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11/20

2002-11 2002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2002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20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11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시행 : 2002.11.20(수)
대상 : 고등학교 1학년
출제 : 경기도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비탈면에서 수레를 운동시켜 시간에 따른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더니 표와 같았다.
시간(초)00.10.20.30.4
이동 거리(cm)01.03.99.116.0
수레의 운동을 모눈종이에 나타낼 경우 시간과 이동 거리의 눈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그림은 우리 나라 주변의 기압 배치이다. AB선을 따라 기압의 분포를 그렸을 때 옳은 것은?
달리던 자동차 A의 앞부분이 정지해 있는 자동차 B의 뒷부분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운전자를 포함한 자동차의 질량은 A가 B보다 두 배 크다고 할 때, 충돌 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자동차 A의 운전자는 앞쪽으로 쏠린다.
ㄴ. A가 B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B가 A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같다.
ㄷ. B가 A로부터 받는 충격량의 크기는 A가 B로부터 받는 충격량의 크기보다 크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콘센트에 전기 기구들을 그림과 같이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전기 기구들을 이와 같이 사용하면 좋지 않은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전기 기구들의 합성 저항이 작아져 콘센트선에 과다한 전류가 흐르기 때문이다.

② 전기 기구들의 합성 저항이 커져서 콘센트선에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③ 전기 기구들의 합성 저항이 커져서 각 전기 기구에 지나치게 높은 전압이 걸리기 때문이다.

④ 전기 기구를 여러 콘센트에 나누어 연결하는 것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⑤ 각 전기 기구가 소비하는 전력이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천재지변으로 건물이 붕괴되어 사람이 매몰되는 경우가 있다. 무너진 건물 속의 생존자를 찾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보기>에서 파동 현상을 이용하여 생존자를 찾는 방법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무너진 건물 속으로 마이크를 넣어 생존자의 소리를 찾는다.
ㄴ. 생존자 주위의 온도가 다른 곳보다 높을 것이기 때문에 적외선 관측 장치를 사용하여 조사한다.
ㄷ. 개의 후각이 사람보다 훨씬 예민하기 때문에 탐색견을 풀어서 생존자의 냄새를 추적하도록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돌고래가 내는 소리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중에 마이크를 설치하였다. 마이크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조사하였더니 그래프와 같이 2mA를 중심으로 시간에 따라 규칙적으로 변하였다. 이 그래프를 보고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소리의 파장
ㄴ. 소리의 진동수
ㄷ. 소리의 주기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말굽 자석, 사각형 코일, 검류계를 그림과 같이 연결하고 사각형 코일을 말굽 자석에 넣었다 빼었다 하였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사각형 코일을 말굽 자석에 넣을 때와 뺄 때, 검류계 바늘이 움직이는 방향은 반대이다.
ㄴ. 사각형 코일에 발생한 전기 에너지는 사람이 사각형 코일에 해준 일이 전환된 것이다.
ㄷ. 사각형 코일을 말굽 자석에 넣고 가만히 있으면 검류계의 바늘은 0에 멈추어 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표는 두 전구 A, B의 소비전력과 전기 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전환되는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전구소비 전력(W)에너지 전환 효율(%)
A205
B244
두 전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가 B보다 밝다.
ㄴ. 단위 시간당 발열량은 A가 B보다 많다.
ㄷ. 단위 시간당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A가 B보다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여러 형태의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시켜, 최종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들이다.
위 발전소들에 공급된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공통으로 거치는 에너지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열에너지
ㄴ. 위치 에너지
ㄷ. 운동 에너지
ㄹ. 화학 에너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ㄹ

<보기>는 일상 생활에서 볼 수 있는 반응 속도와 관련된 것이다. 이 중에서 반응 속도와 온도의 관계로 설명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통나무보다는 톱밥이 더 잘 탄다.
ㄴ. 음식물을 냉장고에 두었더니 오래 보존되었다.
ㄷ. 빠른 흡수를 위해 알약을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ㄹ. 상처가 난 부위에 과산화수소수를 바르면 거품이 생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그래프는 5% HCl 수용액 20mL에 5% NaOH 수용액을 조금씩 가해줄 때, 혼합 용액 중에 존재하는 각 이온의 개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옳게 나타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점]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철수는 물질 A와 B가 반응하여 C가 생성될 때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초기 농도(%)온도(℃)촉매
AB
10.20.130사용함
20.20.130사용 안 함
30.20.140사용함
40.20.230사용 안 함
위 실험 설계로부터 B의 농도가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면 어느 실험의 결과를 비교하면 되겠는가?

