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1년 11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1.11.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동물 | 1분간 심장 박동수 | |
어릴 때 | 성장했을 때 | |
소 | 60~70 | 40~46 |
호랑이 | 80~90 | 55~60 |
진도개 | 100~120 | 60~70 |
고양이 | 130~140 | 100~120 |
① 빨리 달리는 동물일수록 심장이 빨리 뛴다.
②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심장이 빨리 뛴다.
③ 집에서 기르는 동물보다 야생동물의 심장이 빨리 뛴다.
④ 동물은 성장했을 때보다 어렸을 때 심장이 빨리 뛴다.
⑤ 심장이 큰 동물일수록 심장이 빨리 뛴다.
① 구덩이가 만들어진 시기는 모두 같다.
② “라”의 구덩이가 제일 먼저 만들어졌다.
③ “사”의 구덩이가 제일 먼저 만들어졌다.
④ “가”의 구덩이가 제일 나중에 만들어졌다.
⑤ “마”는 “가”보다 먼저 만들어졌다.
① 지구와 달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다르기 때문
② 지구와 달은 표면적이 다르기 때문
③ 지구와 달은 표면물질이 다르기 때문
④ 지구와 달은 내부구조가 다르기 때문
⑤ 지구에는 대기와 물이 있으나 달에는 없기 때문
사용된 중성자 수 | 핵분열하는 원자 수 | 발생되는 중성자 수 | 핵분열한 원자의 총수 | |
1단계 | 1 | 1 | 3 | 1 |
2단계 | 3 | 3 | 9 | 4 |
3단계 | () |
① 7
② 9
③ 11
④ 13
⑤ 15
① 그네타기
② 미끄럼틀 타기
③ 비탈을 굴러 내려오는 돌의 운동
④ 달리는 차안에서 본 빗방울의 운동
⑤ 수직으로 던져 올린 공의 운동
아스피린의 녹는 점이 135℃라면, 이 실험장치 중에서 잘못 선택된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① 온도계, 젓개
② 온도계, 물
③ 온도계, 알코올 램프
④ 알코올 램프, 젓개
⑤ 알코올 램프, 물
이 유물의 연대를 결정하기 위한 조사방법이 우선순위대로 배열된 것은?
나. 유물중에서 탄소를 함유한 물질을 찾아 그 연대를 방사성 동위원소법으로 측정한다.
다. 퇴적층을 이루고 있는 물질의 연대를 방사성 동위원소법으로 측정한다.
① 가 → 나 → 다
② 나 → 다 → 가
③ 다 → 나 → 가
④ 다 → 가 → 나
⑤ 나 → 가 → 다
조사 대상 | 카드뮴 농도 (ppm) |
호수의 물 | 0.01 |
메기 | 3.2 |
붕어 | 0.5 |
플랑크톤 | 0.07 |
① 메기는 붕어보다 물질 대사가 느리다.
② 메기는 붕어보다 더 오염된 장소에서 살고 있다.
③ 플랑크톤에서는 생물 농축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④ 카드뮴이 생물체내에 들어가면 잘 배설되지 않는다.
⑤ 호수는 점차 카드뮴으로 오염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의 원리를 산업에 응용한다면, 다음 중 어느 경우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① 철판의 균열을 찾을 때
② 철판에 칠해진 페인트의 두께를 측정할 때
③ 금속제품의 무게를 측정할 때
④ 철제품에 입혀진 도금의 강도를 측정할 때
⑤ 종이의 무게를 측정할 때
① 지구가 생성된 것은 38억년보다 더 먼저다.
② 약 38억년전에는 지각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③ 약 38억년전에는 지표에 물과 대기가 없었다.
④ 이 암석의 연대는 지구가 생성된 시기를 의미한다.
⑤ 약 38억년전보다 더 먼저에는 침식·풍화작용이 없었다.
화분 | 햇빛 | 온도 | 물 |
A | 양지 바른곳 | 20℃ | 충분히 준다. |
B | 암실 | 20℃ | 안 준다. |
① 두 화분을 모두 양지 바른 곳에 놓아야 한다.
