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07/11

1991-07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7번까지는 대화나 설명을 듣고 주어진 물음에 답하는 “듣기 평가”문제입니다.
다음에 나오는 말과 정확히 일치하는 문장을 고르라.

① He didn't go to the library.

② He explained how to use the library.

③ He told us to get to the library.

④ He didn't know how to get to the library.

⑤ He knew how to get to the library.

다음을 듣고 그 내용이 바르게 나타난 그림을 고르라.
[3~5]
두 사람의 대화를 들은 다음, 그 내용에 관해 묻는 질문을 듣고 그에 알맞은 답을 고르라.

① 1:00

② 2:00

③ 2:30

④ 3:00

⑤ 3:30

① By car.

② By bus.

③ By taxi.

④ By train.

⑤ On foot.

① At home.

② At a restaurant.

③ At his office.

④ In the library.

⑤ In the hospital.

대화를 듣고 남자가 전화를 건 목적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라.

① 식사를 주문하기 위하여

② 좌석 예약을 하기 위하여

③ 식당의 위치를 묻기 위하여

④ 식당에 물건을 받기 위하여

⑤ 구인광고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사와 환자의 대화를 듣고 의사의 지시사항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라.

① 약을 규칙적으로 먹어라.

② 휴식을 취하라.

③ 물을 많이 마셔라.

④ 침대에 누워 있어라.

⑤ 야채를 많이 먹어라.

8번부터는 문제지의 지시에 따라 응답하시오.
[8~10]
말의 의도하는 바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을 고르라.

① That's true!

② I agree with you.

③ That's absolutely right.

④ Oh, I see what you mean.

⑤ That's exactly what I have in mind.

① Pardon?

② Excuse me?

③ What did you say?

④ Please repeat after me.

⑤ Sorry, I wasn't listening.

① I just have no idea about that.

② I'm sorry, but I don't know.

③ I'll tell you what I know.

④ Not that I know of.

⑤ Don't ask me.

[11~12]
사선(/)에 의해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 다음 문장에서 어색한 표현이 있는 부분을 고르라.
① I don't know / ② who sent me this book. / ③ Maybe I think / ④ it was John / ⑤ who sent it.
① President Parker, / ② let me introduce / ③ my father / ④ and mommy / ⑤ to you.
[13~14]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을 고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필요가 있다면, 가장 잘 고쳐진 것을 고르라.
Between three and four percent of all children born with speaking defects serious enough to require medical treatment.

① 고칠 필요 없음

② are born with speaking defects

③ is born with speaking defects

④ being born with speech defects

⑤ to be born with speech defects

With every right there is a responsibility. Just once, I wish someone would demand his responsibility.

① 고칠 필요 없음

② must

③ might

④ were

⑤ will

[15~16]
다음은 어떤 사물이나 개념에 대해 사람들이 말한 것을 인용한 것이다. 글에서 this가 나타내는 것을 고르라.
When all else is lost, this still remains. (Christian N. Bovee)
I never think of this. It comes soon enough. (Albert Einstein)
I like the dreams of this better than the history of the past. (Patrick Henry)
My interest is in this because I am going to spend the rest of my life there. (C. F. Kettering)

① hope

② courage

③ failure

④ money

⑤ the future

This is the science of destruction. (John Abbot)
The tragedy of this is that it uses man's best to do man's worst. (H. E. Fosdick)
Diplomats are just as essential in starting this as soldiers are in finishing it. (Will Rogers)
Older men declare this. But it is the youth that must fight and die. (Herbert Hoover)

① hatred

② love

③ war

④ punishment

⑤ hunting

다음 글에서 밑줄 친 theft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가?
If you steal money and get caught, you suffer. If you steal time, someone else suffers. When you have a date at 9 o'clock, be there at 9, not 9:15. Otherwise, you have stolen 15 minutes. Your theft can push everybody back. The person scheduled for 5 o’clock may be bumped and have a tough time getting rescheduled.

① being caught

② being late

③ having a date

④ stealing money

⑤ stealing time and money

다음 광고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Save 50% off the cover price and get 12 issues of Popular Science for only US$\$$12.00! (Offer good through June 30, 1991, in the U. S. and Canada. Canadian orders, please add US$\$$6.00 postage.)
If a Canadian orders 12 issues of Popular Science after June 30, 1991, how much money does he have to send?

① US$\$$30.00

② US$\$$24.00

③ US$\$$18.00

④ US$\$$12.00

⑤ US$\$$6.00

다음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라.
Woman : I'm afraid to say that young mothers do not seem to be too strict with their children.
Man : You can say that again. In fact that's why children grow up to become so selfish.
What are the man and the woman talking about?

① Child rearing.

② Mothers then and now.

③ Selfish mothers.

④ Thinking about others.

⑤ Children's life.

[20~24]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라.
The children next door often play football in the garden and sometimes break my windows. Last Saturday afternoon, I stayed home and read a book. After a while, I closed my eyes and went to sleep. A sound at the door made me get up quickly. Soon a little boy appeared.
    ” I asked.
“Oh, no!” answered the boy. “Your window was open this time and our ball is in your bedroom. May we get it, please?”

① Can I help you?

② What's the matter?

③ What do you want?

④ Did you play football?

⑤ Not one of my windows again?

What is perhaps even more important for the anthropologist's work is the fact that he is all alone,      from the companionship of men of his own race and culture, and is dependent on the natives around him for friendship and human understanding. (* anthropologist: 인류학자)

① described

② come

③ determined

④ set off

⑤ cut off

This hotel has thirty-two stories. On each floor there are about thirty rooms. Each room has its own shower, bathroom and air conditioning.     , each room has a desk, a chair for the desk, a couch, and two closets. All the rooms are carpeted.

① However

② As a result

③ First of all

④ In addition

⑤ Because

There's one very strange thing about my friend John Jordan. He's very capable and he can do some very difficult things. The funny thing is that he can't do some of the very simple things in life.     , he can drive a car, he can fly a plane, and he can sail a boat. But he can't ride a bicycle. He could never learn to ride a bike. Isn't that funny?

① Therefore

② Besides

③ For instance

④ Meanwhile

⑤ By the way

You can see a good movie, listen to a concert, obtain a beautiful painting, participate in crafts, or learn Hank Aaron's batting average all in one building -- a modern library. Libraries are not only alive with the records of our progress from the Stone Age to the age of computers, but they are also alive with activities to improve our daily lives.
Although modern libraries offer many services, most people     .

① buy books at bookstores

② like those services

③ go to them primarily for books

④ have their own libraries

⑤ like quiet places

[25~26]
다음 글 속에서 본문 전체의 흐름과 관계가 없는 문장을 고르라.
When Professor Adams returned to the college this fall, we noticed several changes in his appearance. ① Professor Adams teaches American history. ② For one thing, his hair was combed forward over his forehead. ③ Then he started wearing heavy eyeglasses with black frames. ④ Although he always wore dark neckties last year, now he wore striped bow ties every day. ⑤ His coats were brighter in color than they used to be.
① Different people spend their weekends in different ways. ② Some enjoy going to the mountains to hike, ski, or just relax. ③ Water skiing is much more difficult than snow skiing. ④ Others prefer going to the beach to enjoy the seashore activities and to get a suntan. ⑤ Still others like to relax by staying home and reading a good book.
[27~29]
다음 글에서 필자가 말하려고 하는 요지를 고르라.
You've failed many times, although you may not remember. You fell down the first time you tried to walk. You almost drowned the first time you tried to swim, didn't you? Heavy hitters, the ones who hit the most home runs, also strike out a lot. English novelist John Creasey got 753 rejection slips before he published 564 books. Babe Ruth struck out 1,330 times, but he also hit 714 home runs.

① 매사에 조심해야 한다.

② 실패를 걱정하지 말아라.

③ 실패를 많이 할수록 좋다.

④ 야구선수가 되려면 노력해야 한다.

⑤ 훌륭한 소설가가 되기는 어렵다.

Golda Meir was 71 when she became Prime Minister of Israel. William Pitt II was 24 when he became Prime Minister of Great Britain. George Bernard Shaw was 94 when one of his plays was first produced. Mozart was just seven when his first composition was published. Benjamin Franklin was a newspaper columnist at 16, and a framer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when he was 81.

① 위인들은 비범한 새주를 가졌다.

② 모차르트는 위대한 음악가였다.

③ 능력은 나이와 별로 관계가 없다.

④ 사람들마다 새주가 다르다.

⑤ 벤자민 프랭클린은 다재다능했다.

When radio was invented, many people thought it would be the end of reading, but it wasn't. When television became popular, many people thought it would be the end of radio, but it wasn't. Now that desk-size computers, taped lessons, and films are so much a part of the modern classroom, many people fear reading books will no longer be as important. This is simply not true.

① 교육 매체의 변천은 다양하다.

② 대중 매체의 발달이 필수적이다.

③ 시청각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④ 독서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

⑤ 새로운 매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음은 무엇에 관한 글인가?
Industri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have caused changes in the balance of nature. Species of animals which have not been able to survive in these changed conditions have become extinct. Since the year 1600, about 120 species have disappeared from the earth. Other species have been reduced to the point where they may not be able to survive in the future. These are called endangered species.

① 산업 혁명

② 조건 반사

③ 인구 문제

④ 적자 생존

⑤ 자연 보호

다음은 어떤 종류의 글인가?
Hurry up, before it's too late! There are only a few of these beautiful pieces of Florida real estate left at these fantastically low prices. You will lose out unless you act at once! Do not delay! Send us your $1,000 down payment, and Paradise is yours!

① 광고문

② 기사문

③ 수필문

④ 독촉장

⑤ 초대장

다음은 어떤 내용의 글인가?
It was ten years ago.
Neil Armstrong said,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
In the midst of current crises, relive those historic times when Americans said we can do it-- and did. We put men on the moon.
Join NBC News anchorman John Chancellor, NBC correspondent Roy Neal, former astronaut Alan Shepard and others who made it all possible.
A one-hour special broadcast will mark the anniversary of this historic event.

① 우주 과학사

② 연설 요지

③ 방송 예고

④ 과학 잡지 소개

⑤ 뉴스 기사

다음 글의 글쓴이의 심경은?
When I looked in my purse, it was empty. I knew the money in my bank account was long gone. I searched under the cushions on the couch but found only a penny. How was I ever going to pay my bills this month?

① 곤혹

② 분노

③ 동정

④ 모멸

⑤ 무관심

다음 편지의 어조는?
Dear Maggie,
Your charming photograph arrived today. I showed it to Mom and Dad, and we all agree that you will make a beautiful graduate.
Don't worry about finding a job this summer. I have clipped a few ads about camp counselor and cashier jobs. I have enclosed them.
Your description of the play you are rehearsing sounds thrilling. What a wonderful time you must be having! Please save some of your impressions to share at your graduation ceremony.
Love, Cindy

① 환상적

② 고무적

③ 냉소적

④ 감상적

⑤ 비판적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WEPO의 관심 분야는?
If you saw the way some people treat the world, you would think there is somewhere else to go once the earth's resources have been exhausted. You know there isn't. Our small planet is being ruined and its limited resources are fast disappearing.
This is why WEPO is trying to protect our fragile planet. By applying international direct action with scientific research and political pressure, WEPO has had many notable successes.

① scientific research

② international trade

③ political reforms

④ protecting nature

⑤ preventing war

[36~3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According to Margaret Mead, the younger generation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world of the older people has vanished, and they do not understand all of the problems of the modern world.     , the younger people have grown up with these problems, and they are deeply concerned about them. The older generation still controls the power in business organizations, government, and education. The young people want to make changes in these areas to fit the needs of modern society. In order to reconcile their differences, both generations must realize that the world has changed, and that new responses are necessary for many of the problems of society.
빈 칸에 알맞은 것은?

① Thus

② In addition

③ In the end

④ Like anything else

⑤ On the other hand

윗글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은?

① Power Control

② Generation Gap

③ Problems of Society

④ History of Society

⑤ Problems of Older People

[38~4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James wrote a play for television, about an immigrant family who came to England from Pakistan, and the problems it had settling down in England. The play was surprisingly successful, and it was bought by an American TV company.
James was invited to go to New York to help with the production. He lived in Dulwich, which is an hour's journey from the airport. The flight was due to leave at 8:30 a.m., so he had to be at the airport about 7:30 in the morning. He ordered a taxi for 6:30, set his alarm for 5:45, and went to sleep. Unfortunately he forgot to wind the clock, and it stopped shortly after midnight. Also the taxi driver had to work very late that night and overslept.
Which is the best title for the above passage?

