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8년 11월 18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인문계](사회)[정치]
시행 : 1998.11.18(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① 종교적 권위가 국가 권력보다 더 상위에 있다.
② 국가의 주요한 역할은 다른 국가를 정복하는 것이다.
③ 인민은 국가가 부여하는 의무를 준수할 필요가 없다.
④ 국가 권력의 원천은 국가 성립에 대한 인민의 동의이다.
⑤ 인민은 국가가 성립되어도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에 있다.
① 관료 제도의 폐단을 줄일 수 있다.
②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을 줄일 수 있다.
③ 선거 비용과 선거 기간을 모두 줄일 수 있다.
④ 양당 제도가 쉽게 정착되어 정국이 안정될 수 있다.
⑤ 득표율에 비해 다수당이 많은 의석 수를 얻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① 이 협정은 국제 레짐의 일종이다.
② 이 협정에 따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설립되었다.
③ 이러한 협정은 국제 수준의 규범적 제도의 성격을 지닌다.
④ 이러한 협정은 국가간의 기대와 이해 관계가 수렴되어 형성된다.
⑤ 이러한 협정을 체결하는 과정에는 패권(覇權), 이념, 타협 등이 변수로 작용한다.
전문가의 지상 좌담 소개
◦ 을 : 사설을 통해 그 의의와 타당성을 논함
◦ 병 : 학부모, 교사, 학생들의 반응 소개
달라질 교육 현장의 모습 설명
① 언론은 사실 정보만을 보도한다.
② 언론은 여론 형성에 기여한다.
③ 언론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④ 언론은 관련 당사자들의 의견을 소개한다.
⑤ 언론은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기능을 한다.
◦ 인간은 권리에 있어서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나 생존한다. 사회적 차별은 공동 이익을 위해서만 있을 수 있다.
① 신분상의 특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② 역사적 성격상 자유권적 기본권 보장이 핵심이다.
③ 개인의 선천적, 후천적 조건의 차이를 부인하고 있다.
④ 모든 사람은 인격적으로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
⑤ 개인의 능력과 업적에 따른 상대적, 비례적 평등을 인정한다.
① 미수교국과의 수교 문제
② 지역간 고속도로 건설 사업 문제
③ 노동부 장관의 임명에 관한 문제
④ 주민 편의 시설 확충에 관한 문제
⑤ 첨단 전투기 구매 결정에 관한 문제
정보명 | 주요 내용 |
큰 마당 | ㆍ대통령에게 바란다 ㆍ국정 홍보실 ㆍ정책 토론/건의 ㆍ대통령 동정 |
신문고 | ㆍ감사원 신문고 ㆍ행정 제도 개선 ㆍ감사원에 바란다 ㆍ신문고 토론 |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 ㆍ장관과의 대화 ㆍ내무 행정 소개 ㆍ정책 제안, 건의, 비판 ㆍ민원 상담 |
① 컴퓨터 통신망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② 통신 정보를 통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③ 다양한 연령층이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고 있다.
④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시민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⑤ 신기술로 인해 컴퓨터 통신 장비 구입 비용이 감소하고 있다.
① 사법권과 행정권이 분립되지 않았다.
② 사송이 옥송보다 신속하게 해결되었다.
③ 공정하고 정확한 재판을 위한 심급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다.
④ 신분 사회였으므로 양반들만 재판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⑤ 법관은 재판의 결과에 대해서 아무런 책임 추궁도 당하지 않았다.
-이익(李瀷)-
① 백성의 권리 의식이 강하다.
② 법과 윤리를 엄격히 구분한다.
③ 법은 예에 기초해서 이루어진다.
④ 국가 기관에 대한 불신감이 강하다.
⑤ 법을 개인 자유의 상징으로 인식한다.
국회의원 | 소속 지역구 | 소속 정당 당론 | 주민 의견 | 의원별 표결 내역 |
갑 | 지역A | 찬성 | 반대 | 찬성 |
을 | 지역B | 찬성 | 반대 | 찬성 |
병 | 지역C | 반대 | 반대 | 반대 |
위 자료에 기초한 추론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갑, 을, 병 모두 같은 정당에 소속되어 있다.
② 대의 민주제의 취지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았다.
③ 여론을 바탕으로 하는 정당 정치가 구현되었다.
④ 직접 민주제 방식에 따라 정책 결정이 이루어졌다.
⑤ 정책 결정 과정에 전문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