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05/24

1991-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6번까지는 대화나 설명을 듣고 주어진 물음에 답하는 “듣기 평가” 문제입니다.
다음의 말을 듣고 그 말의 내용에 맞는 그림을 고르라.
다음의 대화는 여자가 어느 장소를 찾아가려고 길을 묻는 대화이다. 잘 듣고 찾아가는 장소의 번호를 고르라.
다음은 서양 식당에서의 대화이다. 웨이터의 말에 대한 손님의 응답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Customer :     .

① Please help yourself.

② That's OK.

③ Let me see.

④ Yes, of course.

⑤ I don't think so.

[4~5]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은 다음, 그 내용에 관해 묻는 질문을 듣고 그에 알맞은 답을 고르라.

① He bought two tickets.

② He returned two tickets.

③ He gave up and returned home.

④ He boarded the airplane.

⑤ He watched the morning game.

They are going to     .

① call an ambulance

② do some shopping

③ get some flowers

④ visit their teacher

⑤ study in the library

다음 일기 예보를 듣고 질문에 알맞은 답을 고르라.

① foggy

② cloudy

③ rainy

④ windy

⑤ sunny

7번부터는 문제지의 지시에 따라 응답하십시오.
[7~10]
빈칸에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Jim : Can you play tennis this afternoon?
Jack : I'd love to, but I'm      I have to study for the exam.

① embarrassed

② afraid

③ scared

④ surprised

⑤ alarmed

Jane : Bob, I'm really sorry for doing that. You deserve my apology.
Bob : No, it was my fault. I      you an apology, too.

① owe

② pay

③ give

④ make

⑤ find

Tom : Hey, you're dressed up! What's the     ? You do look smart in that dress.
Steve : Do you really think so?
Tom : Yes, the color suits you very well.
Steve : Thank you.

① affair

② matter

③ occasion

④ business

⑤ incident

Bill : Well, Tom, I'd like to congratulate you on winning the prize.
Tom : Oh, it was nothing. I mean there was nothing to it. Anyone      it, really.

① has done

② had done

③ could have done

④ must have done

⑤ will have done

[11~12]
사선(/)에 의해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 다음 문장에서 어색한 표현이 있는 부분을 고르라.
① Earlier in his life / ② Charles Smith had been a waiter, / ③ a tour guide, / ④ a taxi driver, / ⑤ and taught science.
① We are very busy / ② because the teacher said / ③ we must / ④ finish our homework / ⑤ until next Friday.
[13~15]
말의 의도하는 바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을 고르라.

① Let's go to the movies.

② Why go to the movies?

③ Shall we go to the movies?

④ Why don't we go to the movies?

⑤ What about going to the movies?

① May I use your telephone?

② I wonder if I could use your telephone.

③ If you don't mind, I'll use your telephone.

④ Would you mind my using your telephone?

⑤ Would you please be so kind as to use your telephone?

① I don't blame him.

② It wasn't his fault.

③ He is not to blame.

④ I don't really believe in him.

⑤ I see nothing wrong with him.

[16~21]
빈칸에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My sister is a born shopper. She likes to compare prices between the same items in different stores.     , I am not a shopper. If I like something in a store, I buy it right there. I never look around for a good sale or a better deal.

① As a matter of fact

② In addition to that

③ On the other hand

④ Needless to say

⑤ Therefore

Among TV programs, entertainment shows draw from many creative fields.     , concerts, musical shows, dramatic series, and movies all appear on the TV screen.

① Instead

② However

③ Of course

④ For example

⑤ Furthermore

    . In our country, many leaders are elected by the votes of other members of a group. Some leaders are appointed to their jobs by others, who have been elected.

① You should choose leaders for important jobs.

② There are several ways in which people become leaders.

③ Leaders have different kinds of jobs.

④ Most leaders are appointed to their jobs.

⑤ Members of a group are all leaders.

The best way to learn about a new city is to walk around it. You can watch people and listen to their conversations. You can look at things in shop windows. This way you will get to know     .

① how expensive things are

② what people think about

③ where the city is

④ what the city is like

⑤ why people visit the city

Some people like to dream about things that are not possible. They plan wonderful vacations, but they have no money. They think of getting married to someone they do not even know. These people, we say, are     .

① building a solid future

② building castles in the air

③ going against the facts

④ making a new life for themselves

⑤ planning their future life

It is harder to learn some things when you get older. Your brain does not work as quickly. That is why we sometimes say, “    

① A watched pot never boils.

② What is done cannot be undone.

③ Don't put the cart before the horse.

④ You can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⑤ You can't teach an old dog new tricks.

[22~23]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The fish are dying in the Adirondack Lakes in northern New York State. Fishermen are worried. This used to be a favorite spot for sport fishing. But every year there are fewer fish. Some lakes -- 6 percent of them -- now have no fish at all. What is killing the fish?
The problem is acid rain. It is caused by the smoke from factories that burn coal, oil, or gas. Some of the unhealthy things in the smoke may come down with the rain hundred miles away. There are many factories in the midwestern states. The wind blows the smoke towards the east. This means towards the Adirondack area.
The main point of this passage is that     .

① factories burn coal, oil, or gas

② fishermen find fewer fish

③ fish are killed by acid rain

④ factories are built in the midwestern states

⑤ acid rain is the worst kind of air pollution

The acid rain here is caused by     .

① the water in the Adirondack Lakes

② the wind from the New York State

③ the dead fish in the fishing spot

④ the northern part of the factories

⑤ the factory smoke from the midwestern states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Britain consists of four countries: England, Scotland, Wales and Northern Ireland. London, the capital, is the center of government for Britain, but local authorities are partly responsible for education, health care, roads, etc. Laws are made by Parliament. Members of Parliament are elected by the people from a particular area.

① The Geography of Britain

② The Political System of Britain

③ How Laws Are Made in Britain

④ The Responsibility of Local Authorities

⑤ The Election of Members of Parliament

[25~26]
다음 커피에 관한 두 단락의 글을 읽고 각 단락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을 그 아래의 보기에서 고르라.
Coffee is grown in an area about 20° on either side of the equator. It can be grown from sea level to about 2000 meters, but the highest quality coffee is produced at about 1500 meters. It needs an average temperature of about 77°F and an annual rainfall of one to two meters.

① How to Prepare the Drink

② How to Grow the Coffee Plant

③ The History of Coffee

④ Where the Coffee Plant Grows

⑤ What Coffee Tastes Like

Express coffee is made by forcing steam through specially roasted coffee. In many places chicory is added to give strength and color. In some countries a cup of coffee takes a long time to prepare, but instant coffee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① How to Prepare the Drink

② How to Grow the Coffee Plant

③ The History of Coffee

④ Where the Coffee Plant Grows

⑤ What Coffee Tastes Like

[27~29]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요점을 고르라.
Travel is fun. Travel is exciting. But it’s not fun or exciting if you get sick. You may think: “Not me. I won’t get sick on my vacation.” But for many people, that is what happens. Of course you do not want to spend your vacation sick in bed. So, remember this: if you want to enjoy your vacation, take good care of yourself. Give your body some rest. Get enough sleep and eat good, healthy food.

① 여행할 때는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② 여행은 즐겁고 신나는 것이다.

③ 관광을 즐기는 사람들은 대개 건강한 편이다.

④ 휴가 때에는 건강을 잃기 쉽다.

⑤ 휴가철은 관광하기에 좋다.

Many Americans consider air conditioners as important as refrigerators. When it gets a bit warm, millions of air conditioners are turned on all across America. It’s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energy used to cool off America is equal to all the energy consumed in China today. Is the air conditioner really a necessity of modern life?

① 미국인들은 냉장고를 중시한다.

② 여름에는 수백만대의 에어컨이 가동된다.

③ 에너지 절약이 필요하다.

④ 미국과 중국의 에너지 소비량은 다르다.

⑤ 에어컨과 냉장고는 모두 필수품이다.

Most of you would be likely to say that the Korean way is better. We are used to our ways, and the things we are used to generally seem right. Things that are strange or unknown often seem wrong. Perhaps the best answer would be that it depends on many things.

① 우리의 방식만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② 남들이 하는 행동을 따라 해서는 안 된다.

③ 우리에게 좋은 것은 남에게 나쁘다.

④ 어떤 식으로 살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⑤ 우리의 생활 양식을 많이 알아야 한다.

다음 글을 쓴 당시의 필자의 심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단어를 고르라.
I always hear people complaining about having brothers and sisters who bother them. I used to complain a lot about my sister. My sister Misty was handicapped. I had to take her everywhere I went, and include her in my activities. Sometimes I even hated her because she was handicapped and depended on me so much.
Last May she died in the hospital. I never realized how much a part of me she really was.

① sorry

② thankful

③ angry

④ disappointed

⑤ hateful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라.
It was AD 79. People lived on the hills surrounding Mount Vesuvius which was a volcano. The people remembered an earthquake which had happened seventeen years before. But in the rich trading town of Pompeii, it was easy to forget. On August 24th the mountain exploded. The cities of Pompeii were buried in ashes. That volcanic explosion ended a civilization completely. No one expected it to happen.

① 폼페이 사람들은 화산 폭발에 대비하였다.

② 폼페이의 유적은 19세기에 와서 발굴되었다.

③ 화산 폭발 직전에 지진이 있었다.

④ 폼페이는 작은 공업 도시였다.

⑤ 지진이 있고나서 17년 후에 화산이 폭발하였다.

[32~34]
다음은 어떤 글의 일부이다. 그 앞에 무엇에 관한 글이 있었겠는가?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If you follow these simple steps, you'll see that you don't have to be afraid of public speaking. In fact you may find the experience so enjoyable that you volunteer to make more speeches! You're not convinced yet? Give it a try and see what happens.

① How to build steps

② How to make friends

③ How to give a good speech

④ How to enjoy life

⑤ How to talk to parents

What is it that is common to them all? What relates a painting to a song, a play to a dance? The most basic relationship is that the arts are concerned with emotions, with our feelings about things. When a person sees a beautiful picture or an exciting play, he feels that it is lovely or stirring. His reaction is primarily emotional.

① The world of painting

② Different areas of arts

③ Arts and science

④ Arts and emotions

⑤ Different kinds of emotion

But what about people? Is it really necessary to build high buildings for people to live in? Today, there are many people who believe high buildings actually damage people’s minds and feelings. These people think high-rise buildings have no advantages, except for their owners and for banks. They believe high-rise buildings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general.

① Different life styles

② Old buildings

③ Minds and feelings

④ Advantages of high-rise buildings

⑤ Quality of life

[35~36]
다음은 약품의 복용에 관한 지시문이다. 읽고 물음에 답하라.
DIRECTIONS: Shake well, 2-4 teaspoonfuls before meals and at bedtime or as directed by a physician.
INDICATIONS: This product is for the relief of sour stomach and symptoms of gas related to this condition.
WARNING: Keep this and all drugs out of the reach of children. Except under the advice of a physician: Do not take more than 16 teaspoonfuls in a 24 hour period or use the maximum dose of this product for more than two weeks. Do not use this product if you have kidney disease.
If not directed by a physician, how many times a day can you take this medicine?

① 1 time

② 2 times

③ 3 times

④ 4 times

⑤ 6 times

What is this medicine for?

① Headache.

② Sour stomach.

③ Heart problems.

④ Kidney disease.

⑤ Colds.

[37~4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On the first day of science class, Mr. Brown gave us a lecture about an animal called cattywampus, which was wiped out during the Ice Age. He passed around a bone as he talked. We all took notes and later had a test.
When he returned my paper, I was shocked. There was a big X through each of my answers. There had to be some mistake! I had written down exactly what Mr. Brown said. Then I realized that everyone in the class had failed. What had happened?
Very simple, Mr. Brown explained. He had made up all that story about the cattywampus. There had never been any such animal. The information in our notes was, ( ⓐ ), incorrect. In fact, when he was passing around the cattywampus bone (in truth, a cat’s), didn’t he tell us that no trace of the animal remained? He had described the shape, color, and other facts about an animal that did not exist. He had given the animal a funny name.
밑줄친 was wiped out과 같은 뜻을 가진 것은?