① The Man Who Missed the Plane

② Journey to London

③ A Happening in the Airport

④ Opportunity in Life

⑤ The Success Story of a Novelist

What did James write about?

① Television and its problems.

② An American TV company.

③ Transportation and journey.

④ An immigrant family's success story.

⑤ An immigrant family and its problems.

James didn't wake up at 5:45 because he     .

① forgot his schedule

② forgot to wind the clock

③ forgot to set his alarm

④ was too tired

⑤ didn't want to

1991-07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어느 두 지역의 월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조사하였더니 <표>와 같았다.
내역 \ 월123456789101112
“가”
지역
기온
(℃)
$-3.5$$-1.6$4.111.417.121.124.525.320.513.96.6$-0.6$
강수량
(mm)
21284910588151383263160484325
“나”
지역
기온
(℃)
7.38.410.914.318.322.625.325.122.117.112.18.6
강수량
(mm)
7568414448311025897907979
<표>에 예시된 “가”와 “나” 지역의 특색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가” 지역은 포드줄, “나” 지역은 라베라이트로가 성대토양이다.

② “가” 지역은 벼농사, “나” 지역은 수목농업이 전형적이다.

③ “가” 지역은 가을 장마, “나” 지역은 봄 장마가 특징이다.

④ “가” 지역은 타이가 식생, “나” 지역은 상록경엽수림이 널리 나타난다.

⑤ “가” 지역은 겨울철 관계, “나” 지역은 여름철 관계가 농사에 필수적이다.

한 고등학생이 어떤 농촌의 인구 통계 자료를 살펴보니 전출에 의한 인구 감소가 다른 지역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그 원인을 현지 조사를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에 가장 잘 부합되는 조사 내용은?

① 논과 밭의 구성 비율

② 기후 및 지형 특성

③ 생필품의 유통량

④ 지역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

⑤ 성별·산업별 인구 구조

다음 <보기>의 경제개념을 중심으로 한 진술 중에서 그 내용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다면?
보기
ㄱ. 신문 배달을 하는 것도 생산이다.
ㄴ. 대학생의 학교 생활에서 드는 등록금, 주거비, 식비 및 기타 잡비는 기회비용이다.
ㄷ. 구입한 물건에 대한 만족도는 수치로 측정할 수는 없지만 비교할 수는 있다.
ㄹ.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은 효율성을 높여 주기는 하나 공평성을 보장해 주지는 않는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⑤ 정답 없음.

고구려, 백제, 신라는 한강 유역의 패권을 둘러싸고 치열한 항쟁을 거듭하였다. 삼국간 항쟁의 전개과정을 알아 보는 데 있어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삼국의 외교관계를 알아 보기 위하여 문헌을 수집한다.

② 삼국사기에 나타난 삼국간 대립의 기록을 조사한다.

③ 박물관에 가서 삼국의 유물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비교한다.

④ 중원 고구려비와 단양 적성비에 기록된 내용을 검토한다.

⑤ 한강 유역의 지리적 조건과 전략적 이점을 조사한다.

다음 중 다른 것들에 비하여 가치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큰 것을 2개 고른다면?

① 사회 규범의 종류 나열

② 물가 변동의 추이 서술

③ 갑신정변의 의의 파악

④ 성리학자들의 저술목록 작성

⑤ 보존해야 할 전통문화의 선별

<보기>와 같은 사항들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바탕이 되어야 하는 실천적 원리는?
보기
○ 분명한 자기 주장
○ 의사의 확인과 비판적 토론
○ 자발적 합의

① 타인의 의사 존중

② 평등 이념의 실현

③ 천부 인권의 존중

④ 자유 의지의 실현

⑤ 위의 모두

옆의 그림표는 아시아 신흥공업국들의 임금인상률을 표시하고 있다. 이 표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1984년 이후 한국의 임금인상률은 다른 나라와 비슷하다.

② 1989년의 경우 싱가포르의 임금이 가장 낮다.

③ 1987년 경 이들 공업국들의 임금은 모두 상승하였다.

④ 1988년 이후 대만과 싱가포르의 임금은 상승하지 않았다.

⑤ 1980년대 후반 이들 공업국들의 임금변동경향은 서로 다르다.

다음은 삼국사기의 일부를 번역한 것이다. 이 자료로부터 직접 추론할 수 있는 내용 가운데 적절한 것을 3개 고른다면?
진성왕 2년: 아첨하는 자들이 뜻을 먹고 상벌이 불공평하였다.
진성왕 3년: 국내의 여러 주, 군에서 공부(貢賦)를 바치지 않으므로 창고가 비고 말라서 국가의 재정이 궁핍하였다. 이에 왕은 신하를 보내어 세금을 독촉하였다. 이로 인하여 사방에서 도적이 붕기하였다.
진성왕 6년: 완산주 도적 견훤이 주에 웅거하여 자칭 후백제라 칭하니 무주(武州)의 동남 군, 현이 그에게 항복하였다.
효공왕 8년: 궁에는 문무백관을 신라의 제도에 따라 설치하고 국호를 마진, 연호를 무태라 하였다.

① 귀족들이 단결하여 신라 왕실에 협조하였다.

② 국가 기강이 해이해지고, 수취체제가 문란해졌다.

③ 진성왕(여왕)의 사치로 인하여 도적들이 붕기하였다.

④ 중앙 정부는 지방의 통제력을 상실했다.

⑤ 효공왕에 이르러 후삼국이 성립되었다.

[9-10]
<보기>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보기
민족의 통일은 ㉠하나의 정부와 국회의 구성을 통한 하나의 국가를 이루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일은 ㉡민주적인 절차와 평화로운 방법에 따라 자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동시에 ㉢민족성원 전체의 자유·인권·행복이 보장되는 민주·복지 공동체의 확립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뿐만 아니라 ㉣동족의식에 바탕을 둔 신뢰성과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보기>에서 통일된 국가의 이념적 목표에 해당되는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없음

우리가 신문과 방송의 상호·개방을 추진하는 것은 <보기>의 어느 것과 직접 관련이 있는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없음

남한강(서강)은 과거에는 아래 지도의 “---”과 같은 유로를 취하며 곡류하였지만, 현재는 그보다는 크게 단축된 유로를 따라 흐르고 있다. 이와 같은 유로 변화의 원인으로 들 수 있는 것을 2개 고른다면?

① 지반의 융기

② 하안단구의 형성

③ 하천의 유량 감소

④ 하천의 측방침식

⑤ 남북 방향의 구조선 발달

우리 나라의 대도시에서는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주민들의 거주 지역이 시역을 넘어 인근의 농촌 지역으로 계속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거주 지역의 확대로 대도시 근교 지역에서 일어난 변화 3개를 고른다면?

① 위락 및 편의시설이 많아졌다.

② 토지이용 방식에 변화가 일어났다.

③ 도로교통의 발달이 지체되었다.

④ 자연환경이 훼손되는 사례가 많아졌다.

⑤ 농경지의 지가가 안정되었다.

다음 중 <보기>의 사실들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보기
○ 양천(良賤)과 반상(班常)을 엄격히 구분했다.
○ 주인과 종의 관계를 군신관계처럼 종적질서로 파악했다.
○ 상장제례의 의식과 관련된 예학이 발달했다.
○ 불교, 도교 및 토속 신앙까지 이단 음사(淫祀)로 몰아 배척했다.

① 조선 시대는 문벌 중심의 사회였다.

② 조선 초기의 학자들은 사장(詞章)을 중시했다.

③ 조선 시대에는 주기 철학(主氣哲學)이 발달했다.

④ 조선 시대에는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를 중시했다.

⑤ 조선 시대의 정치가들은 덕치주의를 강조했다.

중국의 역사에서 <보기>의 사실들을 초래한 국가의 정책을 바르게 서술한 것은?
보기
○ 방대한 관료기구를 유지하기 위한 지출이 증가했다.
○ 사대부층이 형성되어 사회의 지배계층으로 등장했다.
○ 거란, 탕구트족에게 막대한 세제를 바쳐야 했다.
○ 금의 침입을 받아 강남으로 도읍을 옮겼다.

① 무인세력을 누르고 문치주의에 기반을 둔 중앙집권 제도를 확립하였으며, 과거제도를 강화했다.

② 황제가 6부를 직접 관장하여 독재권을 강화하는 한편, 과거제도를 부활시켰다.

③ 봉건제도와 군현제도를 혼합한 군국제도를 채용하였으며, 유능한 관리 선발을 위해 향거리선제를 실시했다.

④ 3성 6부제를 근간으로 한 중앙관제를 확립하고 율령체제를 정비했다.

⑤ 내자의 대학사밑에 6부를 두었으나 실권은 군기처에 맡겨서 군주독재를 강화했다.

<보기>와 같은 내용들을 일반화하여 진술한 것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보기
○ 대원군 당시에는 쇄국정책을 지지하는 사람이 많았다.
○ 상품의 수입에 대한 찬성과 반대는 소비자, 생산자, 무역업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사회 사상가들 가운데는 정부의 역할과 기능이 대폭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다.

① 사회 현상은 사회 사상가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전개된다.

② 사회 현상에 관하여 바르게 말하는 사람이 적다.

③ 사회 현상의 이해는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다르다.

④ 역사적 사실을 왜곡시킨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⑤ 사회 현상에 관하여 서로 다르게 말하는 것이 좋다.

<보기>는 그리스 문화와 로마 문화를 비교한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추정할 수 있는 내용 중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 그리스인이 지식을 지식 그 자체로서 사랑하고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철학이 발달하였다.
○ 로마에서는 실천주의와 세계시민주의를 강조하는 스토아 철학이 널리 퍼졌다.
○ 그리스인은 조화와 균형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여 파르테논 신전 같은 걸작을 남겼다.
○ 세계 제국을 건설한 로마는 수도, 도로, 개선문, 원형 경기장 등의 거대한 토목·건축물을 남기는 한편, 법률을 발달시켰는데 이는 로마문화의 최대 유산이 되었다.

① 그리스의 문화는 로마의 문화보다 더 폭넓게 발달했다.

② 그리스의 문화는 로마의 문화보다 더 실용적이었다.

③ 그리스의 문화는 현실 부정적인 성격을 가졌다.

④ 스토아 철학은 로마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⑤ 로마에서는 제국의 통치와 관련된 문화가 발달하였다.

지도에서와 같이 하구둑이 건설됨에 따라 이미 나타났거나 예측되는 변화와 관련이 먼 것은?

① 하천 및 바다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② 각종의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③ 하구둑 상류 농경지의 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④ 군산, 장항 일대의 개발 전망이 밝아졌다.

⑤ 하구둑 하류의 퇴적지형이 변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음은 우리나라 근로자의 조세부담에 관한 통계표이다. 이 표를 올바르게 분석한 것 2개를 고른다면?
월평균근로
소득
인원

(천명)
구성비
(%)
과세 인원

(천명)
과세자
비율(%)
(②/①)
세부담
(억원)
구성비
(%)
월급여자합계8,76385.45,03657.513,28399.8



30만원 미만5,32551.91,91036.05454.0
30~50만원 미만1,68316.41,44085.61,34110.1
50~70만원 미만9259.085692.51,90014.3
70~100만원 미만5385.25381003,12223.5
100~200만원 미만2672.62671004,47533.6
200만원 이상250.2251001,90014.3
일용근로자합계1,49614.618112.1280.2
총계10,2591005,21750.813,311100

① 월급 생활자의 약 52%가 월평균 3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고 있다.

② 일용근로자의 세부담 구성비는 그 인구 구성 비율과 비슷하다.

③ 월 급여 100만원에서 200만원 미만인 월급 생활자의 세부담 비율은 그 인구 구성 비율과 비슷하다.

④ 월 급여 70만원 이상의 근로자가 전체 근로소득세의 반 정도를 부담하고 있다.

⑤ 월 급여 70만원 이상의 모든 근로자는 세금을 내고 있다.

다음은 ‘내’가 지지할 정당을 선택하고자 할 때 생각해야 할 점들이다. 그 성격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정당이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② 정당이 국민으로부터 지지를 얻는 방법은 무엇인가?

③ 정당이 이익단체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④ 정당이 의원 후보자를 어떻게 추천하는가?

⑤ 특정 정당을 지지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무엇인가?

