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6/12

2002-06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6월 1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식물의 광합성이 밝혀지기까지의 한 과정이다.
18세기의 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식물에게 필요한 탄소가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는 ‘부식토설’을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잉겐하우스(1730~1799)는 부식토가 함유되지 않은 암석에서 거목이 자랄 뿐 아니라, 물재배(수경재배)를 통해서도 식물이 잘 자라는 것을 관찰하고 ‘부식토설’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잉겐하우스가 세웠을 가설로 가장 타당한 것은? [1점]

① 식물은 잎을 통해 탄소를 흡수한다.

② 식물은 빛이 있어야 광합성을 할 수 있다.

③ 식물의 광합성은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④ 식물은 물 속의 탄소 화합물을 받아들여 물질을 생산한다.

⑤ 광합성 결과 발생하는 산소는 물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림은 시간기록계로 수레의 운동을 알아보는 실험 장치이다. 그래프는 이 실험으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수레의 운동을 시간기록계로 기록하였을 때 종이테이프에 기록된 타점의 모양으로 옳은 것은? [1점]
사진은 비행기에서 뛰어내린 스카이다이버의 모습이고, 그래프는 스카이다이버가 착지할 때까지 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린 후 2000m를 낙하했을 때, 스카이다이버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스카이다이버는 그래프에서 CD구간을 지나고 있다.
ㄴ. 스카이다이버의 속력은 50m/s이다.
ㄷ. 스카이다이버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0이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과 같이 항공모함에 정지해 있던 질량 $1 \times 10^4$kg인 전투기는 사출기의 도움으로 가속되며, 출발 2초 후 사출기에서 벗어나 이륙한다. 그래프는 전투기의 시간에 따른 속력을 나타낸 것이다.
전투기가 활주하는 동안 엔진에 의해 가속되는 힘이 $2\times 10^5$N이라면 사출기가 전투기에 더해 준 힘은?
(단, 가속되는 동안 전투기 엔진의 힘과 사출기의 힘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공기저항은 무시한다.)
※ 사출기 : 전투기가 이륙하기 위하여 활주하는 동안 힘을 더해 주어 이륙에 필요한 속력까지 가속시켜 주는 장치

① $1 \times 10^5$N

② $2 \times 10^5$N

③ $3 \times 10^5$N

④ $4 \times 10^5$N

⑤ $5 \times 10^5$N

그림 (가), (나), (다)는 물체 A, B, C의 운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에는 알짜힘이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ㄴ. B에는 알짜힘이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ㄷ. C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0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그래프 (가), (나)는 물체가 빗면을 따라 20m를 올라갔다가 내려올 때, 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2점]
보기
ㄱ. 올라갈 때와 내려올 때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기는 같다.
ㄴ. 올라갈 때보다 내려올 때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ㄷ. 올라갈 때와 내려올 때 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방향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동일한 질량의 액체 A, B를 같은 세기의 불꽃으로 가열하는 동안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액체 B가 담긴 수조에 온도가 다른 액체 A가 들어있는 비커를 넣었을 때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단, 모든 열 손실은 무시한다.)
이 자료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가)에서 비열은 액체 B가 A보다 크다.
ㄴ. (나)에서 두 액체의 온도가 60℃가 되면 열의 이동은 없다.
ㄷ. (나)에서 두 액체의 온도가 60℃가 되는 동안 액체 A가 잃은 열량과 B가 얻은 열량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어느 가정의 현관 옆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 차단기이며, 각 스위치별로 최대로 허용된 전류와 용도가 표시되어 있다.
이 가정에 공급되는 전압이 220V일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최대로 허용된 소비전력은 에어컨이 전등보다 크다.
ㄴ. 이 가정에서는 최대 22kW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ㄷ. 누전 차단기는 최대로 허용된 전류값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회로를 차단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병원에서 폐를 진찰하기 위해 방사성 사진을 이용한다. 이 때 사용되는 방사성 물질은 폐에 흡입하기 쉽고 사진을 찍은 후 방사능이 빨리 없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 자료는 여러 가지 방사성 물질의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방사성 물질질량수상태반감기
삼중수소3기체12년
우라늄235고체45억년
코발트60고체5년
크세논133기체5일
폴로늄210고체138일
호흡기 질환 환자의 폐 사진을 찍기 위해 이용되는 방사성 물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삼중수소