① lived

② cleaned

③ disappeared

④ produced

⑤ remained

( ⓐ ) 속에 가장 알맞은 것은?

① but

② though

③ however

④ therefore

⑤ because

cattywampus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고양이과의 동물이었다.

② 발자국을 남겼다.

③ 크기가 고양이 정도였다.

④ 뼈가 화석으로 남았다.

⑤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

Mr. Brown은 시험을 통해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려고 하였는가?

① Be watchful when studying science.

② Memorize science textbooks.

③ Take an interest in animal science.

④ Take full notes in class.

⑤ Learn more about cattywampus.

1991-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보기> 중 주로 가치관을 묻는 질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보기
ㄱ. 청소년을 주변인(周邊人)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ㄴ. '홍익인간'의 뜻은 무엇인가?
ㄷ. 인간이란 무엇인가?
ㄹ. 그 친구의 행동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 글은 현대인들이 가지있는 삶의 어떤 면을 가장 소홀히 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가?
물질적 만족에 도취되어 감정적이 되거나 단순한 쾌락추구에 빠지기 쉽고, 군중속의 익명성을 누리게 되어 순수성을 잃고 삶의 의미에 대하여 무관심해지기 쉽다. 또, 거대한 사회조직 속의 한 부속품으로 전락하여 무감각한 생활을 하기 쉽고, 대중문화에 예속되는 경향이 있다.

① 자기 성찰

② 공동체의식의 확립

③ 행복한 삶의 추구

④ 타인에 대한 배려

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한 개인의 삶의 질(質)이 높아졌다고 할 때, 그 판단의 기준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자녀 양육

② 교우 관계

③ 이웃 생활

④ 국민 소득

⑤ 자신이 느끼는 행복감

다음 일기도와 같은 기후 상황에 대비하는 우리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은?

① 보리밭 밟기

② 지하수 개발

③ 김장 담그기

④ 모시옷 짓기

⑤ 제설장비 마련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문제들에 관한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근대 공업은 입지 조건이 보다 유리한 장소를 찾아 입지하면서 공장 상호간에 이익을 주는 집적(集積)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공업 발달에 유리한 점이 있으나, 여러가지 문제들을 일으키기도 한다.

① 인구 집중의 조절

② 지하 자원의 개발

③ 환경 보전 운동의 전개

④ 지역 개발 계획의 수립

⑤ 금융 및 유통 체계의 조정

<보기>의 자료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으로 부적당한 것은?
보기
○ 이승만 대통령은 국회에서 재선될 가능성이 없게 되자,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대통령 직선제, 양원제를 내용으로 한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1952년)
○ 민주공화당은 박정희 대통령의 3선을 위한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 야당의원 몰래 민주공화당 의원만으로 한밤중에 국회 제3별관에서 본회의를 열어 통과시켰다. (1969년)
○ 박정희 대통령은 비상계엄령을 내리고, 국회해산, 비상국무회의에 의한 국회 기능의 대행, 헌법 개정을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비상국무회의는 '통일주체 국민회의'라는 기구를 설치, 여기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게 한 이른바 '유신헌법'을 의결하였다. (1972년)

① 당시의 한국 정치는 인물 중심의 정치였다.

② 당시의 한국 정치는 입헌주의 실현에 실패하였다.

③ 헌법 개정의 주된 내용은 통치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④ 헌법 개정이 권력의 집권 연장을 위해 이용되었다.

⑤ 헌법 개정의 주된 이유는 당시 헌법상의 정치제도가 지닌 모순 때문이었다.

다음 도표 A, B를 보고 알 수 있는 우리나라 농업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농업 규모가 영세하다.

② 다각적 영농이 추진되고 있다.

③ 영농의 기계화가 활발하다.

④ 상품 작물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⑤ 주곡 작물 재배가 감소하고 있다.

신라 하대 사회에 관한 <보기>의 사실들을 파악하여 내릴 수 있는 종합적인 결론은?
보기
중앙 귀족들 간의 대립으로 지방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지배 세력의 가혹한 수탈과 천재지변으로 농민들은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에 처하였다. 6두품 출신의 지식인들이 신라 사회의 폐단을 지적하고 유교적 정치 이념을 제시하였다. 교종의 전통과 권위에 대항하면서 선종이 크게 유행하였다.

① 신라 사회의 조직 원리인 골품제도의 동요는 신라 사회의 몰락을 가져 왔다.

② 신라 사회의 전반적 동요는 새로운 정치 세력과 이념의 출현을 필요로 하였다.

③ 농민층의 몰락과 6두품의 반발은 신라 사회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④ 귀족들 간의 대립은 신라의 사회 경제적 기반의 재편성을 요구하였다.

⑤ 신라 사회의 사상적 혼란이 지방 세력의 대두를 초래하였다.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정치 세력이 수행한 역할로서 옳은 것을 2개 고른다면?
보기
○ 정몽주, 길재, 김종직 등으로부터 비롯하였다.
○ 지방의 중소 지주층으로서 절의와 명분을 중시하였다.
○ 인간의 심성을 학문 연구의 주 대상으로 삼았다.

① 권문 세족과 대립하면서 고려 말기 사회의 개혁을 추구하였다.

② 향약과 서원을 기반으로 향촌 사회에서 확고한 지배력을 행사하였다.

③ 지방의 정치적, 군사적 실권을 장악하고 중앙정부와 대립하였다.

④ 한국 사회의 고대적 사회로부터 중세적 사회로의 전환을 주도하였다.

⑤ 왕도 정치를 정치적 이상으로 추구하면서 훈구 세력과 대립하였다.

다음 <보기>는 1894년의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동학 농민군이 제시한 폐정 개혁 요구의 일부분을 열거한 것이다. 이 자료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는 당시의 상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보기
○ 동학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한다.
○ 탐관 오리는 그 죄상을 조사하여 엄징한다.
○ 횡포한 부호(富豪)를 엄징한다.
○ 불량한 유림(儒林) 및 양반의 무리를 징벌한다.
○ 노비 문서(奴婢文書)를 소각한다.
○ 7종의 천인 차별을 개선하고 백정이 쓰는 평량갓[平凉笠]은 없앤다.
○ 무명의 잡세는 일체 폐지한다.
○ 왜(倭)와 통하는 자는 엄징한다.
○ 공사채를 물론하고 기왕의 것을 무료로 한다.
○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分作)한다.

① 천인들에 대한 신분적 차별이 많이 남아 있었다.

② 일본의 침략적 진출에 대한 경계심이 고조되었다.

③ 관리들의 부패와 부호들의 횡포가 만연하였다.

④ 양반 제도 폐지의 요구가 크게 대두하였다.

⑤ 많은 농민들이 농토를 가지지 못하고 각종 채무에 시달렸다.

다음 자료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우리 민족문화의 특성은?
○ 영고(迎鼓)나 무천(舞天) 등의 제천행사가 있었다.
○ ‘성주[成造]’를 모시면서 추수를 끝낸 뒤 햇곡식으로 음식을 장만하여 고사를 지냈다.
○ 마을에서는 ‘서낭제’에게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였다.
○ ‘지신(地神) 밟기’ 같은 전통적인 민속놀이를 하였다.

① 농경 문화

② 향토 문화

③ 자민족 중심의 문화

④ 정치와 종교가 결합된 문화

⑤ 토착문화와 외래문화와의 접변

아래 <그림>은 우리 나라의 인구 변천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 자료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을 <보기>에서 고른다면?
보기
ㄱ. 급격한 정치·사회 변동은 인구변천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ㄴ.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높은 기간에는 인구증가율이 높아진다.
ㄷ. 공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인구증가의 속도가 빨라진다.
ㄹ. 근대화가 진전됨에 따라 점차 사망률과 출생률이 모두 낮아져 인구 증가가 낮은 수준에서 안정되게 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ㄴ, ㄷ

⑤ ㄷ, ㄹ

다음 <보기>의 인구 피라미드에서, 촌락을 떠나 도시로 집중하는 현상을 잘 나타낸 그림끼리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아래의 (표)는 모든 가구를 소득 수준별로 나열하고 이를 10등분하여, 하위 40%의 가구가 받은 소득의 합이 전체 국민 소득에서 차지하는 정도(A)와 상위 20% 가구의 그것(B)을 비교한 십분위 분배율에 관한 자료이다.
이 (표)의 자료를 바탕으로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에 관하여 알 수 있는 현상은?
연도하위 40% (A) (%)상위 20% (B) (%)십분위 분배율 (A/B)
196519.341.80.46
197019.641.60.47
197616.945.30.37
198016.145.40.35
198218.843.00.44
198418.942.30.45
198621.039.60.53

① 한국 경제가 고도 성장을 지속한 1970년대에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는 점차 개선되었다.

② 1980년대에 이르러 민간 부문의 자율성 증대 등 경제 민주화가 강조되면서 소득 분배 불평등 정도는 악화되었다.

③ 소득 향상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여 근로의욕이 높았던 1980년대 후반에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악화되었다.

④ 1984년의 소득 분배 불평등 정도가 1965년과 거의 같은 수준인 것으로 보아, 그동안 한국 사회의 계층 구조는 변화하지 않았다.

⑤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개선되기 시작한 시기는 석유 및 원자재 가격 하락 등 국제경제 여건이 호전된 1980년대 초와 거의 일치한다.

춘추 전국 시대에는 군웅의 할거와 쟁쟁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을 입증하는 근거를 2개 고른다면?

① 철제 농기구의 사용에 따라 경작지가 확대되고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② 상업의 발달과 함께 화폐 경제의 발달이 촉진되었으며 각지에 큰 도시가 형성되었다.

③ 토지의 국유화가 진전되고 봉건제도의 붕괴와 군현 제도의 확대 실시가 이루어졌다.

④ 강남 지방의 개발이 촉진되어 강남 지방의 경제력이 화북 지방을 앞지르게 되었다.

⑤ 우주의 원리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려는 심리학이 발달하였다.

중세 유럽 사회에서 나타난 <보기>의 사실들을 종합하여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보기
○ 농민들은 부역 대신 현물이나 화폐로 지대를 납부하였다.
○ 흑사병의 만연으로 인구가 감소하여 노동력이 부족하였다.
○ 상업과 도시의 발달에 따라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였다.

① 각지에서 농민들의 반란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② 영주들은 화폐 수입의 확대를 통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하였다.

③ 농민들의 신분적 지위와 경제적 지위가 상승하였다.

④ 도시의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하여 대자본가가 출현하였다.

⑤ 영주와 농민 간의 분쟁 해결을 위하여 강력한 왕권이 출현하였다.

[17~1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민주주의는 개인의 창조적인 능력, 가치, 존엄에 대한 확신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근대 초기의 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가 행사하는 강제력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특히 시민 재곱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나) 근대 초기의 형성된 자유의 사상을 오늘날에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게 된 이유는 자유의 성격때문이다. 근대 초기의 가장 심각한 억압은 정부의 간섭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우리들 시대에는 정부의 억압으로부터 개인의 해방 그 자체가 또 다른 억압을 야기하는 민주주의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즉 개인의 자유라는 것이 소유와 기회에 있어서의 최소한의 평등을 이루지 못했으며, 따라서 정치적 평등을 유명무실하게 하였다.
윗글은 근대와 현대의 민주주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글에서 논의되고 있는 쟁점은?

① 자유와 평등간의 부조화

② 시민 재곱의 이익과 정부의 역할

③ 민주주의 정치 이념의 허구성

④ 정치적 목적과 수단의 불일치

⑤ 민주주의에서의 정치적 평등의 중요성

윗글에서 말하는 '민주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제도나 방법은?

① 대의제

② 보통선거제도

③ 기본권의 제한

④ 국가권력의 제한

⑤ 위 4가지 모두

다음 A, B 지도는 가상 지역의 시기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이 변천하게 된 가장 큰 원인으로 짐작되는 것은?

