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6년 11월 13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
시행 : 1996.11.13(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① $\text{BF}_{3}$의 밀도를 측정한다.
② $\text{BF}_{3}$의 극성 유무를 알아본다.
③ $\text{BF}_{3}$의 원소 분석을 정확하게 실시한다.
④ $\text{BF}_{3}$와 $\text{NH}_{3}$의 반응 속도를 측정한다.
⑤ $\text{BF}_{3}$와 $\text{H}_{2}\text{O}$를 반응시켜 생성된 화합물의 녹는점을 측정한다.
아래 <보기>는 위의 상황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생각한 단계이다. 잘못된 단계를 모두 고른다면?
ㄴ. 합력이 0이므로, 철수가 물체를 당기는 힘과 영수가 물체를 당기는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만 반대이다.
ㄷ. 따라서, 위의 두 힘은 뉴턴 제3법칙에서 말하는 작용과 반작용의 관계에 있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잘못된 단계가 없다.
위 그림에서 꼬마전구를 렌즈의 왼쪽에 놓고 횐종이를 움직이면서 상을 찾으려고 한다. 횐종이에 상이 생기는 경우를 아래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ㄴ. [꼬마전구를 놓는 곳] : F점 / [횐종이로 상을 찾는 곳] : 렌즈의 오른쪽
ㄷ. [꼬마전구를 놓는 곳] : F와 렌즈 사이 / [횐종이로 상을 찾는 곳] : 렌즈의 오른쪽
ㄹ. [꼬마전구를 놓는 곳] : F와 렌즈 사이 / [횐종이로 상을 찾는 곳] : 꼬마전구의 왼쪽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ㄹ
⑤ ㄴ, ㄹ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AA―AO
② AO―BB
③ AO―BO
④ AO―AB
⑤ BO―OO
① 백혈구에 $\alpha$응집수가 없기 때문에
② 혈청에 $\alpha$응집소와 $\beta$응집소가 모두 있기 때문에
③ 적혈구에 A응집원과 B응집원이 모두 있기 때문에
④ 적혈구와 혈청에 응집원과 응집소가 모두 없기 때문에
⑤ 적혈구에 응집원은 있으나 혈청에는 응집소가 없기 때문에
이 그림으로부터 철수가 별의 공간속도 $v$를 구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것은?
① 별까지의 거리 $d$는 연주시차 또는 실시등급 및 절대등급값으로부터 구한다.
② 시선방향 속도 $v_{r}$은 별 스펙트럼선의 도플러 이동량으로부터 구한다.
③ 고유운동 $\mu$는 1년간 별의 밝기 변화량과 거리 $d$로부터 구한다.
④ 접선방향 속도 $v_{t}$는 거리 $d$와 고유운동 $\mu$값을 이용하여 구한다.
⑤ 별의 공간속도 $v$는 $v= \sqrt{{v_{r}}^{2}+{v_{t}}^{2}}$ 관계에서 구한다.
녹말, 지방, 단백질이 모두 들어 있는 시험관에 충분한 양의 침, 위액, 소장액을 넣고 pH를 2~3으로 맞추어 36℃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영양소가 분해되는 상태를 시간($t$)에 따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2점]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ㄴ. $\text{Na}_{2}\text{CO}_{3}$의 화학식량
ㄷ. 사용된 $\text{Na}_{2}\text{CO}_{3}$의 양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 비휘발성이며 수용액은 약염기성이다.
②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다.
③ 녹는점이 높으며, 표준 상태에소 고체이다.
④ 산과 반응할 때 중성염을 생성한다.
⑤ 산과 반응할 때 반응속도가 크다.
위 자료를 근거로 지각의 상태를 해석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륙의 면적은 대륙의 평균 고도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② 대륙의 평균 두께는 유라시아 대륙이 가장 클 것이다.
③ 대륙의 평균 두께는 오세아니아 대륙이 가장 작을 것이다.
