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08/31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8번까지는 듣고 푸는 문제입니다. 방송을 잘 듣고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을 듣고, 그 내용이 바르게 나타난 그림을 고르시오.
다음 표를 보면서 묻는 말에 맞는 답을 고르시오.

① 6

② 7

③ 10

④ 14

⑤ 20

대화를 듣고, 교통사고가 일어난 시각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6:00

② 6:30

③ 7:00

④ 7:30

⑤ 9:00

대화를 듣고, John이 취직을 못 하는 이유를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용모가 단정하지 못함

② 능력이 부족함

③ 성격이 특이함

④ 학교성적이 나쁨

⑤ 건강이 나쁨

대화를 듣고, Ann이 오후에 할 일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play tennis

② watch a game

③ take exercise

④ listen to music

⑤ go to the museum

다음을 듣고,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양해

② 계몽

③ 격려

④ 항의

⑤ 동정

다음을 듣고, 무엇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지를 고르시오.

① fire

② food

③ forest

④ lightning

⑤ wild animals

대화를 듣고, 어머니가 John에게 주는 충고에 해당하는 표현을 고르시오.

① 세월이 약이다.

②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③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아라.

④ 내일 일은 내일 걱정하라.

⑤ 티끌모아 태산

이제 듣기 문제는 다 끝났습니다. 9번 문제부터는 문제지의 지시에 따라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의도하는 바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May I know who is on the line?

② May I ask who's calling?

③ May I talk with you for a moment?

④ Who is on the line, please?

⑤ Who's calling, please?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을 고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필요가 있다면, 가장 잘 고쳐진 것을 고르시오.
I have, however, to live in an Age of Faith, the sort of epoch I am used to hear praised when I was a boy.

① 고칠 필요 없음

② I used to hear praised

③ I used to hear praising

④ I am used to hearing praised

⑤ I am used to hearing praising

[11~12]
(A)의 글을 (B)의 대화문으로 구성할 때 빈 칸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A)
It's raining hard. Susan is at a shed waiting for the rain to stop. Suddenly, Jack, with an extra umbrella, passes by and sees Susan. He offers the extra umbrella to her. Susan thanks Jack.
(B)
Jack : Hi, Susan. What are you doing here?
Susan: I'm just waiting for the rain to stop.
Jack : Well, I have an extra umbrella.  (11) 
Susan: Oh, that's very kind of you. Thank you.
Jack :  (12) 
빈 칸 (11)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은?

① You can use it.

② Would you like to use it?

③ I can lend it to you if you need it.

④ What about an extra umbrella?

⑤ How about using it?

빈 칸 (12)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은?

① Not at all.

② You're welcome.

③ It's a pleasure.

④ Don't mention it.

⑤ That's better.

사선에 의해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진 아래 문장에서 완곡한 표현이 있는 부분은?
① Excuse me, / ② but we need / ③ your sign / ④ at the bottom / ⑤ of this form.
밑줄 친 부분 대신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은?
A : I was really looking forward to the game.
B : Me, too. Too bad it was rained out.
A : Well, can't help that.
B : You're right.

① that's life

② life is short

③ life goes that way

④ the weather is beyond our control

⑤ there's nothing we can do about it

다음 글에서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말을 제거하고자 한다. 밑줄 친 부분들 중에서 없어도 될 말만이 나열된 것은?
Perhaps the ㉮ most interesting person I have ever met is an ㉯ interesting Italian professor of philosophy who teaches ㉰ courses at the University of Pisa.
Although I last met this man ㉱ eight years ago, I have not forgotten ㉲ over the long years his special qualities.

① ㉮, ㉯, ㉰

② ㉯, ㉰, ㉲

③ ㉮, ㉯, ㉱, ㉲

④ ㉯, ㉰, ㉱, ㉲

⑤ ㉮, ㉯, ㉰, ㉱, ㉲

[16~17]
다음 각각의 문장에서 밑줄 친 this (또는 these)가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If this is opened with expectation and closed with profit, it is a good one. (A. B. Alcott)
These, like friends, should be few and well chosen. (Samuel Paterson)
Some of these are to be tasted; others swallowed; and some to be chewed and digested. (Francis Bacon)
A room without these is like a body without a soul. (Cicero)

① a movie (movies)

② a library (libraries)

③ a computer (computers)

④ a meal (meals)

⑤ a book (books)

This isn't something you experience; it's something you remember. (Oscar Lavant)
It is pretty hard to tell what does bring this; poverty and wealth have both failed. (Kin Hubbard)
The foolish man seeks this in the distance; the wise man grows it under his feet. (James Oppenheim)
The grand essentials of this are: something to do, something to love, and something to hope for. (A. K. Chalmers)

① happiness

② diligence

③ memory

④ business

⑤ anger

글의 내용으로 보아 밑줄 친 It이 나타내는 것은?
It overthrows governments, wrecks marriages and ruins reputations. It causes heartaches and generates grief. It makes headlines and headaches. So, before you repeat a story, ask yourself: Is it true? Is it fair? Is it necessary? If not, shut up.