다음 <보기>는 어느 상점에서 일어난 일이다. 이 일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가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보기
한 고객이 커다란 가방을 들고 상점에 들어온다. 그는 그 가방을 든 채 상점내를 한 바퀴 돌면서 필요한 물건을 고른다. 물건을 다 고른 그는 물건들을 계산대에 올려 놓고는 점원에게 얼마냐고 묻는다. 점원은 계산기로 물건들의 값을 합산한다. 점원은 고객이 들고 있는 가방에는 아무런 주의도 돌리지 않는다.
“고객님, 만 오천원입니다.”
고객은 계산기에 나타난 합계액을 확인하지도 않는다. 그는 만 오천원을 점원에게 지불하고는 물건들을 가방에 담아가지고 상점을 나선다.

① 점원과 고객은 모두 사람들이 정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② 점원은 고객이 합리적으로 구매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③ 점원은 고객의 가방속에 이 상점의 물건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④ 점원과 고객은 모두 계산기가 고장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⑤ 점원은 고객이 지불한 돈이 유통될 수 있는 화폐라고 생각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남북간의 기후차를 잘 식별케 해주는 지표를 아래에서 2개 고른다면?

① 대륙도

② 연간 일조시간

③ 최심 적설량

④ 1월의 평균 기온

⑤ 연간 안개일수

다음 그림표는 선진국들의 주요 경제자료들을 정리해서 표시한 것이다. 이 그림표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이들 나라의 국민 총 생산의 변동경향은 비슷하다.

② 이들 나라는 장기적으로 비슷한 경제변화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③ 이들 나라의 국민경제는 70년대 중반에 어려움을 겪었다.

④ 이들 나라의 경제 상황은 198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⑤ 이들 나라의 단기적인 실업률의 변동경향은 GNP나 물가에 비해 일정하지 않다.

다음의 글은 프랑스 인권선언의 주요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이 글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제1조 인간은 나면서부터 자유이며,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제2조 모든 정치적 결사의 목적은 인간의 자연적, 혹은 시효에 의해 소멸되지 않는 재판 권리를 보존하는 데 있다. 이러한 권리란 자유·재산·안전 및 억제에 대한 반항권이다.
제3조 모든 주권의 근원은 본래 국민에게 있다. 어떠한 개인도 명백히 국민으로부터 나오지 않은 권력을 행사할 수 없다.
제4조 자유는 타인을 해하지 않는 한 모든 것을 행사할 수 있는 범위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제한은 법률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하 생략)

① 이 글은 계몽사상의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

② 이 글은 의회주의의 원리를 강조하고 있다.

③ 이 글 속에는 자유주의의 기본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④ 이 글의 제1조는 민주정치의 이념을 잘 나타내고 있다.

⑤ 이 글의 제3조는 민주정치의 제도적인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1991-07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2]
어느 제약회사에서 새로운 약 A와 B를 개발하였다. 이 약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개 집단의 실험쥐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단, 각 실험쥐 집단은 동일한 조건으로 본다.)
실험쥐 집단처치
I약 A를 생리적 식염수에 녹여서 주사
II약 B를 생리적 식염수에 녹여서 주사
III생리적 식염수만 주사
IV아무 것도 주사하지 않음
위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된 집단은?

① I과 II

② I과 III

③ II와 III

④ II와 IV

⑤ III과 IV

약 A가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할 때 비교해야 하는 것 3개는?

① I과 II

② I과 III

③ I과 IV

④ III과 IV

⑤ II과 IV

[3~4]
겨울철에 얼음판 위의 돌멩이가 얼음 속으로 들어간 현상을 흔히 볼 수 있다. 이 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 표와 같이 원기둥 모양의 물체를 준비하였다.
구분 \ 물체ABCD
밑넓이의 비2216
높이의 비2421
질량의 비106615
다음 중에서 같은 재질의 원기둥으로 작지어졌다고 생각되는 것은?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C, D

위의 물체들을 얼음 위에 올려놓았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 얼음 속에 들어간 깊이를 비교하였을 때 그 깊이의 차가 가장 큰 것은?

① A와 B

② A와 D

③ B와 C

④ B와 D

⑤ C와 D

[5~6]
다음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호수 염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 표시된 염분은 실제로 측정된 값도 있고, 채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값도 있다.
호수 C가 형성되었을 때의 염분이 0.20%이었다면, 이 호수의 나이는 얼마인가?

① 약 2,000년

② 약 3,500년

③ 약 5,000년

④ 약 6,500년

⑤ 약 8,000년

과거의 호수 속의 염분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의 유해 속의 염분을 분석한다.

②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 유해의 염분과, 같은 종류의 현생 생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③ 그 당시 호수에 퇴적된 퇴적물 속의 염분을 분석한다.

④ 그 당시 호수에 퇴적된 퇴적물의 염분과, 현생 생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⑤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 유해의 염분과, 그 당시 쌓인 퇴적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7~8]
이온의 검출에는 침전반응이 많이 이용된다. 아래 표는 5가지 염의 용액을 2가지씩 서로 섞어 보았을 때 관찰된 침전반응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무’는 침전이 생기지 않은 경우이고, 화살표 ‘↓’는 침전이 생긴 경우이며 괄호 속에는 침전의 색을 나타내었다.
용액$\text{NiCl}_2$$\text{SrCl}_2$$\text{CoSO}_4$$\text{Li}_2\text{CO}_3$$\text{Pb}(\text{NO}_2)_2$
$\text{NiCl}_2$↓(녹색)↓(백색)
$\text{SrCl}_2$↓(백색)↓(백색)↓(백색)
$\text{CoSO}_4$↓(백색)↓(적색)↓(백색)
$\text{Li}_2\text{CO}_3$↓(녹색)↓(백색)↓(적색)↓(백색)
$\text{Pb}(\text{NO}_2)_2$↓(백색)↓(백색)↓(백색)↓(백색)
어떤 공장에서 위 표에 열거된 5가지 염용액 중의 하나가 공장 용수에 유입되었는데, 유입된 염의 종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위 표에 주어진 정보만으로 유입된 염의 종류를 식별하고자 한다. 다음 중 어떤 용액을 첫번째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가?

① $\text{NiCl}_2$ 용액

② $\text{SrCl}_2$ 용액

③ $\text{CoSO}_4$ 용액

④ $\text{Li}_2\text{CO}_3$ 용액

⑤ $\text{Pb}(\text{NO}_2)_2$ 용액

$\text{NiCl}_2$과 $\text{Li}_2\text{CO}_3$을 섞었을 때 생성된 녹색 침전물이 $\text{NiCO}_3$임을 위 표만으로 알아낼 수 있는 근거로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침전의 색이 녹색이다.

② $\text{Li}_2\text{CO}_3$과 $\text{SrCl}_2$에 의해 생긴 침전이 백색이다.

③ $\text{NiCl}_2$은 $\text{Pb}(\text{NO}_2)_2$과도 침전을 생성하기 때문에 녹색침전은 니켈염이다.

④ $\text{Li}_2\text{CO}_3$은 다른 모든 용액과도 침전을 생성하기 때문에 녹색침전은 탄산염이다.

⑤ 위 표에서 $\text{NiCl}_2$, $\text{SrCl}_2$, $\text{CoCl}_2$ 등이 물에 잘 녹으므로 녹색침전은 $\text{LiCl}$이 아니다.

[9~10]
명수는 토양의 배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명수는 동일한 양의 작은 자갈, 굵은 모래, 잔 모래 및 점토를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4개의 동일한 용기에 각각 넣었다. 그 다음에 일정 양의 물을 그 용기에 각각 붓고, 물이 빠져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되풀이하여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위의 실험을 할 때, 체계적으로 변화시켜야 하는 변인 2개는?

①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

② 붓는 물의 양

③ 토양 입자의 크기

④ 용기의 온도와 재질

⑤ 토양 입자들의 무게

명수가 실시한 위 실험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 2개는?

① 용기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② 토양 입자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③ 용기에 붓는 물의 양이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④ 용기의 구멍들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⑤ 토양의 각 입자의 밀도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11~12]
어느 공장에서 작업자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콘베어 벨트에 같은 무게의 물체를 들어올려 놓는 일을 하고 있다. 그림은 일을 시작하여 시간 T 동안에 물체가 놓인 모양이다.
작업자가 시간 T 동안에 한 일의 양(W)을 시간(t)에 따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작업자가 단위 시간당 한 일의 양(P)을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13~14]
다음 그래프는 식물의 광합성에 관해 영희가 실시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영희의 실험에서 종속변인으로 측정될 수 있는 것 2개는?

① 빛의 세기

② 식물의 종류

③ 생산된 $\text{O}_2$의 양

④ 흡수된 $\text{CO}_2$의 양

⑤ 소모된 $\text{H}_{2}\text{O}$의 양

영희의 실험에서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조건을 3개 고르라.

① 온도

② 빛의 세기

③ 식물의 종류

④ $\text{O}_2$ 농도

⑤ $\text{CO}_2$ 농도

영희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 2개는?

① 식물A의 광포화점은 약 3,000lux이다.

② 식물A의 보상점은 식물B의 보상점보다 더 높다.

③ 식물A는 식물B보다 광합성률이 모든 빛의 세기에서 더 높다.

④ 식물A는 3,000lux의 빛을 받을 때 방출되는 $\text{O}_2$의 양이 가장 많다.

⑤ 식물B는 3,000lux의 빛을 받을 때 방출되는 $\text{CO}_2$의 양이 가장 많다.

[16~17]
60Hz의 기록 타이머를 이용하여 어느 물체의 운동상태를 기록한 다음, 6개 타점 간격으로 구분하였더니 다음 그림과 같았다.
이 종이 테이프를 차례대로 잘라서 종이에 그림과 같이 붙였다.
A에서 B까지 이동한 뱃의 평균속력은 몇 cm/s 인가?

① 3

② 10

③ 15

④ 30

⑤ 60

이 물체의 평균 가속도는 몇 $\text{cm}/\text{s}^{2}$인가?

① 1

② 3

③ 10

④ 30

⑤ 100

[18~20]
순희는 100℃, 1기압에서 에탄올 증기의 밀도를 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차례로 실험을 하였다.
(1) 깨끗하게 씻어 말린 200mL 들이 빈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하여 Ag을 얻었다.
(2) 삼각 플라스크에 에탄올 액체를 45mL 정도 넣고 알루미늄 호일로 마개를 한 후, 바늘로 작은 구멍을 뚫었다.
(3) 삼각 플라스크를 주둥이 부분만 남기고 끓고 있는 물 속에 담갔다.
(4) 에탄올 액체가 모두 기화한 후, 바늘 구멍을 테이프로 막은 다음 끓는 물에서 꺼내어 식혔다.
(5) 삼각 플라스크 외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질량을 측정하여 Bg을 얻었다.
(6) 마개로 사용한 알루미늄 호일의 질량을 측정하여 Cg을 얻었다.
(7) 삼각 플라스크 속의 에탄올을 버리고 증류수로 가득 채운 다음 질량을 측정하여 Dg을 얻었다.
이 실험에서 순희가 가정하지 않은 것은?

① 삼각 플라스크의 내부부피를 알고 있다.

② 실험실 온도에서 증류수의 밀도는 1g/mL 이다.

③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을 때, 삼각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는 물의 온도와 같다.

④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을 때, 삼각 플라스크 내부에는 에탄올 증기만 있다.

⑤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은 후부터 실험단계 (5)까지 삼각 플라스크는 완전히 밀봉되어 있다.

에탄올 증기의 부피와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 순희가 사용해야 할 측정값들을 옳게 짝지은 것은?
부피질량
DA, B, C
A, BC, D
A, DA, B, C
B, DA, C, D
A, B, CD
순희의 실험결과 얻은 에탄올의 밀도가 참값보다 작을 수 있는 원인이 되는 것은?

① 실험단계 (3)에서 플라스크의 주둥이 부분이 물 밖에 있었다.

② 실험단계 (4)에서 에탄올이 완전히 기화하지 않았을 때 꺼냈다.

③ 실험단계 (5)에서 플라스크 외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④ 실험단계 (6)에서 마개의 질량이 참값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⑤ 실험단계 (7)에서 증류수로 채운 플라스크의 질량이 참값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그림과 같이 가변 저항기, 전압계, 전류계를 전원과 연결하고,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면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측정한 전류(I)와 전압(V)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22~23]
아래 표는 고도에 따른 기압과 기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라.
고도(km)기압(mb)기온(℃)
0101315.0
3701$-4.5$
6472$-24.0$
9312$-43.5$
12193$-56.5$
15120$-56.5$
상공에서, 안전한 비행을 하면서 기압계를 읽어보니, 이 고도에서의 기압은 지상(0km) 기압의 $\dfrac{1}{4}$이었다. 이 높이는 지상으로부터 약 몇 km인가?