④ 남극 대륙의 고도는 얼음을 포함한 평균 고도일 것이다.
⑤ 면적이 $25 \times 10^6\text{km}^2$인 대륙은 평균 고도가 약 500m가 될 것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붉은 색 광원 대신에 같은 밝기의 푸른 색 광원으로 바꾸면 그래프는 어떻게 변하겠는가?
① $I_{O}$는 커지고, $D$는 좁아진다.
② $I_{O}$는 커지고, $D$는 넓어진다.
③ $I_{O}$는 작아지고, $D$는 좁아진다.
④ $I_{O}$는 작아지고, $D$는 넓어진다.
⑤ $I_{O}$와 $D$ 모두 변함없다.
나. 송화 가루를 식용유 막 위에 뿌린다.
다. 석유에테르 용매로 묽힌 올레산 용액 한 방울을 식용유 막의 중앙에 떨어뜨린다.
라. 형성된 올레산 막의 넓이를 측정하고, 넓이로부터 이 막의 두께를 계산한다.
① 표면이 흔들리지 않게 그릇을 고정시켜야 한다.
② 송화 가루는 막의 경계를 쉽게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다.
③ 형성된 올레산 막은 단분자층이고 물 표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④ 올레산 막의 넓이를 계산할 때 석유에테르 용매가 차지하는 넓이를 빼 준다.
⑤ 충분히 묽은 농도의 올레산 용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막이 수면을 완전히 덮지 않도록 해야 한다.
ㄴ. 사람에게 $\text{NaHCO}_{3}$ 수용액을 주사하면, Hb와 $\text{O}_{2}$의 결합이 쉽게 된다.
ㄷ. 세포 내 $\text{CO}_{2}$ 농도가 매주 낮아지면, Hb와 $\text{O}_{2}$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① 체온이 올라가므로 pH가 낮아져, $\text{O}_{2}$의 공급이 어려워진다.
② $\text{O}_{2}$가 많이 소모되어 pH가 높아져, $\text{O}_{2}$의 공급이 어려워진다.
③ $\text{CO}_{2}$가 많이 생성되어 pH가 낮아져, $\text{O}_{2}$의 공급이 많아진다.
④ $\text{CO}_{2}$와 $\text{O}_{2}$가 많이 생성되어 pH가 낮아져, $\text{O}_{2}$의 공급이 많아진다.
⑤ $\text{CO}_{2}$와 $\text{O}_{2}$가 많이 생성되어 pH가 높아져, $\text{O}_{2}$의 공급이 어려워진다.
성염색체가 XO형인 여성은 난소가 제대로 발달되지 않으며, 2차 성장도 뚜렷하지 못하다. 이 여성의 뇌하수체와 난소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뇌하수체] : 정상 발달 / [난소] : 정상 배란
② [뇌하수체] : 비정상 발달 / [난소] : 정상 배란
③ [뇌하수체] : 여포자극호르몬 정상 분비 / [난소] : 프로게스테론 비정상 분비
④ [뇌하수체] : 여포자극호르몬 비정상 분비 / [난소] : 프로게스테론 정상 분비
⑤ [뇌하수체] : 여포자극호르몬 비정상 분비 / [난소] : 프로게스테론 비정상 분비
위의 결과에 대한 올바른 설명과 결론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결론 ‘나’ : 꽃이 피는 데는 지속적인 암기가 중요한 환경 요인이다.
① 결론 ‘가’, A와 B는 장일 식물이다.
② 결론 ‘가’, D는 단일 식물이다.
③ 결론 ‘나’, A와 C는 장일 식물이다.
④ 결론 ‘나’, B는 단일 식물이다.
⑤ 결론 ‘나’, C는 단일 식물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폭이 좁은 알루미늄박지 ($R_{1}$)의 길이가 10.0cm라면, 폭이 약 몇 mm일 때 $R_{1}$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겠는가? 단, 길이가 5.0cm이고 폭이 1.0mm인 알루미늄박지의 저항은 0.1Ω이다.