① war

② earthquake

③ revolution

④ gossip

⑤ knowledge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부분을 말한 사람이 의도한 의미는?
The day after playing in a National Hockey League game, my friend Jacques was driving around an unfamiliar city. He stopped by the side of the road to study his map. A passer-by offered to help. “You lost?”
Flattered by the apparent recognition, Jacques replied, “No, we won 5-4.”

① 길을 잃었습니까?

② 경기에서 졌습니까?

③ 무언가를 잊었습니까?

④ 사람을 잃었습니까?

⑤ 사업에 실패했습니까?

John에 대해 가장 알맞게 묘사한 것은?
John : Hi, Mary.
Mary : Hi, John. What are you doing?
John : I am just relaxing.
Mary : Again? Oh, you are a hard worker hardly working.
John : Hey, just take it easy. We are not working animals.
Mary : Yeah, but we are not supposed to fool around all the time, either. Are we?

① lazy

② sincere

③ diligent

④ sociable

⑤ humorous

다음은 잡지 광고이다. 해외의 구독자가 일 년치를 구독 신청하고, back issue(지난간 호)를 4권 주문한다면, 송금해야 할 돈의 액수는?
One year subscription : $\$$20.00
Back issues can be ordered at $\$$7.00 each, postage included. A complete list of back issues is available on request.
Overseas subscribers please add $\$$7.50 per year for postage.

① $\$$34.50

② $\$$48.00

③ $\$$52.00

④ $\$$55.50

⑤ $\$$63.00

[22~27]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A : Do you believe in ghosts?
B :     
A : I do now.

① Really?

② Do you?

③ Ghosts?

④ I think so.

⑤ I'm afraid so.

In 1785, two men flew from England to France in a balloon. They began to have trouble with the balloon. It went lower and lower. They threw out everything they had. It went even lower, however. It almost touched the water. Finally, they took off their clothes and threw them out, too. So when they arrived in France, they were safe, but     .

① angry

② dirty

③ naked

④ lucky

⑤ hungry

Mr. Smith, a judge, said hello to the man who was walking into his office.
“Good morning, Mr. Baker. How are you today?”
“Just fine,” he replied, “but I'm not Mr. Baker. My name is Henry Brown.”
“Oh, my goodness, Mr. Brown,” said the judge as his face turned red. “     How could I have made a mistake like that?”
“Perhaps Mr. Baker looks like me,” Mr. Brown said.

① You're wrong.

② I'm so embarrassed.

③ Are you kidding?

④ You've changed a lot.

⑤ Is he getting better?

People have habits that can be annoying to others. Students who click their ball-point pens in class drive me up a wall. People who don't put the cap back on a tube of toothpaste are another source of irritation. Unfortunately, we all do things unconsciously that bother other people, but that is because     .

① we are selfish

② we are all only human

③ people are childish

④ we like to bother other people

⑤ all humans are perfect

It's been a while since Tim played in a football game. He asks his coach why he hasn't been given the chance to play. Coach Rose talks about how nice Tim is, how hard he has been working, how much he has improved, and so on.      Tim interrupts him and says, “I wish you'd stop beating around the bush.”

① Finally

② Therefore

③ Indeed

④ Otherwise

⑤ Moreover

There is a myth among people which suggests that     , because the poor are pressed to crime by their poverty, and because the rich could hardly have gained their possessions with honesty and constructive work.

① the poor are all criminals

② the poor are worse criminals than the rich

③ both the poor and the wealthy are criminals

④ many honest people can become rich

⑤ poverty itself is not a cause of crime

다음 글을 읽고, 빈 칸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A composition in narrative style tells a story. It tells what a person or thing did during a particular period of time. The span of time can be of short duration or it can cover a long period. In narrative writing, events are described in the order of their happening. This type of composition follows a chronological order with one action following another as it happened in the original experience.
If you follow a chronological order, you follow the order of     .

① time

② place

③ person

④ number

⑤ alphabet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My husband is one of the world's soundest sleepers, and when he's finally awakened, he has trouble realizing what's going on. If the phone rings, he goes to the door. If the doorbell rings, he answers the phone. I learned to live with it, but I began to worry when the time approached for me to go to the hospital for our first child. What would happen if the baby started to come in the middle of the night, as most babies do? It turned out that my worries were well founded. Upon being awakened and told it was time to go, he said, “The keys are on the table. Drive carefully.”

① 남편이 잠이 덜 깼다.

② 남편은 운전을 못 한다.

③ 아내가 출근하려고 한다.

④ 남편은 자상한 사람이다.

⑤ 아내는 운전에 미숙하다.

주어진 문장에 이어질 글의 순서가 가장 적합한 것은?
In many countries, people are cutting down rain forests to make room for farms.
(A) The organization advises countries not to cut down their rain forests.
(B) They hope that the farms will make money for them.
(C) But a new organization is trying to help these countries save their forests.