① 8

② 9

③ 10

④ 11

⑤ 15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의 층인 대류권계면. 상공에서 안전한 비행을 하면서, 이 고도의 기온을 측정하니 $-56.5$℃이었다. 대류권계면에서의 기온은 변하지 않는다. 위에 있는 표의 기온 변화를 보고, 지상(0km)으로부터 대류권계면 하층의 높이를 구하면 약 몇 km 인가?

① 10

② 11

③ 12

④ 13

⑤ 15

[24-25]
하버법에 의해 암모니아를 공업적으로 합성할 때, 암모니아의 수득률은 암모니아의 평형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아래 그래프는 온도와 압력에 따른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나타낸 것이다.
위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2개 고르라.

① 같은 압력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수득률이 커진다.

② 같은 압력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온도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가 커진다.

③ 같은 온도에서는 압력이 높을수록 압력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가 작아진다.

④ 400 기압에서 70% 이상의 수득률을 얻기 위해서는 35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⑤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력을 높이고,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공장에서 암모니아를 합성할 때는 촉매를 사용한다. (촉매는 반응속도만을 빠르게 해 주며, 반응물과 생성물의 평형농도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400℃, 300기압에서 암모니아를 합성할 때,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반응시간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26~27]
철수는 초파리를 재료로 한 유전 실험을 하고 있다. 초파리에서 붉은색 눈(P)과 정상 날개(V)는 각각 우성이다. 자주색 눈(p)과 흔적 날개(v)에 대해 각각 우성이다. 철수는 유전자형이 PpVv인 수컷과 ppvv인 암컷을 교배시켰더니 다음과 같이 자손이 나왔다.
표현형개체수
수컷암컷
붉은색 눈·정상 날개151137
자주색 눈·흔적 날개140150
철수의 실험 결과는 다음 중 어느 유전 모델로 설명되는가?

① 교차

② 연관

③ 중간 유전

④ 반성 유전

⑤ 세포질 유전

만일 멘델이 철수의 유전 실험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면, 멘델은 자신의 유전 모델에서 어느 것을 수정했어야 하겠는가?

① 생물에는 어떤 형질에 대해 그 발현을 조절하는 한 쌍의 유전 인자가 있다.

② 한 쌍의 유전 인자에서 하나는 부계로부터 다른 하나는 모계로부터 온다.

③ 한 쌍의 유전 인자에서 두 유전 인자가 서로 다른 경우, 그 중의 한 유전 인자가 다른 유전 인자를 전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유전 인자만이 발현된다.

④ 개개의 유전 인자들은 변함없는 단위로서 유전된다.

⑤ 유전인자들은 생식세포가 만들어질 때 분리된 단위로서 독립적으로 각 배우자에게 분배된다.

1991-07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부등식 $1 \le x^{2}+y^{2} \le 5$를 만족하는 정수의 쌍 $(x,y)$의 개수는?

① $11$

② $12$

③ $16$

④ $20$

⑤ $24$

제곱의 합이 일정한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2b$가 최대일 때, $a$와 $b$ 사이의 관계는?

① $b=2a$

② $a=2b$

③ $a=b$

④ $a^{2}=b$

⑤ $b^{2}=a$

$x>0$, $y>0$이며 $\dfrac{1}{1+x}+\dfrac{1}{1+y}=1$인 $x$와 $y$ 사이의 관계는?

① $x+y=1$

② $x+y=2$

③ $xy=1$

④ $xy=2$

⑤ $y=\sqrt{x}$

다음 $\fbox{\phantom{AAAA}}$ 안에 들어갈 알맞은 식은? $$2a^{2}+2b^{2}+2c^{2}-2ab-2bc-2ca=a^{2}-2ab+\cdots=\fbox{\phantom{AAAA}}$$

① $(a+b+c)^{2}$

② $(a-b-c)^{2}$

③ $(a+b)^{2}+(b+c)^{2}+(c+a)^{2}$

④ $(a-b)^{2}+(b-c)^{2}+(c-a)^{2}$

⑤ $(a-b)^{2}-(b-c)^{2}-(c-a)^{2}$

위의 4번 식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부등식은? (단, $a$, $b$, $c$는 실수이다.)

① $|a+b+c|\le|a|+|b|+|c|$

② $\sqrt{a^{2}+b^{2}+c^{2}}\le|a|+|b|+|c|$

③ $|a+b+c|\le\sqrt{3}\sqrt{a^{2}+b^{2}+c^{2}}$

④ $a^{2}+b^{2}+c^{2}\le(a+b+c)^{2}$

⑤ $\sqrt[3]{abc}\le\dfrac{1}{3}(a+b+c)$

$x$, $y$가 $0$보다 큰 실수일 때, $(2x+y)\left(\dfrac{8}{x}+\dfrac{1}{y}\right)$의 최솟값은?

① $16$

② $18$

③ $19$

④ $25$

⑤ $27$

어떤 휴대용 계산기에서 근호($\sqrt{\phantom{a}}$)가 표시된 키(key)를 누르면, 계산기는 화면에 나타난 수의 양의 제곱근의 근사값을 화면에 나타낸다. 화면에 $2$가 나타나 있을 때 근호($\sqrt{\phantom{a}}$)키를 세 번 연속으로 누르면, 나타나는 수는 어떤 수의 근사값인가?

① $\sqrt{2}$

② $3\sqrt{2}$

③ $\left(\sqrt{2}\right)^{3}$

④ $\sqrt[3]{2}$

⑤ $\sqrt[8]{2}$

다음과 같은 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것은? (단, ‘$\overline{z}$’는 $z$의 켤레복소수를 나타낸다.) $$\overline{az^{3}+bz^{2}+cz+d}=\overline{az^{3}}+\overline{bz^{2}}+\overline{cz}+\overline{d}$$ $$\phantom{\overline{az^{3}+bz^{2}+cz+d}}=\overline{a}\,\overline{z^{3}}+\overline{b}\,\overline{z^{2}}+\overline{c}\,\overline{z}+\overline{d}$$ $$\phantom{\overline{az^{3}+bz^{2}+cz+d}}=\overline{a}\left(\overline{z}\right)^{3}+\overline{b}\left(\overline{z}\right)^{2}+\overline{c}\left(\overline{z}\right)+\overline{d}$$

① $z$가 $ax^{3}+bx^{2}+cx+d=0$의 근이면, $\overline{z}$는 $ax^{3}+bx^{2}+cx+d=0$의 근이다.

② $z$가 $ax^{3}+bx^{2}+cx+d=0$의 근이면, $\overline{z}$는 $\overline{a}x^{3}+\overline{b}x^{2}+\overline{c}x+\overline{d}=0$의 근이다.

③ $ax^{3}+bx^{2}+cx+d=0$의 근과 $\overline{a}x^{3}+\overline{b}x^{2}+\overline{c}x+\overline{d}=0$의 근은 같다.

④ $\overline{z}$가 $ax^{3}+bx^{2}+cx+d=0$의 근이면, $z$는 $ax^{3}+bx^{2}+cx+d=0$의 근이다.

⑤ $\overline{z}$가 $\overline{a}x^{3}+\overline{b}x^{2}+\overline{c}x+\overline{d}=0$의 근이면, $\overline{z}$는 $ax^{3}+bx^{2}+cx+d=0$의 근이다.

$1$에서 $10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의 개수를 $x$, $3^{2}$의 배수의 개수를 $y$라 할 때, $x+y$는?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나타낸다.)

① $\left[\dfrac{100}{3}\right]+\left[\dfrac{100}{3^{2}}\right]$

② $\left[\dfrac{100}{3}\right]+2\left[\dfrac{100}{3^{2}}\right]$

③ $\left[\dfrac{100}{3}\right]-\left[\dfrac{100}{3^{2}}\right]$

④ $2\left[\dfrac{100}{3}\right]+\left[\dfrac{100}{3^{2}}\right]$

⑤ $\left[\dfrac{100}{3}\right]-2\left[\dfrac{100}{3^{2}}\right]$

$1$에서 $100$까지의 자연수를 모두 곱한 수를 소인수분해하여 $$1\cdot 2\cdot 3\cdot \cdots \cdot 99\cdot 100= 2^{97}\cdot 3^{n}\cdot 5^{24}\cdots 97$$ 로 나타낼 때, $n$의 값을 구하여라.

① $40$

② $44$

③ $48$

④ $52$

⑤ $54$

$X=\left\{1,2,3,4\right\}$이고 함수 $f:X\to X$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x)=\begin{cases}x+1&(x\le3)\\1&(x=4)\end{cases}$$ 이때, 함수 $g:X\to X$가 $g(1)=3$이고 $f\circ g=g\circ f$라면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f\circ g)(x)=f(g(x))$)

① $g(2)=4$, $g(3)=2$

② $g(2)=4$, $g(3)=1$

③ $g(2)=1$, $g(3)=2$

④ $g(2)=1$, $g(3)=4$

⑤ $g(2)=2$, $g(3)=4$

어떤 용기에 물이 담겨 있다. 현재 이 용기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은 전날 같은 시각의 물의 양의 $90\%$라고 한다. 이와 같은 추세로 물의 양이 줄어든다면, 남아 있는 물의 양이 현재의 절반 이하가 되려면 최소한 며칠이 걸리는가? (단, $\log_{10}2=0.3010$, $\log_{10}3=0.4771$)

① $5$

② $7$

③ $9$

④ $11$

⑤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점 $A(1, 5)$, $B(-4, -7)$, $C(5, 2)$를 꼭짓점으로 하는 $\triangle ABC$에서 $\angle A$의 이등분선이 변 $BC$와 만나는 점을 $D$라 할 때, 점 $D$의 좌표는?

① $\left(\dfrac{5}{2},-\dfrac{1}{2}\right)$

② $\left(\dfrac{9}{4},-\dfrac{3}{4}\right)$

③ $(2,-1)$

④ $\left(\dfrac{7}{4},-\dfrac{5}{4}\right)$

⑤ $\left(\dfrac{1}{2},-\dfrac{5}{2}\right)$

좌표평면에서 중심의 좌표가 $(1,4)$이고 직선 $y=\dfrac{3}{4}x-\dfrac{1}{2}$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① $3$

② $\sqrt{5}$

③ $\sqrt{15}$

④ $\sqrt{17}$

⑤ $5$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있는 단위원을 $10$등분하여 각 분점을 차례로 $P_{1}$, $P_{2}$, $\cdots$, $P_{10}$이라 하자. $\angle P_{1}OP_{2}=\theta$라 할 때, $$\cos\theta +\cos 2\theta +\cos 3\theta + \cdots +\cos 10\theta$$ 의 값을 구하여라. (단, $P_{1}(1, 0)$)

① $-2$

② $-1$

③ $0$

④ $1$

⑤ $2$

위의 15번과 같은 방법으로 단위원을 $100$등분하여 각 분점을 차례로 $P_{1}$, $P_{2}$, $\cdots$, $P_{100}$이라 하자. $\angle P_{1}OP_{2}=\alpha$라 할 때, $$\cos\alpha +\cos 2\alpha +\cos 3\alpha + \cdots +\cos 99\alpha$$ 의 값을 구하여라. (단, $P_{1}(1, 0)$)

① $-2$

② $-1$

③ $0$

④ $1$

⑤ $2$

오른쪽 그림과 같은 $\triangle SPR$에서 $\overline{PQ} =1$, $\overline{QR} =2$, $\overline{SP} =a$, $\overline{SQ} =b$, $\overline{SR} =c$일 때, $a$, $b$, $c$ 사이의 관계는?

① $1+a^{2}=2(b^{2}+c^{2})$

② $1+a^{2}=3(b^{2}+c^{2})$

③ $1+a^{2}=4b^{2}-3c^{2}$

④ $1+b^{2}=a^{2}+c^{2}$

⑤ $3(2+b^{2})=2a^{2}+c^{2}$

위 17번의 결과를 이용하여 어떤 산의 높이를 구하려 한다. 일직선 상에 있는 해면 위의 세 점 $P$, $Q$, $R$에서 산의 꼭대기를 올려다 본 각의 크기 $\alpha$, $\beta$, $\gamma$를 각각 재었을 때, $\overline{PQ} =1$km, $\overline{QR} =2$km이고, $\tan \alpha =\dfrac{1}{2}$, $\tan\beta=\dfrac{\sqrt{2}}{2}$, $\tan \gamma =1$이면 이 산의 높이 $\overline{ST}$는 몇 km인가?