② 우라늄

③ 코발트

④ 크세논

⑤ 폴로늄

흰인은 공기 중에서 자연 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물 속에 넣어 보관한다. 이와 유사한 원리로 불을 끄는 방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가스레인지의 밸브를 잠가 불을 끈다.
ㄴ. 알코올 램프의 뚜껑을 덮어 불을 끈다.
ㄷ. 소화기로 이산화탄소를 뿜어주어 불을 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염화철(Ⅱ) 수용액에 두 금속 A, B를 각각 넣어 반응시켜본 실험 결과이다.
금속AB
실험 결과반응 안함철이 석출됨
철판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기
ㄱ. 흠집이 나기 쉬운 곳에 사용되는 철판은 금속 B로 도금한다.
ㄴ. 철판에 금속 A를 도선으로 연결한다.
ㄷ. 철판에 금속 B를 도선으로 연결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⑤ ㄷ

준영이는 가정용 연료로 쓰이는 LPG의 폭발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가) 빈 캔을 준비하여 그림과 같이 밑바닥에서 2~3cm 높이에 송곳으로 작은 구멍을 낸다.
(나) 캔에 에탄올 약 5mL를 넣고 약간 흔들어 준다.
(다) 캔 윗 부분에 종이컵을 씌운다.
(라) 위의 (가)에서 뚫은 구멍에 성냥불을 갖다 대었더니 폭음을 내면서 종이컵이 날아가고, 캔 내부에서 불꽃이 관찰되었다.
(마) 불이 꺼진 후 캔에 석회수를 넣고 흔들어 비커에 따라 보았더니 뿌옇게 흐려져 있었다.
위의 실험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에탄올 증기가 폭발할 때 흡열 반응이 일어난다.
ㄴ. 밀폐된 공간에서 LPG가 누출되어 공기와 혼합되면 작은 불꽃에 의해서도 폭발할 것이다.
ㄷ. 에탄올에는 탄소 성분이 들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묽은 염산이 들어 있는 비커에 아연 조각을 넣었을 때, 반응이 일어나면서 용액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아연과 묽은 염산의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열을 방출하는 발열 반응이다.
ㄴ. 열에너지가 화학 에너지로 바뀐다.
ㄷ. 생성 물질의 에너지가 반응 물질의 에너지보다 작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영희는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체 발생 장치를 만든 후, 여러 가지 실험 조건에서 과산화수소가 분해될 때 발생하는 산소 기체의 부피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과산화수소수의 농도(%)과산화수소수의 부피(mL)온도 (℃)첨가한 이산화망간
1210020조각 1g
2310020조각 1g
3310020가루 1g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보기
ㄱ. 반응 물질의 농도
ㄴ. 반응 물질의 온도
ㄷ. 촉매의 종류
ㄹ. 촉매의 표면적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시간에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그림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대리석과 묽은 염산을 반응시켰다.
표는 20초 간격으로 피스톤의 높이를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측정시간(초)020406080100120
피스톤의 높이(㎝)10.019.026.031.034.035.035.0
위 실험에서 반응 시간에 따른 반응 속도의 변화를 옳게 나타낸 그래프는? [2점]
철수는 알칼리 금속 Li, Na, K의 성질을 조사하여 표와 같이 정리하였다.
금 속LiNaK
원자량6.923.039.1
녹는점(℃)18197.863.3
산화물의 화학식(가)$\text{Na}_2\text{O}$$\text{K}_2\text{O}$
불꽃 반응색빨간색노란색보라색
물과의 반응성빠 름격렬함매우 격렬함
위의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리튬 산화물의 화학식 (가)는 $\text{Li}_2\text{O}$이다.

② 원자량이 클수록 녹는점이 낮다.

③ 알칼리 금속은 에탄올 속에 넣어 보관한다.

④ 알칼리 금속은 불꽃 반응으로 구별할 수 있다.

⑤ 반응성은 $\text{Li} < \text{Na} < \text{K}$의 순서대로 커진다.

철수는 수소보다 반응성이 큰 금속 A와 수소보다 반응성이 작은 금속 B를 전극으로 사용하여 두 가지 전지 (가)와 (나)를 만든 후, 그림과 같이 회로를 연결했을 때 꼬마 전구에 불이 켜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위의 두 전지에서 공통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르면? (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기
ㄱ. 금속 B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ㄴ. 전자는 도선을 따라 금속 A에서 금속 B로 이동한다.
ㄷ. 금속 A의 질량은 감소한다.
ㄹ. 금속 B의 질량은 증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그림은 사람의 소화 기관에서 일어나는 소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 A와 B는 각각 위와 소장으로 분비되는 소화액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포함되어 있다.