② 두 화분을 모두 암실에 놓아야 한다.
③ 두 화분의 온도를 모두 0℃로 유지해야 한다.
④ 두 화분에 모두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⑤ 두 화분에 모두 물을 주지 말아야 한다.
① A - B
② B - C
③ C - D
④ D - E
⑤ E - F
① A - B
② B - C
③ C - D
④ D - E
⑤ E - F
① $3 : 2 : 1$
② $4 : 2 : 1$
③ $6 : 3 : 1$
④ $9 : 3 : 1$
⑤ $9 : 6 : 1$
화산섬 | (가) 섬으로부터의 거리 (km) | 측정연령 (백만년) |
(가) | 0 | 화산활동중 |
(나) | 545 | 5.6 |
(다) | 800 | 6.9 |
(라) | 1070 | 10.4 |
(마) | 2450 | 27.2 |
① 열점은 현재 (가)섬아래의 지구내부에 있다.
② 태평양 판은 북서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③ 섬이 새로 만들어지면 그 위치는 (마)섬에서 북서 방향에 있을 것이다.
④ 태평양 판은 (마)섬이 만들어진 후 계속 같은 방향으로 이동했다.
⑤ 이 자료로부터 태평양 판이 이동한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① 색 변화가 없다. 포화 용액에는 고체 설탕이 더 이상 녹지 않기 때문이다.
② 색 변화가 없다. 흰 설탕의 포화 용액이므로 흰 설탕만 용해와 석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③ 황색이 된다. 용액을 흔들어 주면 더 많은 설탕이 녹기 때문이다.
④ 황색이 된다. 포화 용액에서도 용해와 석출은 계속 일어나기 때문이다.
⑤ 황색이 된다. 고체 설탕이 더 들어가면 더 많은 설탕이 녹기 때문이다.
행성 | 질량 ($지구=1$) |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A.U.) | 공전주기 (년) |
수성 | 0.06 | 0.39 | 0.24 |
화성 | 0.11 | 1.52 | ( ) |
금성 | 0.82 | 0.72 | 0.62 |
지구 | 1.00 | 1.00 | 1.00 |
토성 | 95 | 9.55 | 29.46 |
목성 | 318 | 5.20 | 11.86 |
① 1.25
② 1.88
③ 3.51
④ 4.29
⑤ 5.72
① $\dfrac{1}{3}$
② $\dfrac{1}{5}$
③ $\dfrac{1}{10}$
④ $\dfrac{1}{20}$
⑤ $\dfrac{1}{40}$
① 두 동물이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에 있기 때문.
② 두 동물이 더 이상 생식을 하지 않기 때문.
③ 다른 동물이 진딧물과 개미를 잡아먹기 때문.
④ 진딧물은 개미에 기생하는 동물이기 때문.
⑤ 환경요인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
다음 표는 이 더미스터를 끓는 물에 넣고 5V의 전압을 유지한 채, 물이 식는 동안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나타낸다.
물의 온도 (℃) | 90 | 85 | 76 | 65 | 57 | 47 |
전압 (V) | 5 | 5 | 5 | 5 | 5 | 5 |
전류 (mA) | 73 | 67 | 56 | 45 | 37 | 31 |
저항 (Ω) | · | · | · | · | · | · |
① 약 1.23Ω
② 약 1230Ω
③ 약 14.6Ω
④ 약 0.07Ω
⑤ 약 70Ω
① 62℃
② 68℃
③ 73℃
④ 81℃
⑤ 92℃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일정하다면, 이 실험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dfrac{1}{8}$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과산화수소가 모두 분해되었을 때 생성되는 산소의 부피는 200$\text{cm}^{3}$이다.)