① $\dfrac{\sqrt{2}}{2}$

② $\dfrac{\sqrt{5}}{5}$

③ $1$

④ $\dfrac{\sqrt{3}}{3}$

⑤ $\sqrt{2}$

[19~21]
다음은 두 함수 $f(x)=\dfrac{1}{2}\left(x+\dfrac{2}{x}\right)$, $g(x)=x$의 그래프이다. (단, $x>0$)
두 함수 $f(x)$, $g(x)$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 $A$의 $x$좌표는?

① $\dfrac{1}{2}$

② $\dfrac{\sqrt{2}}{2}$

③ $1$

④ $\sqrt{2}$

⑤ $2$

$x_{1}=10$, $x_{2}=f(x_{1})$, $\cdots$, $x_{n+1}=f(x_{n})$이라 할 때, $n$이 커짐에 따른 $x_{n}$의 변화 상태는?

① $\sqrt{10}$에 가까워진다.

② $10$에 가까워진다.

③ $\sqrt{2}$에 가까워진다.

④ $2$에 가까워진다.

⑤ 한없이 커진다.

$x_{1}=\dfrac{1}{3}$, $x_{2}=f(x_{1})$, $\cdots$, $x_{n+1}=f(x_{n})$이라 할 때, $n$이 커짐에 따른 $x_{n}$의 변화 상태는?

① $\sqrt{2}$에 가까워진다.

② $\dfrac{1}{\sqrt{2}}$에 가까워진다.

③ $\sqrt{3}$에 가까워진다.

④ $\dfrac{1}{\sqrt{3}}$에 가까워진다.

⑤ $1$에 가까워진다.

방정식 $\sin\pi x=\dfrac{3}{10}x$의 근의 개수는?

① $1$

② $3$

③ $5$

④ $7$

⑤ 무수히 많다.

두 개의 3차 정사각행렬 $A$, $X$가 $$X^{2}-AX-XA+A^{2}=O$$ 을 만족할 때 다음 [보기] 중 옳은 것만을 묶어 놓은 것은? (단, $O$는 3차 영행렬이다.)
보기
Ⅰ. $X^{2}-2AX+A^{2}=O$
Ⅱ. $(X-A)^{2}=O$
Ⅲ. $X=A$

① Ⅰ

② Ⅱ

③ Ⅲ

④ Ⅱ, Ⅲ

⑤ Ⅰ, Ⅱ, Ⅲ

[24~25]
두 행렬 $$E=\begin{pmatrix}1&0&0\\0&1&-1\\0&0&1\end{pmatrix},\,\,A=\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22}&a_{23}\\a_{31}&a_{32}&a_{33}\end{pmatrix}$$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다음 중 $EA$와 같은 행렬은?

① $\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22}&-a_{23}\\a_{31}&a_{32}&a_{33}\end{pmatrix}$

② $\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22}&a_{23}\\-a_{31}&-a_{32}&-a_{33}\end{pmatrix}$

③ $\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31}&a_{22}+a_{32}&a_{23}+a_{33}\\a_{31}&a_{32}&a_{33}\end{pmatrix}$

④ $\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22}&a_{23}\\a_{31}-a_{21}&a_{32}-a_{22}&a_{33}-a_{23}\end{pmatrix}$

⑤ $\begin{pmatrix}a_{11}&a_{12}&a_{13}\\a_{21}-a_{31}&a_{22}-a_{32}&a_{23}-a_{33}\\a_{31}&a_{32}&a_{33}\end{pmatrix}$

행렬 $A$에 어떤 기본변형을 하면 $EA$와 같아지겠는가?

① 행렬 $A$의 제$2$행을 $-1$배한다.

② 행렬 $A$의 제$3$행을 $-1$배한다.

③ 행렬 $A$의 제$3$행을 제$2$행에 더한다.

④ 행렬 $A$의 제$2$행을 $-1$배하여 제$3$행에 더한다.

⑤ 행렬 $A$의 제$3$행을 $-1$배하여 제$2$행에 더한다.

1991-07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3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6]
다음에서 그 의미가 나머지 넷과 현저히 다른 것은?

① 計算

② 測量

③ 計量

④ 計測

⑤ 測定

① 성정(性情)

② 성품(性質)

③ 천성(天性)

④ 본성(本性)

⑤ 성향(性向)

① 다그치다

② 독려하다

③ 독촉하다

④ 재촉하다

⑤ 최촉하다

① 추리다

② 추스르다

③ 골라내다

④ 취사선택하다

⑤ 가려내다

① 혼자하는 장군 없다.

②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③ 십시일반(十匙一飯)

④ 도독질도 손발이 맞아야

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① 막상막하(莫上莫下)

② 백중지세(伯仲之勢)

③ 십중팔구(十中八九)

④ 난형난제(難兄難弟)

⑤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7~8]
다음에서 반대말로 이루어진 쌍이 아닌 것은?

① 굵다 - 얇다

② 굼뜨다 - 재다

③ 기울다 - 차다

④ 숱하다 - 적다

⑤ 무르다 - 여물다

① 嫡 - 庶

② 淸 - 濁

③ 大 - 少

④ 虛 - 實

⑤ 曲 - 直

[9~10]
다음에 제시된 낱말과 반대 관계를 이룰 수 없는 낱말은?
‘유연(柔軟)하다’

① 강력(强力)하다

② 완고(頑固)하다

③ 완강(頑强)하다

④ 경직(硬直)되다

⑤ 뻣뻣하다

‘침강(沈降)’

① 융기(隆起)

② 융출(隆出)

③ 승화(昇華)

④ 돌출(突出)

⑤ 부상(浮上)

[11~12]
다음에 제시된 단어와 뜻이 가장 가까운 것은?
버르집다

① 작은 일을 크게 떠벌이다.

② 공연히 일을 망치다.

③ 헛수고를 하다.

④ 버릇이 없다.

⑤ 봉변을 당하다.

추이(推移)

① 사리를 미루어 생각함

② 미루어 생각하여 헤아림

③ 자리를 바꾸어 움직임

④ 사물의 형상이나 성질이 달라짐

⑤ 일이나 형편이 변하여 옮아감

[13~15]
다음      부분에 가장 적합한 낱말은?
한미 양국은 지난 11년 간 미결로 남아 있던 한미 항공 협정을 개정하기 위한 닷새 간의 힘든 협상 끝에 이를     하고 합의문을 발표하였다.

① 해결(解決)

② 의결(議決)

③ 타결(妥結)

④ 체결(締結)

⑤ 가결(可決)

이번에 백혈병의 병원균이 발견됨으로, 항생제의     만으로 이 병을 치유할 수 있게 된 것은 우리나라 의학계의 개가가 아닐 수 없다.

① 투입(投入)

② 투여(投與)

③ 공급(供給)

④ 제공(提供)

⑤ 주입(注入)

낙양(洛陽)은 지리적으로 교통이 사통팔달하여 예로부터 삼남을 잇는     이었기 때문에 이 지역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많았다.

① 요새(要塞)

② 기로(岐路)

③ 요충(要衝)

④ 대처(大處)

⑤ 관문(關門)

[16~18]
다음의 밑줄 친 부분과 가까운 뜻으로 문맥에 가장 어울리는 낱말은?
나무를 심었으면 그 뒤에 해야 할 일은 뿌리를 흙으로 잘 덮어주는 일이다.

① 감싸 주는

② 간수하는

③ 갈두리하는

④ 북돋우어 주는

⑤ 보호해 주는

차림새를 보니, 옷이 오래되어 해어져 지저분하고 그 몰골은 수척해 보였으나 눈빛에만은 어딘지 모르게 비범한 기운이 서려 있었다.

① 조잡하고

② 후줄근하고

③ 남루하고

④ 초라하고

⑤ 꾀죄죄하고

처음에는 그런 터무니없는 일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었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으나, 그 일이 처음부터 마지끝까지 진행되어 온 과정을/를 가만히 들여보니 그제서야 이해가 가더군요.

① 전말(顚末)

② 전후(前後)

③ 경과(經過)

④ 선후(先後)

⑤ 역정(歷程)

[19~2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세종은 아버지의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았다. 그는 야인이나 왜인을 파리에다 비유하고 어느 정도의 파리는 필요하다고까지 생각했다. 상놈은 파리를 잡아 없애지만, 선비는 다만 부채로 파리를 날릴 뿐이다. 꼭 잡아야 할 때면 하인을 시켜 잡지 손수 잡지 않는다. 그렇듯, 세종은 북방의 오랑캐라는 파리를 잡기보다 날리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꼭 필요할 때만 잡았다. 남쪽 대마도의 왜구에 대해서도 똑같이 파리날리기 작전을 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중국의 한무제(漢武帝)가 북방의 오랑캐를 날리지 않고 잡으려 하다가 큰 봉변을 당한 일이 있었다. 지금의 과학 기술을 가지고도 광활한 대륙을 공격해 들어간다는 것은 무모한 작전인데, 하물며 활과 창밖에 없는 그 때에 오랑캐를 추적하여 섬멸하려 든다는 것은 어리석기 짝이 없는 생각이었다.
이것을 세종은 알고 있었다. 더욱이, 세종은 적국의 침입이 없으면 나라가 망하기 쉽다(無敵國外患者國恒亡)고 한 맹자의 말을 잊지 않고, 오랑캐나 왜인의 가벼운 침략 행위는 도리어 나라 안의 우환을 덜어주는 것이니 정치하는 데는 해롭다기보다 도리어 유익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처럼 세종은 아버지의 실수를 거울삼아 대외 정책을 고쳤다. “파리를 잡지 말고 날려라.”하는 선비의 행실을 나라의 기본 정책으로 삼아 불필요한 전쟁의 비극을 방지하고 동시에 맹자의 가르침을 따라 외침의 위협을 나라 안 정치에 이용했던 것이다.
이같은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는 매사에 “파리를 잡을 때와 파리를 날릴 때가 있다”는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 박 실의 죽음, 이 종무의 패전, 태종의 명령은 모두 이 교훈에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세종은 실패를 성공의 어머니로 삼았다.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대외정책의 유연성

② ‘파리 날리기’

③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④ 전쟁의 불필요성

⑤ 세종의 슬기

윗글에서 세종에게 교훈이 되지 않은 것은?

① 태종의 실수

② 한무제의 봉변

③ 맹자의 가르침

④ 선비의 행실

⑤ 왜구의 침략

윗글에 나타난 사실(史實)과 일치하는 것은?

① 세종은 북방 오랑캐를 섬멸하지 않고 쫓아내기만 했다.

② 태종은 ‘선비의 행실’을 대외정책의 기본으로 삼았다.

③ 세종은 외침(外侵)을 내치(內治)에 유익하게 이용하였다.

④ 한무제는 ‘파리 날리기’ 작전을 펼쳤으나 크게 실패한 경우가 있다.

⑤ 대마도 정벌은 ‘파리 잡기’ 작전에 관한 하나의 보기이다.