② B에는 3대 영양소를 분해하는 효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③ 식사 후 혈당량은 간문맥이 간정맥보다 높다.

④ 음식물이 대장에서 오래 머물면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⑤ 대장에서는 소화된 영양소가 흡수되지 않는다.

그림은 피부얼룩증이 나타난 어느 집안의 가계도이다. 피부얼룩증 유전자는 X 염색체 상에 존재한다.
위 가계도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피부얼룩증은 정상에 대해 우성이다.

② A는 정상 유전자와 피부얼룩증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③ C가 가지고 있는 피부얼룩증 유전자는 외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④ B의 외할머니는 정상 유전자만 가지고 있다.

⑤ 아버지가 피부얼룩증이면 딸이 피부얼룩증일 확률은 50%이다.

어느 날 영희와 철수는 자기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날씨가 각각 다음과 같이 변한 것을 관측하였다.
<영희>
◦ 얼마 전까지 내리던 소나기가 그치고, 서쪽에 푸른 하늘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 바람은 북서풍으로 바뀌었고, 기온은 조금 내려갔다.
<철수>
◦ 오래 동안 내리던 비가 그치고, 하늘의 구름도 많이 걷히었다.
◦ 바람은 남서풍으로 바뀌었고, 기온은 조금 올라갔다.
그림은 이 날의 일기도에 나타난 저기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 세 지역 중 영희와 철수가 살고 있는 곳을 각각 바르게 추정한 것은?
영희AABBC
철수BCACB
어느 과학자가 식물에서 ‘녹색을 띠는 줄기’, ‘녹색 잎’, ‘녹색이 아닌 부분’으로 나누어 물 속에 넣고 빛을 비추면서 기체의 출입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다음은 실험 결과이다.
기체 \ 부위녹색을 띠는 줄기녹색 잎녹색이 아닌 부분
$\text{CO}_2$흡수흡수방출
$\text{O}_2$방출방출흡수
이 실험 결과로부터 과학자가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식물의 광합성은 녹색을 띠는 부분에서만 일어난다.

② 식물은 광합성의 결과 녹말을 생성한다.

③ 이산화탄소는 공기 중에서 흡수되어 광합성에 이용된다.

④ 식물은 낮에는 광합성과 호흡을, 밤에는 호흡만 한다.

⑤ 광합성의 원료는 물과 이산화탄소이다.

(가)는 정상인의 혈당량이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나)는 식사 후 당뇨병 환자와 정상인의 혈당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①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당뇨병에 걸리게 된다.

② 정상인은 식사 후 2시간 이후부터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한다.

③ 이자의 $\beta$세포 기능이 저하되면 증가된 혈당량을 낮추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④ 식사 후 정상인은 당뇨병 환자에 비해 혈당량의 증가 폭이 크다.

⑤ 식사 후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활발히 전환시킨다.

다음은 팔에 분포한 정맥에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위 과정으로 보아 정맥에서의 혈액 흐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ㄱ. 운동을 할 때는 정맥의 혈액 흐름이 원활해진다.
ㄴ. 정맥의 판막은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ㄷ. 근육이 이완하면, 판막 A가 열려 혈액이 심장에서 먼 쪽으로 이동한다.
ㄹ. 심방이 수축하는 힘에 의해 정맥의 혈액이 이동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은 어느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치는 1년 동안 각 영양 단계의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평방미터(㎡) 당 에너지량을 나타낸다.
위 그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① 생태계에서 에너지는 순환한다.

② 2차 소비자의 순생산성 중 약 9%가 3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③ 각 영양 단계에서 호흡량보다 분해자에게 유입되는 양이 더 많다.

④ 상위 영양 단계로 갈수록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량이 많아진다.

⑤ 이 생태계는 그 규모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림은 태아와 모체 사이에서 영양소와 노폐물,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는 태반을 나타낸 것이다.
태반에서 일어나는 물질 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태아와 모체의 혈관은 직접 연결되어있지 않다.
ㄴ. 태아에게 공급될 산소와 포도당 등의 영양소는 모체의 동맥을 통해 태반으로 운반된다.
ㄷ. 태아의 이산화탄소와 요소 등의 노폐물은 모체의 정맥을 통해 태반을 빠져나간다.
ㄹ. 모체의 영양소는 태아의 동맥을 통해 태아에게 운반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철수는 한낮에 올라간 기온이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내려간다는 사실로부터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운 후, 그림과 같은 태양 에너지 측정 장치 세 개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기로 하였다.
<가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지표면에 흡수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 적어진다.
<보기>의 실험 조건 중 철수가 세운 가설을 검증하는 데 적합한 조건을 바르게 고른 것은?
보기
구리통 표면의 색ㄱ. 모두 같은 색으로 칠한다.
ㄴ.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
그림자 보기 막대의 그림자의 길이ㄷ. 모두 같게 조절한다.
ㄹ. 서로 다르게 조절한다.
구리통 속의 액체ㅁ. 모두 같은 액체를 채운다.
ㅂ. 서로 다른 액체를 채운다.