① 0.25mm
② 0.5mm
③ 1.0mm
④ 2.0mm
⑤ 4.0mm
시간 $t$에 대한 벽돌의 운동속도 $v$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낸 그래프는? (단, 지구의 운동에 의한 효과와 벽돌과 판 사이의 마찰은 무시하며, 판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2점]
위의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는 채층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② 코로나의 활동 지역이 (나)에 나타나 있다.
③ (가)에는 (나)보다 온도가 낮은 지역이 나타나 있다.
④ X선 사진 중앙의 밝은 지역은 (가)의 흑점과 관련이 있다.
⑤ 연속된 시간의 태양 사진이 얻어지면 태양의 자전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용암의 $\text{SiO}_{2}$ 성분의 평균 함량>
용암의 종류 | A | B | C |
$\text{SiO}_{2}$ (중량%) | 45~50 | 55~60 | 65~70 |
① (가)는 (다)보다 온도가 더 높다.
② (나)는 중성 마그마이다.
③ (다)에서 결정되는 광물은 주로 무색 광물이다.
④ (가)에서 결정되어 가라앉는 광물은 주로 유색 광물이다.
⑤ (가), (나), (다)는 각각 용암 C, B, A의 마그마이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공격 행동을 일으키는 신호 자극은?
① 수평 자세이다.
② 붉은 색의 배이다.
③ 가시고기의 외형이다.
④ 붉은 색의 배와 수평 자세이다.
⑤ 붉은 색의 배, 수평 자세 및 가시고기의 외형이다.
① $2\text{CO}(g)+\text{O}_{2}(g) → 2\text{CO}_{2}(g)$
② $\text{CaCO}_{3}(s) ⇄ \text{Ca}^{2+}(aq)+{\text{CO}_{3}}^{2-}(aq)$
③ ${\text{CO}_{3}}^{2-}(aq)+\text{H}_{3}\text{O}+(aq) ⇄ {\text{HCO}_{3}}^{-}(aq)+\text{H}_{2}\text{O}(l)$
④ $\text{SO}_{3}(g)+\text{H}_{2}\text{O}(l) → \text{H}_{2}\text{SO}_{4}(aq)$
⑤ $2\text{NO}_{2}(g)+\text{H}_{2}\text{O}(l) → \text{HNO}_{3}(aq)+\text{HNO}_{2}(aq)$
① 생물의 체온이 올라가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② 생물의 운동력이 떨어져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③ 생물의 체액을 순환시키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④ 세포가 모여 조직을 형성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⑤ 세포의 생명 현상에 관계하는 효소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ㄴ. 1.0M 암모니아 용액 200mL
ㄷ. 1.0M 아세트산 용액 100mL와 1.0M 암모니아 용액 100mL의 혼합용액 200mL
ㄹ. 1.0M 에틸알코올 용액 200mL
① $A≈B > C > D$
② $A≈B≈C > D$
③ $A > B≈C > D$
④ $C > A≈B > D$
⑤ $C > A≈B≈D$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빗물에 용해된 성분들은 대부분 해수에서 온 것이다.
② 강물에 있는 $\text{Na}^{+}$와 $\text{Ca}^{2+}$은 대부분 암석의 풍화로 용해된 것이다.
③ 해수에 있는 $\text{Cl}^{-}$은 거의 대부분 빗물과 강물에 의해 공급된 것이다.
④ 해수에 유입된 $\text{Ca}^{2+}$과 $\text{H}_{4}\text{SiO}_{4}$은 화학적으로 침전되거나 생물체에 의해 제거된다.
⑤ 해수에 유입된 ${\text{HCO}_{3}}^{-}$은 $\text{CO}_{2}$로 변화되거나 화학적 침전 및 생물체에 의해 제거된다.
①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으로 $\text{Cl}^{-}$의 존재를 확인한다.