[22~2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과학과 기술은 인간의 본질과 관계가 있다.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인 동시에 ‘만드는 존재’이기도 하다. 동물도 유치한 사고를 하지만 개념적 사고는 인간의 전유물(專有物)이며, 간단한 도구를 만드는 동물이 있으나 기계는 인간만이 꾸밀 수 있다. 자연을 이해하고 정복하려는 욕구가 각각 과학과 기술을 낳았다. 이 욕구는 두 가지의 다른 동기, 즉 호기심과 실질적 필요에서 나온 것이다. 사색(思索)과 공작(工作)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인간의 두 측면인 것처럼, 이들의 산물인 과학과 기술도 명확히 구별되지 않으며 종합적 인간 능력의 표현으로 보아야겠다.
과학은 긴 문명사(文明史)에서 볼 때 비교적 뒤늦게 나온 것이다. 자연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으로서의 과학이 발생한 것은 3000년도 안 되며, 근대적인 의미의 과학은 불과 300년 전에 시작되었다. 이에 비하여 원시인들은 자연의 위대한 힘에 부딪쳤을 때 착잡한 반응을 보였다. 자연에 대한 공포에서 종교가 싹텄으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탄하는 데서 예술이 나왔다. 그들은 또한 자연에 대한 놀라움과 호기심을 가졌지만, 이로부터 자연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시작된 것은 훨씬 뒤의 일이고 생존을 위해 자연을 극복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 극복의 방안이 기술로 발전하였다.
(나)
과학 지식은 자연을 이해하는 과정과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간 생활에 긴요한 수단이 된다. 우리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지식에 의해서 자연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한다. 그뿐만 아니라 그 지식을 통해서 과학 시간에 배우는 내용을 파악한다. 과학자들은 우리의 마찬가지로 그들 각자가 옳거나 타당한 것으로 믿고 있는 ㉠특정한 과학적 법칙이나 이론을 바탕으로 자연을 탐구하고 과학 문제를 해결한다. 그들은 또한 그러한 과학적 지식을 기술에 응용하여 새로운 물질, 도구, 기계 등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과학 지식이 인간 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수단이자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진위나 타당성의 여부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습관적으로 그저 옳은 것으로 믿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해는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는 말을 진리로 믿고 있다. 그런데 이 명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天動說)에 바탕을 둔 진술이다. 그러므로 코페르니쿠스 이래 모든 과학자들이 받아들이고 있는 ㉢지동설(地動說)에 비추어 보면 이 명제는 옳지 않다. 지동설을 따르다면 명제는 “지구가 태양을 향해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한다”는 표현이 더 마땅하다. 그러나 이 진술 또한 ㉣현대의 우주관에 따르면 적절한 표현이 못 된다. 현대의 우주관에 의하면, 태양계는 지구가 속해 있는 은하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은하계는 어떤 점에 대해서 운동하고 있다 한다. 우주에는 이러한 은하계가 무수히 많이 있으며 그것들 또한 몇 개가 모여 태양계(太陽系)와 같은 한 계(系)를 이루어 또 다른 어떤 점에 대해서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우주관에 비추어 볼 때 지동설에 바탕을 둔 진술조차도 적절한 말이 아니다.
글 (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과학과 문명의 발달

② 과학과 기술의 기원

③ 과학과 기술의 특징

④ 과학과 기술의 차이

⑤ 과학과 문명의 한계

글 (나)의 내용으로 볼 때 ㉠~㉣에 공통되는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과학사적 관점에 비추어 타당한 과학 지식이다.

② 관찰이나 실험에 의해서 자연으로부터 발견된다.

③ 자연 현상을 해석, 이해하는 기본 관점이다.

④ 자연에 대한 신념 또는 그 체계이다.

⑤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그 진위도 변한다.

글 (나)의 밑줄 친 ㉢ ‘지동설’과 ㉣ ‘현대의 우주관’에 나타나는 기본 관점상의 차이는?

① 운동의 방향

② 운동의 기준

③ 운동의 중심

④ 운동의 계(系)

⑤ 운동의 속도

글 (가)의 ‘과학’과 글 (나)의 ‘과학 지식’에 공통적인 특성 두 가지를 고른다면?
가. 영원불변하는 절대적 진리이다.
나. 자연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 누구에게나 보편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라. 그 기원과 역사를 같이 한다.
마. 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① 가, 라

② 가, 마

③ 나, 다

④ 나, 마

⑤ 다, 라

[26~27]
다음 시들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나는 지금 거울 앞에 있다. 거울의
입구는 거울만큼의 크기로 넓고 단정하고
거울의 안은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니게
나의 크기만큼 차 있고 나머지는 비어 있다.
거울이 아니고 인간인 나는 늘 큰 키 덕분에 내 머리는
거울 밖에 있고 심장부터 발까지는 거울 속에 있거나
혹은 내 아랫도리는 거울 밖에 있고
머리와 심장은 거울 속에 있다.
(나)
두 볼을 맞대이고
거울을 보면
함박꽃 두 웃음이
피어 오른다.
향기 그윽한
웃음 꽃밭에
청춘이
거울속 청춘이
황홀한 꿈을 꾸며
넘쳐 흐른다.
(다)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온다.
(라)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 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
내 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나있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잽이오.
내握手를 받을 줄 모르는—握手를모르는왼손잽이오.
(마)
텅-비인 방안에 누워
쪽거울을 본다.
거울 속에 나타난
무서운 눈초리
코가 높아 양반이래도 소용없고
입센처럼 이마가 넓대도 자랑일 게 없다.
(가)~(마) 중 ‘거울’이란 소재에 대한 시인의 태도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가)~(마) 중 그 서술 방식이 가장 설명적인 시는?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28~2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문제들 중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환경 보호 문제가 아닌가 한다. 기업의 공해 물질이나 가정의 생활 폐수 등이 환경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나)
먼저 환경 보호를 위한 기업의 책임을 살펴 보면, 기업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모든 관련 법령을 준수할 기준들을 정립하고, 환경 문제에 관하여 기업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주장할 만한 기준들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다)
다원화된 사회에서는 절대적 기준이란 존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정수 시설의 효능이 다시금 높아지도록 폐수 처리장을 설치한다든가, 공장 가동 중지시에 일어나는 냉각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들을 강구하는 일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라)
모든 환경 문제에 대해 이와 같이 매우 예민한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기업 경영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직면하여 무엇보다도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업의 입장과 책임을 분명히 밝혀 두지 않으면 안 된다.
(마)
특히 현존하는 환경 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실패한 원인이 경제적 능력 부족보다는 의지의 부족에서 비롯되는 예를 보거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이 새로운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는 예를 볼 때,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은 인간의 선택이라고 본다.
글의 전개 과정을 볼 때, 다음 문장은 어느 글 앞에 오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겠는가?
세제, 비닐 등의 사용과 같은 국민들의 소비형태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우리 사회는 실로 환경 문제에 민감해졌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윗글에서 필자가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① 인간의 잠재력

② 인간의 책임

③ 인간의 실존

④ 인간의 의지

⑤ 인간의 생존

[30~3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음식을 잘하는 요리사는 설탕을 잘 이용한다. 요리를 잘못하여, 너무 짜거나 시거나 쓴 경우 설탕을 첨가함으로써 음식 맛을 교정한다. 아니 정확하게 말해서 음식 맛을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먹는 사람을 교묘히 속이는 것이다. 먹는 사람은 단맛부터 느끼기 때문에, 시고 짜고 쓴 맛들은 벌써 단맛에 의해 맛봉오리 세포들이 마비됨으로써 약화되기 때문이다.
만약 유명한 요리사가 되려면 무엇보다도 첫째, 설탕의 사용법을 알아야 한다. 둘째, 단순한 여러 맛들을 조화시킬 수 있는 천부적 재능을 가져야 한다. 셋째, 비록 음식 맛을 내는 데 실패했다 하더라도, 그것이 왜 더욱 맛있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점, 유명한 요리사나 유능한 정치가가 다를 바 없다.
윗글에서 정치가를 요리사에 비유한다면, 다음 낱말들은 아래와 같이 바꿀 수 있다. 잘못 비유한 것은?

① 설탕 → 공약(空約)

② 요리를 잘못하여 → 정책 집행을 잘못하여

③ 음식 맛을 교정한다 → 정책 실패의 원인을 제거한다.

④ 먹는 사람 → 국민

⑤ 맛봉오리 세포 → 정책 비판 능력

윗글에서 말하는 ‘유능한 정치가’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효과가 국민들의 눈에 잘 띄이는 정책을 선호하는 정치가

②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단기적인 정책을 선호하는 정치가

③ 직접적인 혜택이 나타나는 정책을 선호하는 정치가

④ 앞으로 서서히 큰 효과가 나타나는 정책을 선호하는 정치가

⑤ 정책이 실패하더라도 그것을 잘 변명하는 정치가

[32~3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현대 생활의 특징 중의 하나는 나날의 삶이 점차 크게 대중문화에 노출되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현대인은 대중문화의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버스 안에서 귀 따갑게 들어야 하는 대중가요로부터 일간 신문의 요란스러운 책광고나 영화광고에 이르기까지 그것은 사람들을 유혹하거나 강압하면서 정신을 산란하게 만들고 있다. 그것은 사람들의 시청각을 독점하면서 사람들로부터 사고와 內省의 기회를 빼앗아 가고 있다. 그 결과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언어에 의존하여 사고하는 습관을 찾기가 힘들게 되었다.
(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대중교육과 대중전달 매체 그리고 대중오락을 특성으로 하는 현대의 문화를 검토할 때 우리는 곧 그 상품성과 시장성에 주목하게 된다. 대중문화를 ‘문화산업’이라고 부른 비판이론가들의 관점은 나름대로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문화산업과 그 구체적인 품목들은 소비자 보호라는 관점에서도 마땅히 검토와 비판을 받아야만 한다.
(다)
대중문화가 사람들의 여가를 잠식하는 정도를 보면, 대중문화의 실제가 우리 삶의 질을 결정하는 큰 요인의 하나가 되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만약 대중문화의 천박성이 지적된다면 그것은 곧 삶의 천박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여가가 참다운 자유시간 또는 인간발전의 공간으로 살아나기 위해서는 대중문화 자체의 고양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라)
대중예술은 상층계급에 속하고 정신적으로 거기에 의존하고 있는 직업적 생산자들의 제품이다. 대중 스스로가 향유하기 위해 만들어 냈다기보다는 대중을 고객으로 의식하고 생산한 상품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오늘날 대중문화나 대중예술은 향수자들의 진정하고 절실한 요구의 소산이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대중문화나 대중예술을 만들어 내어 돈을 많이 벌거나 힘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조작된 요구의 산물일 수 있다.
(마)
대중문학은 값싼 인정이나 우연성 또는 영웅적 존재의 비상한 능력으로 인간세계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된다는 식의 이야기를 자주 들려 준다. 대중문학은 이 세상과 삶을 안일하고 거짓된 화해의 눈으로 보게 하고, 사람들을 상투적이며 천박한 도덕주의자로 만들기도 한다.
윗글에서 주장하고 있는 것은?

① 현대인의 삶 속에 대중문화는 깊게 파고 들어와 있다.

② 대중문화의 수준 향상은 삶의 질을 높이는 지름길이다.

③ 예술은 창조자와 수용자가 일치할수록 좋다.

④ 예술성과 상품성은 어울릴 수 없는 개념이다.

⑤ 대중문학은 사람들에게 백해무익하다.

텔레비젼의 폐해를 예시한 글을 덧붙인다면, 어느 글의 뒤가 가장 적합한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대중문화의 가치에 대한 기본시각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35~3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오늘날 소련, 폴란드 등 東歐 여러 나라에서의 사회주의는 그 자체가 지닌 이론적 모순과 사회경제적 문제의 노출로 퇴조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주의도 본래는, 西歐 자유주의가 경제적 복지를 실현하겠다면 약속을 지키지 못한 데서 비롯되었다.
自由市場經濟의 이론가에 의하면, 通商 및 제조업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없어지면 자연히 물질적인 생활 상태에 신속하고도 보편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그들의 이러한 기대는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었다. 바로 자유 시장 원칙이, 특히 국제 무역의 분야에 있어서 전혀 무제한으로 적용된 적은 없었지만, 그래도 프랑스 혁명 이후 몇 십년에 걸쳐 自由市場制度가 채택되고 그 경험에 의하여 앞으로도 그런 제도 아래서 많은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입증된 것은 사실이었다. 실질적인 富가 전례없는 비율로 증대하고, 동시에 인구도 전례 없이 많이 증가하였다는 사실은 적어도 산업 혁명이 가져온 이익의 일부가 폭넓게 공유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당시 관측자들의 주목을 끈 것은 그러한 과정에서 야기된 經濟的 不平等이었다. 비교적 부유하고 기업적인 계층만이 새로운 경제 질서로부터 오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입장에 있었다. 성공적인 은행가와 시장투기자들은 엄청나게 부유해지고 있는 반면, 빈민가에 살고 있는 근로자의 처지는 개선되어가는 징조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경제 발전의 이익이 모든 사람들에게 나누어질 것이라는 기대 아래 자유주의를 옹호하였던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인류적 소망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하나의 실망이었다. 사회주의는 이러한 실망에 대한 반응으로서 출발한 것이었으나 사회주의 또한 물질적 부를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발전은 물론 경제적 평등조차도 실현하지 못하였다.
윗글이 주로 말하고 있는 것은?