① A - B - C

② A - C - B

③ B - A - C

④ B - C - A

⑤ C - A - B

[31~32]
다음 글을 읽고, 본문 전체의 흐름과 관계가 없는 문장을 고르시오.
① Traffic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is area. ② In the past three years the number of cars here has doubled. ③ It is expensive to own a car. ④ Some of the streets are too narrow for the amount of traffic they have to carry. ⑤ Many drivers do not follow the rules of sensible driving.
① Water is both dangerous and useful. ② In rain and floods, water can damage our buildings and the land we live on and even kill. ③ Water is the most common substance on earth. ④ But we need to drink water. ⑤ We also use it in cooking and for bathing.
다음 글을 쓴 목적은?
Worried about your cholesterol level? Chemical Inc. has developed a cassette-size, do-it-yourself testing unit that measures the total cholesterol in blood. The test takes about 15 minutes and has 95% accuracy. The product, called TeMeter, is available by the prescrip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and is sold over the counter in Korea. TeMeter price: about $\$$10.

① warning

② commanding

③ complaining

④ questioning

⑤ advertising

다음 글의 성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The vacuum-cleaner salesman was forcing a demonstration on the woman of the house. First he scattered coffee grounds, dust and dirt all over her beautiful living-room rug. Then, he said, “Madam, I'll eat every bit of the stuff that my vacuum cleaner doesn't pick up.” The woman started to leave the room.
“Where are you going?” called the salesman.
“To get you the spoon,” she said. “We haven't had any electricity since yesterday's storm.”

① tragic

② descriptive

③ scientific

④ humorous

⑤ instructive

필자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People tell me that I am easier to live with and work with. I am not an arrogant person. I have come through the crises in my life with respect for myself and trust in others. My openness of feeling makes it easy for m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for others to understand me.

① passive

② emotional

③ pessimistic

④ open-minded

⑤ narrow-minded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Every student at Malmo High School has an opinion about how to make a better school, so when there are student council elections, students should vote for candidates with the same views. Remember, it takes much less effort to mark your ballot than it does to grumble. Make your mark in the world by voting.

① Grumble is better than a ballot.

② Teachers work hard to make a better school.

③ Voting is a way to make your opinion known.

④ It takes great effort to build a student council.

⑤ Every student should run for a student council.

다음 안내문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HOW TO GET TO THE MUSEUM
The museum is within a short walk of South Kensington underground station, which is on the Circle and Piccadilly subway lines. Buses which pass nearby include the 14, 30, 45, 49 and 74.
ADMISSION
Admission to the museum is free, although there are sometimes charges for special temporary exhibitions.
OPENING HOURS
The museum is open from 10:00 until 18:00 Mondays to Saturdays, and from 14:30 until 18:00 on Sundays.

① No buses pass nearby the museum.

② The museum is closed on Sundays.

③ Admission is free for elderly people only.

④ There are no subways passing by the museum.

⑤ The museum is near South Kensington station.

Andrew Johnson에 관해서 글의 내용과 다른 것은?
The parents of Andrew Johnson, the seventh President of the U.S., were too poor to send him to school. He was apprenticed as a tailor at the age of 13. Fellow workers at the tailor shop taught Andrew the alphabet. He taught himself to read and, when he was 17, his girl friend taught him how to write. By that time, Andrew was running his own tailor shop.

① 후에 대통령이 되었다.

② 학교 교육을 받지 못했다.

③ 17세에 비로서 글을 읽게 되었다.

④ 13세에 양복점에서 일을 배웠다.

⑤ 애인에게서 글 쓰기를 배웠다.

다음 글에서 Tony가 진정으로 원한 것은?
Little Tony was watching his mother bake cookies. After a long time, he said, “Mama, why don't you ask me something?”
“Tony, what do you want me to ask you?”
The little boy replied, “You could ask, ‘Hey, Tony, do you want a cookie?’”

① knowing how to bake cookies

② baking cookies himself

③ a conversation

④ a question

⑤ a cookie

글의 내용으로 보아, 아래의 글 바로 앞에 가장 자연스럽게 올 수 있는 글의 내용은?
Still, there are some rules that hold for most words. The most basic rules of spelling are given in this chapter, and if you master them you will be able to avoid many common errors. Also included in the chapter is a list of frequently misspelled words, which you may find it helpful to memorize.

① 강세의 변화

② 철자의 불규칙성

③ 발음의 규칙성

④ 의미의 영속성

⑤ 억양의 변화

다음 글의 뒤에 가장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글의 내용은?
“Why don't people ever write to me for a change?” No wonder you complain. Ever since you learned to write, you've been writing nothing more than duty letters to thank grandparents and relatives for birthday and holiday gifts. But never an answer in return. Cheer up - there are ways to start those cards and letters coming in.