① 학교수의 증가

② 교통로의 변화

③ 방어 기능의 강화

④ 행정 기관의 이동

⑤ 새로운 자원의 개발

다음은 거대도시(metropolis)의 권(圈)구조를 나타낸 모형도이다. A에서 C로 가면서 나타나는 도시의 여러 현상들을 바르게 나타 낸 것은?
오늘날 전통윤리의 회복을 통하여 주로 추구하려는 것을 다음 <보기>에서 찾는다면?
보기
ㄱ. 화목하고 인정이 넘치는 사회
ㄴ. 편리하고 안락한 삶
ㄷ. 합리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사회
ㄹ. 물질적 향락추구 억제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핵 가족화 현상은 여러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사회 문제를 초래하지만 바람직한 면도 지니고 있다”라는 주장의 타당한 근거를 2개 찾는다면?

① 상호 부조

② 사회규범의 보존

③ 친족간의 유대강화

④ 개인의 자율성 신장

⑤ 민주적 인간관계 형성

자유민주주의가 최선의 정치체제라고 주장하는 가장 타당한 이유는?

① 다른 체제보다 국민소득이 높으니까.

② 다른 체제에 비하여 사회문제가 적게 생기니까.

③ 다른 체제에서 보다 인간가치를 존중하니까.

④ 우방국가들이 이 체제를 가장 선호하니까.

⑤ 공산주의에 비하여 체제적 우월성이 입증되었으니까.

1991-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2]
다음 글은 한국 전력 공사가 220V 승압의 효과를 홍보하는 자료에서 옮긴 것이다.
승압의 효과
수압이 세면 수도관을 바꾸지 않고도 수도물을 많이 사용할 수 있듯이 가정용 전압을 100볼트에서 220볼트로 승압하면 옥내의 전선을 바꾸지 않고도 2.2배의 전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내배선의 사용능력 비교>
가정용 옥내배선사용 전압최대 사용능력
굵기가 2.0mm 동선을 사용할 경우220볼트(V)5,280와트(W)
100볼트(V)2,400와트(W)
이 그림의 수도 꼭지에서 단위 시간당 쏟아지는 물의 양은 전기의 어떤 양에 해당하는가?

① 전류

② 전압

③ 저항

④ 전력

⑤ 전하량

이 홍보자료에서 사용전압이 220V일 때보다 100V일 때 ‘최대사용능력’이 더 적은 까닭은?

① 100V로는 220V보다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기 때문

② 동선을 흐르는 최대 전류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

③ 사용전력은 전압에만 관계되기 때문

④ 전압이 낮으면 전선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

⑤ 가전제품이 대부분 100V용이기 때문

[3~4]
‘끓는 식용유에 물방울이 들어가면 끓는 식용유가 밖으로 크게 튄다’는 일상적인 현상이 다른 물질에서도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몇 가지 물질들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이 물질들에 대한 성질들은 아래 표에 있다.
물질 \ 성질분자량밀도
(g/cm³)
끓는점
(℃)
식용유$>100$0.92150
디메틸설폭시드781.10190
에틸렌글리콜621.11199
초산601.05118
이소프로필알코올600.7980
에틸알코올460.7979
181.00100
위 표에 있는 여섯가지 물질들을 끓는 식용유에 각각 한방울씩 떨어뜨렸을 때, 물과 초산의 경우는 식용유가 크게 튀었으나, 나머지 네 가지의 경우에는 튀지 않았다. 이 현상은 물질의 어떤 성질과 관계 되는가?

① 밀도만 관계 된다.

② 분자량만 관계 된다.

③ 끓는점만 관계 된다.

④ 밀도와 끓는점이 관계 된다.

⑤ 분자량과 끓는점이 관계 된다.

물이나 초산을 떨어 뜨렸을 때, 식용유가 튀는 원인을 물질의 성질과 관련시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식용유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들이 떨어지는 충격 때문.

②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물질들은 끓는 식용유에서 쉽게 끓기 때문.

③ 끓는 식용유가 분자량이 작은 물질들과 격렬하게 반응하기 때문.

④ 식용유보다 작은 분자량을 갖는 물질들은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기 때문.

⑤ 식용유보다 무겁고,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물질들은 식용유 속에서 순식간에 끓어 오르기 때문.

다음 표는 사람의 혈장, 콩팥여과액(원뇨) 및 오줌의 성분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단위 : g/100mL)
물질혈장콩팥여과액(원뇨)오줌
요소0.030.031.80
포도당0.100.100.00
아미노산0.050.050.00
단백질8.000.000.00
무기염류0.900.900.90
위 표에서 어떤 물질에 대한 자료가 '콩팥여과액의 물이 재흡수된다'는 것을 뒷받침 하는가?

① 요소

② 포도당

③ 아미노산

④ 단백질

⑤ 무기염류

[6~9]
높은 산에서 밥을 지으면 설익는다. 이러한 사실이 산의 고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조사해서 얻은 자료는 다음과 같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아래의 물음에 답하여라.
고도(m)대기압력(mmHg)물이 끓는 온도(℃)밥이 되는 시간(분)
해수면, 0760100.030
1,50063495.243
3,04052690.050
4,56043485.056
6,10035579.761
위 자료를 참고하여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으로 합당한 것을 2개 고르라.

① 산의 대기압력은 고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

② 산의 고도와 관계없이 물은 100℃에서 끓는다.

③ 대기압력이 낮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다.

④ 물의 끓는 온도가 높을수록 밥은 빨리 된다.

⑤ 물의 끓는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오랫동안 끓이면 쌀은 익는다.

위 표의 자료를 이용하면 내부압력이 1,10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력솥에서 물은 대략 몇 도에서 끓겠는가?

① 90℃

② 100℃

③ 105℃

④ 110℃

⑤ 115℃

앞 문제의 압력솥에서 화력의 세기는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밥을 짓는다면 어떻게 되는지, 올바른 진술을 2개 고르라.

① 물은 항상 100℃에서 끓기 때문에 이 압력솥에서도 30분에 밥이 된다.

② 이 압력솥으로 밥을 하는 장소의 고도에 따라 밥이 되는 시간은 다르다.

③ 이 압력솥은 해수면에서의 대기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하므로 산이나 해변에서 보다 밥이 빨리 된다.

④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30분보다 더 짧은 시간에 된다.

⑤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해수면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밥이 더 빨리 된다.

위 표에서 고도와 밥이 되는 시간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가로축과 세로축의 눈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철수는 거저리 유충이 빛과 습기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광원으로는 전구를 사용하고 습원으로는 물에 젖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4개의 실험상자(A, B, C, D)를 준비하였다. 각 상자의 중앙에 20마리의 거저리 유충을 두고 하루가 지난뒤, 거저리 유충의 분포를 조사하였더니 다음 그림과 같았다.
철수는 이 결과로부터 ‘거저리 유충은 빛에 양성 반응하고 습기에는 음성 반응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음 중에서 철수의 결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이는 비교를 2개 고르라.

① A와 B의 비교

② A와 C의 비교

③ A와 D의 비교

④ B와 C의 비교

⑤ B와 D의 비교

[11~12]
다음 그래프는 어느 자동차의 최대출력과 그 자동차가 받는 저항에 의한 단위 시간당 에너지 소모량이 차의 속력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동차의 출력이 6kW로 일정할 때, 어느 순간 ($t = 0$) 이 자동차의 속력이 20m/s이었다. 이 차의 속력 ($v$)과 시간 ($t$)의 관계를 잘 나타낸 그래프는?
다음 중 두 그래프가 만나는 점 P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것은?

① 이 자동차의 평균 속력

② 이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최대 속력

③ 이 자동차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공기저항

④ 이 자동차가 저항을 받지 않을 때 달리는 속력

⑤ 이 자동차가 기관에 무리를 주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속력

[13~14]
다음 실험 내용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영희는 시험관 8개에 각각 페놀레드 용액 5방울과 이 용액의 위까지 올라올 정도로 길고 머리가 넓은 나사못을 하나씩 넣었다. 각 시험관에 여러가지 물질을 추가하고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관시험관에 추가한 물질30분후
용액의 색깔
A아무 것도 추가하지 않음적색
B증류수 1방울적색
C묽은 염산 용액 1방울황색
D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 1방울적색
E유리 구슬 10개적색
F싹이 튼 콩 10개황색
G살아있는 메뚜기황색
H빨대로 용액 속에 날숨을 30초동안 불어 넣음황색
다음 중 이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된 시험관을 2개 고르라.

① 시험관 A

② 시험관 B

③ 시험관 C

④ 시험관 F

⑤ 시험관 H

다음 진술 중에서 영희의 실험 결과로부터 내릴 수 있는 타당한 결론은?

① 싹이 튼 콩은 산소를 필요로 한다.

② 사람이 내쉬는 숨에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다.

③ 생물은 산소로 작용하는 어떤 물질을 방출한다.

④ 동물은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키지만 식물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⑤ 생물은 시험관 내의 온도를 증가시켜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킨다.

[15~16]
순희는 역암을 직접 만들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화강암 덩어리를 깨서 부순 후 그것을 숟가락으로 퍼서 물이 반쯤 담겨있는 플라스틱 컵에 부어 넣었다. 여기에 시멘트 가루를 약간 풀어넣고 물을 적당히 따루어낸 후 며칠동안 놓아 두었다.
역암이 실제로 만들어지는 과정 중 순희의 실험에 포함되지 않은 작용은?

① 퇴적작용

② 교결작용

③ 풍화작용

④ 운반작용

⑤ 다지는 작용

컵을 깨어 역암 덩어리를 끄집어낸 후 밀도를 측정하여보니 본래 화강암의 밀도보다 30%나 작게 나타났다. 그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① 화강암을 구성하고 있던 무거운 광물 입자들이 잘게 부수어졌기 때문이다.

② 암석 부스러기의 일부가 물에 녹아버렸기 때문이다.

③ 암석 조각 사이에 시멘트가 충분히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④ 실험과정에서 암석의 변성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⑤ 시멘트가루의 밀도가 화강암의 밀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

다음 그래프는 사람이 3가지 종류의 기체를 각각 호흡할 때, 숨쉬는 호흡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종합하여 내릴 수 있는 가장 타당한 결론은?

① 산소 농도가 높으면 호흡율이 감소한다.

②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8% 이상이 되면 치명적이다.

③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호흡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④ 보통의 공기는 호흡율이 비교적 일정하므로 건강에 가장 좋다.

⑤ 호흡율은 산소가 92%, 이산화탄소가 8%인 기체상태에서 현저하게 증가한다.

[18~19]
방사성 동위원소인 우라늄-235($^{235}\text{U}$)는 붕괴하여 납-207($^{207}\text{Pb}$)이 된다. 다음 그림은 붕괴 시작 후 시간에 따른 $^{235}\text{U}$ 원소의 남아있는 양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어떤 암석 덩어리를 분석하여 보니 $^{235}\text{U}$가 $1.0 \times 10^{-5}$g, $^{207}\text{Pb}$이 $4.0 \times 10^{-5}$g 포함되어 있었다. 암석이 생성될 당시 이 덩어리에는 $^{207}\text{Pb}$이 $1.0 \times 10^{-5}$g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면 이 암석의 연령은 대략 얼마인가?

① 3.5억년

② 7억년

③ 14억년

④ 21억년

⑤ 28억년

앞의 방법으로 암석의 연령을 구할 때, 필요한 조건을 2개 고르라.

① 암석의 생성 이후 온도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② 암석의 생성 이후 암석이 받는 압력이 일정하여야 한다.

③ 암석이 생성될 당시 $^{235}\text{U}$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④ 암석이 생성될 당시 $^{207}\text{Pb}$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⑤ 암석의 생성 이후 외부로부터 $^{235}\text{U}$나 $^{207}\text{Pb}$이 보태지거나, 빠져 나가서는 안된다.

[20~23]
다음 표를 참조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행성질량
($지구=1$)
적도반경
($지구=1$)
평균밀도
($\text{g/cm}^{3}$)
표면중력
($\text{cm/s}^{2}$)
표면기압
(bar)
표면온도
(K)
자전주기
(일)
금성0.8150.955.2588890730243.01
지구115.529781.0250~3001
0.0120.273.341560120~39027.32
화성0.1070.533.953730.007210~3001.03
금성 표면에서의 중력이 지구에서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은 어떤 물리량의 차이 때문인가? 다음 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을 고르라.

