서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성이 가장 큰 지질 구조를 가진 도로는? [0.8점]
나) 냉동실에 바닷물을 넣어 어느 정도 얼린 후, 얼지 않고 남은 물의 맛을 보았더니 얼리기 전 바닷물보다 더 짜졌다.
다) 0.2m, 0.4m, 0.6m, 0.8m, 1.0m 농도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의 어는점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① 바닷물의 끓는점은 100℃보다 약간 낮을 것이다.
②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대략 0.8m 정도일 것이다.
③ 나)에서, 얼지 않고 남은 물은 처음의 바닷물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 것이다.
④ 추운 지방에서 바다가 얼었을 때, 이 얼음에는 바닷물 자체보다 염분이 많을 것이다.
⑤ 기온이 영하 10℃인데도 바다가 얼지 않은 것은 바닷물 속의 염분이 주요 원인일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