① 선물에 대한 감사의 편지 쓰는 법

② 답장을 받을 수 있는 편지 쓰는 요령

③ 생일이나 명절 선물을 사는 요령

④ 의무적으로 쓰는 편지의 형식

⑤ 정중한 항의 편지 쓰는 에티켓

다음 주어진 글이 들어갈 가장 알맞은 곳은?
They all wanted “to write.”
( ① ) What is happening in college writing classes? ( ② ) During my years as an editor, I have seen hundreds of job applicants who were just out of college or in their senior year. ( ③ ) Many brought letters from their teachers. But I do not recall one letter announcing that its bearer could write what he wished to say with clarity and directness. ( ④ ) Is this because this is the era of TV and telephone instead of letters and telegrams? ( ⑤ )
비극에 대한 필자의 견해가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부분은?
There is a misunderstanding of tragedy. It is the idea that ②tragedy is necessarily connected with pessimism. Even ③the dictionary says nothing more about the word than that ④it means a story with a sad or unhappy ending. This impression is so firmly fixed that I almost hesitate to claim that in truth ⑤tragedy implies more optimism than does comedy.
[44~46]
다음 글의 필자가 주장하는 요지를 고르시오.
In some parts of the world, old age is seen as a virtue. The elderly are revered and are well cared for by society as a whole. In America, however, the elderly find that they are forced to retire, they have trouble getting other jobs, and they are exploited if they do get work. The young seem to feel that old people descended from outer space. They forget that the elderly have a past and a future.

①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

② 노인 문제는 전세계적이다.

③ 노인 인력은 생산성이 낮다.

④ 노인을 푸대접해서는 안 된다.

⑤ 미국은 노인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다.

You really believe that you know what another person is thinking. Then when you act on your beliefs, you get into trouble. The success rate of all mind reading is low, no matter what you’ve seen in the movies or on television. Harry thinks, “Maybe Betty will think my necktie is terrible; I’d better take it off.” What if, before he has a chance to take it off, Betty comes along and says, “Nice tie”?

① 사람의 마음을 읽기가 쉽다.

② 넥타이의 색깔은 아무래도 좋다.

③ 친구의 충고를 따르기는 어렵다.

④ 남의 생각을 지레 짐작하지 마라.

⑤ 독심술(讀心術)은 대단히 중요하다.

It went the way of “Thank you,” “Excuse me,” “Yes, sir.” Do you know who just about killed all those phrases? All of us. We did not use them enough. We now get “Huh?” “What?” “Give me more.” Mannerly responses are learned at home. Rude, barbaric responses also are learned at home. William of Wykeham, who was born in 1324, said, “Manners makes man.” If we are so smart in the 20th century, how come we’re not as civilized as William was in the 14th century?

① 현대인은 공손한 말을 많이 한다.

② 현대인은 가능한 한 말을 짧게 한다.

③ 가정에서 언어 예절을 가르쳐야 한다.

④ 옛날 사람들은 엄격하였다.

⑤ 언어는 계속 변천한다.

[47~48]
다음 글의 주제를 고르시오.
Answers to the routine question, “How was your day?” are heard with the eyes and heart as well as the ears. Nuances are picked up and questions are asked, although problems are not necessarily solved. Members of a family who really listen to one another instinctively know that if people listen to you, they are interested in you. And that’s enough for most of us.

① 문제 해결의 철박감

② 사교 생활의 필요성

③ 상투적 문구의 사용

④ 일상 생활에서의 인사

⑤ 인간 관계에서 관심의 중요성

Much as we may pride ourselves on our good taste, we are no longer free to choose the things we want, for advertising exerts a great influence on us. In their efforts to persuade us to buy this or that product, advertisers have made a close study of human nature and have classified all our little weaknesses.

① free choice

② human nature

③ shoppers’ guide

④ man’s weaknesses

⑤ advertisement effects

[49~5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Every week during the fall Mr. Washington, my neighbor, is out raking little leaves into little piles. And every time it snows, he's out removing the white stuff with his shovel. So I tell him that leaves have been falling down for thousands and thousands of years, and the earth did pretty well before rakes and people. Old Mother Nature put the leaves where she wanted them and they made more earth. We need more earth, I tell him.
His yard does look neat, I must admit - if neatness is important. And he didn’t fall down getting to his car last snowtime, and I in fact did. Still, my yard has an Oriental carpet of red and yellow and green and brown. And his doesn’t. And I spent the same time he spent shoveling snow collecting it in bottles to mix with orange juice next July. And I taped the sound of it falling and then used the tape to go with Christmas presents.
이 글에서 밑줄 친 an Oriental carpet이 실제로 나타내는 것은?

① 아라비아 양탄자

② 중국산 비단

③ 동양의 꽃들

④ 형형색색의 낙엽

⑤ 두껍게 덮힌 눈

Mr. Washington과 필자에 대해 바르게 묘사한 짝이 아닌 것은?

① [Mr. Washington] : a raker / [필자] : a shoveler

② [Mr. Washington] : more practical / [필자] : less practical

③ [Mr. Washington] : realistic / [필자] : romantic

④ [Mr. Washington] : neatness loving / [필자] : nature loving

⑤ [Mr. Washington] : impatient / [필자] : patient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상공업이 발달하면서 봉건영주들이 지대를 현물 대신 화폐로 받았다. 이로 말미암아 뒷날 그들이 몰락하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해 준 것은?

① 가격혁명

② 산업혁명

③ 왕권의 강화

④ 흑사병의 유행

⑤ 지대에 대한 저항

다음 진술문 가운데에서 가치 판단이 개입된 정도가 가장 적은 것은?

① 한국의 전통 윤리 사상은 단군 신화에 바탕을 둘 필요가 있다.