① 실험 1과 2

② 실험 1과 3

③ 실험 1과 4

④ 실험 2와 4

⑤ 실험 3과 4

영희는 아연과 염산의 반응에서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내용
(가) 3개의 삼각 플라스크를 준비하여 A에는 2% 염산을, B에는 5% 염산을, C에는 10% 염산을 각각 100mL씩 넣은 다음, 각 삼각 플라스크에 같은 크기의 아연 조각을 1g씩 넣는다.
(나) 아연을 넣는 즉시, 삼각 플라스크에 고무 풍선을 씌우고 같은 온도의 물이 들어있는 수조 속에 담근다.
(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풍선의 모양을 관찰해보니 그림과 같았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반응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C에서의 반응이다.
ㄴ. 영희가 알아보고자 한 것은 농도와 반응 속도의 관계이다.
ㄷ. 삼각 플라스크를 수조 속에 넣는 이유는 반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2% NaOH 수용액 20mL를 비커에 넣고같은 온도의 2% HCl 수용액을 피펫으로 조금씩 떨어뜨릴 때, 용액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용액 C의 액성은 중성이다.
ㄴ.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용액 D이다.
ㄷ.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1~2 방울 떨어뜨릴 때 색깔이 붉게 변하는 것은 용액 A와 B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다음은 세 가지 화합물을 물에 녹였을 때의 전기적 성질을 조사한 자료이다.
화합물전기적 성질
$\text{CH}_3\text{COOH}$전류가 조금 통한다.
$\text{AgNO}_3$전류가 잘 통한다.
$\text{CaCO}_3$전류가 통하지 않는다.
위 자료로부터, 물 속에서 각 화합물의 입자 상태를 설명하는 모형을 그림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단, 양이온은 ○로, 음이온은 ●로 나타낸다.)

① [$\text{CH}_3\text{COOH}$] : A / [$\text{AgNO}_3$] : B / [$\text{CaCO}_3$] : C

② [$\text{CH}_3\text{COOH}$] : A / [$\text{AgNO}_3$] : C / [$\text{CaCO}_3$] : B

③ [$\text{CH}_3\text{COOH}$] : B / [$\text{AgNO}_3$] : A / [$\text{CaCO}_3$] : C

④ [$\text{CH}_3\text{COOH}$] : B / [$\text{AgNO}_3$] : C / [$\text{CaCO}_3$] : A

⑤ [$\text{CH}_3\text{COOH}$] : C / [$\text{AgNO}_3$] : A / [$\text{CaCO}_3$] : B

영희는 염산과 아세트산을 각각 마그네슘과 반응시켜 산의 세기를 비교하고자 한다. 그림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이들 산을 같은 크기의 마그네슘 리본과 반응시켜, 발생된 기체의 부피가 50mL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보니 표와 같았다. (단, 염산과 아세트산의 농도와 부피는 같다.)
물질염산아세트산
기체 50mL가 생성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초)3058
위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염산은 아세트산보다 강한 산이다.
ㄴ. 발생한 기체는 모두 수소이다.
ㄷ. 반응 후 용액의 pH는 모두 감소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밀을 이용하여 $\text{CO}_2$의 농도와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text{CO}_2$의 소비량($\times 10^{-2}$mg/h)을 측정한 것이다. (단, 호흡량은 모두 같다.)
$\text{CO}_2$의 농도(%)빛의 세기(상대값)
0.042.36.09.0
0.082.78.014.5
0.122.79.016.5
0.162.79.017.5
0.202.79.017.5
위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하면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ㄴ. $\text{CO}_2$의 농도가 증가하면 광합성량이 계속 증가한다.
ㄷ. $\text{CO}_2$의 농도가 0.12%부터 밀의 생장이 최대가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서로 다른 전해질 수용액을 섞은 후, 앙금의 생성 여부를 관찰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용액$\text{K}_2\text{SO}_4$$\text{NH}_4\text{Cl}$$\text{Na}_2\text{CO}_3$
$\text{AgNO}_3$
$\text{CaCl}_2$×
$\text{NaNO}_3$×××
(○ : 앙금이 생긴 경우, × : 앙금이 생기지 않은 경우)
위 결과를 이용하여 <보기>의 물질 중에서 물에 잘 녹지 않는 화합물을 모두 고르면?
보기
ㄱ. $\text{CaCO}_3$
ㄴ. $\text{Ag}_2\text{SO}_4$
ㄷ. $\text{NH}_4\text{NO}_3$
ㄹ. $\text{Na}_2\text{SO}_4$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자율 신경의 조절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구리의 심장 2개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개구리의 심장 2개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연결하였다.
(나) 제1심장에 연결된 교감 신경을 전기로 자극하였다.
(다) 제1심장과 제2심장의 박동수와 수축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라) 같은 방법으로 부교감 신경을 자극한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위 실험에서 측정한 결과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단, 모식도에서 진동수는 심장 박동수를, 수축 곡선의 높이는 심장의 수축력을 나타낸다.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교감 신경은 심장의 박동수를 감소시킨다.
ㄴ. 부교감 신경은 심장의 수축력을 감소시킨다.
ㄷ. 제1심장의 자율 신경에서 나온 어떤 물질이 제2심장의 박동과 수축을 조절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사람의 나이에 따른 단위 체표면적당 기초 대사량을 나타낸 것이다.
나이(세)기초 대사량(kcal/m$^2$·h)
남자여자
출생 직후4845
55352
105046
204137
403835
603634
위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남자가 여자보다 단위 체표면적당 기초 대사량이 많다.
ㄴ. 5세 이후 단위 체표면적당 기초 대사량이 적어진다.
ㄷ. 나이가 들수록 기초 대사량을 유지하기 위해 단위 체중당 식사량을 늘려야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남녀의 생식 기관에서 생식 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과정에서 형성된 정자와 난자의 공통점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운동성이 있다.
ㄴ. 염색체의 수가 같다.
ㄷ. 생성된 정자와 난자의 수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영수는 시력이 나빠 안과에서 진단을 받았다. 의사 선생님은 눈의 구조와 렌즈의 성질에 대하여 그림과 같이 설명하였다.
영수의 눈의 상태와 교정에 적합한 렌즈를 옳게 짝지은 것은?

