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9/03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산성비의 원인, 피해 및 대책을 조사하기 위해 이들과 관련된 화학 반응식을 찾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가) $3\text{NO}_{2}+ \text{H}_{2}\text{O} → 2\text{HNO}_{3} + \text{NO}$
(나) $\text{CaCO}_{3} + \text{H}_{2}\text{SO}_{4} → \text{CaSO}_{4} + \text{H}_{2}\text{CO}_{3}$
(다) $\text{Ca(OH)}_{2}+ 2\text{HNO}_{3} → \text{Ca}(\text{NO}_{3})_{2}+ 2\text{H}_{2}\text{O}$
이들을 고찰하여 산성비에 관해 <보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보기
ㄱ. 들판에 석회를 뿌리면 산성 토양이 중화된다.
ㄴ. 산성비는 대리석으로 된 건축물의 부식을 촉진한다.
ㄷ.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ㄹ. 수십만 년 동안 빗물의 작용으로 석회암 동굴이 생성되었다.
위에 제시된 화학 반응식과 내린 결론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가) : ㄷ / (나) : ㄱ / (다) : ㄴ

② (가) : ㄷ / (나) : ㄴ / (다) : ㄱ

③ (가) : ㄷ / (나) : ㄴ / (다) : ㄹ

④ (가) : ㄹ / (나) : ㄱ / (다) : ㄴ

⑤ (가) : ㄹ / (나) : ㄴ / (다) : ㄷ

다음은 사람의 어떤 유전병에 대한 설명이다.
○ 아버지가 정상이면 딸은 모두 정상이다.
○ 정상의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식도 이 유전병을 가질 수 있다.
○ 어머니가 이 유전병을 가지면 아들은 반드시 이 유전병을 가진다.
이 질병의 유전자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X 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② X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③ 상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④ 상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⑤ X 또는 Y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다음은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반응 속도가 늦어진다.’는 가설의 타당성을 알아보는 과정 중 탐구 설계 과정만을 요약한 것이다.
○ 그림과 같이 20m/s의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P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적색 신호등이 켜지도록 한다.
○ P점의 위치는 운전자가 모르도록 한다.
○ 술을 마시지 않은 김모씨와 술을 마신 이모씨를 선정한다.
○ 두 운전자에게 다른 자동차를 배정한다.
○ 적색등이 켜지는 순간에 브레이크를 밟도록 한다.
○ P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자동차의 운동이 기록되도록 한다.
철수는 위의 탐구 설계 과정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보기>에서 그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P점의 위치를 운전자가 모르도록 하였다.
ㄴ. 두 운전자가 같은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았다.
ㄷ. 술을 마신 상태와 마시지 않은 상태의 운전자를 같은 사람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과거 약 100년 동안의 지구의 연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같은 기간 동안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과 관련지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연평균 기온 변화는 이산화탄소 농도 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도 받았다.
ㄴ. 1920년에서 1940년 사이보다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량이 더 컸다.
ㄷ.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두 배 높아진다면 연평균 기온도 두 배 정도 높아질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실험 조건을 달리한 장치를 설치하고 일주일이 경과한 후 쇠못이 녹슨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ABCD
실험 조건물, 쇠못물, 쇠못, 마그네슘물, 쇠못, 아연물, 쇠못, 주석
쇠못의 녹슨 양많이 생김거의 없음거의 없음매우 많이 생김
위 탐구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B의 마그네슘과 실험 D의 쇠못은 환원제 역할을 한다.
ㄴ. 아연으로 만든 못에 철사를 감아 물 속에 넣어 두면 철사는 쉽게 녹슨다.
ㄷ. 철로 만든 수도관에 마그네슘 판을 접촉시켜 놓으면 수도관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물속의 DO(용존산소량)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강의 상류와 하류에서 물을 채취하여 DO를 측정하였다.
(나) 시험관 A와 B에 상류의 물을, C와 D에 하류의 물을 각각 넣고 B와 D에는 같은 크기의 검정말을 넣었다.
(다) 20℃의 암실에서 5일간 두었다가 DO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 : ppm]
시험관ABCD
처음 DO9955
5일 후 DO8510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유기물이 유입되었다.
ㄴ. A와 C에서 상류와 하류의 BOD 차이를 알 수 있다.
ㄷ. B와 D에서 검정말은 DO를 증가시켰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축구경기를 관람하고 있던 철수는 운동장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보았다.
보기
홍길동 선수는 상대팀 수비수들을 피해 공이 있는 지점으로 ㉠ 빠르게 뛰어가 강한 슈팅을 하였다. ㉡ 눈 깜짝할 사이에 공은 골문 안으로 들어갔다. 골문 안으로 들어간 공은 골네트에 닿아 ㉢ 점점 느리게 되어 정지하였다. 그 순간 관중들의 “오! 필승 코리아! 대~한민국” 하는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보기>의 ㉠, ㉡, ㉢에 해당되는 가장 적당한 물리량들로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 속력 / ㉡ 시간 / ㉢ 가속도