② $\text{AgNO}_{3}$ 용액으로 $\text{Mg}^{2+}$의 존재를 확인한다.
③ $\text{BaCl}_{2}$ 용액으로 ${\text{SO}_{4}}^{2-}$의 존재를 확인한다.
④ $\text{H}_{2}\text{S}$를 사용하여 $\text{Ca}^{2+}$의 존재를 확인한다.
⑤ 불꽃 반응으로 $\text{K}^{+}$, $\text{Ca}^{2+}$, $\text{Cl}^{-}$의 존재를 확인한다.
열림설을 지지하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ㄴ. 동해 밑에 해양 지각의 암석이 분포한다.
ㄷ. 한반도 남동부와 일본 남서부의 지질이 서로 유사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자료를 근거로, 증발암의 분포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ㄴ. 증발암은 북위와 남위 각각 30도 부근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ㄷ. 적도 부근에 증발암이 적은 것은 증발량에 비해 강수량이 많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바깥 기온이 0℃인 날, 오랫동안 비워 놓았던 두 집에 단위 시간당 발열량이 $P_{0}$인 보일러를 각각 계속 가동하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그래프 (다)는 만 부근의 외해에서 깊이에 따른 밀도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만의 물이 외해로 흘러나오면 그래프 (다)에서 어느 깊이를 따라 이동하겠는가? (단, 만의 물이 흘러가는 동안 외해의 물과 섞이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① 표면
② ㄱ
③ ㄴ
④ ㄷ
⑤ ㄹ
위의 기압 분포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ㄴ. 남위 30도와 북위 30도 부근에 있는 고기압들은 대기 대순환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ㄷ. 같은 위도에서 해양에서의 기압이 대륙보다 높은 것은 해수의 비열이 크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ㆍ 운석의 질량 : 약 20g
ㆍ 운석의 대기권 진입 속력 약 : 40,000m/s
ㆍ 철의 비열 : 약 450J/kgㆍK
ㆍ 철의 녹는점 : 약 1,800K
<계산>
운동에너지의 약 3%만이 운석의 온도를 높히는 데 사용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dfrac{1}{2} \times (2.0 \times 20 ^{-2} ) \times (4.0 \times 10 ^{4} ) ^{2} \times 0.03=(2.0 \times 10 ^{-2} ) \times (4.5 \times 10 ^{2} ) \times \Delta T$
<결론>
운석의 온도는 약 $5.3 \times 10^{4}$K가 되므로 운석이 다 녹아버린다.
① 운석의 위치에너지 변화량은 무시한다.
② 운석의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③ 운석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④ 열에너지의 대부분은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⑤ 철의 비열은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① 지구와 달의 중력값
② 태양의 흑점 주기에 대한 자료
③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 자료
④ 지구와 달의 지각 활동에 대한 자료
⑤ 달이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 크기에 대한 자료
① 시클로헥산 분자에서 C-C 결합은 무극성이고, 물 분자에서 O-H 결합은 극성이다.
② 시클로헥산 분자에서 C-C 결합에너지는 물 분자에서 O-H 결합에너지보다 작다.
③ 시클로헥산 분자와 물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은 약하다.
④ 시클로헥산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은 물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보다 약하다.
⑤ 분자의 극성이 유사한 물질들은 서로 잘 용해된다.
고온의 기체 G를 충분히 냉각시킨 후, 아래 그림과 같이 백열등 S에서 나오는 빛을 통과시켜 분광기로 관찰하였다.
냉각된 기체 G를 통과하여 분광기에 도착하는 빛의 세기를 파장에 따라 가장 잘 나타낸 그래프는?
ㄴ. 코일 안으로 막대 자석을 빠르게 넣었다 뺏다.
ㄷ. 코일 2개를 일직선 상에 마주 보게 놓고, 교류 전원이 연결된 코일의 스위치를 닫았다.