① 수정체의 두께가 얇다 - 오목 렌즈

② 수정체의 두께가 두껍다 - 볼록 렌즈

③ 수정체의 두께가 두껍다 - 오목 렌즈

④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길이가 길다 - 볼록 렌즈

⑤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길이가 짧다 - 오목 렌즈

그림은 사람의 소화 기관에서 흡수된 양분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그래프는 각 활동에 따라 간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혈액의 혈당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① A의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간정맥이다.

② 식사 중 간 속의 포도당은 B의 혈액으로 모두 이동한다.

③ 간에는 항상 같은 양의 포도당이 존재한다.

④ 운동 중 간은 B의 혈액에 포도당을 제공한다.

⑤ 간문맥의 혈당량은 운동 중일 때가 식사 중일 때보다 더 높다.

철수는 감자 속에 들어 있는 효소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와 같이 실험 설계를 하여 각 시험관에서 발생한 기포의 양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관3% 과산화수소 용액(mL)생감자 조각(개)첨가액온도 (℃)
A5넣지 않음증류수 2mL30
B52증류수 2mL30
C5210% HCl 용액 2mL30
D5210% NaOH 용액 2mL30
위 실험 설계로 보아 철수가 세운 가설로 옳은 것은?

① 효소는 기질 특이성이 있다.

② 효소는 pH의 영향을 받는다.

③ 과산화수소는 감자를 분해한다.

④ 온도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달라진다.

⑤ 효소는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높여준다.

여성의 생식 주기 중 일어나는 난소의 변화와 자궁 내벽의 두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여성이 11월 11일에 월경을 시작하였다. 위 자료를 근거로 할 때 이 여성의 배란 예정일은?

① 11월 15일

② 11월 19일

③ 11월 25일

④ 12월 1일

⑤ 12월 9일

북반구의 중위도 지역에서 발달한 온대 저기압이 그림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P지점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일기 변화를 <보기>에서 골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

① ㄱ → ㄴ → ㄷ

② ㄱ → ㄷ → ㄴ

③ ㄴ → ㄱ → ㄷ

④ ㄴ → ㄷ → ㄱ

⑤ ㄷ → ㄴ → ㄱ

그림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짝지은 것은? [1점]
보기
ㄱ. 신기술의 발달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ㄴ. 집중적으로 육성할 분야에 재정적 지원을 한다.
ㄷ. 합리적 사고와 과학적 생활 태도를 갖게 한다.
ㄹ. 새로운 과학의 원리와 법칙을 찾아내는 계기가 된다.
(가)
(나)
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만들어지는 경계의 종류를 이해하기 위하여 종이로 그림과 같은 모형을 만들었다. 종이를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보기>와 같은 지질학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판의 경계에 해당되는 곳은?
보기
◦ 화산 활동은 없으나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 미국의 산안드레아스 단층과 같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

① A-F

② B-E

③ C-H

④ D-E

⑤ D-G

그림은 우리 나라와 일본 주변에서 일어나는 판의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에서 B로 갈수록 진원의 깊이가 얕아진다.
ㄴ. 밀도가 큰 태평양 판이 밀도가 작은 유라시아 판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ㄷ. 일본은 우리나라에 비해 화산과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우리 나라 어느 시기의 일기도이다. 이러한 일기도가 나타날 때 우리 나라 중부 지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해는?

① 산불

② 홍수

③ 가뭄

④ 폭설

⑤ 황사 현상

그림은 우리 나라 주변 해양에서 측정한 2월과 8월의 표면 수온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단위 : ℃)
이 그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남북 간의 수온차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크다.
ㄴ. 여름과 겨울 모두 동해의 수온이 가장 높다.
ㄷ. 수온의 연교차가 가장 큰 곳은 황해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표는 우리 나라 동해, 황해, 남해의 각 해안에서 먼 바다로 나가면서 수심을 측정한 자료이다.
해역 \ 거리(km)0255075100125150175200
수심 (m)해역A02536525969758280
해역B08241106152613341494150119901197
해역C03862758287989194
위의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 해역의 해저 지형 경사가 가장 크다.
ㄴ. B 해역의 자료는 동해에서 측정한 것이다.
ㄷ. A와 C 해역의 해저 지형은 대륙붕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