② 동양의 윤리 사상은 우리에게 새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③ 현대 사회에서 정보의 생산 및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④ 과학 기술은 자아 혁신과 세계 변혁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다.

⑤ 청소년에게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우선적이다.

<표>는 어떤 나라의 집권 정당과 행정부 수반의 교체를 보여주고 있다.
이 표로 알 수 있는 것 중 가장 적절한 두 개는?
선거년도집권정당행정부 수반
1945A
1950A
1951B
1955C
1959D
1964D
1966E
1970D
1974F
1979G
1983G
1988H

① 양대 정당 제도가 정착되어 있다.

② 특정인들이 번갈아 가면서 집권하고 있다.

③ 정권 교체의 순환 현상이 보여지고 있다.

④ 행정부 수반의 임기가 법으로 정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선거 결과로 볼 때 이 나라는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하였다.

그림은 중심지 이론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에 다른 중심지보다 최소 요구치가 더 큰 기능이 추가될 때에 일어나는 변화는?

① 중심지 수가 더 많아진다.

② 중심지 ㉮의 현재 배후지는 더 세분된다.

③ 다른 중심지의 배후지는 모양이 이그러진다.

④ 중심지 ㉮에는 더 큰 육각형으로 된 배후지가 이루어진다.

⑤ 현재와 같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중심지가 규칙적으로 나타나지 못한다.

가게에서 일하면 시간 당 5,000원을 받을 수 있는 어떤 학생이, 그 대신 관람료가 없는 2시간 짜리 기록 영화를 보았다. 화폐를 중심으로 한, 이 학생의 영화 관람에 대한 기회비용은?

① 비용이 들지 않음

② 2,500원

③ 5,000원

④ 7,500원

⑤ 10,000원

세대(世代)에 따라 정치적 성향이 다를 수도 있음을 탐구하는 과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ㄱ. 세대별로 지지정당이 다름을 확인한다.
ㄴ. 정당은 정책·정강을 통해 이념적 노선을 달리함을 확인한다.
ㄷ. 지난 선거 때 어느 정당을 누가 얼마나 지지하였던가를 통계내어 본다.
ㄹ. 지지정당의 차가 정치적 성향을 가를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① ㄱ-ㄴ-ㄷ-ㄹ

② ㄱ-ㄷ-ㄴ-ㄹ

③ ㄴ-ㄱ-ㄷ-ㄹ

④ ㄴ-ㄹ-ㄷ-ㄱ

⑤ ㄷ-ㄹ-ㄱ-ㄴ

다음 <보기>의 내용과 유사한 체제로 편찬된 역사서는?
보기
... 나는 근자에 나의 처지도 생각지 않고, 서투른 문장에 의지하여, 세상에 흩어진 옛 자료들을 정리하고 검토하여 ... 표 10편, 본기 12편, 서 8편, 세가 30편, 열전 70편, 도합 130편을 만들었습니다.

① 춘추

② 한서

③ 중국통감

④ 삼국유사

⑤ 자치통감

다음 그림은 시장경제체제를 운영하는 어느 국민경제의 5월중 산업활동 동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그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경제가 급격한 침체기에 있음이 틀림없다.

② 재고를 제외한 나머지 경제지표들은 작년보다 그 양이 줄었다.

③ 전체적인 판매량이 줄어 소비과열이 진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④ 재고의 증가에 따라 제조업 가동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⑤ 생산증가율의 감소는 최근 노사분규가 매우 심각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 <보기>의 역사해석을 가능하게 한 삼국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보기
삼국의 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 공통적인 성격을 보다 많이 지녔으므로, 뒷날 민족문화를 이루어 갈수 있었다.

① 동일한 시기에 국가체제를 정비하여 서로 연합하거나 항쟁하고 있다.

② 지정학적으로 비슷한 곳에 위치하여 중국문화를 받아들이는 농도가 같았다.

③ 외교활동이 비슷하였으며, 북방민족과 연결하여 중국 민족에 대항하였다.

④ 문화적으로 차별성을 가졌지만, 단일 민족으로 구성되어 이질적인 유이민이 없었다.

⑤ 족제세력을 통합 편제하여 귀족을 탄생시켰고, 이들 중심의 율령사회를 성립시켰다.

다음 <보기>는 송대에 있었던 일이다. 이로 보아 송이 고려와의 외교관계에서 추구한 현실적 요구로 가장 타당한 것은?
보기
ㅇ 과거제를 강화
ㅇ 중앙집권적 문치주의 실시
ㅇ 거란·여진 등 북방민족의 침입
ㅇ 방대한 관료기구의 유지로 인한 재정난
ㅇ 왕안석의 변법개혁 실패

① 정치적 간섭을 강화하여 물자의 수탈을 꾀함

② 과거제나 변법개혁 등의 모델을 고려에서 구함

③ 비교적 무력이 강한 고려의 도움으로 북방민족을 견제함

④ 당쟁의 격화로 인한 자파의 정치적 입장을 강화함

⑤ 선화봉사고려도경의 편찬 등 문화의 교류·전파에 주력함

그림 <가>와 <나>를 보고 우리나라 산업 구조의 변화를 알맞게 예측한 것을 <보기>에서 찾는다면?
보기
ㄱ. 농·임·수산업 취업자의 비중은 감소될 것이다.
ㄴ. 공업 종사자의 비중은 상당한 기간동안 증가할 것이다.
ㄷ. 서비스업, 정보산업의 종사자의 비중은 증가할 것이다.
ㄹ.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면 공업 고용 인구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ㄷ, ㄹ

⑤ 모두

한 나라의 생산능력(생산할 수 있는 잠재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원자재의 가격 상승을 유도한다.

