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0년 11월 15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필수]
시행 : 2000.11.15(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수리ㆍ탐구 영역(Ⅱ) [자연계] [과학]
시행 : 2000.11.15(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단, 살아 있는 쥐와 식물을 밀폐된 유리 용기에 넣고 실험하였다.)
이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빛이 있을 때, 쥐와 식물은 밀폐된 공간에서 함께 살 수 있다.
ㄷ. 빛이 없을 때, 쥐와 식물은 밀폐된 공간에서 함께 살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러나 실험에 참여하지 않았던 영희는 철수의 실험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영희는 유리 용기 안의 시계 받침대나 아직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공기를 통하여 소리가 밖으로 전달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보기>의 과학의 탐구 기능 중 영희의 활동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측정
ㄷ. 분류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위 지층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1점]
ㄴ. 그림 (가)의 A층의 퇴적 시기와 B층의 퇴적 시기 사이에는 큰 시간 간격이 있다.
ㄷ. 그림 (나)의 C층이 쌓이기 전에 D층이 해수면 위로 노출되어 침식된 적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실험 (나) : 크기가 같은 질산암모늄을 넣고 젓는 속도를 다르게 하여 물에 녹일 때
① [질산암모늄의 알갱이 크기] A / [젓는 속도] Ⅲ
② [질산암모늄의 알갱이 크기] B / [젓는 속도] Ⅰ
③ [질산암모늄의 알갱이 크기] C / [젓는 속도] Ⅱ
④ [질산암모늄의 알갱이 크기] B / [젓는 속도] Ⅱ
⑤ [질산암모늄의 알갱이 크기] C / [젓는 속도] Ⅲ
다음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물을 A에 넣은 후의 결과이다.
ㆍ (나)에서는 용액의 이동이나 색깔의 변화가 없었다.
ㄴ. 실험 (가)에서 이동한 용액이 노란 색으로 변한 것은 염화수소가 용해된 물이 산성을 띠기 때문이다.
ㄷ. 실험 (나)에서 변화가 없었던 것은 물에 대한 헬륨의 용해도가 염화수소와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얼굴에 있는 피부의 모세 혈관이 확장되었다.
ㄷ. 운동으로 뇌의 활동이 증가하여, 얼굴이 열 발생량이 많아졌다.
ㄹ. 근육으로 혈액이 많이 전달되어, 얼굴에 있는 피부가 수축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의 A, B, C 세 지역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세 지역은 판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ㄷ. C 지역은 판의 경계부에 위치하지만 판의 침강이나 소멸이 없는 안정한 곳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ㄴ. 감자를 삶을 때 쇠젓가락을 꽂아 놓으면 감자가 더 빨리 익는다.
ㄷ. 추운 날 밖에 놓여 있는 의자에 앉을 때, 철로 만든 의자보다는 나무 의자에 앉을 때 훨씬 덜 차갑게 느낀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ㄴ
이 기술이 활용되는 예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조직을 배양하여 산삼을 대량 생산한다.
ㄷ.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인슐린을 만든다.
ㄹ. 림프구와 암세포를 융합시켜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가) 준비물 : 디바이더, 자
(나) 디바이더 두 핀 사이의 간격을 5mm로 맞추고, 피검자의 눈을 감게 한다.
(다) 피검자의 팔뚝에 디바이더의 두 핀을 대어보고 한 점으로 느끼는지 두 점으로 느끼는지 묻는다.
(라) 디바이더의 핀 간격을 넓히거나 좁혀가면서 피검자가 두 점으로 느끼는 최단 거리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마) 이 과정을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반복한다.
<결과>
아래 표와 같이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두 점을 식별할 수 있는 최단 거리의 값을 얻었다.
<표> 신체 여러 부위의 피부에서 두 점을 식별할 수 있는 최단 거리(mm)
부위 | 손가락 | 손바닥 | 팔뚝 | 등 | 이마 | 입술 |
거리 | 2.7 | 10.3 | 38.4 | 39.5 | 17.0 | 6.0 |
① 신체 부위에 따라 피부의 두께가 어떻게 다른가?
② 피부에서 두 점을 식별하는 거리는 사람에 따라 다른가?
③ 피부에서 느낄 수 있는 감각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가?
