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11일 (목)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1.7.11(목)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실험쥐 집단 | 처치 |
I | 약 A를 생리적 식염수에 녹여서 주사 |
II | 약 B를 생리적 식염수에 녹여서 주사 |
III | 생리적 식염수만 주사 |
IV | 아무 것도 주사하지 않음 |
① I과 II
② I과 III
③ II와 III
④ II와 IV
⑤ III과 IV
① I과 II
② I과 III
③ I과 IV
④ III과 IV
⑤ II과 IV
구분 \ 물체 | A | B | C | D |
밑넓이의 비 | 2 | 2 | 1 | 6 |
높이의 비 | 2 | 4 | 2 | 1 |
질량의 비 | 10 | 6 | 6 | 15 |
① A, B
② A, C
③ A, D
④ B, C
⑤ C, D
① A와 B
② A와 D
③ B와 C
④ B와 D
⑤ C와 D
① 약 2,000년
② 약 3,500년
③ 약 5,000년
④ 약 6,500년
⑤ 약 8,000년
①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의 유해 속의 염분을 분석한다.
②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 유해의 염분과, 같은 종류의 현생 생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③ 그 당시 호수에 퇴적된 퇴적물 속의 염분을 분석한다.
④ 그 당시 호수에 퇴적된 퇴적물의 염분과, 현생 생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⑤ 그 당시 호수에 살던 생물 유해의 염분과, 그 당시 쌓인 퇴적물의 염분을 비교한다.
용액 | $\text{NiCl}_2$ | $\text{SrCl}_2$ | $\text{CoSO}_4$ | $\text{Li}_2\text{CO}_3$ | $\text{Pb}(\text{NO}_2)_2$ |
$\text{NiCl}_2$ | 무 | 무 | ↓(녹색) | ↓(백색) | |
$\text{SrCl}_2$ | 무 | ↓(백색) | ↓(백색) | ↓(백색) | |
$\text{CoSO}_4$ | 무 | ↓(백색) | ↓(적색) | ↓(백색) | |
$\text{Li}_2\text{CO}_3$ | ↓(녹색) | ↓(백색) | ↓(적색) | ↓(백색) | |
$\text{Pb}(\text{NO}_2)_2$ | ↓(백색) | ↓(백색) | ↓(백색) | ↓(백색) |
① $\text{NiCl}_2$ 용액
② $\text{SrCl}_2$ 용액
③ $\text{CoSO}_4$ 용액
④ $\text{Li}_2\text{CO}_3$ 용액
⑤ $\text{Pb}(\text{NO}_2)_2$ 용액
① 침전의 색이 녹색이다.
② $\text{Li}_2\text{CO}_3$과 $\text{SrCl}_2$에 의해 생긴 침전이 백색이다.
③ $\text{NiCl}_2$은 $\text{Pb}(\text{NO}_2)_2$과도 침전을 생성하기 때문에 녹색침전은 니켈염이다.
④ $\text{Li}_2\text{CO}_3$은 다른 모든 용액과도 침전을 생성하기 때문에 녹색침전은 탄산염이다.
⑤ 위 표에서 $\text{NiCl}_2$, $\text{SrCl}_2$, $\text{CoCl}_2$ 등이 물에 잘 녹으므로 녹색침전은 $\text{LiCl}$이 아니다.
명수는 동일한 양의 작은 자갈, 굵은 모래, 잔 모래 및 점토를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4개의 동일한 용기에 각각 넣었다. 그 다음에 일정 양의 물을 그 용기에 각각 붓고, 물이 빠져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되풀이하여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①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
② 붓는 물의 양
③ 토양 입자의 크기
④ 용기의 온도와 재질
⑤ 토양 입자들의 무게
① 용기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② 토양 입자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③ 용기에 붓는 물의 양이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④ 용기의 구멍들의 크기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⑤ 토양의 각 입자의 밀도가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에 영향을 준다.
① 빛의 세기
② 식물의 종류
③ 생산된 $\text{O}_2$의 양
④ 흡수된 $\text{CO}_2$의 양
⑤ 소모된 $\text{H}_{2}\text{O}$의 양
① 온도
② 빛의 세기
③ 식물의 종류
④ $\text{O}_2$ 농도
⑤ $\text{CO}_2$ 농도
① 식물A의 광포화점은 약 3,000lux이다.