② ㉠ 속력 / ㉡ 시간 / ㉢ 거리

③ ㉠ 시간 / ㉡ 거리 / ㉢ 속력

④ ㉠ 시간 / ㉡ 시간 / ㉢ 속력

⑤ ㉠ 시간 / ㉡ 시간 / ㉢ 가속도

그림은 계절에 따른 우리 나라 주변 해양의 표면 수온 분포도이다.
계절에 따른 표면 수온의 차가 해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도 37°N에서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수심의 영향 때문이다.
ㄴ. 경도 130°E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작은 이유는 주로 난류의 영향 때문이다.
ㄷ. 위도 33°N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편서풍의 영향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물고기의 복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것은?

① 복제 동물도 자손을 낳을 수 있다.

② 형광 유전자는 우성의 특징을 보인다.

③ 형광 유전자는 물고기의 성염색체로 끼어 들어갔다.

④ 복제 형광 물고기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도 가지고 있다.

⑤ 물고기의 체세포 핵에는 발생에 필요한 모든 유전자가 들어 있다.

다음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제라늄 세 그루를 유리 용기 안에 각각 넣었다.
(나) 각 화분을 $\text{CO}_{2}$ 농도 및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달리한 후, 3일 동안 30℃로 유지하였다.
(다) 각 화분의 잎을 따서 색소를 제거하고 요오드 반응으로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화분ABC
요오드 반응청남색갈색갈색
위 실험에 대한 가설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ㄴ.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text{CO}_{2}$가 필요하다.
ㄷ.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가 필요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세계의 화산과 지진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고, 그림 (나)는 여러 가지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가)에 표시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각변동의 모습을 그림 (나)와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가) : ㄱ - (나) : B

② (가) : ㄴ - (나) : A

③ (가) : ㄷ - (나) : B

④ (가) : ㄷ - (나) : D

⑤ (가) : ㄹ - (나) : C

그림은 뜨거운 주전자에 손이 닿았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손을 움츠리는 행동에 대한 흥분 전달 과정이다.
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 반응을 조절하는 중추는 대뇌이다.
ㄴ. 뜨거운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각점은 피부에 분포한다.
ㄷ. 자극을 받은 후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경로는 A→B→C이다.
ㄹ. (가)에서 흥분이 전달되지 않으면 뜨거움을 느낄 수 없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영희는 ‘수영할 때 몸이 앞으로 나가는 이유는, 손과 발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미는 작용에 대해 물이 몸을 미는 반작용 때문이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다. 영희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작용과 반작용으로 구분하여 <보기>와 같이 정리하였다.
보기
상황작용반작용
야구 선수가 공을 잡을 때공이 장갑에 작용하는 힘장갑이 공에 작용하는 힘
바람이 창문에 부딪칠 때공기가 창문에 작용하는 힘창문이 공기에 작용하는 힘
TV가 책상 위에 놓여 있을 때지구가 TV를 당기는 힘책상이 TV를 반치는 힘
줄로 썰매를 당길 때줄이 썰매를 당기는 힘바닥이 썰매에 작용하는 힘
<보기>에서 작용과 반작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ㄹ

그림은 태양계에 속해 있는 어떤 행성 사진이다.
이 행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행성의 고리는 행성의 적도면에 나란히 놓여 있다.
ㄴ. 안쪽 고리와 바깥쪽 고리는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ㄷ. 행성 표면의 줄무늬는 빠른 자전 속도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마그네슘은 염산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text{Mg}(s)+2\text{HCl}(aq)→\text{MgCl}_2(aq)+\text{H}_2(g)$$ 이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묽은 염산이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일정량의 마그네슘 리본을 넣고 유리관을 끼운 고무마개로 막은 후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한다.
○ 실험 1 : 4.0% 염산 5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 실험 2 : 2.0% 염산 10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부피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두 실험 조건과 비교하여 바르게 짝지는 것은?