① ㄱ, ㄷ, ㅁ

② ㄱ, ㄷ, ㅂ

③ ㄱ, ㄹ, ㅁ

④ ㄴ, ㄷ, ㅁ

⑤ ㄴ, ㄹ, ㅂ

그림은 암석의 색과 조직에 따라 화성암을 분류한 것으로, 아래 부분에는 주요 조암 광물들의 체적비(%)가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이 자료에서 알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안산암의 주요 조암 광물은 석영, 감람석, 휘석 등이다.

② 반려암과 현무암은 화학 성분이 서로 다른 마그마로부터 생성된다.

③ 유문암은 현무암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띤다.

④ 현무암은 화강암보다 광물 입자의 크기가 더 크다.

⑤ 화강암은 유문암보다 지하의 더 깊은 곳에서 생성된다.

그림은 우리나라의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기단 A는 겨울철 날씨에 큰 영향을 미친다.
ㄴ. 기단 B는 한랭하고 다습한 성질을 갖는다.
ㄷ. 여름철의 장마는 기단 C와 D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해양판은 해령의 중심부에서 생성되어 차츰 그 양쪽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그림은 북대서양에서 이러한 판의 운동을 검증하기 위해 해저 시추를 고려하고 있는 지점을 나타낸 것이며, 아래의 <조사 자료>는 시추 조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조사 자료
가. 해저 현무암의 절대 연령
나. 해저 현무암의 광물 조성
다. 해저 퇴적층의 두께
세 지점을 시추하여 판의 운동을 검증하려고 한다. 그림에서 적합한 시추 지점과, <조사 자료>에서 판의 운동을 검증할 수 있는 자료를 각각 바르게 고른 것은? [2점]

① [시추 지점] : a, b, c / [판의 운동 검증 자료] : 가, 다

② [시추 지점] : a, b, c / [판의 운동 검증 자료] : 나, 다

③ [시추 지점] : b, e, h / [판의 운동 검증 자료] : 가, 다

④ [시추 지점] : b, e, h / [판의 운동 검증 자료] : 나, 다

⑤ [시추 지점] : c, f, e / [판의 운동 검증 자료] : 가, 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층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사실
· 지층 A에서는 매머드 화석이 산출되며, 지층의 하부에 기저 역암이 나타난다.
· 지층 B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산출된다.
· 화성암체 C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 지층 D는 화성암체 C와의 접촉부에서 변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지층 A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ㄴ. 지층 B는 지표로 노출되어 침식을 받은 적이 있다.
ㄷ. 화성암체 C는 지층 D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ㄹ. 지층 A와 B의 생성 시기에는 긴 시간 간격이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표는 태양계를 이루는 행성들의 여러 가지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물리량 \ 행성ABCDE
태양에서의 거리(AU)0.71.01.55.29.5
질량($지구=1$)0.81.00.1317.995.2
반지름($지구=1$)0.951.000.5311.189.42
평균 밀도(g/㎤)5.25.53.91.30.7
공전 주기(년)0.21.01.911.929.5
위의 행성들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그림과 같이 (가)형과 (나)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행성 A는 (나)형으로 분류된다.

② (가)형은 (나)형보다 질량이 더 작다.

③ (가)형은 (나)형보다 태양에서의 거리가 더 멀다.

④ (가)형은 (나)형보다 평균 밀도가 더 작다.

⑤ (가)형은 (나)형보다 공전 주기가 더 길다.

그림은 A, B 두 해역에서 수심에 따른 수온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두 해역을 비교하여 해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해역에는 수온 약층이 더 두껍게 발달한다.
ㄴ. B 해역에서는 바람이 더 강하게 분다.
ㄷ. A 해역에서는 표층의 해수가 더 활발하게 혼합된다.
ㄹ. B 해역은 표층의 수온이 더 낮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