① 질량

② 적도반경

③ 표면기압

④ 표면온도

⑤ 자전주기

영수는 위의 표를 보고 달 표면에 남겨진 우주인의 발자국은 오래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달의 어떤 물리량 때문에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① 평균밀도

② 표면중력

③ 표면기압

④ 표면온도

⑤ 자전주기

다음의 운동 선수들이 우주복을 입고 지구와 화성에서 경기를 한다면, 화성에서의 기록이 지구에서보다 떨어질 가능성이 많은 선수는?

① 단거리 달리기 선수

② 높이뛰기 선수

③ 멀리뛰기 선수

④ 원반 던지기 선수

⑤ 역도 선수

[23~25]
전자를 고전압으로 가속하여 금속 표면에 때리면 X-선이 방출된다. 다음 그림은 X-선 발생 장치를 간략하게 그린 것이다.
이 X-선 발생장치의 양극판 (B)의 재료를 선택할 때에는 다음 세가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X-선을 효과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양극판으로 쓰인 금속의 원자가 가지고 있는 전자의 수가 많아야 한다.
둘째, 전자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양극판이 녹아서는 안된다.
셋째, X-선 이외의 방사선은 나오지 않아야 한다.
다음 표는 양극판 (B)으로 사용하기 위한 후보 재료들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금속원자번호전도율
($\times 10^{-2}\text{Wm}^{-1}\text{K}^{-1}$)
비열
($\text{Jkg}^{-1}\text{K}^{-1}$)
밀도
($\text{kgm}^{-3}$)
녹는점
(K)
260.804457,8701,808
구리294.003868,9601,356
몰리브덴421.3825216,2202,880
텅스텐741.631,33219,3003,650
820.4416011,350600
우라늄920.2911818,9501,405
X-선을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만 고려한다면 어떤 금속을 양극판의 재료로 선택하겠는가?

① 철

② 구리

③ 몰리브덴

④ 납

⑤ 우라늄

실제로 양극판의 재료로는 텅스텐이 사용된다. 만약 텅스텐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느 재료가 비교적 적당하겠는가?

① 철

② 구리

③ 몰리브덴

④ 납

⑤ 우라늄

양극판이 잘 녹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① 양극판(B)을 회전시킨다.

② 전자 방출 시간을 짧게 한다.

③ 전자 발생장치(A)와 양극판(B)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한다.

④ X-선 발생장치의 전압을 높인다.

⑤ 양극판(B)의 질량을 작게 한다.

[26~27]
영수는 ‘효모는 영양분이 부족하게 되면 개체군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했다.
(1) 크기가 같은 세 개의 시험관(A, B, C)에 배양액을 15mL씩 넣고, 여기에 효모액을 3mL씩 추가했다.
(2) 30℃ 항온기에서 배양하면서 각 시험관내의 효모 수를 매일 측정했다.
(3) 배양기간 중 어느날, 시험관 A에는 5mL의 배양액을, 시험관 B에는 5mL의 증류수를 추가하고, 시험관 C에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
(4) 30℃ 항온기에서 계속 배양하면서 각 시험관 내의 효모 수를 매일 측정했다.
이 실험에서 (3)의 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시기는?

① 효모의 수가 천천히 증가하기 시작할 때

② 효모의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할 때

③ 효모의 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할 때

④ 효모의 수가 감소할 때

⑤ 배양기간 중 어느 때라도 상관 없다.

이 실험에서 시험관 B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다음 중 어느 요인의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해서 인가?

① 영양분의 양

② 배양 온도

③ 배양 기간

④ 배양 공간

⑤ 효모의 수

1991-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실수 전체의 집합 $\mathbb{R}$의 한 부분집합 $S$에 대하여 $$P=\left\{x\in S \left|\,-\dfrac{1}{2}\le x-1\le \dfrac{1}{2}\right.\right\}$$ 이라고 할 때, 다음 중에서 참인 명제는?

① $S=\mathbb{R}$이면, $P$는 공집합이다.

② $S=\mathbb{R}$이면, $P$는 유한집합이다.

③ $S$가 유리수 전체의 집합이면, $P$는 유한집합이다.

④ $S$가 정수 전체의 집합이면, $P$는 유한집합이다.

⑤ $S$가 정수 전체의 집합이면, $P$는 무한집합이다.

실수 $x$에 대하여 $x$보다 크지 않은 정수 중에서 가장 큰 것을 $[x]$로 나타내자. 다음 [보기]의 명제 중에서 참인 것만을 묶어 놓은 것은?
보기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5]=[x]+5$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5]=[x]-5$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x]=0$
㈑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x+y]=[x]+[y]$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높이가 $h$인 정삼각형의 내부의 한 점 $P$에서 세 변에 이르는 거리의 합을 $l$이라고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l=h$

② $l< h$

③ $l>h$

④ $l=\dfrac{1}{2}h$

⑤ $l=2h$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사각형의 내부에 $17$개의 점이 어떻게 놓이더라도 이들 점 사이의 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항상 옳은 것은?

①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sqrt{2}$이다.

②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sqrt{3}$이다.

③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중에는 $\sqrt{2}$ 이하인 것이 반드시 있다.

④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중에는 $\sqrt{3}$ 이상인 것이 반드시 있다.

⑤ 위에는 정답이 없다.

직육면체의 부피를 $x$라고 할 때, 여섯 면의 넓이를 모두 곱한 값은?

① $x^{2}$

② $x^{3}$

③ $x^{4}$

④ $8x^{2}$

⑤ $8x^{4}$

[6~7]
$\dfrac{3}{\sqrt{9-6\sqrt{2}}}$에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sqrt{9-6\sqrt{2}}$와 같은 것은?

① $\sqrt{5}+\sqrt{2}$

② $\sqrt{5}-\sqrt{2}$

③ $3-\sqrt{7}$

④ $\sqrt{6}+\sqrt{3}$

⑤ $\sqrt{6}-\sqrt{3}$

위의 결과와 오른쪽 표를 이용하여 $\dfrac{3}{\sqrt{9-6\sqrt{2}}}$의 근사값을 구하면?
근사값
$\sqrt{2}$$1.4142$
$\sqrt{3}$$1.7321$
$\sqrt{5}$$2.2360$
$\sqrt{6}$$2.4495$
$\sqrt{7}$$2.6458$

① $0.7390$

② $0.8109$

③ $0.8441$

④ $3.6553$

⑤ $4.1816$

[8~9]
오른쪽 표는 어느 공장에서 두 가지 제품 A, B를 각각 한 개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료 $p$, $q$의 소모량과 하루의 최대공급량을 나타낸 것이다. 두 제품 A, B를 생산하여 얻게 되는 이익은 한 개에 각각 3000원, 2000원이라고 한다.
제품 \ 원료$p$$q$
A$3$$1$
B$1$$2$
최대공급량$150$$100$
이익을 최대로 하려면 제품 A를 하루에 몇 개 생산하여야 하는가?

① $0$

② $20$

③ $30$

④ $40$

⑤ $50$

이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얻을 수 있는 하루의 최대 이익은?

① $10$만원

② $15$만원

③ $16$만원

④ $18$만원

⑤ $20$만원

[10~11]
$x$에 관한 방정식 $$\dfrac{x^{2}-bx}{ax-c}=\dfrac{m-1}{m+1}$$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위 방정식의 두 근이 절대값은 같고 부호만 다를 때, $m$의 값은? (단, $a\ne \pm b$)

① $ab$

② $\dfrac{a+b}{a-b}$

③ $\dfrac{a-b}{a+b}$

④ $a+b$

⑤ $a-b$

위 방정식의 두 근의 곱이 $1$일 때, $m$의 값은? (단, $c\ne \pm 1$)

① $\dfrac{c-1}{c+1}$

② $\dfrac{c+1}{c-1}$

③ $c-1$

④ $c+1$

⑤ $c$

[12~13]
원 $x^{2}+y^{2}=1$ 위의 서로 다른 두 점 $A(-1,0)$, $B(x,y)$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t$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t$를 $x$, $y$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① $t=\dfrac{y}{x+1}$

② $t=\dfrac{y}{x-1}$

③ $t=\dfrac{y}{x}$

④ $t=\dfrac{-y}{x+1}$

⑤ $t=\dfrac{y}{1-x}$

$x$를 $t$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① $x=\dfrac{2t}{1+t^{2}}$

② $x=\dfrac{1-t^{2}}{1+t^{2}}$

③ $x=\dfrac{1+t^{2}}{2t}$

④ $x=\dfrac{1+t^{2}}{1-t^{2}}$

⑤ $x=\dfrac{2t}{1-t^{2}}$

함수 $f(x)=2x+6$, $g(x)=ax-1$에 대하여 $f\circ g = g \circ f$일 때, $a$의 값은?

① $\dfrac{1}{6}$

② $\dfrac{5}{6}$

③ $1$

④ $2$

⑤ $6$

아래 그림은 두 주기함수 $y=f(x)$, $y=g(x)$의 그래프이다.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g(x)=\dfrac{1}{3}f(x-5)$

② $g(x)=3f(x-5)$

③ $g(x)=\dfrac{1}{3}f(x+5)$

④ $g(x)=3f(x+5)$

⑤ $g(x)=\dfrac{1}{3}f(x)$

$a = 3^{x+2}$일 때, $27^{x}$를 $a$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① $\dfrac{a^{3}}{3^{2}}$

② $\dfrac{a^{3}}{3^{3}}$

③ $\dfrac{a^{3}}{3^{4}}$

④ $\dfrac{a^{3}}{3^{5}}$

⑤ $\dfrac{a^{3}}{3^{6}}$

[17~19]
아래 그림은 두 함수 $y=f(x)$와 $y=x$의 그래프이다. 합성함수 $f\circ f$를 $f^{2}$, $f^{2}\circ f$를 $f^{3}$, $\cdots$, $f^{n}\circ f$를 $f^{n+1}$로 나타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f^2 \left(\dfrac{1}{3}\right)$의 값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f^{4}\left(\dfrac{1}{4}\right)$의 값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n$이 커짐에 따라 $f^{n}\left(\dfrac{3}{2}\right)$의 값은 어떻게 변하는가?

① $n$에 관계없이 항상 $\dfrac{3}{2}$이다.

② $0$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③ $1$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④ $\dfrac{3}{2}$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⑤ $2$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20~21]
다음은 $y=\log_{10}x$의 그래프이다.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log_{10}M=0.3$, $\log_{10}N=0.4$일 때, $M\cdot N$의 값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10^{x}=a$인 $x$의 값은?

① $0.1$

② $0.2$

③ $0.3$

④ $0.4$

⑤ $0.5$

오른쪽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1 +0.11)^{n}\ge 2$가 되는 정수 $n$의 최소값을 구하면?
$0$$1$$\cdots$
$1.0$$0.0000$$0.0043$$\cdots$
$1.1$$0.0414$$0.0453$$\cdots$
$1.2$$0.0792$$0.0828$$\cdots$
$1.3$$0.1139$$0.1173$$\cdots$
$\vdots$$\vdots$$\vdots$$\vdots$
$2.0$$0.3010$$0.3032$$\cdots$
$2.1$$0.3222$$0.3243$$\cdots$

① $5$

② $6$

③ $7$

④ $8$

⑤ $9$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육각형의 두 대각선의 길이는?

① $\sqrt{2}$, $\sqrt{3}$

② $2$, $\sqrt{3}$

③ $2$, $\sqrt{2}$

④ $\sqrt{3}$, $\sqrt{5}$

⑤ $\sqrt{2}$, $\sqrt{5}$

둘레의 길이가 $10$cm인 부채꼴 가운데 그 넓이가 최대인 것의 반지름의 길이는 몇 cm인가?