② 큰 규모의 민간기업을 국유화한다.

③ 노동쟁의를 금지하는 법을 만든다.

④ 근로자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⑤ 소비를 위해 개인의 소득수준을 높여준다.

아래 <보기>의 주장으로부터 도출되는 가장 타당한 결론은?
보기
• “의사(意思)는 대표될 수 없다.”
• “투표하기 전에는 자유로우나 투표가 끝나면 노예가 된다.”

① 소수의 의견이라도 늘 존중하여야 한다.

② 사람들은 모두 저마다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

③ 모든 사람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옳다.

④ 정부의 모든 정책 집행은 국민의 논의를 거쳐야 한다.

⑤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거나 수단으로 다루어져서는 안된다.

다음 표는 조선시대 어느 지역의 호적에 나타난 인구 비율이며, 다른 지역에서도 대체로 이런 경향을 보인다.
(단위 : %)
양반상민천민
중기306010
후기603010
이러한 신분제의 변화와 수반하여 고쳐진 제도는?

① 균역법

② 환곡

③ 대동법

④ 사창제

⑤ 타조법

<그림>에 표시된 지역을 답사하여 <보기>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기
• ㉮와 ㉯지점간에는 퇴적물의 차이는 적다.
• ㉯에서부터 북동쪽으로는 취락이 발달해 있다.
• ㉰지역에는 퇴적물에 모가난 돌(각력)도 많다.
• ㉮, ㉯, ㉰, ㉱의 평탄지는 현재의 강에서부터 5~6m 높이에 있다.
• 위의 4개 지점의 퇴적물에는 현재의 강 바닥에서와 같은 둥근 자갈이 많다.
위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그림>의 ㉮~㉱의 평탄지의 형성 원인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① 선상지

② 하안 단구

③ 산록 완사면

④ 현재 하천의 범람원

⑤ 현재 하천의 자연 제방

다음 <보기>의 내용이 보여주는 로마의 사회상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 속주의 징세 청부인이 된 기사가 원로원과 결탁하여 벌족이 되었다.
• 그라쿠스 형제는 “많은 로마인들이 어버이의 제단이나 종묘도 없이 다른 사람들과 사치스런 부를 위해 싸우며, 자신의 토지는 한 뼘도 없다”고 연설하였다.

① 벌족이 토지의 재분배를 꾀함

② 벌족파들이 세력을 잃고 몰락함

③ 시민계급의 성장이 뚜렷해짐

④ 콜로나투스(소작제)가 사라져 감

⑤ 라티푼디움(대농장)의 경영이 확대됨

<표>는 아버지의 사회적 지위와 아들의 사회적 지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 중 이 표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단위 : %)
아버지의 사회적 지위 \ 아들의 사회적 지위합계
81110
128130
195060
합계103852100
보기
ㄱ. 아들 대에는 중간층이 늘었다.
ㄴ. 신분제도가 강화되는 과정이다.
ㄷ. 아버지의 사회적 지위가 아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ㄹ. 산업화된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ㄷ, ㄹ

그림에 표시된 강수량 분포도를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① 강수량은 해발 고도와 관계가 깊다.

② 여름에 강수가 많은 지역은 지형과 관계가 깊다.

③ 겨울에 강수가 적은 지역은 내륙 산간 분지 지역이다.

④ 겨울에 강수가 많은 지역은 북서 계절풍의 영향이 크다.

⑤ 여름에 강수가 적은 지역은 바다로부터의 거리와 관련이 있다.

다음 <보기>의 역사 진행과정에서 ㉡은 ㉠의 결과이면서 ㉢의 원인이 되었던 사항이다. ㉡에 들어가야 할 가장 타당한 것은?
보기
㉠ 열강의 서세 동점 - ㉡          - ㉢ 일본은 영국에게 빼앗긴 경제손실을 조선에서 만회함

① 조선책략의 유포

② 위정척사사상의 등장

③ 군국기무처의 설치

④ 불평등조약의 체결

⑤ 최혜국대우의 규정

다음 글의 논리로 보아 내릴 수 있는 <보기>의 결론 중 옳은 것은?
자본주의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자유방임의 경제시책이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을 가져왔다. 신흥 상공업자들의 근면과 절약 정신 및 선의의 경쟁은 생산을 증대시키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래서 개개인의 자유를 최대한으로 보장하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을 거쳐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여러가지 사회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근대사회가 약속하였던 자유와 평등은 환상에 불과하게 되었다.
보기
ㄱ. 최소의 정치가 최선의 정치이다.
ㄴ. 자유를 제한하는 정치가 좋은 정치이다.
ㄷ. 정부가 국민경제를 규제·조정할 필요가 생겼다.
ㄹ. 자유의 보장뿐만 아니라 평등의 실현도 중요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 (가)의 지역에 그림 ⓐ 또는 ⓑ와 같이 공장이 분포할 수 있다.
노동력은 도시에서만 공급될 때, 그림 ⓐ 또는 ⓑ와 같은 형태로 공장의 분포가 나타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제조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하는 제조업에서는 ⓐ와 같다.