④ 신체 부위에 따라 피부가 두 점을 식별하는 거리는 다른가?
⑤ 다른 종류의 자극이 신체 부위에 따라 같은 크기로 느껴지는가?
기준을 지표면으로 바꾸어 위 그래프를 다시 그린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지표면의 수직 위치를 0으로, 지표면으로부터 윗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한다.)
ㆍ 석영과 장석의 큰 결정들이 많고, 밝은 색이다.
ㆍ 돌계단, 축대, 건물의 외벽에 많이 사용된 것을 본 적이 있다.
ㆍ 우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① 화강암
② 대리암
③ 셰일
④ 반려암
⑤ 현무암
과정 | 1. 유리병에 맑은 석회수를 넣는다. 2. 양초를 연결한 철사의 한쪽 끝을 실리콘 고무마개에 끼운다. 3. 양초에 불을 붙인 후, 병 속에 넣고 실리콘 고무마개로 잘 막는다. 4. 불이 꺼진 후 병을 흔들어 준다. 5. 주사기에 공기를 채운 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사기 바늘을 실리콘 고무 마개에 찔러 넣는다. |
결과 | ㆍ 병의 위 쪽에 그을음이 생겼다. ㆍ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졌다. ㆍ 주사기 속의 공기가 병 안으로 빨려 들어 갔다. |
ㄴ. 연소 생성물 중의 하나로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었다.
ㄷ. 과정 4 이후에 병 내부 압력은 외부 압력보다 높아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일기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의 일기도는 (나)의 일기도 보다 하루 전날의 것이다.
ㄷ. (나)의 일기도에서 한반도의 날씨는 맑고 쾌청하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ㆍ 영호는 철수보다 늦게 최고 속력에 도달했지만 최고 속력은 철수보다 컸다.
ㆍ 한 동안 최고 속력을 유지하던 영호는 결승점에 도달하기 전에 체력이 떨어져 속력이 줄었다.
ㆍ 두 사람은 시간 T가 경과했을 때 동시에 결승점에 도착했다.
원자 반지름의 크기는 주기성을 갖는다. 원자 반지름의 크기를 비교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Al은 Si보다 작다.
ㄷ. K은 Na보다 작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난소 속의 제1난모 세포는 제2난모 세포로 배란된다.
② 제1극체의 염색체 수는 제2난모 세포의 염색체 수와 같다.
③ 난세포가 퇴화되어 제2극체가 되며 염색체 수는 반으로 감소한다.
④ 제1난모 세포에서 난세포가 될 때까지 두 번의 핵분열이 필요하다.
⑤ 제1난모 세포에서 제2난모 세포가 될 때 염색체 수는 반으로 감소한다.
그래프의 실선은 여름철 어느 지역의 총 발전량을 시간대별로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며, 빗금친 부분은 양수 과정과 양수 발전에 관련된 전력량이다.
그래프의 (가)와 (나) 시간대의 빗금친 부분에서 에너지 전환 방향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ㄴ. 위치 에너지 → 전기 에너지
ㄷ. 전기 에너지 → 화학 에너지
① (가) : ㄱ / (나) : ㄱ
② (가) : ㄱ / (나) : ㄴ
③ (가) : ㄴ / (나) : ㄴ
④ (가) : ㄴ / (나) : ㄱ
⑤ (가) : ㄴ / (나) : ㄷ
각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 $m$과 물체 $M$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 인력은 무시한다.)
ㄴ. 물체 $M$이 물체 $m$을 밀어 올리는 힘은 $mg$이다.
ㄷ. 지표면이 물체 $M$의 밑면을 밀어 올리는 힘은 $Mg$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실험 (가) | 실험 (나) |
물이 들어 있는 두 개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금속 A, B 조각을 각각 넣고, 기체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 금속 이온 $\text{C}^{+}$이 있는 수용액에 금속 A를 담그고 반응 여부를 관찰하였다. |
ㆍ 실험 (가) : 금속 B와 물이 반응하여 기체가 발생하였다.
ㆍ 실험 (나) : 금속 이온 $\text{C}^{+}$과 금속 A가 반응하여 금속 C가 석출되었다.
ㄴ. 금속의 반응성은 C가 A보다 크다.