① $2$

② $\dfrac{5}{2}$

③ $3$

④ $\dfrac{10}{3}$

⑤ $4$

변수 $x$, $y$와 $x^{\prime}$, $y^{\prime}$ 사이에 관계식 $$\begin{cases}x^{\prime}=x+2y\\y^{\prime}=3x+5y\end{cases}$$ 가 성립할 때, $x$, $y$를 $x^{\prime}$, $y^{\prime}$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① $\begin{cases}x=x^{\prime}+2y^{\prime}\\y=3x^{\prime}+5y^{\prime}\end{cases}$

② $\begin{cases}x=2x^{\prime}+y^{\prime}\\y=5x^{\prime}+3y^{\prime}\end{cases}$

③ $\begin{cases}x=5x^{\prime}-2y^{\prime}\\y=-3x^{\prime}+y^{\prime}\end{cases}$

④ $\begin{cases}x=-5x^{\prime}+2y^{\prime}\\y=3x^{\prime}-y^{\prime}\end{cases}$

⑤ $\begin{cases}x=-2x^{\prime}+5y^{\prime}\\y=x^{\prime}-3y^{\prime}\end{cases}$

1991-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2]
다음     에 가장 적당한 낱말은?
성인이라면 하루에 최소한 3천 칼로리 이상의 영양을     해야 한다.

① 복용

② 흡수

③ 섭취

④ 음용

⑤ 소화

그는 뇌물 수수 사건에     되어 조사를 받았으며 그것이 사실로 드러나 드디어는 형(刑)을 살기까지 하였다.

① 연겹(連結)

② 연루(連累)

③ 관련(關聯)

④ 관계(關係)

⑤ 상관(相關)

[3~4]
다음의 밑줄 친 부분과 가까운 뜻으로 문맥에 가장 잘 어울리는 낱말은?
이야기하는 모양을 가만히 살펴보니 그는 집안이 망해서 세도가 꺾인 사대부가의 후손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① 멸망한

② 쇠락한

③ 타락한

④ 파산한

⑤ 몰락한

그것은 가슴을 예리한 칼끝으로 도려내는 듯한 슬픔이었다.

① 에는

② 찢는

③ 베는

④ 찟누르는

⑤ 찌르는

[5~8]
다음에서 그 의미가 나머지 넷과 현저히 다른 것은?

① 가늠하다

② 대중하다

③ 저냥하다

④ 조준하다

⑤ 걸음하다

① 發行

② 出版

③ 刊行

④ 印刷

⑤ 發刊

① 일석이조(一石二鳥)

② 일도양단(一刀兩斷)

③ 일거양득(一擧兩得)

④ 핏 먹고 알 먹고

⑤ 도랑 치고 가재 잡고

① 손을 끊다

② 발뺌을 하다

③ 손을 씻다

④ 발을 빼다

⑤ 손을 떼다

다음에서 반대말로 이루어진 쌍이 아닌 것은?

① 청백리(淸白吏) - 탐관오리(貪官汚吏)

② 미풍(微風) - 강풍(强風)

③ 상승세(上昇勢) - 하락세(下落勢)

④ 축소판(縮小版) - 확대판(擴大版)

⑤ 불염치(不廉恥) - 파렴치(破廉恥)

다음 <보기>에 제시된 낱말과 반대 관계를 이룰 수 없는 낱말은?
보기
고답적(高踏的)

① 탐미적(耽美的)

② 세속적(世俗的)

③ 통속적(通俗的)

④ 대중적(大衆的)

⑤ 현실적(現實的)

[11~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소매상인이 도매상에서 물건을 살 때는 미리 물건을 사서 옆에 두고 다른 물건을 사가지고 온다. 이 때 값은 지불하지 않고 나중에 물건을 가져 갈 때 값을 치른다. 물건을 산 사람이 다시 와서는 다른 곳에서는 훨씬 싸다면서 값을 깎고, 또 다른 데 물건이 좋은데 잘못 샀다는 등 불평을 하면서 물건값을 깎는다.
A: ㉠내 시금치 줘.
B: 저기 있어.
A: ㉡아니 왜 이것밖에 없어. 여덟 단이잖아. 열 단 있어야지.
B: 그래보야.
A: ㉢거지 같애. 잘못 샀어. 다른 데 훨씬 좋은 것이 있던데. 얼마야?
B: 한 단에 180원.
A: ㉣뭐가 180원이야. 150원 해.
B: 200원 받던 거야. 그럼 안 팔아. 1,800원에서 360원 빼면 1,440원.
A: 뭐가 1,440원이야. 1,300원 해.
B: 안 해.
A: ㉤자 여기 있어. 1,400원.
여기서 A는 다른 곳에 가서도 꼭 같은 소리를 한다. 다른 곳의 물건이 좋다든지 값이 더 싸다는 등의 이유로 물건을 더 싸게 사기 위한 ⓐ연극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중, ⓐ연극이 뜻하는 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A~B 간의 대화에서 드러나는 갈등 요인으로 가장 핵심적인 것은?

① 처지

② 성격

③ 이익

④ 신분

⑤ 견해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확고한 가치기준을 가지고 대상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내린 글이다.

② 예시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설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 글이다.

③ 비교와 대조를 통하여 최종적인 판단을 유추해 낸 조직적인 글이다.

④ 일반화된 근거를 전개함으로써 구체적 사실을 확인한 논리적인 글이다.

⑤ 시간적 경과를 중시하여 묘사함으로써 감각적 인상을 잘 드러낸 글이다.

[14~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다른 사람들에 대해 형성된 특정 이미지들은 머리속에 잠재해 있다가, 우리가 누군가를 만나 보기 바로 한 순간 전에 그가 어떤 사람인가를 재빨리 일러준다. 그것은 속기적(速記的) 사고와 대강의 윤곽을 잡는 경제적인 틀이 없다면, 현실은 너무나 혼란스러울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인정하건 말건, 고정관념은 광고와 텔레비전의 언어이고 해학의 주성분이며, 그 속에는 개인의 경험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나머지 우리가 현실에 근거를 두고 타인을 판단하는 것을 그만 둘 때 그것은 편견으로 발전하기 쉽다. 고정관념에 의하면, 키가 작은 사람은 자만심이 세고 완고하며 공격적인 반면, 키가 큰 사람은 유능하고 대담하며 신뢰할 만한 사람, 즉 승리자라는 것이다.
그러나 키가 크고 바싹 야윈 사람은 신경질적이고 비판적인 사람이라는 지목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어처구니없는 것은, 뚱뚱한 사람은 게으르고 멍청하며 우둔하다는 관념이다.
밑줄 친 ‘현실에 근거를 두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이성에 호소하여

② 직접 경험을 활용하여

③ 협조정신에 기초하여

④ 객관성을 지향하여

⑤ 주체적 사고에서 출발하여

고정관념의 예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은?

① 하나 더하기 둘은 셋이다.

② 눈은 겨울에 제일 많이 내린다.

③ 남자의 세계는 사회요, 여자의 세계는 가정이다.

④ 모든 생물은 유한한 존재다.

⑤ 표를 더 얻은 입후보자가 당선되어야 한다.

다음 글의 요지와 가장 가까운 것은?
인(仁)이라는 글자 자체가 人변에 二자를 붙인 글자인데 그 뜻은 두 사람의 대인관계를 나타낸다. 二자를 보면 위의 획은 짧고 아래의 一자는 길다. 이 두개의 횡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영원히 일정한 사이를 두고서 평행하는 글자이다.
따라서 仁자가 두 사람의 대인관계를 뜻하지만, 이 두 사람의 관계는 아무리 친하더라도 절대로 교차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친하다는 뜻으로 추리할 수 있다.
人변 옆에 붙은 二자는 위의 획은 짧고 아래 획은 길다. 그러므로 의사와 환자 사이에 있어서는 아래 긴 줄이 의사를 뜻하고, 그 위의 짧은 횡선은 의사의 도움과 보호를 바라는 환자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仁은 비단 환자와 의사 사이만을 말하는 게 아니고 아버지와 자식 사이라든지 남편과 아내, 선생과 학생, 어른과 아이, 유식자와 무식자, 사장과 고용인······어디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① 仁은 사람을 사랑하여 상하가 서로 친하게 되는 것이다. (禮記)

② 仁者는 반드시 용기가 있어야 한다. (論語)

③ 仁이란 물건을 아름게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莊子)

④ 참을 수 있는 데까지 참는 것이 바로 仁이다. (孟子)

⑤ 신체를 사랑하는 것, 그것이 바로 仁이다. (墨子)

[17~1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한 거사(居士)가 거울을 하나 가지고 있는데, 먼지가 껴서 흐릿한 것이 꼭 구름에 가린 달빛과 같았다. 그러나 아침저녁으로 들여다보고 얼굴을 가다듬으며 소중히 하였다. 손님이 보고 묻기를 "거울이란 얼굴을 비치는 것이요, 또 군자가 그 밝음을 취하는 것인데, 지금 그대의 거울을 보니 그 흐린 것이 안개 낀 것과 같은데도 그대는  ㉮ 을 비쳐 보고 있으니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였다.
거사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거울이 밝으면 잘 생긴 사람은 좋아하지만 못생긴 사람은 싫어한다. 세상에 잘생긴 사람은 적고 못생긴 사람은 많으니, 못생긴 이가 맑은 거울을 보면 화가 나서 깨뜨릴지도 모른다. 그러니 먼지에 흐려진 것만 못하다. 그 거울은 깨끗하지 않을지라도 그  ㉯ 은 없어지지 않으리니 훗날 잘 생긴 사람을 만나 다시 잘고 닦아도 늦지 않다. 아, 옛적에 거울을 보는 사람은 그 밝은 것을 취했으나, 나는 거울을 보며 그 흐린 것을 취하나니, 그대는 무엇을 이상스럽게 여기는가?"
이 글에서 거사가 보이는 자세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적성을 쌓음에 감추고 즐김이 있다.

② 물건을 간수함에 순박하고 정겨움이 있다.

③ 몸을 단장함에 게으르고 누추함이 있다.

④ 수양을 쌓음에 내실을 중시하고 있다.

⑤ 사물을 고름에 자기 주관을 버리고 있다.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그러나

② 오히려

③ 심지어

④ 더구나

⑤ 따라서

㉯에 넣었을 때 문맥상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① 기질

② 형상

③ 핵심

④ 근본

⑤ 연원

[20~2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역사는 있어도 국가가 없는 민족. 이 흔치 않은 슬픈 운명의 주인공 쿠르드족의 역사는 기원전 23세기 경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옛 메소포타미아의 한 부분이던 수메르에 살던 구트와 구티족이 이들의 조상이다.
(나)
한 때는 아카드왕국도 무너뜨렸던 이들이 외세에 짓밟히는 역사는 기원전 17세기경 함무라비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중세 때는 아라비아인, 16세기 초부터는 오스만투르크인이 쿠르드족을 관할했다. 오스만투르크가 17세기에 오스만과 이란으로 분리되고 20세기에는 오스만이 이라크와 투르크로 분리됨에 따라 쿠르드족은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소련 경제지역에 흩어져 살게 되었다.
(다)
1920년에는 독립국가로 인정받을 뻔했고, 1946년에는 카지 무하메드가 이란의 중첩지역에 쿠르드 독립공화국을 건설했다가 1년이 못 돼서 영국을 등에 업은 이란정부에 의해 붕괴되기도 했다. 수차례에 걸친 폭동과 전쟁(61~70년 이라크 쿠르드족과 이라크 정부군의 전쟁)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국제적 여론은 무관심하기만 했다.
(라)
현재 터키정부는 쿠르드족을 ‘산에 사는 터키인’으로 규정하고 쿠르드 언어로 된 책의 출판과 쿠르드족의 해외 이주를 금지하고 있다. 이라크의 경우, 70년 3월 11일의 헌법에 따라 자치권을 제안했으나 쿠르드족의 이를 거부, 베드윈족 문제와 함께 가장 큰 국내문제로 남아 있다.
(마)
쿠르드족의 외모는 아리안족과 비슷하며, 그들의 대부분은 수니파 회교도이다. 사난다지시를 중심으로 여름에는 찌는 듯한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남쪽 평야지대와 겨울에는 6개월 동안 눈이 내리는 고산지대에 흩어져 살고 있는 쿠르드족은 이같은 기온 때문에 강인한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밑줄 친 부분과 같은 태도를 취하게 된 이유로 가장 그럴듯한 것은?