② 제조과정에서 무게가 증가하는 공업은 ⓑ와 같다.

③ 제조과정에서 소비자와 정보 교환이 필요한 공업은 ⓐ와 같다.

④ 원료 운송비가 제품 운송비보다 많이 드는 공업은 ⓑ와 같이 나타난다.

⑤ 제조과정에서 원료의 무게와 제품의 무게가 큰 차이가 없는 산업은 ⓐ와 같다.

<보기>의 내용을 종합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보기
○ 태어나자마자 다락방 속에 갇혀서 자란 안나라라는 소녀는, 식사 예절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있다.
○ 어렸을 때부터 미국에서 자란 영수는 우리나라에 와서, 학교 선배를 모실 줄 모른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 월남의 어린이들은 어른 앞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어른들도 나무라지 않는다.

① 규범은 나라마다 다르다.

② 규범은 사회속에서 학습된다.

③ 어린이는 규범을 알지 못한다.

④ 어른들이 먼저 규범을 지켜야 한다.

⑤ 규범을 지키지 않으면 제재를 받는다.

<보기>와 같은 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직접적인 근거가 되지 않는 것은?
보기
○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려는 태도를 가져야겠다.
○ 정보를 사전에 점열하여 국민 생활의 혼란을 막아야겠다.
○ 정보 매체의 자율성과 중립성을 보장해 주는 방안을 강구하여야겠다.

① 정보 매체는 외부의 압력을 받기도 한다.

② 정보는 조작되기도 하고 부정확한 경우도 있다.

③ 정보의 거의 대부분은 정보 매체를 통하여 전달된다.

④ 잘못된 정보는 개인과 사회에 엄청난 해를 끼치기도 한다.

⑤ 정보가 다양하여 정보의 질을 판별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수요-공급의 원리가 지배하는 시장에서 정부가 어떤 상품에 대한 최고가격제(상한가 설정)를 실시하였다. 다음 그래프를 참고할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정부 최고가격에서는 $\text{Q}_1$-$\text{Q}_2$의 초과수요가 발생할 것이다.

② 정부 최고가격에서 소비자는 $\text{P}_1$ 수준의 가격까지 지불할 용의가 있을 것이다.

③ 정부 최고가격에서 공급량 $\text{Q}_1$을 배분하는 방법은 경제사회마다 다를 수 있다.

④ $\text{Q}_1$- $\text{Q}_3$의 초과공급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나면 암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

⑤ 정부의 행정력이 약하면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가격은 결국 $\text{P}_0$ 수준으로 되돌아 갈 가능성이 있다.

그림은 도시가 발달해 있는 분지 지형의 단면과, 바람이 없는 추운 겨울밤에 나타난 수직 기온의 분포를 보여준다. 이때 ㉮~㉱지점 중에서 대기 오염이 가장 심한 지점은 ㉰이다. 그 이유를 <보기> 중에서 고른다면?
보기
ㄱ. 대기의 안정으로 공기의 순환이 없기 때문에
ㄴ. 지대가 낮아 하천을 통해 오염물질이 모이기 때문에
ㄷ. 0℃ 이하의 기온은 오염물질을 유발하여
ㄹ. 복사에 의한 열이 보존되어 지면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모두

<보기>와 같은 의사 결정중, 그 결과에 영향을 받는 사람을 우선적으로 배려하고 있는 것은?
보기
ㄱ. 학생의 본분을 지키게 하고 학교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하여, 교복을 입히기로 결정하였다.
ㄴ. 지체 부자유 학생이 있는 학급의 교실은 1층에 배정하기로 결정하였다.
ㄷ. 특별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도 부족하니, 지원하는 학생이 몇명 안되는 원예반은 없애기로 하였다.
ㄹ. 학생들에게 건전한 소비 의식과 저축 정신을 함양하기 위하여, 매월 일정액 이상씩 저축하도록 하였다.
ㅁ. 학교 뒷편에 아파트가 새로 들어서자, 그 쪽에 학교 출입문을 하나 더 만들기로 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ㄷ, ㅁ

⑤ ㄹ, ㅁ

그림 ⓐ는 튀넨의 ‘고립국’의 농업 토지 이용에 관한 이론을 나타낸 것이다. 그의 이론에 적용된 다음의 전체 조건 중, 어느 것이 달라지면 그림 ⓐ에서 ⓑ로 바뀐다. <보기>에서 그 결정적인 조건을 고른다면?
보기
ㄱ. 고립국에는 토양의 비옥도가 동일하다.
ㄴ. 고립국 내부는 기후 조건이 동일하다.
ㄷ. 운송수단은 우마차에 한한다.
ㄹ.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이동의 용이성에는 차이가 없다.
ㅁ. 고립국에는 중앙에 하나의 도시가 있으며, 이것은 유일한 판매 시장이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ㄷ, ㅁ

⑤ ㄹ, ㅁ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음은 빙하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만약 빙하가 화살표 방향으로 E의 왼쪽까지 후퇴한다면 새로운 퇴적층이 쌓이는 지점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A - B - C - D - E

② B - C - D - E - A

③ C - D - E - A - B

④ D - E - C - B - A

⑤ E - D - C - B - A

아래 그림은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00g의 물이 온도가 변화할 때, 위 그림에서 그 부피가 가장 큰 위치는?

