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ㄴ. 자석을 시료에 가까이 대어 본다.
ㄷ. 시료의 깨끗한 면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 본다.
ㄹ. 시료 조각을 망치로 쳐서 쪼개짐과 깨짐을 관찰한다.
① ㄱ, ㄴ
② ㄱ,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이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A 지점에서는 하천벽의 침식이 활발히 일어날 것이다.
ㄷ. B 지점에서는 하천 바닥의 침식이 활발히 일어날 것이다.
ㄹ. 시간이 지나도 하천 수로의 위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ㄴ. 지표면 온도의 일교차가 작아질 것이다.
ㄷ.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감소할 것이다.
ㄹ. 지표가 방출하는 에너지는 전열, 전도, 대류, 복사 중 복사의 형태로만 방출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두 그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그림 (나)에서 A, B, C, D, E를 포함하는 대륙들은 과거에 인접하여 있었다.
ㄷ. A, B, C, D, E 지역에서 빙퇴석이 쌓일 당시에 빙하가 남반구 대륙의 대부분과 적도를 지나 북반구까지 분포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지구자기의 변화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편각과 복각은 일정하게 증가해 왔다.
ㄷ. 300년 전에 자북과 진북의 차가 제일 컸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고도(km) | 온도(℃) | 이슬점(℃) |
지표 | 27.0 | 20.0 |
0.5 | 21.0 | 17.0 |
1.0 | 16.0 | 16.0 |
1.5 | 12.5 | 12.5 |
2.0 | 9.0 | 5.0 |
2.5 | 10.5 | 4.0 |
ㄴ. 역전층은 2.0~2.5km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ㄷ. 기층은 0.5~1.0km 사이에서 가장 불안정하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시간 | 00시 | 03시 | 06시 | 09시 |
온도(℃) | 11 | 10 | 7 | 5 |
이슬점(℃) | 10 | 10 | 7 | 1 |
풍향 | 서풍 | 남서풍 | 북서풍 | 북서풍 |
ㄴ. 09시경에는 비가 오지 않았다.
ㄷ. 이 도시는 온난전선이 통과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나) 저층 해류는 상층 해류보다 약하고 북북서로 향하고 있었다.
ㄴ. 전향력이 수압경도력보다 작아져 해류의 방향이 달라졌다.
ㄷ. 해류의 방향이 달라진 후 다시 수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크기 가 같아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파도타기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선수가 파도를 타고 이동하는 속도는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 가까이로 올수록 느려진다.
ㄷ. 먼 바다보다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 가까이로 올수록 파고가 높아져서 파도타기에 좋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별의 위치 | |
방위각 | 180.0° |
고도 | 32.0° |
ㄴ. 관측 지점의 위도와 경도
ㄷ. 관측 지점에서의 북극성의 방위각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① “어제 달이 참 밝더라. 오른쪽이 둥그런 반달이었는데 해가 지고 노을이 물든 무렵 남쪽 하늘 높이 떠 있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어. 한 폭의 그림 같았지.”
② “그래! 나도 봤었는데 정말 아름답더라. 게다가 서쪽 하늘에는 화성이 붉게 반짝이던걸”
③ “나는 자정까지 계속 지켜보았는데 달이 질 때쯤 동쪽 하늘에 금성이 정말 아름답게 빛나더군. 사람들이 왜 샛별이라고 하는지 알겠더라니까!”
④ “나는 목성을 계속 지켜보았는데 마치 해가 지나간 길을 따라가는 것 같이 보이더군.”
⑤ “그렇게 보일 수밖에…… 태양계 행성들은 거의 같은 평면 위에서 공전하고 있으니까.”
다음 중, 스펙트럼과 별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단, 흡수선의 폭은 원자들의 충돌이 많을수록 넓어진다.)
① (A) : 주계열성 / (B) : 거성 / (C) : 초거성
② (A) : 거성 / (B) : 초거성 / (C) : 주계열성
③ (A) : 초거성 / (B) : 주계열성 / (C) : 거성
④ (A) : 주계열성 / (B) : 초거성 / (C) : 거성
⑤ (A) : 초거성 / (B) : 거성 / (C) : 주계열성
이 그림에 나타난 별들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림 (가)의 별은 대부분 주계열성이다.
② 그림 (나) 별에는 주계열로부터 진화한 별이 많다.
③ 그림 (가) 별은 그림 (나)의 별에 비해 백색왜성이 더 많다.
④ 그림 (가) 별의 평균 나이는 그림 (나) 별의 평균 나이보다 적다.
⑤ 그림 (가)의 별에는 그림 (나)의 별에 비해 밝으면서 표면온도가 낮은 별들이 더 많다.
측정 결과가 기호로 바르게 표시된 것은? (단, 편각의 보정은 무시한다. 문제지의 위쪽이 북쪽이다.) [2점]
이 사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태양보다 질량이 큰 밝은 별들은 주로 적외선을 방출한다.
ㄷ. 가시광선 사진에 나타나는 검은 띠는 성간 티끌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의 사암은 다공질 암석이어서 원유가 저장되기에 적합할 것이다.
ㄷ. (나)의 역암은 원유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에 적합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