ㄷ. 금속 B와 물이 반응하여 발생한 기체는 수소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그래프를 해석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인슐린 농도는 밥을 먹은지 한 시간 후부터 증가한다.
ㄷ. 단식 후 2일 이내에는 글루카곤의 농도는 증가하고 인슐린의 농도는 감소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출발에서부터 정지할 때까지 시간에 따른 이 물체의 속력으로 타당한 것은?
고도(m) | 기압(hPa) |
0 | 1010 |
200 | 983 |
400 | 960 |
600 | 941 |
ㄴ. B점에서의 풍속은 C점보다 크다.
ㄷ. C점에서 부는 바람은 서풍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ㆍ $\text{Br}_{2}(g) → \text{Br}_{2}(l) + 30.9$kJ
(나) 양수 속의 태아의 피부 세포를 배양
(다) 태아의 염색체 수와 모양을 현미경으로 조사
ㄴ. 성염색체 X에 연관되어 나타나는 색맹
ㄷ. 21번 상염색체가 3개일 때 나타나는 다운 증후군
ㄹ. 성염색체 X가 1개인 여자에게 나타나는 터너 증후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text{Pb} + {\text{SO}_{4}}^{2-} → \text{PbSO}_{4} + 2e^{-}$
<$\text{PbO}_{2}$ 전극>
$\text{PbO}_{2} + {\text{SO}_{4}}^{2-} + 4\text{H}^{+} + 2e^{-} → \text{PbSO}_{4} + 2\text{H}_{2}\text{O}$
<전체 전지 반응>
$\text{Pb} + \text{PbO}_{2} + 2\text{H}_{2}\text{SO}_{4} \xrightarrow{방전} 2\text{PbSO}_{4} + 2\text{H}_{2}\text{O}$
ㆍ 전압계 대신 직류 모터를 연결하였더니 회전하였다.
ㆍ 모터가 멈춘 후 관찰된 전극 A와 B의 표면은 흰색 고체 피막으로 덮혀 있었다.
① 전극 A는 납(Pb) 전극이다.
② 전극 B에서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③ 전지가 방전되면서 물이 생성된다.
④ 전지가 방전되면서 황산 농도는 증가한다.
⑤ 전극 A와 B의 표면에 생긴 흰색 고체 피막은 황산납($\text{PbSO}_{4}$)이다.
생성되는 산소($\text{O}_{2}$) 분자의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다음 <보기> 중 그래프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1점]
ㄴ. 사람은 (나)의 소리를 (다)의 소리보다 크게 느낀다.
ㄷ. 50~1000Hz 구간에서 사람은 같은 60dB의 소음이라도 진동수가 높을수록 작은 소리(폰)로 느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ㆍ 복어는 스스로 독을 합성하지 않는다.
ㆍ 복어의 독은 먹이 연쇄를 통해 얻어진다.
ㆍ 오래 산 복어일수록 독의 양이 많다.
ㆍ 복어에 있는 독은 포식자로부터 복어를 보호해 준다.
(나) 생태계의 DDT 농도
ㆍ DDT에 의해 물새의 알 껍질이 얇아져 물새의 알이 제대로 부화되지 않는다.
<표> 먹이 연쇄에 따른 DDT 농도
생태계 구성원 | DDT 농도(ppm) |
물 | 0.00005 |
플랑크톤 | 0,04 |
작은 물고기 | 2.07 |
물새 | 26.40 |
ㄴ. 먹이로부터 얻어진 DDT는 물새의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는다.
ㄷ. 복어의 독과 물새의 몸 속에 있는 DDT는 자신을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위 그림을 보고 알 수 있는 내용으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B점의 해수 온도는 여름과 겨울에 같다.
ㄷ. B점의 해수 온도는 A점보다 동한 난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1분 동안에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구하려고 할 때, <보기>에서 필요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지구 대기권의 두께는 무시하고, 지구의 모양은 구형이라고 가정한다.)
ㄴ. 지구의 질량
ㄷ. 지구의 반지름
ㄹ. 지구의 자전 주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을 설명한 것 중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수온 약층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욱 발달된다.
ㄷ. 혼합층의 두께가 가을부터 겨울로 가면서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