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5월 24일 (금)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1.5.24(금)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옥내배선의 사용능력 비교>
가정용 옥내배선 | 사용 전압 | 최대 사용능력 |
굵기가 2.0mm 동선을 사용할 경우 | 220볼트(V) | 5,280와트(W) |
100볼트(V) | 2,400와트(W) |
① 전류
② 전압
③ 저항
④ 전력
⑤ 전하량
① 100V로는 220V보다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기 때문
② 동선을 흐르는 최대 전류의 양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
③ 사용전력은 전압에만 관계되기 때문
④ 전압이 낮으면 전선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
⑤ 가전제품이 대부분 100V용이기 때문
물질 \ 성질 | 분자량 | 밀도 (g/cm³) | 끓는점 (℃) |
식용유 | $>100$ | 0.92 | 150 |
디메틸설폭시드 | 78 | 1.10 | 190 |
에틸렌글리콜 | 62 | 1.11 | 199 |
초산 | 60 | 1.05 | 118 |
이소프로필알코올 | 60 | 0.79 | 80 |
에틸알코올 | 46 | 0.79 | 79 |
물 | 18 | 1.00 | 100 |
① 밀도만 관계 된다.
② 분자량만 관계 된다.
③ 끓는점만 관계 된다.
④ 밀도와 끓는점이 관계 된다.
⑤ 분자량과 끓는점이 관계 된다.
① 식용유보다 큰 밀도를 갖는 물질들이 떨어지는 충격 때문.
②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물질들은 끓는 식용유에서 쉽게 끓기 때문.
③ 끓는 식용유가 분자량이 작은 물질들과 격렬하게 반응하기 때문.
④ 식용유보다 작은 분자량을 갖는 물질들은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기 때문.
⑤ 식용유보다 무겁고, 식용유보다 낮은 끓는점을 갖는 물질들은 식용유 속에서 순식간에 끓어 오르기 때문.
물질 | 혈장 | 콩팥여과액(원뇨) | 오줌 |
요소 | 0.03 | 0.03 | 1.80 |
포도당 | 0.10 | 0.10 | 0.00 |
아미노산 | 0.05 | 0.05 | 0.00 |
단백질 | 8.00 | 0.00 | 0.00 |
무기염류 | 0.90 | 0.90 | 0.90 |
① 요소
② 포도당
③ 아미노산
④ 단백질
⑤ 무기염류
고도(m) | 대기압력(mmHg) | 물이 끓는 온도(℃) | 밥이 되는 시간(분) |
해수면, 0 | 760 | 100.0 | 30 |
1,500 | 634 | 95.2 | 43 |
3,040 | 526 | 90.0 | 50 |
4,560 | 434 | 85.0 | 56 |
6,100 | 355 | 79.7 | 61 |
① 산의 대기압력은 고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
② 산의 고도와 관계없이 물은 100℃에서 끓는다.
③ 대기압력이 낮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다.
④ 물의 끓는 온도가 높을수록 밥은 빨리 된다.
⑤ 물의 끓는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오랫동안 끓이면 쌀은 익는다.
① 90℃
② 100℃
③ 105℃
④ 110℃
⑤ 115℃
① 물은 항상 100℃에서 끓기 때문에 이 압력솥에서도 30분에 밥이 된다.
② 이 압력솥으로 밥을 하는 장소의 고도에 따라 밥이 되는 시간은 다르다.
③ 이 압력솥은 해수면에서의 대기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하므로 산이나 해변에서 보다 밥이 빨리 된다.
④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30분보다 더 짧은 시간에 된다.
⑤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해수면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밥이 더 빨리 된다.
철수는 이 결과로부터 ‘거저리 유충은 빛에 양성 반응하고 습기에는 음성 반응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다음 중에서 철수의 결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보이는 비교를 2개 고르라.
① A와 B의 비교
② A와 C의 비교
③ A와 D의 비교
④ B와 C의 비교
⑤ B와 D의 비교
① 이 자동차의 평균 속력
② 이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최대 속력
③ 이 자동차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공기저항
④ 이 자동차가 저항을 받지 않을 때 달리는 속력
⑤ 이 자동차가 기관에 무리를 주지 않고 달릴 수 있는 속력
영희는 시험관 8개에 각각 페놀레드 용액 5방울과 이 용액의 위까지 올라올 정도로 길고 머리가 넓은 나사못을 하나씩 넣었다. 각 시험관에 여러가지 물질을 추가하고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관 | 시험관에 추가한 물질 | 30분후 용액의 색깔 |
A | 아무 것도 추가하지 않음 | 적색 |
B | 증류수 1방울 | 적색 |
C | 묽은 염산 용액 1방울 | 황색 |
D | 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 1방울 | 적색 |
E | 유리 구슬 10개 | 적색 |
F | 싹이 튼 콩 10개 | 황색 |
G | 살아있는 메뚜기 | 황색 |
H | 빨대로 용액 속에 날숨을 30초동안 불어 넣음 | 황색 |
① 시험관 A
② 시험관 B
③ 시험관 C
④ 시험관 F
⑤ 시험관 H
① 싹이 튼 콩은 산소를 필요로 한다.