① 8분
② 10분
③ 12분
④ 14분
⑤ 16분
쥐의 크기 | 쥐를 넣은 병의 크기 | 액체 (A)의 양 | |
① | 크다 | 작다 | 적다 |
② | 크다 | 크다 | 적다 |
③ | 크다 | 크다 | 많다 |
④ | 작다 | 크다 | 많다 |
⑤ | 작다 | 작다 | 많다 |
① (암모니아수), (묽은 NaOH 용액 + BTB 용액)
② (암모니아수), (묽은 HCl 용액 + 페놀프탈레인 용액)
③ (석회수), (묽은 HCl 용액 + BTB 용액)
④ (석회수), (묽은 NaOH 용액 + 페놀프탈레인 용액)
⑤ (묽은 NaOH 용액 + 페놀프탈레인 용액), (묽은 HCl 용액 + BTB 용액)
연료 | LNG | LPG | |
메탄 | 프로판 | 부탄 | |
분자량 | 16 | 44 | 58 |
녹는점 (℃) | -183 | -188 | -138 |
끓는점 (℃) | -162 | -42 | -0.6 |
완전연소시 g당 반응열 (kcal) | 13.3 | 12.1 | 11.9 |
① 1 : 1
② 1 : 2
③ 1 : 3
④ 2 : 3
⑤ 2 : 5
① 밀도
② 녹는점
③ 끓는점
④ g당 반응열
⑤ 몰당 반응열
이 그림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사실은?
① 펩신과 트립신의 최적 온도 및 최적 pH는 다르다.
② 위산 과다인 사람도 단백질 소화에는 지장이 없다.
③ 트립신은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까지 분해한다.
④ 펩신과 트립신은 우리 몸에서 경쟁적으로 작용한다.
⑤ 펩신은 소장에서 활성이 저하된다.
다음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세요.
속력 (km/h) | 공주거리 (m) | 제동거리 (m) | 정지거리 (m) |
40 | 7 | 8 | . |
50 | 9 | 13 | . |
60 | 11 | 19 | . |
80 | 14 | 32 | . |
100 | . | . | ( ) |
제동거리 : 브레이크를 밟은 후 간 거리
정지거리 : 공주거리 + 제동거리
① 0.15초
② 0.35초
③ 0.65초
④ 1.35초
⑤ 1.75초
① 약 52m
② 약 58m
③ 약 64m
④ 약 70m
⑤ 약 77m
실험조건 | A | B | C | D |
쇠못 증류수 | 증류수 | 기름 증류수 | 솜 흡습제 | |
녹슨양 | 많음 | 조금 | 아주조금 | 없음 |
① A의 결과는 물과 공기가 모두 작용했기 때문이다.
② B의 결과는 물 속에 공기가 녹아 들어갔기 때문이다.
③ C의 결과는 못이 물 속에 잠겨 있기 때문이다.
④ D의 결과는 수분이 없기 때문이다.
⑤ 철의 산화 반응은 물과 공기가 모두 있을 때 가장 빠르다.
고도(m) | 기온(℃) | 고도(m) | 기온(℃) |
지면가까이 | 8 | 1,050 | 3 |
150 | 11 | 1,200 | 0 |
300 | 13 | 1,350 | -2 |
450 | 11 | 1,500 | -5 |
600 | 9 | 1,650 | -4 |
750 | 7 | 1,800 | -2 |
900 | 5 | 1,950 | -1 |
① 지면에서 300m 사이와 약 1600m 이상에서 두 곳
② 300m에서 1500m 사이와 약 1600m 이상에서 두 곳
③ 지면에서 1500m 사이에서 한 곳
④ 약 1600m 이상에서 한 곳
⑤ 600m와 1600m 사이에서 한 곳
① 지면과 2000m 사이에서 큰 대류가 일어난다.
② 지면에서 2000m 사이에는 성질이 다른 공기층이 겹쳐 있다.
③ 이 지역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이 수직적인 이동을 하기 어렵다.
④ 지면과 2000m 사이에는 기온이 역전하는 곳이 두 곳 있다.
⑤ 지면에서는 안개가 생기기 쉽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