① [실험 1] : A / [실험 2] : B

② [실험 1] : B / [실험 2] : A

③ [실험 1] : B / [실험 2] : C

④ [실험 1] : C / [실험 2] : A

⑤ [실험 1] : A / [실험 2] : A

철수의 아버지는 당뇨병을 앓고 있다. 철수는 자신에게도 당뇨병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4개의 시험관에 아버지와 자신의 혈장과 오줌을 각각 10mL 씩 넣는다.
(나) 각 시험관에 포도당 검출 시약인 베네딕트 용액을 1mL 씩 넣고 잘 흔들어 준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관에서 베네딕트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 시험관은 요오드 반응을 시켜 보아야 한다.
ㄴ. 베네딕트 용액을 넣은 후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ㄷ. C와 D에는 베네딕트 용액을 넣기 전에 오줌을 가열했다가 식혀야 한다.
ㄹ.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한 것을 추가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4개의 염색체를 가진 어떤 생물의 생식 세포 분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염색체 이동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 염색체의 이동과 생식 세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제1분열에서는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상동 염색체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ㄴ. 이 생물은 유전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생식 세포를 만든다.
ㄷ. 제2분열은 염색분체가 양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ㄹ. 염색체 수가 더 많은 생물에서는 더 많은 종류의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영희는 아연판과 구리판을 묽은 황산에 넣어 만든 볼타 전지 실험에서 전압이 곧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쪽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가 전극 표면에 붙어 전자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을 알고 영희는 다음 가설을 세웠다.
<가설> 수소기체가 발생하는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면 전지 전압이 낮아지는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두 번의 실험에 필요한 전극을 옳게 짝지은 것은? (단, 반응에 의한 표면적 변화는 무시한다.)
1차 실험2차 실험
($-$)극($+$)극($-$)극($+$)극
그림은 상자 B를 60N의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안에 상자 A와 B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자 A와 B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상자 A에 작용하는 알짜힘(합력)은 0이다.
ㄴ. 수평면과 상자 B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마찰력은 60N이다.
ㄷ. 상자 A가 상자 B를 누르는 힘의 크기는 상자 B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철수는 그림과 같이 시험관을 꽂은 고무마개로 소량의 물방울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를 밀폐시켰다. 시험관에 수산화바륨과 질산암모늄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어준 후,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의 크기가 줄었고, 시험관 표면에 물이 형성된 후, 얼음으로 바뀌었다.
위의 실험에서 시험관 안과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일어난 현상들 중에 흡열과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시험관 안에서 일어난 반응 과정
ㄴ. 시험관의 바깥 표면에 물이 맺히는 과정
ㄷ.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이 점차 작아지는 과정
ㄹ. 시험관 표면에 맺혀있던 물이 얼음으로 바뀌는 과정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고 창문과 커텐의 소음 차단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들이다. <실험 1>에서 발견된 규칙을 사용하여 <실험 2>의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실험 1>에서 차량별 소음의 차이는 없다고 가정한다.)
<실험 1>
어떤 자동차 전용도로 근처의 한 지점에서 소음의 크기와 통과하는 차량 대수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대자동차 대수소음의 세기(평균)
오전 7~8시8,00063dB
오전 9~10시4,00060dB
오후 2~3시2,00057dB
<실험 2>
이 도로 근처에 있는 어느 주택의 실내에서 같은 시간에 세 가지 다른 방음조건에 대해 소음측정기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음조건소음의 세기
창문과 커텐 열림50dB
창문만 닫음40dB
커텐만 닫음47dB
보기
ㄱ. 커텐은 소음을 약 절반으로 줄이는 소음 차단 효과를 준다.
ㄴ. 커텐보다 창문이 소음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ㄷ. 커텐과 창문을 모두 닫으면 소음의 세기는 43.5dB이 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여성의 2개월 동안 난소 내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여성에서 호르몬의 농도나 자궁 내벽의 두께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1점]