② 사람이 내쉬는 숨에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다.
③ 생물은 산소로 작용하는 어떤 물질을 방출한다.
④ 동물은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키지만 식물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⑤ 생물은 시험관 내의 온도를 증가시켜 페놀레드 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킨다.
① 퇴적작용
② 교결작용
③ 풍화작용
④ 운반작용
⑤ 다지는 작용
① 화강암을 구성하고 있던 무거운 광물 입자들이 잘게 부수어졌기 때문이다.
② 암석 부스러기의 일부가 물에 녹아버렸기 때문이다.
③ 암석 조각 사이에 시멘트가 충분히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④ 실험과정에서 암석의 변성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⑤ 시멘트가루의 밀도가 화강암의 밀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
① 산소 농도가 높으면 호흡율이 감소한다.
②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8% 이상이 되면 치명적이다.
③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호흡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④ 보통의 공기는 호흡율이 비교적 일정하므로 건강에 가장 좋다.
⑤ 호흡율은 산소가 92%, 이산화탄소가 8%인 기체상태에서 현저하게 증가한다.
① 3.5억년
② 7억년
③ 14억년
④ 21억년
⑤ 28억년
① 암석의 생성 이후 온도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② 암석의 생성 이후 암석이 받는 압력이 일정하여야 한다.
③ 암석이 생성될 당시 $^{235}\text{U}$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④ 암석이 생성될 당시 $^{207}\text{Pb}$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⑤ 암석의 생성 이후 외부로부터 $^{235}\text{U}$나 $^{207}\text{Pb}$이 보태지거나, 빠져 나가서는 안된다.
행성 | 질량 ($지구=1$) | 적도반경 ($지구=1$) | 평균밀도 ($\text{g/cm}^{3}$) | 표면중력 ($\text{cm/s}^{2}$) | 표면기압 (bar) | 표면온도 (K) | 자전주기 (일) |
금성 | 0.815 | 0.95 | 5.25 | 888 | 90 | 730 | 243.01 |
지구 | 1 | 1 | 5.52 | 978 | 1.0 | 250~300 | 1 |
달 | 0.012 | 0.27 | 3.34 | 156 | 0 | 120~390 | 27.32 |
화성 | 0.107 | 0.53 | 3.95 | 373 | 0.007 | 210~300 | 1.03 |
① 질량
② 적도반경
③ 표면기압
④ 표면온도
⑤ 자전주기
① 평균밀도
② 표면중력
③ 표면기압
④ 표면온도
⑤ 자전주기
① 단거리 달리기 선수
② 높이뛰기 선수
③ 멀리뛰기 선수
④ 원반 던지기 선수
⑤ 역도 선수
이 X-선 발생장치의 양극판 (B)의 재료를 선택할 때에는 다음 세가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X-선을 효과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양극판으로 쓰인 금속의 원자가 가지고 있는 전자의 수가 많아야 한다.
둘째, 전자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양극판이 녹아서는 안된다.
셋째, X-선 이외의 방사선은 나오지 않아야 한다.
다음 표는 양극판 (B)으로 사용하기 위한 후보 재료들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금속 | 원자번호 | 전도율 ($\times 10^{-2}\text{Wm}^{-1}\text{K}^{-1}$) | 비열 ($\text{Jkg}^{-1}\text{K}^{-1}$) | 밀도 ($\text{kgm}^{-3}$) | 녹는점 (K) |
철 | 26 | 0.80 | 445 | 7,870 | 1,808 |
구리 | 29 | 4.00 | 386 | 8,960 | 1,356 |
몰리브덴 | 42 | 1.38 | 252 | 16,220 | 2,880 |
텅스텐 | 74 | 1.63 | 1,332 | 19,300 | 3,650 |
납 | 82 | 0.44 | 160 | 11,350 | 600 |
우라늄 | 92 | 0.29 | 118 | 18,950 | 1,405 |
① 철
② 구리
③ 몰리브덴
④ 납
⑤ 우라늄
① 철
② 구리
③ 몰리브덴
④ 납
⑤ 우라늄
① 양극판(B)을 회전시킨다.
② 전자 방출 시간을 짧게 한다.
③ 전자 발생장치(A)와 양극판(B)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한다.
④ X-선 발생장치의 전압을 높인다.
⑤ 양극판(B)의 질량을 작게 한다.
(2) 30℃ 항온기에서 배양하면서 각 시험관내의 효모 수를 매일 측정했다.
(3) 배양기간 중 어느날, 시험관 A에는 5mL의 배양액을, 시험관 B에는 5mL의 증류수를 추가하고, 시험관 C에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
(4) 30℃ 항온기에서 계속 배양하면서 각 시험관 내의 효모 수를 매일 측정했다.
① 효모의 수가 천천히 증가하기 시작할 때
② 효모의 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할 때
③ 효모의 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할 때
④ 효모의 수가 감소할 때
⑤ 배양기간 중 어느 때라도 상관 없다.
① 영양분의 양
② 배양 온도
③ 배양 기간
④ 배양 공간
⑤ 효모의 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