① 자유시장 경제의 폐단

② 자유시장 경제의 몰락

③ 사회주의의 생성과 퇴조

④ 산업 혁명의 결과

⑤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차이

윗글의 내용으로 보아, 자유주의 경제에서 부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물질 생활의 개선

② 부의 증가와 편재

③ 대기업의 독점

④ 산업혁명의 발생

⑤ 투기자들의 출현

윗글에서 필자가 논리 전개를 위해 중점적으로 사용한 방법은?

① 서사

② 예증

③ 비교

④ 비유

⑤ 유추

[38~4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일본인이라면 그 누구나 “일본인의 마음의 고향은 아스카[飛鳥]다.”라고 거리낌없이 말한다. 그러나 양심적인 일본학자라면 한걸음 더 나아가 “그 아스카의 고향은 백제의 부여다.”라고 단언한다. 이런 연구에서 한국의 부여와 일본의 아스카는 현재 국제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한편 신라의 경주는 아스카 다음의 일본 도읍이었던 나라[奈良]시와 자매도시로 결연을 하였는데, 이러한 국제관계는 모두 단순한 이유나 즉흥적인 감정에 의해서 맺어진 것은 결코 아니다. 어디까지나 문헌의 뒷받침을 받는 정신면의 사학(史學)과, 유물이 입증하는 물질면의 고고학(考古學), 이 양면을 바탕으로 하여 서로가 선조의 깊은 인연을 확신해서 성립시킨 우호관계이다.
이들 자매도시는 객관적으로도 닮은 점이 많다. 그러니까 부여와 아스카는 유물이 너무나 없고, 경주와 나라는 비교적 많은 문화재가 산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래서 ㉠전자(前者)는 마음의 고향인 까닭에 눈보다 마음으로 느끼는 곳이요. 후자(後者)는 마음보다 먼저 눈으로 보고 얻는 곳이라 하겠다. 이래서 아스카는 역사에 깊이에 비해서 남은 문화재는 극소하나, 국가는 없었졌다 해도 신하는 남아 있으니, 육안(肉眼)보다 ㉡마음의 눈[心眼]으로 보는 사람에게는 그나마 많은 것이 보이고, 또 얻어 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윗글에서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도시는?

① 부여와 경주

② 아스카와 나라

③ 경주와 나라

④ 부여와 아스카

⑤ 경주와 아스카

윗글의 밑줄 친 ㉡이 뜻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① 학자의 양심

② 즉흥적 감정

③ 객관적 유사성

④ 물질면의 고고학

⑤ 정신면의 사학

윗 글의 주제와 가장 잘 어울리는 제목은?

① 아스카란 어떤 곳인가

② 마음의 고향이란

③ 한일문화의 유사성

④ 사학과 고고학

⑤ 육안보다 심안으로

다음 글에서 필자가 대립되는 의미로 사용한 어휘를 잘못 묶은 것은?
결국 서양 음악은 금속성으로부터 출발하고 우리 음악은 식물성에서 시발하는 셈이다. 금속성이냐 식물성이냐의 음색 자체가 동서 음악의 분기점이 된 것이다. 우선 금속성은 차다. 차가운 것은 냉정으로 통하고 이 냉정은 다시 이지와 논리와 합리로 남는다. 그러나 식물성의 질감은 온후하다. 이는 곧 훈훈한 인정으로 연결되고, 다시 이것은 화평과 온유와 정감으로 이어진다. 다시 말해서 금속성을 선호하는 서양이 이지와 논리의 예술을 낳았다면, 식물성을 선호하는 우리는 감성과 신비의 음악을 낳았다고 하겠다.
금속성을 낳는 서양의 쇠붙이는 반드시 인공을 가해야 한다. 하지만 식물성의 악기는 그렇지 않다. 자연의 일부를 그대로 이양시키기만 하면 된다. 분석과 귀납을 주무기로 하는 서양의 인공이 곧 자연에 대한 도전이라면 조화와 질서를 존중하는 우리의 자세는 영향없는 자연에의 순응이다.

① 금속성-식물성

② 냉정-온유

③ 이지-감성

④ 논리-신비

⑤ 도전-순응

[42~4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자네 같은 부르주아가 내게까지! 자네가 작별하러 다닐 데는 적어도 조선 은행 총재나......”
병화는 부엌에 먼지가 앉은 외투 주머니에 두 손을 찌른 채 딱 버티고 서서 이렇게 비꼬는 수작을 하고서는 껄껄 웃어 버린다.
“만나는 족족 그렇게도 짓궂게 한 마디씩 비꼬아 보아야만 적성이 풀리겠나? 그 성미를 좀 버리게.”
덕이는 병화의 부르주아, 부루주아 하는 소리가 듣기 싫었다. 먹을 게 있는 것은 다행하다고 속으로 생각지 않은 게 아니나, 시대가 시대이니만치 그런 소리가 - 덕구나 비꼬는 소리는 듣고 싶지 않았다.(중략)
“들어가선 무얼 하나. 출출한데 나가세그려. 수 좋아야 하루에 한 끼 걸리는 눈칫밥 먹으러 하숙에 기어들어가고도 싶지 않는데...... 군자금만 대게. 내 좋은 데 안내를 줄게!”
“시원한 소리 한다. ㉡내 안내할게 자네 좀 내 보게.”
하며, 덕이는 임시 제 방으로 쓰는 아랫방으로 들어갔다.
“여보게, 담배부터 하나 내게. 내 턱은 그저 무어나 들어오라는 턱일세.”
하며, 병화는 방 안을 들여다보고 손을 내밀었다.
“나 없을 땐 온통 담배를 굶데그려.”
덕이는 책상 위에 놓인 ‘피전’갑을 들어 내던지며 웃다가.
“그저 담배 한 개라도 착취를 해야 시원하겠나? 자네와 나와는 ㉢착취, 피착취의 계급적 의식을 전도시키세.”
하며 조선옷을 훌훌 벗는다.
“담배 하나에 치를 떠는 - 천생 그 할아버지의 그 손자다!” (중략)
“언제 떠나든 상관 있나마는, 상당히 탔겠네그려?”
“영감님 솜씨에 주판질 안 하시고 내놓으시겠나?”
“우는 소리 말게. 누가 기대일까 봐 그러나?
“기대면 줄 것도 있구......”
“앗! 그래두 한 달치는 해 주어야 떠나 보낼 텐데. 있는 놈의 집 같으면 그대로 먹어 주겠지만, 주인 딸이 공장에를 다녀서 요새 그 흔한 쌀값에 되되이 팔아 먹네 그려. 차나 볼 수가 있어야지......”
“흥.......”
하고 덕기는 동정하는 눈치더니,
“자네 따위를 두기가 불찰이지.”
하고 웃어 버린다.
다음 글은 윗글이 들어 있는 작품에 대한 해설이다. 다음 글에서 윗글의 내용을 비교적 잘 요약하고 있는 것은?
덕기는 ㉮할아버지 조의관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기도 하고,사고방식이 급진적인 친구 김병화를 소극적으로 후원하기도 하지만,자기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가려는 뚜렷한 의지가 없다. 결국, ‘삼대’는 이들 세 인물과 주변상황 및 현실적 변모과정을 통해 ㉱한 자산가 가문의 몰락을 그리면서,조의관과 김병화로 대표되는 신구의 대립을 덕기를 매개로 하여 조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① ㉮

② ㉯

③ ㉰

④ ㉱

⑤ ㉲

윗글에 나타난 인물들에 대한 작가의 기본태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병화보다는 덕기의 편을 들고 있다.

② 덕기보다는 병화의 편을 들고 있다.

③ 두 인물을 공평하게 대하고 있다.

④ 두 인물에게 다 냉소적이다.

⑤ 일관된 태도를 취하지 않고 있다.

밑줄 친 ㉠~㉤ 중, 덕기와 병화의 평소의 인간 관계의 양상을 암시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45~4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물리학은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법칙(法則)을 발견하고, 또 기술(記述)하려고 노력하는 자연 과학의 한 분야이다. 여기서 자연 내지 현상이라고 하면, 크게는 우주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작게는 지상에서 일어나는 현상, 더 작게는 원자 또는 전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또, 물리학의 목표는 가능한 한 간단한 수식(數式)이나 기본 원리를 써서 우리가 관찰하는 현상을 기술하려고 하며, 더 나아가서 어떤 현상이 일어나거나 관측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이러한 기본 법칙을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몇 가지 법칙을 자연의 복잡한 현상에 적용함으로써 자연을 이해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자연 과학을 하는 기쁨을 맛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지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 현상의 법칙은 많은 실험과 관찰을 통하여 얻어지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보편성 있는 법칙은 여러 가지 현상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나의 기본 법칙으로 인정받게 된다. 아무리 그럴듯한 법칙이라도 어떤 자연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을 때에는 물리 법칙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윗글의 내용에 비추어 물리학이 추구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물리 법칙의 발견

② 자연 현상의 이해

③ 자연 현상의 기술

④ 자연 현상의 결과 예측

⑤ 지적 희열과 만족감 획득

윗글의 필자가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것은?

① 물리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것은 법칙이다.

② 물리학자는 으례 자연 현상을 기술하고 이해하려 한다.

③ 물리 법칙은 반드시 보편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④ 물리 법칙은 자연 현상에 객관적으로 존재한다.

⑤ 물리 법칙은 관찰과 실험에 의해서 발견된다.

밑줄 친 ‘자연 현상의 법칙’에 해당하는 진술은?

① 이 나무는 10개의 잎을 가지고 있다.

② 원자는 중성자와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③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체는 물에서 뜬다.

④ 이 비이커의 물은 100°C에서 끓는다.

⑤ 4 + 6은 10이다.

[48~50]
다음 글들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다만 열 줄의 좋은 시를 기다리고 일생을 보낸다면, 한 줄의 좋은 시도 못 쓰리라. 하나의 큰 꽃만을 바라고 일생을 바치면 아무런 꽃도 못 가지리라. 최후의 한 송이, 극히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위하여는, 그보다 작을지라도, 덜 고울지라도, 수다히 꽃을 피우며 일생을 지내야 한다.
(나)
여러분은 나이 먹은 이들이 이 시는 감상적이라든가, 이류의 시라든가 말한다고 해서 그 시를 즐기는 것을 조금도 부끄럽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아무 것이든 여하튼 한 편의 시를 즐기는 일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차차 흥미가 생기고 따라서 많이 읽고 싶어진다. 그리하여 읽고 또 읽어 가는 동안에 자연 일류의 시와 이류의 시와의 구별, 깊은 감정과 얄팍한 감상 사이의 구별을 냄새 맡게 되는 일종의 본능이 발달하게 된다.
(다)
아무도 “나는 시를 지을 생각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위대한 시인조차도 그런 말을 할 수는 없다. 창작할 때의 정신은 비유를 들자면 껴져 가는 석탄불에 변덕스런 바람이 부는 것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힘에 일깨워져서 잠깐 벌겋게 타오르기 때문이다. 이 힘은 꽃의 빛깔이 퇴색하여 변해 가듯 이내 사그라진다. 그리고 우리는 이 힘을 결코 의식하지 못한다. 만일 이 힘이 최초의 순수성과 강렬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면 얼마나 위대한 성과가 있을 것인가. 그러나 실제로는 그 짓기가 시작될 때 영감은 이미 쇠퇴해 가고 있는 것이다.
(라)
시의 특권은 차라리 몸과 마음이 가난한 이에게 주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서고금의 불우한 시인의 이름을 다 들어야 이 말이 믿어질 것인가. 그들이 어찌 모두 부자를 위하여 시를 쓴 것이겠는가. 몸과 마음이 가난하길래 시인은 철학자와 종교가와 혁명가에 통하는 것이다. 시인이 시를 버리고 무엇으로     , 시를 읽고 무엇으로     , 시를 버리고 무엇을     (으)로 삼을 것인가. 괴로운 현실을 찔끔찔끔 울면서 살라고 권하는 것은 아니다. 왜 괴로운가를 생각하라는 것이다.
(마)
설령 力作이라도 多作일 필요가 없으니, 시인이 무슨 까닭으로 마소의 過勞나 토기의 多産을 본받을 것이냐. 감정의 낭비란 측면에서 볼 때 多情과 多作은 마찬가지다. 여러 번의 걸작은 고사하고 단 한 번의 걸작도 마음 먹는다 하여 되는 것이 아니요, 詩作 이후에 나타난 의외의 소득일 뿐이다. 하물며 발표욕에 급급하여 쓴 범용한 多作이 무슨 보람을 가질 것인가.
(가)~(마) 중 글의 논지가 서로 반대되는 항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마)

⑤ (마), (가)

(가)~(마) 중 서술의 대상이 나머지 네 항과 다른 것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라)의 빈 칸을 철학자, 종교가, 혁명가의 자세와 관련지어 차례로 채울 때 가장 적당한 것은?

