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인문계](사회)[세계사]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ㆍ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한 사상가가 나왔다.
ㆍ 일정한 자격을 갖춘 성인 남자 모두가 정치적 의사 결정에 참여하였다.
ㆍ “신(神)은 인간의 형상을 하고, 인간과 같이 희로애락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① 15세기에 아메리카에 이르는 신항로의 개척을 주도하였다.
② 나침반, 종이, 인쇄술을 발명하여 인류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③ 고대에 발달한 관개식 농업이 현재까지도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④ 유대교 및 크리스트교의 요소를 받아 들여 독자적인 일신교를 창시하였다.
⑤ 19세기 중엽에 서양의 과학 기술을 도입하여 급속히 산업화를 완수하였다.
ㆍ 도쿠가와(에도) 막부는 중요 도시ㆍ도로ㆍ광산을 직할지로 삼고 화폐 주조권을 독점하였다.
ㆍ 루이 14세는 전국을 36개 구역으로 편성하고 각 구역에 지방을 파견하였다.
ㆍ 조선 초기에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관찰사를 각 도에 파견하였다.
① 중상주의
② 중농주의
③ 중앙 집권화
④ 지방 분권화
⑤ 민족주의
ㆍ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영화의 발달로 정보와 지식이 널리 전파되었다.
ㆍ 일부 선진 공업국에서는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ㆍ 영국의 록 그룹 비틀즈는 기사(騎士)작위를 받았다.
① 탈냉전화 경향
② 대중 사회의 등장
③ 제3세계의 등장
④ 평화 운동의 활성화
⑤ 환경 보호 운동의 등장
그래서 나는 레이스 직물 공장을 세울 것을 결정하였다. 지금까지 외국으로 흘러나간 거액의 돈은 프랑스에 머물러 있게 되었으며, 아무런 할 일이 없어 빈둥거리거나 외국에서 일거리를 찾아야 했던 내 신민(臣民)은 일거리를 얻을 수 있었다.
그 후 레이스 직물 업자들의 외래품 거래를 적발하면, 이를 불법 수입품으로 간주하여 모두 몰수하도록 하였다.
① 이러한 정책을 중상주의라고 한다.
② 수입을 억제하고 국내 산업을 육성하였다.
③ 산업을 진흥하여 빈민과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다.
④ 아담 스미스와 같은 자유주의 경제 사상가는 이러한 정책을 옹호하였다.
⑤ 20세기 후반에 일부 신흥 공업 국가들이 시행한 경제 정책도 이와 유사한 발상에서 나왔다.
①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를 채택하고자 하였다.
② 지식층 위주로 추진되어 대중적인 지지 기반이 취약하였다.
③ 청일 전쟁의 패배로 인한 위기 의식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④ 서태후를 중심으로 한 보수파의 반발로 3개월여 만에 실패하고 말았다.
⑤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삼아, 의회 정치를 도입하고 입헌 군주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ㆍ 티무르 제국
ㆍ 원(元)과 청(淸)
ㆍ 무굴 제국
① 초원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하였다.
② 지방 분권적인 봉건제가 시행되었다.
③ 헌법에 의해 군주의 권한이 제한되었다.
④ 종교가 정치ㆍ사회ㆍ문화의 전 영역을 지배하였다.
⑤ 어떤 민족이 세력을 확대하여 다른 민족을 정복하면서 세웠다.
ㄴ. 묵가는 유가의 차별적 사랑과 형식적 예를 비판하며, 평등한 사랑을 주장하고 노동과 검약을 강조하였다.
ㄷ. 왕양명은 인간의 본질적인 평등과 지행합일의 실천을 강조하고, 서민 교육을 중시하였다.
ㄹ. 주자는 유학을 새로 해석하고 이론적으로 심화시켜, 우주의 원리와 인간의 본성을 철학적으로 탐구하였다.
① ㄱ―ㄴ―ㄹ―ㄷ
② ㄱ―ㄹ―ㄷ―ㄴ
③ ㄴ―ㄹ―ㄷ―ㄱ
④ ㄷ―ㄴ―ㄱ―ㄹ
⑤ ㄹ―ㄴ―ㄷ―ㄱ
① 서 있는 두 사람은 귀족과 성직자를 가리키며, 이들은 각종의 신분적 특권을 누리고 있었다.
② 쇠사슬을 끊고 있는 사람은 제3신분을 의미하며, 이들은 국가재정의 대부분을 부담하고 있었다.
③ 제3신분은 기존 사회 질서의 변화를 원하였다.
④ 특권 신분은 제3신분의 각성에 겁을 내고 있었다.
⑤ 당시 어느 사상가는 “만국(萬國)의 노동자여, 단결하라!”고 선동하였다.
ㆍ 송 문제가 (귀족인) 왕구에게 (서민 출신 관료인) 서원과 서로 알고 지내라고 요청하자, 왕구는 “사대부와 서민의 구별은 나라의 법칙입니다. 신은 감히 조칙을 받들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남사』―
ㆍ 송 시기에 일자 무식의 농부였던 심경지는 군공을 세워 태위까지 올랐다. ―『송서』―
ㆍ 제 시기에 서민 출신으로 출세하여 큰 권력을 얻게 된 기승진은 아들을 명문가의 딸과 혼인시킨 후,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고 만족해 하였다. ―『남사』―
① 귀족의 신분은 세습되었다.
② 귀족들은 때로 황제의 요청을 무시하기도 하였다.
③ 황제 독재 체제가 확립되어 귀족 세력을 제압하였다.
④ 서민 출신은 출세한 후 귀족의 반열에 들고 싶어했다.
⑤ 군공을 세우면 서민도 높은 관직으로 출세할 수 있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