① 쿠르드족은 해외 이주 금지와 같은 불평등을 배척했을 것이다.

② 쿠르드족은 이라크보다 터키와 훨씬 더 깊은 동족, 의식을 갖고 있을 것이다.

③ 쿠르드족은 자치권 이상의 독립적인 상태가 되기를 바랐을 것이다.

④ 쿠르드족은 같은 처지의 이민족인 베드윈족과 연합하려 했을 것이다.

⑤ 쿠르드족은 오랜 짓밟힘으로 인해 타협을 모르는 민족이 되었을 것이다.

(가)~(마) 중, 쿠르드족의 자주적 의지와 관계가 깊은 내용으로 짝지어진 것은?

① (가), (내)

② (내), (다)

③ (다), (라)

④ (라), (마)

⑤ (마), (가)

(가)~(마)의 핵심어구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가) - 슬픈 운명의 주인공

② (나) - 외세에 짓밟힌 역사

③ (다) - 국제적 여론의 무관심

④ (라) - 산에 사는 터키인

⑤ (마) - 강인한 성격을 지님

<보기>의 글은 어느 글 다음에 이어지는 것이 가장 알맞은가?
보기
계곡에서는 쌀, 옥수수, 담배, 야채 등을, 대평원과 고원에서는 밀, 보리를 주로 재배하는 이들은 반유목민적인 종족사회생활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는 석유, 크롬, 석탄, 동, 철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키르쿠크에는 이라크 최초 최대의 유전과 정유소가 있어 이라크를 세계 4대 산유국으로 부상시켰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4~2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자유 민주주의는 그 지향하는 이념을 중요시할 뿐만 아니라, 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과 과정도 중요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성패는 그 이념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제도의 수립과 그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원리를 얼마나 잘 준수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런데 그러한 민주주의의 제도와 운영원리는 민주주의의 기본이념과 일치되는 다음과 같은 정치적 신념을 토대로 한다.
첫째,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 자기 자신을 다스릴 수 있는 자치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이다.
둘째, 국가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며, 국민에게 귀속된다는 신념이다.
셋째, 민주주의 정부는 국민의 안녕과 복지를 증진시킬 책임과 의무를 진다는 신념이다.
넷째, 민주주의 정부는 특정인의 자의(恣意)에 의해서가 아니라 법에 의하여 운영되어야 한다는 신념이다.
이와 같은 정치적 신념을 바탕으로 채택된 민주국가들의 정치제도는, 결국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이다. 물론, 이러한 수단과 방법들도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그 다양한 수단과 방법들 가운데 현대의 여러 나라들이 채택하고 있는 공통적인 정치제도들의 예는 입헌제도, 대의제도, 권력분립제도, 선거제도, 정당제도 등이다.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민주주의의 장점과 단점

② 민주주의의 성패의 조건

③ 민주주의의 수단과 방법

④ 민주주의의 이념과 운영원리

⑤ 민주주의의 정치적 신념과 제도

윗글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민주주의의 이념 구현을 위한 비교적 보편적인 수단과 방법이 있다.

② 주권재민(主權在民)의 정신은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과 일치한다.

③ 민주주의는 그 이념보다도 그것의 실행과정을 중요시한다.

④ 민주주의 정부는 국민의 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⑤ 민주주의의 성공은 운영 원리의 준수에 달려 있다.

[26~2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본관이 운자를 내든지, 기름 고(膏) 높을 고(高) 두 자 운을 내노니, 어사또 한 수 하야 허는 말이 “어, 운봉 영감, 나도 부모 덕에 천자 권(千字卷)이나 읽었으니, 나도 한 수 짓고 가겠소.” 운봉이 눈치 있어, 통인 불러, “네, 저 낱반 지필묵(紙筆墨) 갔다 드려라.”
통인이 지필묵 갖다 어사또 앞에 노니, 어사또 일필휘지(一筆揮之)하야 글 지어 운봉 주며, “운봉은 ㉠밖으로 나가 조용헌 틈을 타서 한 번 떠 보시오. 자, 나는 갑니다.” 운봉이 말아 밖에 나와 떼어 보니, 글이 ㉡문장이요, 글씨 또한 명필이라.
금준미주(金樽美酒)는 천인혈(千人血)이요, 옥반가효(玉盤佳肴) 만성고(萬姓膏)를, 촉루낙시(燭淚落時)에 민루난(民淚落)이요, 가성고처(歌聲高處) 원성고(怨聲高)라.
(나)
생원 : 그러면 동생이 운자(韻字)를 내게.
서방 : 예, 제가 한 번 내 드리겠습니다. ‘산’자, ‘영’잡니다.
생원 : 아, 그것 어렵다. 여보게, 동생. 되고 안 되고 내가 부를 터이니 들어 보게. [영시조(詠時調)로] “울룩줄룩 작대산(作大山)하니, 황천풍산(黃川豐山)에 동선령(洞仙嶺)이라.”
서방 : 하하. (형제 같이 웃는다.) 거 형님, 잘 지었습니다.
생원 : 동생 한 귀 지어 보세.
서방 : 그럼 형님이 운자를 하나 내십시요.
생원 : ‘총’자, ‘못’ 잡세.
서방 : 아, 그 운자 벽자로군. (한참 낑낑거리다가) 형님, 한 마디 들어 보십시오. (영시조로) ㉣“짚세기 앞총은 헝겊총하니, 나막신 뒤축에 거멀못이라.”
㉠이 뜻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사건의 암시

② 우애의 표현

③ 후일의 기약

④ 간지러운 충고

⑤ 위협적 전달

㉡과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은?

① 이태백은 당대의 문장이다.

② 문장으로 알려진 것에 기미독립선언서가 있다.

③ 짧은 문장도 좋은 글이 될 수 있다.

④ 운문에 대하여 산문을 문장이라고 한다.

⑤ 문장은 생각을 나타내는 단어의 결합이다.

㉢, ㉣이 각기 의도하는 바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① ㉢ : 풍자 / ㉣ : 해학

② ㉢ : 교육 / ㉣ : 유희

③ ㉢ : 훈계 / ㉣ : 홍취

④ ㉢ : 질책 / ㉣ : 파시

⑤ ㉢ : 경고 / ㉣ : 모면

(가), (나)에 등장하고 있는 행위의 공통점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음풍 영월(吟風詠月)

② 압운 작시(押韻作詩)

③ 명시 감상(名詩鑑賞)

④ 한시 풍류(漢詩風流)

⑤ 언문 풍월(諺文風月)

[30~3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가)
향수(鄕愁)란 그러나 반드시 사람의 심사를 산란하게만 해 주는 것은 아니다. 언듯 생각하면 향수란 놈은 사람의 마음을 재리재리하게 좀먹어 들어가는 우수의 사자(使者)인 것 같기도 하나 다시 생각하면 그가 젊어서 품었던 청운의 뜻을 뜻대로 이루지 못했을 때 또는 처음 뜻대로 이루었다 해도 그 소위 청운의 큰 뜻이라는 것이 결국은 인생이란 것을 분홍빛 베일을 통해서만 볼 줄 알던 젊었을 때의 일시의 헛된 꿈이라는 것을 깨달었을 때, 의지할 바를 잃은 그의 심정을 부드러운 손길로 쓰다듬어 주어 위대한 안심의 길로 인도해 주는 거룩한 어머니의 손길이야말로 고향을 그리는 마음이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나)
옛날 「귀거래사」의 시인은 ‘새는 날다 고달프면 돌아올 줄을 안다’고 읊었고 ‘영원의 청춘’을 누리던 괴테도 설흔한 살의 젊음으로써 이미 ‘모든 산봉우리에 휴식이 있느니라’고 노래했거니와 이것은 즉 그들이 남 유다른 직관과 감수력으로 이 향수의 구슬프고도 깊은 의미를 몸으로써 느꼈기 때문에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다)
나어린 시절을 경개 아름다운 시골서 보낸 사람은 이런 의미에서 대단히 행복한 사람이다. 그는 몸이나 마음이 고달플 때마다 찾아들어 갈 따뜻한 어머니의 품속을 가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회에서 나서 도회에서 자라고 몇 해에 한 번씩 또는 한 해에도 몇 번씩 이 골목에서 저 골목으로 이사를 돌아다니는 사람은 그리워 할려도 그리워할 고향이 없으므로 대단 불행한 사람이다.
(마)
어쨌든 우리는 누구를 물론하고 다 같이 향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워할 고향이 있는 경우에는 물론이거니와 그런 것이 없는 때에도 사람은 항상 무엇인가를 그리워하며 그 때문에 슬퍼하기도 하고 기뻐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바)
그 고향 없는 향수의 대상은 혹은 소년시대의 어느 날 저녁 우연히 꿈에 본 산천일 수도 있는 것이요, 또는 꿈에나마 한 번도 본 적 없는 생판 공상의 소녀이기도 할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종교가는 네가 말하는 향수란 결국 거룩하신 하느님의 품을 의미하는 것이니 사람은 지혜의 열매를 따 먹고 에덴의 동산을 쫓겨 나올 때 벌써 숙명적으로 그런 향수를 등진 것이니라고 하는지도 모르나 종교가가 무엇이라고 하든 간에 사람이란 항상 무엇인가를 그리워하면서만 그의 생존의 의미를 느끼는 것임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이 글이 주장한 내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향수는 사람에게 위안과 휴식을 준다.

② 향수는 때로 사람을 나약하게 만든다.

③ 고향은 시골에 있어야 제 맛이 난다.

④ 향수는 인간의 본능 가운데 하나다.

⑤ 향수는 종교적 신앙의 전제가 된다.

전체 의미는 살리면서 이 글을 줄일 경우, 빼 버려도 좋은 부분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이 글에서 다음 시와 가장 가까운 내용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조상님 뼈 가서 묻힌 곳이라
송아지 동무들과 놀던 곳이라
그래서 그런지도 모르지만은
아아 꿈에서는 항상 고향입니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33~3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가)
한번은 어떤 시골 사람과 같이 자는데, 그는 코를 드르렁드르렁 골았다. 마치 숨이 막히듯, 휘파람을 부는 듯, 탄식을 하는 듯, 한숨을 쉬는 듯, 불을 부는 듯, 물이 끓는 듯, 빈 수레가 덜컹거리는 듯한데 들이쉴 때는 톱을 켜는 듯하다가 내쉴 때는 돼지가 씨근거리는 듯했다. 같이 자던 사람이 흔들어 깨우자, 그는 불끈 골을 내면서 “내가 언제 코를 곤단 말이요?” 했다.
아하! 자기 혼자만 아는 것은 남이 몰라 주어서 늘 걱정이요, 자기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을 남이 일깨워 주는 것은 마땅찮다. 어찌 코나 귀에만 이런 병통이 있겠는가. 글을 쓰는 데에는 이보다 더욱 심한 바가 있다.
(나)
글이란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해 내면 그만일 뿐이다. 제목을 놓고 붓을 잡고는 문득 옛 사람이 쓴 어구를 생각해 내고 억지로 고전의 뜻을 찾아내며, 생각을 근엄하게 꾸미고 글자마다 장중하게 만들려고 애쓴다는 것은 비유하자면 화공을 불러 초상화를 그릴 적에 용모가 고쳐서 나오는 것과 같다. 눈동자는 구르지 않고 옷은 주름살도 잡히지 않아서 그 평상시의 모습을 상실하고 보니 아무리 훌륭한 화가라 하더라도 그 참모습을 그려낼 수는 없는 것이다. 글을 짓는 것 또한 이와 무엇이 다르랴.
(다)
새 것을 창안해 내는 것이 옳은가. 이리하여 세상에는 허황하고 괴벽한 소리를 늘어놓고도 두려워할 줄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은 임기응변의 조치를 통상의 뚜렷한 법전보다 더 훌륭한 양 여기고 일시 유행하는 노래를 전래의 고전음악과 같이 대우하는 격이다. 과연 새 것을 창안해야 할 것인가.
(마)
고인을 모방해서 글을 쓰기를 마치 거울에 물건이 비치듯이 하면 같다고 할 만할까. 실체와는 좌우가 상반되니 어떻게 같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끝내 같을 수는 없단 말인가. 도대체 무엇 때문에 ‘같음’을 추구하는가. ‘같음’을 추구한 것이야말로 ‘참[眞]’이 아니다.
(바)
수박을 겉만 핥고 후추를 통으로 삼키는 사람들과는 맛을 이야기 할 수 없다. 이웃 사람의 돈피옷을 부러워하여 한여름에 그것을 빌려 입는 사람들과는 철을 이야기 하기 어렵다. 소상(塑像)에도 아무리 그럴듯하게 의관을 갖춰 놓아보았자 저 어린아이들의 그 진솔함을 속이지는 못할 것이다.
(가)∼(마)의 본래 의도를 파악한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① (가): 자기 자신이나 자기 글은 스스로 알기 어렵다.