② 식물A의 보상점은 식물B의 보상점보다 더 높다.
③ 식물A는 식물B보다 광합성률이 모든 빛의 세기에서 더 높다.
④ 식물A는 3,000lux의 빛을 받을 때 방출되는 $\text{O}_2$의 양이 가장 많다.
⑤ 식물B는 3,000lux의 빛을 받을 때 방출되는 $\text{CO}_2$의 양이 가장 많다.
이 종이 테이프를 차례대로 잘라서 종이에 그림과 같이 붙였다.
① 3
② 10
③ 15
④ 30
⑤ 60
① 1
② 3
③ 10
④ 30
⑤ 100
(1) 깨끗하게 씻어 말린 200mL 들이 빈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하여 Ag을 얻었다.
(2) 삼각 플라스크에 에탄올 액체를 45mL 정도 넣고 알루미늄 호일로 마개를 한 후, 바늘로 작은 구멍을 뚫었다.
(3) 삼각 플라스크를 주둥이 부분만 남기고 끓고 있는 물 속에 담갔다.
(4) 에탄올 액체가 모두 기화한 후, 바늘 구멍을 테이프로 막은 다음 끓는 물에서 꺼내어 식혔다.
(5) 삼각 플라스크 외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질량을 측정하여 Bg을 얻었다.
(6) 마개로 사용한 알루미늄 호일의 질량을 측정하여 Cg을 얻었다.
(7) 삼각 플라스크 속의 에탄올을 버리고 증류수로 가득 채운 다음 질량을 측정하여 Dg을 얻었다.
① 삼각 플라스크의 내부부피를 알고 있다.
② 실험실 온도에서 증류수의 밀도는 1g/mL 이다.
③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을 때, 삼각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는 물의 온도와 같다.
④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을 때, 삼각 플라스크 내부에는 에탄올 증기만 있다.
⑤ 실험단계 (4)에서 테이프로 바늘 구멍을 막은 후부터 실험단계 (5)까지 삼각 플라스크는 완전히 밀봉되어 있다.
부피 | 질량 | |
① | D | A, B, C |
② | A, B | C, D |
③ | A, D | A, B, C |
④ | B, D | A, C, D |
⑤ | A, B, C | D |
① 실험단계 (3)에서 플라스크의 주둥이 부분이 물 밖에 있었다.
② 실험단계 (4)에서 에탄올이 완전히 기화하지 않았을 때 꺼냈다.
③ 실험단계 (5)에서 플라스크 외부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④ 실험단계 (6)에서 마개의 질량이 참값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⑤ 실험단계 (7)에서 증류수로 채운 플라스크의 질량이 참값보다 작게 측정되었다.
고도(km) | 기압(mb) | 기온(℃) |
0 | 1013 | 15.0 |
3 | 701 | $-4.5$ |
6 | 472 | $-24.0$ |
9 | 312 | $-43.5$ |
12 | 193 | $-56.5$ |
15 | 120 | $-56.5$ |
① 8
② 9
③ 10
④ 11
⑤ 15
① 10
② 11
③ 12
④ 13
⑤ 15
① 같은 압력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수득률이 커진다.
② 같은 압력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온도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가 커진다.
③ 같은 온도에서는 압력이 높을수록 압력에 따른 수득률의 변화가 작아진다.
④ 400 기압에서 70% 이상의 수득률을 얻기 위해서는 35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⑤ 수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력을 높이고,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표현형 | 개체수 | |
수컷 | 암컷 | |
붉은색 눈·정상 날개 | 151 | 137 |
자주색 눈·흔적 날개 | 140 | 150 |
① 교차
② 연관
③ 중간 유전
④ 반성 유전
⑤ 세포질 유전
① 생물에는 어떤 형질에 대해 그 발현을 조절하는 한 쌍의 유전 인자가 있다.
② 한 쌍의 유전 인자에서 하나는 부계로부터 다른 하나는 모계로부터 온다.
③ 한 쌍의 유전 인자에서 두 유전 인자가 서로 다른 경우, 그 중의 한 유전 인자가 다른 유전 인자를 전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유전 인자만이 발현된다.
④ 개개의 유전 인자들은 변함없는 단위로서 유전된다.
⑤ 유전인자들은 생식세포가 만들어질 때 분리된 단위로서 독립적으로 각 배우자에게 분배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