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인문계](사회)[정치]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① 실정법이 지향하는 보편적 기준이 된다.
② 한 국가의 법이 따라야 할 원리이다.
③ 정의의 원리에 합치된다.
④ 한 국가가 만들어 내는 법을 말한다.
⑤ 부당한 실정법을 개정하는 기준이 된다.
(단위:의석수)
지역 \ 정당 | (갑)당 | (을)당 | (병)당 | 계 |
(가)지역 | 8 | 0 | 28 | 36 |
(나)지역 | 0 | 36 | 0 | 36 |
(다)지역 | 38 | 0 | 2 | 40 |
기타 지역 | 26 | 2 | 7 | 35 |
계 | 72 | 38 | 37 | 147 |
ㄴ. 정당 지지의 지역적 편중이 나타난다.
ㄷ. 안정적인 과반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이 없다.
ㄹ. (을)당은 기타 지역에서 가장 고른 당선자를 배출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ㆍ 국제 적십자사를 비롯한 여러 봉사 단체들이 터키 지진 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활동을 벌였다.
ㆍ 일본의 플루토늄 반입을 저지하기 위해 그린피스 등 여러 환경 단체들이 시위를 벌였다.
① 국제 사회는 항상 평화가 유지된다.
②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③ 국제 사회는 강대국의 영향력에 의해 좌우된다.
④ 국제 사회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한다.
⑤ 국제 사회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의해 질서가 유지된다.
ㄴ. 종교의 자유
ㄷ. 신체의 자유
ㄹ. 근로의 자유
ㅁ. 환경권
① ㄱ, ㄴ
② ㄱ, ㅁ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ㄹ, ㅁ
① 사법이 공법화 되어 가는 경향과 관계 있다.
② 사적 자치의 원칙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③ 자본주의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나타났다.
④ 노동법, 경제법, 사회보장법 등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⑤ 기본권을 보장하고, 국가 권력을 조직과 행사 방법을 정한다.
① 특정 집단이 이익을 과도하게 추구한다.
② 일반 국민의 여론을 지나치게 의식한다.
③ 특정 인물이나 지역의 이익을 반영한다.
④ 단체 내의 의사 결정 과정이 민주적이다.
⑤ 조직 활동을 통해 정권 획득을 추구한다.
빈도 \ 태도 | 관용성 | 신뢰성 | 비판 정신 | 권리 의식 |
전혀 없음 | $-8.7$ | 3.0 | $-14.8$ | $-0.4$ |
가끔 | 0.7 | 1.0 | 0.6 | 1.4 |
자주 | 7.3 | $-8.2$ | 12.9 | 4.5 |
① 빈도가 증가할수록 관용적이다.
② 빈도가 민주적 태도에 영향을 준다.
③ 빈도가 증가할수록 신뢰성은 낮아진다.
④ 빈도가 증가할수록 권리 의식은 약화된다.
⑤ 빈도가 증가할수록 비판 정신은 높아진다.
① 판결을 담당한 기관은 기본권 보장 기관이다.
② 상고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 관한 내용이다.
③ 판결을 담당한 기관은 최고의 헌법 보장 기관이다.
④ 이 판결에 의해 영화법의 해당 부분은 효력이 상실된다.
⑤ 판결을 담당한 기관은 정당 해산 심판에 대한 권한도 가진다.
① 국회 의원의 전문성을 높인다.
② 직업 공무원 제도를 강화한다.
③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요건을 강화한다.
④ 행정의 역할과 기능을 증대시킨다.
⑤ 양당 제도를 정착시킨다.
00월 00일 ― 환경 문제를 인식한 시민 단체들이 반대 운동 전개
00월 00일 ― 일부 시민과 시의원들이 교통난 해소를 이유로 공사 시행을 요구하는 성명서 발표
00월 00일 ― 시민들간에 찬반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여론 조사 결과, 복개 반대를 지지하는 시민이 많아짐.
00월 00일 ― 시의회 임시 회의에서 시장이 공사 철회 발표
① 공식적인 정책 결정자만 정책 과정에 참여한다.
② 공공 정책은 시민의 여론보다는 공익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③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④ 정책 목표는 합의하기 어려우나 이에 도달하는 수단은 합의하기 쉽다.
⑤ 공공 정책 결정 과정은 구성원들의 사적 이익 추구에 의해서 좌우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