① 고뇌하며, 가르치며, 목적

② 이해하며, 설득하며, 이념

③ 고민하며, 기도하며, 구호

④ 생각하며, 사랑하며, 무기

⑤ 상상하며, 탐구하며, 생명

[51~5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쇄술 발달의 초기 단계로서 도장(圖章), 석경 탁본(石經 拓本), 유지 유인(油紙 油印) 등의 방법은 도교, 불교, 불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하여 생긴 것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모두들 그 정성이 도타와서 각기 방법을 고안하고 연구한 결과 이같은 세 가지 방법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게 되었다. 도교에서도 석경을 만들었고 불가에서도 부처님의 상을 나무에 새기게 되었다. 도장은 나무에 새기는 것이나 작은 나무를 바탕으로 글자를 외로 새겼고, 석경은 큰 돌을 깨고 갈아서 글자를 쪼와서 새겼다. 돌에 새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오래오래 전할 수 있는 것이 좋은 점이었다. 그러나 많은 글자를 돌에 새기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글을 전해 나가는 데도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기름종이에 구멍을 뚫어서 미는 방법은 그림에 있어서는 편하나 하더라도 글씨를 많이 써서 책을 만들기에는 어려운 점이 따랐다.
여기에 큰 나무를 잘라서 평평한 판자를 마련하고 그 위에 글자를 새겨서 먹을 칠하고 종이를 대고 위에서 밀면 인쇄라는 결과로 나타난다. 나무에 외로 글자를 새기는 방법은 도교의 영향으로 보이고, 탁본하는 법같이 종이를 새겨진 면 위에 대는 것은 유교 석경에서 말미암은 듯하다. 그러나, 탁본할 때와 같이 종이를 먹 방망이로 두들기는 것이 아니라, 목판에 먹을 묻히고 종이를 대고 종이 위에서 밀면 찍혀 나오게 된다. 기름종이에 먹을 묻히듯이 목판에 먹을 묻히고 종이 위를 미는 것은 유지 유인방법을 따르는 것으로 짐작된다.
윗글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은?

① 인쇄술은 종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② 석경은 도교의 고유한 인쇄방법이다.

③ 목판에 글자를 새기며 찍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다.

④ 유지 유인은 그림의 인쇄에 적합한 방법이다.

⑤ 세 종교의 독특한 인쇄방법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윗글의 밑줄 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① 도장, 석경 탁본

② 석경 탁본, 유지 유인

③ 유지 유인, 목판

④ 목판, 도장

⑤ 도장, 유지 유인

[53~5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도로교통법 제22조[교차로 통행 방법]
1. 모든 차는 교차로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교차로의 중심 안쪽을 각각 서행하여야 한다. 다만, 시장·도지사가 교차로의 상황에 따라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곳에서는 교차로의 중심 바깥 쪽을 통과하여야 한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모든 차가 좌우로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손이나 방향 지시기 또는 등화로서 신호를 한 때에는 그 뒤차는 신호를 한 앞차의 진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교통 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는 모든 차는 다른 도로로부터 이미 그 교차로에 들어가고 있는 차가 있는 때에는 그 차의 진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제3항의 경우 우선 순위가 같은 차가 동시에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때에는 우측 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5. 교통 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는 모든 차는 그 차가 통행하고 있는 도로의 폭보다 교차하는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서행하여야 하며, 폭이 넓은 도로로부터 그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다른 차가 있는 때에는 그 차에게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6. 제5항의 경우 폭이 넓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에 대하여는 제4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음 그림에서 일반적인 교차로의 통행방법을 어기고 있는 차량을 모두 지적한다면?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없음

위의 법에 따르면, 다음 가~라 중 교차로 통행시에 우선권이 없는 차는?
가. 교차로에 먼저 진입해 있는 차
나. 오른쪽에서 진입하고 있는 차
다. 넓은 도로에서 진입하고 있는 차
라. 신호를 먼저 행한 차
마. 서행을 하고 있는 차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마

⑤ 가, 마

제6항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폭이 넓은 도로를 가고 있던 차가 교차로 통행에서 우선권을 가진다.

② 폭이 넓은 도로를 가고 있던 차는 좌측 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한다.

③ 폭이 넓은 도로를 가고 있던 차는 우측 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한다.

④ 폭이 좁은 도로를 가고 있던 차는 좌측 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한다.

⑤ 폭이 좁은 도로를 가고 있던 차는 우측 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한다.

[56~5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닫힌 사회가 전체주의의 사회라면, 열린 사회는 개인주의의 사회며, 비판을 허용하는 자유 사회이다. 비판적 사회에서는 제도나 문화적 규범들이 고정불변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약속의 체계로서 해석된다. 따라서 어떤 불변적인 역사의 법칙이나 규범 같은 것이 개인에게 무조건적으로 부과하는 강제적 사태란 비판적 사회에서는 있을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이 사회는 운명이 지배하는 사회가 아니라, 인간이 창조해 가는 사회이다.
더 나아가 비판적 사회는 진리의 독점을 거부하는 사회이다. 여기서는 아무도 독단적 권리를 행사하지 못한다. 비판받지 않아도 좋을 절대적 진리란 용인되지 않으며, 진리 주장에 있어서 사회 구성원 모두는 평등하다.
열린 사회의 특성인 개인주의란 전체주의가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는 데 반해, 사회를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는 입장이다. 즉 사회란 개인을 넘어서는 어떤 신비적 존재가 아니라, 개인들이 함께 모여 사는 공동체일 뿐이라는 것이다.
윗글의 ‘열린 사회’론이 함축한다고 볼 수 없는 내용은?

① 고정불변의 역사 법칙 같은 것은 없다.

② 인간의 삶은 운명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 아니다.

③ 어떠한 진리 주장이라도 비판받을 수 있다.

④ 비판적 사회에서는 조건 없이 모두가 평등하다.

⑤ 사회란 개인을 넘어서는 신비적 존재가 아니다.

윗글의 문맥상 반대 의미로 사용된 개념끼리 짝지어진 항이 아닌 것은?

① 개인주의 - 전체주의

② 닫힌 사회 - 비판적 사회

③ 약속의 체계 - 불변적 법칙

④ 유기체 - 집합 공동체

⑤ 개인 - 사회

[58~59]
다음 ㉮~㉱의      속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들로 짝지어진 것은?
목숨은 어떤  ㉮ 이/가 될 수 없다. 그 자체가 온전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단 하나밖에 없는 절대 가치인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 이/가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생명을 해치거나 괴롭히는 일은 악덕 중에서도 으뜸가는 악덕이 아닐 수 없다. 생명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서로가 의지해 끊임없이 주고 받으면서 우주적인 질서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생각에서인지 옛날 수도승들은 짚신을 아주  ㉰  삼아 신었다고 한다. 길을 다니다가 밟히는 중생들에게 조금이라도 피해를 덜 입히기 위해서였다. 여름철 승가의 안거라는 제도도 행각(行脚)에서 오는 벌레들의 희생을 막자는 데 본래 의도가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자비란 인간끼리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 두루 미치는 인간의 사랑을 가리키는 전통적인 동양의 사상으로서 생명을  ㉱ 하는 것이 그 요체이다.
가치엄성하게승화
방법의미느슨하게신성시
도구목적어렵게중시
수단명분성글게절대시
기준정신정성스럽게미화
여름은 맹군(猛軍)이라  ㉮ 에 승산이 없어도 버티어 보려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알기 때문에 여름을  ㉯  가을은 정면 공격을 피하고 침투 작전을 펼친다. 편의대(便衣隊)를 시켜 심리전을 하기도 하고, 정찰을 여기저기 풀어 놓아 적이 모르는 동안에 그 맹위(猛威)를  ㉰ 하기도 한다. 도심지에는 아직 아스팔트가 물씬물씬하고 선풍기가 돌 때에도 근교에는 가을의  ㉱ 이/가 이따금 보이곤 한다. 가을이 시내까지 들어와서 시가전이 벌어질 무렵이면 바깥 세상은 온통 가을판이 되고 만다.
시험쫓아내려는맥풀리게자체
결과죽으려는사고러지게흔적
다툼격퇴시키려는밀려나가게뒷모습
전쟁맞아 싸우는허탈하게모습
싸움물리치려는시들게표정
다음 글의 초나라 상인의 말과 똑같은 성격의 발언은?
옛날 초나라에 방패와 창을 파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나의 방패는 견고하여, 어떤 것도 이것을 뚫을 수 없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고, 또 그의 창을 가리키며 “나의 창은 예리하여 무엇이건 다 뚫는다.”고 자랑하며 말하였다. 지나가던 어떤 사람이 이 말을 듣고, “당신의 창으로 당신의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가?”하고 물으니, 그 상인은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

① 이 책에는 세 변으로 그려진 사각형이 있다.

② 덴마크 앞 바다에는 인어들이 살고 있다.

③ 미움은 때로 사랑의 극단적 표현이다.

④ 생(生)과 사(死)는 보기에 따라서는 한가지다.

⑤ 내가 땅을 사두는 것은 부자지만, 네가 사 두는 것은

[61~62]
다음에 짝지어진 말들의 관계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청소년 - 비행(非行)

② 환경 - 소음

③ 교통 - 속도 제한

④ 주택 - 주택 부족

⑤ 교육 - 재수생

① 독수리 - 두 발 가진 날짐승

② 부산 - 한국 최대의 항구 도시

③ 금강산 - 한국의 명산

④ 영국 - 섬나라

⑤ 동물 - 생명있는 존재

다음 주장 가운데서 논거가 충분히 제시된 것은?
가. 어미 닭이 달걀보다 먼저 존재했어야 한다. 원인 없는 결과는 생각할 수도 없으니 말이다.
나. 국가가 국민보다 우선해야 한다. 국가 없는 국민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 인간이 만물 중의 으뜸인 것은 당연하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니까.
라. 노동생산성을 높이려면 노임을 올려 주어야 한다. 근로자의 노동의욕 고취 없이, 노동생산성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으니까.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없음

다음에서 논리 전개 방식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 곤충은 몸통이 머리·가슴·배로 나뉘어진 세 쌍의 다리를 가진 동물이다. 파리가 그렇고, 개미가 그러하며, 베짱이도 그렇다.

② 국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외국어 능력도 탁월하다. 이양하 선생도 그랬고, 피천득 선생도 그랬다.

③ 한국 사람들의 언어 사용은 논리적이지 못하다. 다섯 시(時) 여섯 분(分)이라 말하지 않고, 다섯 시 육 분이라고 말한다.

④ 몸이 튼튼한 사람은 낙천적이다. 내 친구 철수, 영희, 복동이는 모두 튼튼한데, 성격이 낙천적이다.

⑤ 모든 사람이 부(富) 많을 쫓는 것은 아니다. 최영 장군이 그랬고, 대전의 김(金) 할머니가 그랬다.

다음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행위에 관한 주장들이다. 이 주장들에 대한 적합한 평가는?
(가) 인간이 본성적으로 선하다면, 인간은 악행을 할 수 없다.
(나) 인간이 본성적으로 악하다면, 인간이 선행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 인간이 본성적으로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면, 선행·악행의 개념은 인간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다.
(라) 인간이 본성적으로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다면, 인간은 선행과 악행을 번갈아 가며 할 수밖에 없다.

① 네 주장 모두 타당하다.

② (가), (나) 주장만 타당하다.

③ (다), (라) 주장만 타당하다.

④ (가) 아니면 (나)의 주장만이 타당하다.

⑤ 네 주장 모두 타당하지 않다.

다음에서 말이 안 되는 문장은?

① 그 뒤 일 년은 그의 생애에서 아주 특이한 시기였다.

② 우리 팀의 올 시즌 목표는 꼴찌를 벗어나 중위권으로 뛰어 올라가는 것입니다.

③ 기재 사항의 정정 또는 금융기관의 수납인 및 취급자인이 없으면 무효입니다.

④ ㄱ대학, ㅂ대학 등 5개 대학 학생회는 등록금 인상률을 낮추라고 건의하였다.

⑤ 달빛이 휘영청 밝은 밤에 소년과 소녀가 다소곳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