① 프로게스테론

② FSH

③ 에스트로겐

④ LH

⑤ 자궁 내벽의 두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이 지질 단면에서 지층과 암석이 생성된 선후 관계가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층은 B층 위에 쌓였기 때문에 B층보다 나중에 쌓였다.
ㄴ. C면을 경계로 층들의 배열 상태가 달라진 것으로 보아 이 면의 상하 지층 사이에 매우 긴 시간 공백이 있었다.
ㄷ. 관입암체 F는 E층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인공 위성은 그 특성에 따라 표와 같이 구분된다.
특성 \ 구분정지궤도 위성극궤도 위성
고도적도 상공 36,000km500~1,000km
공간 분해능수km수m
관측 조건항상 가능하루에 한 번
(공간 분해능 :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 크기. 예를 들면 공간 분해능이 1km이면 크기가 1km보다 작은 물체를 식별할 수 없다.)
관측 목적에 따라 인공 위성의 종류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북극 지방 빙하의 계절별 분포 - 극궤도 위성
ㄴ. 기상 예보에 필요한 구름 분포 - 정지궤도 위성
ㄷ. 우리 나라 전지역의 도로 지도 작성 - 정지궤도 위성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오른쪽 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비열이다.
비열(J/kg·K)
알루미늄900
구리386
철수는 그림 (가)와 같이 질량이 같은 알루미늄판과 구리 도막을 물 속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한 후, 그림 (나)와 같이 질량이 같은 20℃의 물이 담겨 있는 동일한 열량계 A와 B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중 두 열량계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지표로부터 공급된 CFC-12 ($\text{CF}_{2}\text{Cl}_{2}$)에 의해 성층권의 오존층이 파괴되는 과정을 (가)에, 남반구 성층권에서 측정한 위도별 일산화염소(ClO)와 오존($\text{O}_{3}$)의 농도를 (나)에 나타내었다. $$\underline{\text{CF}_{2}\text{Cl}_{2}→ \text{CF}_{2}\text{Cl} + \text{Cl}}\\ \text{O}_{3} + \text{Cl} → \text{ClO} + \text{O}_{2}\\ \underline{\text{ClO} + \text{O}_{3} → 2\text{O}_{2}+ \text{Cl}}\\ 전체반응 : 2\text{O}_{3} → 3\text{O}_{2}$$ 위 자료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오존($\text{O}_{3}$)이 산소($\text{O}_{2}$)로 되는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ㄴ. 염소 원자(Cl)는 오존층 파괴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ㄷ. 일산화염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오존의 농도는 감소한다.
ㄹ. 62°S~67°S 지역에서는 오존 구멍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는 그림과 같이 맑은 날 고압선 위에 앉아 있는 제비가 감전사하지 않는 사실을 보고는 그동안 학교에서 배운 전기 개념을 통해 <보기>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들을 생각해 보았다.
보기
ㄱ. 제비의 몸이 저항이 작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ㄴ. 제비의 두 발 사이의 전압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일 것이다.
ㄷ. 고압선의 전류는 전선을 통해서만 흐르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보기>에서 알맞은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할로겐 원소 $\text{X}_{2}$, $\text{Y}_{2}$의 성질 및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X, Y는 임의의 원소기호이다.)
<실험 과정 및 결과>
(가) Y의 나트륨 화합물 NaY 수용액 5mL를 시험관에 넣는다.
(나) 무색의 사염화탄소($\text{CCl}_{4}$)에 $\text{X}_{2}$를 충분히 녹이니 연두색을 나타내었다. (가)의 시험관에 이 용액 8mL를 넣고 흔들어준 다음 가만히 두었더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적갈색과 무색의 두 층으로 나누어졌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적갈색 층에는 $\text{Y}_{2}$가 녹아 있다.
ㄴ. 무색 층에는 $\text{X}^{-}$이 녹아 있다.
ㄷ. $\text{X}_{2}$는 $\text{Y}_{2}$보다 환원되기 쉽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며, (나)는 어떤 기단이 발원지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기단의 온도와 이슬점이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나)에 해당되는 기단과 기상 현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A 기단에 의해 겨울철 서해안 지방에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② B 기단에 의해 봄철에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③ C 기단에 의해 여름철에도 초가을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④ D 기단에 의해 무덥고 습한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한다.

⑤ E 기단에 의해 태풍의 피해가 생기기도 한다.

다음 표는 30년 동안 정오에 해수면에서 측정한 위도별 평균일사량($\text{W/m}^{2}$)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0°)35°N70°N
춘분550410105
하지485620475
추분550410105
동지4852100
이 자료를 이용하여 추론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세 지역 중 연평균 기온 변화가 가장 작은 곳은 적도이다.
ㄴ. 적도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때는 하지날이다.
ㄷ. 동짓날에 70°N 지역의 일사량이 0인 이유는 태양이 뜨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오른쪽 그래프는 반응 입자의 에너지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T_{1}$, $T_{2}$는 온도를 나타내며, $E_{1}$, $E_{2}$는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낸다)
다음의 〈보기〉에서 위의 그림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반응 속도와 관련된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여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음식물이 쉽게 상한다.
ㄴ. 장작불을 피우기 위해 잘게 쪼갠 불쏘시개를 사용한다.
ㄷ. 꺼져가는 성냥불을 산소가 들어 있는 병에 넣으면 다시 살아난다.
ㄹ.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피부에 바르면 상처난 부위에서 거품이 많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ㄷ

다음은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전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정전집진장치는 강한 전기력으로 오염물질 입자들을 대전시켜, 반대 부호로 대전되어 있는 도체판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다음 중 정전집진장치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① 초전도체

② 진공청소기

③ 스키선수

④ 전자석 기중기

⑤ 빗에 끌리는 종이조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