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6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2002.11.6(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 같은 원소의 원자들은 모두 그 성질과 질량이 같다.
○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는 서로 배열만 바뀔 뿐 새로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 화합물이 만들어질 때, 각 원소의 원자들은 간단한 정수비로 결합한다.
① 일산화탄소에서 탄소와 산소의 질량비는 $3 : 4$이다.
② 일산화탄소 28g과 산소 16g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44g이 생성된다.
③ 일산화탄소 2L와 산소 1L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2L가 생성된다.
④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에서 일정량의 탄소와 결합한 산소의 질량비는 $1 : 2$이다.
⑤ 일산화탄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될 때, 탄소와 산소의 원자 수는 변하지 않는다.
분자의 수 | 부피 (표준상태) | 질량 | 산소 원자의 수 | 산소 원자의 몰 수 |
$6.0\times10^{23}$개 | 22.4L | 32g | $1.2\times10^{24}$개 | 2 몰 |
ㄴ. 물 분자 $3.0\times10^{23}$개에 포함된 수소 원자의 수
ㄷ. 이산화탄소($\text{CO}_2$) 0.25 몰에 포함된 산소 원자의 수
ㄹ. 표준상태에서 수소($\text{H}_2$) 기체 22.4L에 포함된 수소 분자의 수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다음은 아스피린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흰색 가루의 몇 가지 성질이다.
○ 산 촉매 하에서 에탄올($\text{C}_2\text{H}_5\text{OH}$)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한다.
○ 산 촉매 하에서 포름산($\text{HCOOH}$)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한다.
각각의 그림과 관련된 현상을 <보기>에서 골라 옳게 짝지은 것은? [1점]
ㄴ. 찌그러진 탁구공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부풀어 오른다.
ㄷ. 여름철에 작은 연못의 물고기들이 호흡을 위해 수면으로 떠오른다.
① (가) : ㄱ / (나) : ㄴ
② (가) : ㄴ / (나) : ㄱ
③ (가) : ㄴ / (나) : ㄷ
④ (가) : ㄷ / (나) : ㄱ
⑤ (가) : ㄷ / (나) : ㄴ
(단, A~J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주기 \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 | A | |||||||||||||||||
2 | B | C | ||||||||||||||||
3 | D | E | F | |||||||||||||||
4 | G | H | I | J |
○ 안정한 이온의 전자 배치는 $1s^2 2s^2 2p^6 3s^2 3 p^6$이다.
○ 원자 반지름은 0.197nm이고, 이온 반지름은 0.099 nm이다.
① D
② F
③ G
④ H
⑤ J
위와 같은 특성을 지닌 물질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 [1점]
○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녹는점이 높다.
○ 고체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없으나, 용융 또는 수용액 상태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① $\text{A}_2\text{C}$
② $\text{BF}_2$
③ $\text{C}_2$
④ $\text{DI}$
⑤ $\text{E}$
이 반응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은 이온은 산화제이다.
ㄷ. 은 이온의 산화수는 증가하였다.
ㄹ. 전자는 구리에서 은 이온으로 이동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ㄹ
위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화학식량은 $\text{KNO}_3$ 101.1, $\text{KCl}$ 74.6이다.)
ㄴ. B 상태에 있는 염화칼륨 수용액의 퍼센트 농도는 45%보다 작다.
ㄷ. 60℃의 질산칼륨 포화 용액 110g을 20℃로 냉각시키면 질산칼륨 80g이 석출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화합물 | 구조식 | 분자량 | 끓는점(℃) |
에탄올 | 46 | 78 | |
포름산 | 46 | 101 | |
프로판 | 44 | -42 |
ㄴ.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포름산이 에탄올보다 더 크다.
ㄷ. 프로판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주된 힘은 쌍극자-쌍극자 인력이다.
ㄹ. 에탄올 수용액에서 에탄올 분자와 물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주된 힘은 수소결합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위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물질 B는 20℃, 1기압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ㄷ. 1기압에서 물질 A는 승화성이 있으나 B는 승화성이 없다.
ㄹ. 고체 상태에서 물질 A의 분자 사이의 힘은 물질 B의 분자 사이의 힘보다 크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위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의 몰랄 오름 상수 Kb는 0.52℃/m이다.) [2점]
ㄴ. B 상태에 있는 수용액의 증기압력은 1기압보다 크다.
ㄷ. 이 수용액의 몰랄 농도는 0.5m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 $\Delta H = \Delta H_1+\Delta H_2+\Delta H_3$
② $\Delta H = \Delta H_1-\Delta H_2-\Delta H_3$
③ $\Delta H = \Delta H_2+\Delta H_3-\Delta H_1$
④ $\Delta H = \Delta H_1-2\Delta H_2-3\Delta H_3$
⑤ $\Delta H = 2\Delta H_2+3\Delta H_3-\Delta H_1$
실험 | 반응 물질의 초기 농도(몰/ L) | 초기 반응 속도(몰/L·s) | |
$[\text{S}_2{\text{O}_8}^{2 -}]$ | $[\text{I}^{-}]$ | ||
Ⅰ | 0.10 | 0.10 | $6.0\times 10^{-5}$ |
Ⅱ | 0.20 | 0.10 | $1.2\times 10^{-4}$ |
Ⅲ | 0.20 | 0.20 | $2.4\times 10^{-4}$ |
Ⅳ | 0.30 | 0.20 | (가) |
① [실험] : Ⅰ과 Ⅱ / (가) : $3.6\times 10^{- 4}$
② [실험] : Ⅰ과 Ⅲ / (가) : $3.6\times 10^{- 4}$
③ [실험] : Ⅱ와 Ⅲ / (가) : $3.6\times 10^{- 4}$
④ [실험] : Ⅰ과 Ⅱ / (가) : $4.8\times 10^{- 4}$
⑤ [실험] : Ⅱ와 Ⅲ / (가) : $4.8\times 10^{- 4}$
압력 \ 온도 | 300℃ | 500℃ | 700℃ |
100기압 | 52.0 | 10.6 | 2.2 |
300기압 | 71.0 | 26.4 | 7.3 |
600기압 | 84.2 | 42.2 | 12.6 |
ㄴ. 압력이 높아지면 생성물의 양은 증가한다.
ㄷ. 정반응은 발열반응이다.
ㄹ. 계수 $a$와 $b$의 합이 $c$보다 작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ㄴ. (나)는 바닥 상태로의 전자 전이이다.
ㄷ. b의 에너지는 a의 에너지보다 크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플루오르화수소는 수용액에서 다음과 같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 (단, $K_a$는 25℃에서의 이온화상수이다.) $$\text{HF} (aq)+\text{H}_2\text{O}(l) ⇄ \text{H}_3\text{O}^+(aq) + \text{F}^-(aq) \,\,\,\,\,\,\,\,K_a = 6.8\times 10^{-4}$$ 위 반응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text{H}_2\text{O}$는 염기로 작용하였다.
ㄷ. $\text{HF}$는 $\text{H}_3\text{O}^+$보다 약한 산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