② (나): 애써 꾸민 글이 오히려 거짓되기 쉽다.

③ (다): 새 것을 창안하려는 것은 무의미하다.

④ (라): 남과 같아지고자 하면 글이 진실에서 멀어진다.

⑤ (마): 외양만으로는 진실을 알 수 없다.

이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② 글은 왜 쓰는가

③ 글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④ 글은 모방인가 창안인가

⑤ 글이란 무엇인가

(가)∼(마) 가운데, <보기>의 글과 동일한 표현방식을 구사한 것은?
보기
굶는 끼니를 더 굶어가면서 그들에게 쌀을 보내어주기, 그들이 마을에 얼찐하면 부랴부랴 청해와 씨암탉 잡고 술 대접하기, 한참 농사일이 몰릴 때라도 내 농사는 늦어도 용길이를 시켜 그들의 모심고 김매어주고 하기, 이 노릇에 흰 머리가 도로 검어질 지경이요, 빚[債]은 고패가 넘도록 지고 하였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36~3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생물이 진화되어 왔는가 혹은 창조되었는가에 대한 논쟁은 찰스 다윈이 1859년에 <종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진화를 주장한 이후 심화되어 왔다. 진화를 뒷받침하는 많은 사실의 발견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지금까지 결말이 나지 않고 있으며, 어쩌면 영원히 계속될지도 모른다. 아니 이 논쟁의 본질상 그렇게 되리라는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그렇다면 진화론과 창조론 사이의 논쟁이 왜 해결될 수 없는 논쟁인가? 우선 이 논쟁의 본질을 파악해 보자. 진화론은 과학의 산물이며, 과학은 인간의 감각 기관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논리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과학 지식이란 인간의 경험과 논리적 사고를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반면에 창조론은 감각 기관을 통한 경험과 과학적 논리를 초월하고 있다. 창조론은 절대적인 창조주의 의도에 의하여 생물이 창조되었다는 것으로 이는 관찰과 실험을 통해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진화론이 과학의 영역에 속한다면 창조론은 종교적 신앙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화론의 진위 여부를 따지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에 의존해야 타당성이 있으며, 마찬가지로 창조론의 진위 여부를 따지기 위해서는 종교적 신앙에 근거해야 한다. 진화론을 부정하기 위하여 성경의 창세기를 인용할 수 없는 것이며, 또 창조론을 부정하기 위하여 관찰과 실험결과를 인용할 수도 없는 것이다. 진화론과 창조론이 본질상 그 영역이 다르므로, 이 두 가지 이론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독립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진화가 맞느냐 창조가 맞느냐 하는 질문은 타당한 질문이 아니며 성립할 수도 없는 것이다.
과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진화론을 단지 과학자의 관점에서 해석하기만 하면 된다. 진화론을 과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타당한 학설이라고 받아들인다고 해서 개인의 종교적 신앙을 버릴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창조론을 믿는 사람들은 생물진화의 과정 자체가 신의 의지에 의해 통제되는 창조의 과정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밑줄 친 부분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실제적 경험

② 논리적 사고

③ 객관성의 추구

④ 종교와의 조화

⑤ 관찰과 실험

이 글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진화론과 창조론이 근거하고 있는 영역은 서로 다르다.

② 진화론이 등장하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③ 진화론을 주장하고 창조론을 부정하는 것이 과학자의 태도이다.

④ 진화론은 과학의 산물이므로 창조론에 의해 부정되지 않는다.

⑤ 진화론과 창조론을 모두 긍정해도 모순되지 않는다.

[38~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날아다니는 파리는 날개를 1초에도 수십 회 흔든다. 만약 이 파리가 원래 크기의 수십 배로 되어도 그렇게 빠르게 날개를 움직일 수 있을 것인가? 날아다니는 큰 독수리가 그 날개를 파리만큼 빠르게 움직인다고 상상해 보라. 직관적으로 생각해 보아도 그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물체가 확대되거나 축소되었을 때 그 확대와 축소가 다만 크기의 확대·축소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고 그것의 질(質)과 기능에 걸치는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여러분의 몸이 열 배로 확대되었다고 가정하자. 여러분은 그 몸을 지탱할 수 있을 것 같은가? 우선 몸을 지탱하는데 필요한 것은 뼈의 굵기이다. 확대되는 과정에서 뼈의 강도는 변함 없이 다만 뼈의 길이와 굵기만 열 배씩 확대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뼈가 무게를 지탱하는 능력은 뼈의 단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길이가 열 배로 되면 단면적은 백 배로 되기, 때문에 몸을 지탱하는 능력은 백 배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사람의 몸무게는 체적에 비례하므로 처음 상태의 1천 배가 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것이 열 배씩 단순하게 확대만 된다면 우리 몸의 뼈는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와해될 것이다.
이 글의 내용으로부터 추리할 수 있는 사실 둘을 고른다면?
가. 참새가 코끼리만큼 확대되어도 날 수 있다.
나. 자동차의 무게가 열 배 증가하면 엔진 출력은 백 배 증가해야 제 속도를 낸다.
다. 다섯 살 짜리 어린이의 키가 스무 배 확대되면 걸을 수 없다.
라. 30층 짜리 빌딩을 10분의 1로 축소하면 무너진다.
마. 중량급 권투선수가 경량급 권투 선수보다 몸이 둔한 것은 확대와 관계가 있다.

① 가, 나

② 가, 라

③ 나, 마

④ 다, 라

⑤ 다, 마

이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동물과 사람의 기능

②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

③ 몸의 크기와 기능의 관계

④ 파리와 독수리의 운동

⑤ 생물의 체중과 구조

[40~4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옛날부터 사람들은 지구가 생성된 이후 지구 표면이 항상 딱딱한 고체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1620년에 베이컨이 남미와 아프리카의 대서양 연안의 윤곽이 서로 부합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두 대륙이 과거에는 서로 붙어 있었으리라는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거대한 대륙이 과거에 이동을 하였고, 현재에도 계속 이동하고 있다는 이른바 대륙 이동설이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스나이더는 미국과 유럽의 식물화석이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모든 대륙은 옛날 하나의 대륙으로 붙어 있었으나 점차 잘라져 현재의 대륙으로 나누어졌다고 주장하였다. 그림은 대서양이 벌어지기 이전의 대륙 위치를 스나이더가 제시한 것이다.
베게너는 몇 가지 증거를 더 제시하였다. 즉 미국의 애팔래치아 산맥과 영국의 산맥이 형태상으로 보아 연결된다는 점, 남극 대륙, 호주, 아프리카에서 같은 종의 식물 화석이 발견된다는 점, 보통 열대지방에서 생성되는 석탄층이 남극 대륙에서 발견된다는 점 등을 들었다. 이러한 대륙 이동설은 당대의 저명한 과학자들에게 충격을 주기는 하였으나 환영받지 못하였고 지나친 상상의 산물로 취급되었다. 1930년에 베게너가 죽은 후 대륙 이동설은 엉뚱한 사람이 꾸며낸 황당한 이야기로 취급되어 과학자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만약 또 하나의 독립된 증거가 극적으로 등장하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대륙 이동설은 영영 죽어버렸을 것이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에 비유될 수 있으며, 자석의 극은 북극과 남극 근처에 있다. 지질 시대에 형성된 암석은 지구 자력의 영향을 받아 암석이 형성된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자력의 방향이 일정해진다. 그러므로 거대한 암석층이 대륙을 따라 이동하였다면 암석층이 가지고 있는 자력의 방향과 그 암석층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구 자력의 방향이 다를 것이다.
그러하여 이를 비교함으로써 대륙의 이동 여부를 밝히는 것이 가능한데, 영국의 과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1950년경 이러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들은 영국에 분포하고 있는 중생대의 암석이 가지고 있는 자력의 방향을 측정한 결과 중생대에는 영국이 지금보다 훨씬 저위도에 있었다는 것을 밝혀 냈으며, 다른 대륙의 암석에 대해서도 이러한 연구를 계속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륙 이동설을 부활시키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 중에서 주된 역할을 한 사람은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 글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없는 것은?

① 대륙 이동설에 대한 현대 과학자의 생각

② 남극이 과거에 열대 지방이었다는 사실

③ 대륙 이동설 수립에 기여한 귀납적 방법

④ 대륙 이동설의 기원과 발달

⑤ 한 대륙이 여러 개의 대륙으로 분리되는 원인

대륙 이동설의 가장 강력한 증거는?

① 대륙의 윤곽 비교

② 식물 화석의 연구

③ 대륙의 지형 비교

④ 동·식물의 대륙별 분포

⑤ 암석과 지구 자력의 비교

[42~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세계의 모든 민족은 저마다 고유한 창법을 가지고 있다. 서양 음악에서 가곡이나 오페라의 발성법과 우리 전통 음악에서 가곡이나 판소리나 범패의 발성법은 서로 사뭇 다르다. 서양 음악의 가곡이나 오페라 발성법에서는 이른바 벨칸토 창법이라 하여, 목을 둥글게 열고 머리와 가슴이 울리게 하고 배에서 숨을 올려 내는 맑은 소리를 으뜸으로 친다. 판소리의 발성법은 내는 소리가 통성이라 하여, 배에서 숨을 올려 지르는 것임에서는 서양 발성법과 같으나, 목을 다스려서 약간 거칠고 텁텁한 소리를 질러 내며 코의 울림보다는 입과 가슴의 울림에 더 힘쓰는 점이 다르다. 음질은 가객에 따라 달라서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서 껄껄한 수리성, 단단한 철성, 밝고 맑은 천구성을 좋게 치나, 되바라진 양성, 발발 뛰는 발발성, 콧소리가 나는 비성 따위는 좋지 않은 것으로 친다.
판소리의 발성법을 수련하여 득음의 경지에 이르기는 매우 어렵다. 옛날에는 깊은 산이나 목포 밑이나 땅굴 속에서 여러 해 동안에 걸쳐 목에서 피가 나도록 소리를 질러서 수련을 하기도 했다. 이렇게 수련을 하다가 목이 상해서 좌절하고 마는 일도 있지만, 그     를 넘겨 목이 트이면 좋은 목을 얻게 되는데, 그런 과정을 거쳐 닦은 목이라야 여러 시간에 걸쳐 판소리를 해도 목이 막히는 일이 없다.
이 글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서양의 발생법에서는 맑은 소리를 으뜸으로 친다.

② 오페라나 판소리의 발생은 모두 배에서 숨을 올려 낸다.

③ 판소리에서 득음의 경지에 이르기는 매우 어렵다.

④ 판소리 발생의 수련은 폭포 밑이나 땅굴에서 한다.

⑤ 득음의 경지에 이르면 장시간에 걸친 창이 가능하다.

판소리에서 ‘배에서 숨을 올려 지르는 발생’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통성

② 수리성

③ 철성

④ 천구성

⑤ 발발성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은?