ㄹ. 코일 2개를 일직선 상에 마주 보게 놓고, 직류 전원이 연결된 코일의 스위치를 닫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① 송신소 안테나에서 전자기파를 내보내는 현상
② 전기 회로에서 저항이 크면 전류가 적게 흐르는 현상
③ 건전지에 연결된 직선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존재하는 현상
④ 건전기가 연결된 평행판 축전기 사이에 일정한 전기장이 존재하는 현상
⑤ 일정한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두 도선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현상
이 실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전류계를 그림의 ‘가’ 위치에, 전압계는 ‘나’ 위치에 연결한다.
②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구리판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고, 탄소전국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③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탄소전극에서는 $\text{H}_{2}$가 발생한다.
④ 전기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건전지에서는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한다.
⑤ 이 실험을 통하여 구리판에 석출된 Cu의 질량은 통해준 전하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실험으로부터 시원 생식 세포 형성요소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2점]
ㄴ. 수정후에 만들어진다.
ㄷ. 자외선에 대한 민감도는 수정시에 감소한다.
ㄹ. 자외선에 대한 민감도는 수정에서 2세포기로 될 때 감소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① 세포주기에서 S기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② 세포질 분열이 빠른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③ DNA의 복제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④ 세포분열 후 세포의 생장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⑤ 핵분열이 세포질 분열보다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다음 그래프는 오징어의 축색돌기에 자극을 주고 $\text{Na}^{+}$과 $\text{K}^{+}$의 출입에 의한 축색막 안팎의 전위차를 시간에 따라 기록한 것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가’ 시기에는 $\text{K}^{+}$이 축색막 안쪽보다 바깥쪽에 더 많다.
② ‘나’ 시기에는 $\text{Na}^{+}$이 축색막 안쪽으로 이동한다.
③ ‘다’ 시기에는 축색막 안팎으로 이온의 이동이 없다.
④ ‘라’ 시기에는 $\text{K}^{+}$이 축색막 안쪽으로 이동한다.
⑤ ‘라’ 시기에는 $\text{Na}^{+}$이 축색막 안쪽으로 이동한다.
① $1.0 \times 10 ^{-3}$몰
② $1.0 \times 10 ^{-6}$몰
③ $1.0 \times 10 ^{-9}$몰
④ $1.0 \times 10 ^{-12}$몰
⑤ $1.0 \times 10 ^{-15}$몰
ㄴ. 오징어가 분사한 물의 평균 분사 속력
ㄷ. 오징어가 분사한 물의 총질량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 태양 광도에너지 $L _{◉}$(erg/s) / $L _{◉}=4\pi r^{2}S$
2. 소행성에서 본 태양의 밝기 $I _{◉}$(erg/s) / $I_{◉}=\dfrac{L _{◉}}{4\pi d^{2}}$
3. 소행성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F$(erg/s) / $F=I_{◉}\pi r^{2}$
4. 소행성에서 반사되는 태양에너지 $L _{c}$(erg/s) / $L _{c}=?$
5. 지구에서 본 소행성의 밝기 $I_{c}$(erg/s) / $I_{c}=?$
① [$L _{c}$] : $AF$ / [$I_{c}$] : $AF/(4 \pi D ^{2} )$
② [$L _{c}$] : $AF$ / [$I_{c}$] : $AF/(4 \pi D ^{3}/3 )$
③ [$L _{c}$] : $(1-A)F$ / [$I_{c}$] : $(1-A)F/(4 \pi D ^{3}/3 )$
④ [$L _{c}$] : $F$ / [$I_{c}$] : $F/(4 \pi D ^{2} )$
⑤ [$L _{c}$] : $F$ / [$I_{c}$] : $F/(4 \pi D ^{2}/3 )$
위 그래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보기>에서 모두 고른다면?
ㄴ. ‘다’ 영역에서 기울기가 있는 이유는 이 물질이 고체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ㄷ. ‘마’ 영역에서 기울기가 있는 이유는 용매가 결정으로 석출되면서 용액의 어는점이 점차 낮아지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