① 절차

② 고비

③ 단계

④ 기회

⑤ 계기

윗글에서 밑줄 친 ‘목’과 의미가 같은 것은?

① 명창의 목은 과연 타고나는 것인가.

② 백조는 목의 곡선이 아름답다.

③ 돈을 많이 벌려거든 목이 좋은 곳에 가게를 내어라.

④ 적군이 아군의 목을 죄고 있다.

⑤ 감기 때문에 기침을 많이 하여 목이 아프다.

다음 글에서 탈춤에 무대장치가 없기 때문에 얻어지는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탈춤에는 무대장치가 없기 때문에 공연장소의 설정에 어떠한 제한도 받지 않는다. 극중장소는 공연장소와의 일치를 떠나 자유로이 설정되고 전환될 수 있으며, 공연장소에서의 거리와 극중장소에서의 거리 사이에 일치나 비례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원리는 탈춤으로 하여금 극적 갈등의 중단 없는 전개를 가능하게 하고 극적 환상에 구애되지 않는 현실성을 추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준다. 같은 원리에서 극중장소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두 곳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동시에 한 무대에서 보여 주는 동시적 진행도 가능하게 된다. 동시적 진행은 갈등 관계에 있는 쌍방을 날카롭게 대조시키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이러한 원리는 탈춤으로 하여금 비판적 현실주의의 깊은 경지에 이를 수 있게 한 형식의 하나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것으로 계승·발전되어야 마땅한 충분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서구적인 근대극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 민족극을 확립하고자 할 때, 그 의의는 더욱 확대된다.

① 민족극의 확립

② 현실성의 추구

③ 동시적 진행의 가능

④ 극적 갈등의 중단 없는 전개

⑤ 갈등 관계의 부재

다음 글의     에 들어 가는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
P는 포켓 속에 손을 넣고 잔돈과 지폐를 섞어 남은 돈을 만지작거렸다. 그러면서 왼편 손으로는 손가락을 꼽아가며 삼일을 곰쟁이 쳐 보았다.
육원 십이원 이십사원 사십팔원 구십륙원 백구십이원 팔원 모자라는 이백원...... 사백원 팔백원 일천륙백원 삼천이백원 륙천사백원 일만이천팔백원. 팔백원은 떼어 버리고 이만사천원 사만팔천원 구만륙천원 십구만이천원 삼십팔만사천원 칠십률만팔천원 일백오십삼만륙천원......
삼원을 열여덟 번만 곱집으면 일백오십만원이 된다. 일백오십만원 그놈이 있으면... 이렇게 생각하니 어깨가 으쓱해졌다.
그러나 아쉰 대로 십오만원만 있어도 일만오천원 아니 일천오백원만 있어도 아-니 일백오십원만 있어도 십오원만 있어도 위선 방세와 전기세를 주고 한 달은 살아가겠다.
P는 한숨을 내쉬었다. 한 달? 한 달만 살고나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하나?...... 그래도 몇 백원은 있어야지 아니 몇 천원은 아니 몇 만원은......
P는 늘 하는 버릇으로 이런     을(를) 되풀이 하였다.

① 야심만만한 계획

② 엉뚱한 추측

③ 재빠른 계산

④ 터무니없는 공상

⑤ 아무런 설계

[48~50]
다음은 신용카드 약관의 일부다. 이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제6조 (할부구입)
1. 회원은 카드사가 따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할부 구입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할부 구입 대금은 할부 기간 중 균등 분할 결제하며 분할 후의 잔여액은 최초 할부금에 포함됩니다.
2. 할부 구입 한도는 일반 이용한도 외에 따로 정하는 금액 범위내로 할 수 있으며, 카드상에 표시된 1회 이용 한도를 초과하여 할부 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카드사나 은행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3. 할부 기간은 카드사가 정하는 기간 중에서 회원이 카드를 이용할 때 지정한 것으로 합니다.
4. 할부 구입을 할 수 있는 가맹점은 카드사가 따로 정합니다.
5. 할부 구입 대금에 대하여는 카드사가 따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부담하여야 하며, 동 수수료는 매월 할부금에 가산하여 결제하여야 합니다.
6. 수수료율 변동에 따라 수수료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이후 이용분에 대하여는 변경된 수수료를 부담하여야 합니다.
7. 매월의 대금 결제일에 결제되지 아니한 할부금에 대하여는 소정 결제일 익일부터 결제일까지 제8조 3항에 따른 연체료를 부담합니다.
8. 회원이 할부로 구입한 물품 및 용역을 취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할부 구입일로부터 7일 이내에 한합니다.
이 약관의 내용과 다른 것은?

① 상품을 할부로 구입할 수 있는 상점에는 제한이 있다.

② 할부로 물건을 산 뒤 마음에 안들면 취소할 수 있다.

③ 할부금을 갚아 나가는 기간은 회원이 임의로 정할 수 있다.

④ 상품을 할부로 구입하면 현금으로 사는 것보다 결국은 비싸진다.

⑤ 할부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한도액은 회원에 따라 다르다.

1~8항 중, 정해진 날에 할부금을 갚지 못하였을 경우, 얼마의 연체료를 지불해야 할 것인지를 알 수 있는 조항은?

① 2항

② 5항

③ 6항

④ 7항

⑤ 이 글만 가지고는 알 수 없다.

어떤 물건을 4개월 할부로 구입하였다고 가정할 때, 물어야 할 할부금이 가장 많을 수 있는 달은?

① 첫째달

② 둘째달

③ 셋째달

④ 넷째달

⑤ 이 글만 가지고는 알 수 없다.

다음 글의 주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자동차고 철강이고 일본의 기술 내용을 미국이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알고 있으면서도 미국의 산업이나 기업의 慣行, 근로자의 行態, 법규 내용 등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일본만큼 좋은 생산품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이것이 예외일 수는 없다. 건물을 짓되 도무지 아름답지 않고, 곧 금이 가고 비가 샌다. 이것이 단순한 기술의 문제인가. 상품이 조잡하고 고장이 잘 난다. 이것도 기술 자체의 문제만이라고 볼 수가 없다. 그것은 오히려 디자인의 문제이며, ‘美’에 대한 감각과 고객의 嗜好에 부응하고자 하는 생산자의 성의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기술의 문제라기보다는 문화의 문제이다. 우리가 흔히 기술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많은 것이 사실은 문화의 문제라고 보아야 한다. 개개의 기술은 그것이 독립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기술의 생성, 그리고 나아가서는 그것의 활용은 모두 문화의 문제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다.

① 자동차·철강부문의 기술은 미국이 일본에 뒤져 있다.

② 기업의 관행은 고치기 어렵다.

③ 조잡한 상품은 바로 낙후된 기술 수준의 결과이다.

④ 기술 발달은 美에 대한 감각에 달려 있다.

⑤ 기술의 생성·활용에는 문화가 작용한다.

다음 글에서 ‘劇樂’은 무엇을 비유하는가?
입을 벌리고 또는 붓을 들고 하나 하나 지적하지는 않지만, 대중은 순진하리만큼 感激性이 예민한 반면에 또한 이성의 반발심도 그에 못지않게 대단하다는 것을 늘 염두에 두고, 특히 방송인 여러분은 그 위력을 過信함이 없도록 힘써 주기 바라는 바이다.
이런 나의 노파심은 TV뿐만 아니라 우리 언론 전반에 걸친 반성자료로 삼고 싶은 심정도 없는 바 아니다.
劇樂은 옳게 쓰면 靈藥이 되고, 잘못 쓰면 毒藥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 언론의 기능이기에 하는 말이다.

① 방송인의 사명

② 대중의 감격성

③ 이성의 반발심

④ 언론의 위력

⑤ 영악과 독약

[53~54]
다음 글의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들끼리 연결된 것은?
사실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이성(異性)과  ㉮  교육을 받아 온 남녀들은 대학에 입학할 때쯤은 서로에 관해 자기 나름대로의 여러 가지 기대와 호기심을 가지게 된다.  ㉯  학생들과 상담을 해 보면 그러한 기대는 대체로 자기와 동시대에 사는 이성에 대한 체험적 관찰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기보다는 어머니나 누이 등 다른 세대에 속하는 여성들이나, 혹은 사회에 팽배해 있는  ㉰ 에 기초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실적이기 보다는  ㉱  것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함께그리하여관념비현실적인
섞여서이러한미신이상적인
더불어그런오류감상적인
격리되어그러나통념환상적인
떨어져서이같은속설말초적인
우리는 도구를 사용하듯이 언어를 사용하여 많은 일을 한다. 대화로 서로의 생각과 의사를 주고 받으며, 약속으로 장래의 행위를 규정하며, 명령으로 상대의 행위를 유발시킨다. 질문으로 상대의 마음을 살피며, 고백으로 자신의 마음을  ㉮  하면, 달콤한 말로 상대를 들뜨게 하고, 쓰라린 말로 상대의 가슴을  ㉯  한다. 기록으로 인류의 문화 유산을 후세에 전하고, 과학적 이론으로 미래를  ㉰  한다. 소설로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고, 시로 감성을 전율케 한다. 세 치의 혀로 다섯 자의  ㉱ 을/를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표현하는가할퀴기도그리기도체구
드러내는가찢기도예고하기도
나타내는가자극하기도살피기도
알리는가긁기도거론하기도신체
펴는가적시기도예측하기도체구
[55~57]
다음 두 낱말 사이의 관계가 <보기>의 경우와 다른 것은?
보기
과일 - 사과

① 생물 - 동물

② 여자 - 소녀

③ 계절 - 여름

④ 태양 - 지구

⑤ 인류 - 인종

보기
장(長) - 단(短)

① 대(大) - 소(小)

② 온(溫) - 냉(冷)

③ 유(有) - 무(無)

④ 명(明) - 암(暗)

⑤ 미(美) - 추(醜)

보기
장미 - 국화

① 한국 - 독일

② 군인 - 용사

③ 금 - 은

④ 매미 - 베짱이

⑤ 피아노 - 첼로

아래와 같은 요지(要旨)의 강연에 대한 평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인생(人生)길은 산행(山行)길과 비슷합니다. 산에는 오르기 힘든 가파른 길이 있는가 하면, 걷기 쉬운 내리막 길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늘의 삶이 고통스럽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고통을 보상해 줄 행복한 날이 반드시 옵니다. 고통은 언제나 보상을 받습니다.

① 그럴 듯한 비유법을 사용하고 있다.

② 보편적인 사실이 아닌 것도 말하고 있다.

③ 역경에 처한 사람들을 격려하고 있다.

④ 논리적으로 흠이 없어 설득력이 있다.

⑤ 행복의 구체적 내용 제시가 없다.

아래 대화에서 영화는 철수의 말을 어떤 뜻으로 받아들였는가?
철수 : 탁구 선수가 모두 부지런하지는 않아.
영화 : 네 말은 틀려. 현정화, 홍차옥 선수는 얼마나 부지런한데.

① 탁구 선수가 다른 종목 선수들에 비해 게으르다.

② 탁구 선수 중에는 부지런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③ 탁구 선수들은 한결같이 게으르다.

④ 탁구 선수들만이 부지런하다는 말은 틀렸다.

⑤ 모든 탁구 선수들의 기량이 형편 없다.

다음에서 결론에 이르는 근거 제시 방법이 다른 하나는?

① 의지의 자유가 없는 자에게는 책임을 물을 수 없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의지는 자유롭다고 봐야 한다.

② 생물은 무엇이든 어차피 죽기 마련이다. 사람도 생물이므로,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다.

③ 여름에 들에서 일하면 몸이 더워지고 땀이 난다. 그런데 겨울에도 산비탈을 오르면 몸이 더워지고 땀이 난다. 그러므로 몸이 더워지면, 땀이 난다고 봐야 한다.

④ 근거 없이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삼일운동도 하나의 사건이니, 그것이 일어날 만한 근거가 있었다고 봐야 한다.

⑤ 사랑해 보지 않은 자는 사랑을 모른다. 목석(木石)같은 그 친구는 사랑을 모른다. 따라서 그 자는 틀림없이 사랑의 경험이 없는 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