① P

② Q

③ R

④ S

⑤ T

[3~4]
마을 사람들이 10일 동안 외부의 단수에도 수도 물을 공급받도록 그림과 같은 구모양의 물탱크가 지상 약 20m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물탱크는 같은 굵기인 3개의 속이 찬 둥근 석기둥으로 받쳐 있고, 이 석기둥은 필요 이상 굵게 되어 있지 않다.
30일 동안의 단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물탱크를 크게 할 때 10일짜리 물탱크와 30일짜리 물탱크의 직경의 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1 : 1.4

② 1 : 1.7

③ 1 : 3

④ 1 : 9

⑤ 1 : 27

큰 물탱크를 설치하려면 3개의 석기둥도 현재 것보다 더 굵어야 한다. 10일짜리 탱크용 석기둥과 30일짜리 탱크용 석기둥의 반지름의 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물탱크를 만드는 석의 무게의 증가는 무시한다.)

① 1 : 1.4

② 1 : 1.7

③ 1 : 3

④ 1 : 9

⑤ 1 : 27

플라나리아의 재생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철수는 비슷한 크기의 플라나리아들을 머리, 중간, 꼬리 부분으로 잘라 5개의 접시에 각각 20조각씩 넣었다. 그 후 2주 동안 배양액, 빛, 온도가 다른 조건에서 배양한 후 재생된 개체수를 조사해 보니 아래 표와 같았다.
접시부위배양액빛의 조건온도재생개체수
꼬리연못물밝은 곳105
머리개울물어두운 곳258
머리개울물밝은 곳206
중간개울물어두운 곳255
꼬리연못물밝은 곳259
위의 표에서 온도가 플라나리아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해야 할 접시 2개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다음은 어느 지역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지질 단면도이다.
위의 단면도에서 천연가스, 석유, 물이 함유되어 있는 부분은?

① [천연가스] : A / [석유] : B / [물] : C

② [천연가스] : A / [석유] : C / [물] : B

③ [천연가스] : B / [석유] : C / [물] : D

④ [천연가스] : B / [석유] : D / [물] : C

⑤ [천연가스] : C / [석유] : D / [물] : B

[7~9]
정희는 아래와 같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어떤 금속이 산화될 때 나타나는 질량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때, 질량을 측정하면서 가끔씩 집게로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이 실험에서 뚜껑을 가끔씩 열었다 닫는 이유는?

① 도가니가 지나치게 가열되면 위험하므로

② 도가니 속의 팽창된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③ 밖의 공기가 도가니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④ 금속이 지나치게 가열되는 것을 막으려고

⑤ 지나치게 가열되면 뚜껑이 깨질 염려가 있으므로

이 실험에서 얻은 자료는 <보기>와 같다.
보기
도가니 + 뚜껑의 질량 : 23.50g
도가니 + 뚜껑 + 금속의 질량 : 23.68g
도가니 + 뚜껑 + 산화된 금속의 질량 : $x$g
시간 (분)12345
질량 $x$ (g)23.7223.7623.7923.8023.80
이 실험 자료로부터 금속의 질량과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을 구하면?

①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04

②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18

③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30

④ [금속의 질량(g)] : 0.18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04

⑤ [금속의 질량(g)] : 0.18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12

이 실험을 세 번 반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횟수금속의 질량(g)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10.060.04
20.220.14
30.300.20
실험결과로 부터, 위 실험에서 생성된 금속산화물의 실험식을 구했을 때 옳은 것은? (단, 산소의 원자량은 16이고, 금속의 원소기호는 X, 원자량은 24로 한다.)

① $\text{XO}$

② $\text{XO}_{2}$

③ $\text{X}_{2}\text{O}$

④ $\text{X}_{2}\text{O}_{3}$

⑤ $\text{X}_{3}\text{O}_{2}$

[10~11]
한 실험에서 날콩과 삶은콩이 물을 얼마나 흡수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날콩 6봉지와 삶은콩 6봉지를 준비하였다. 그 열두 봉지를 따뜻하면서 습한 곳에 두고 매일 같은 시각에 각각 한 봉지씩 꺼내 콩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를 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일수날콩의 무게삶은콩의 무게
06.406.00
16.676.24
27.016.47
37.346.83
47.367.01
57.347.34
67.357.82
아래 <보기>는 위 실험과 관련된 진술이다.
보기
ㄱ. 콩들은 싹이 트기 시작한 직후 며칠 동안 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ㄴ. 삶은콩은 매일 무게가 증가했다.
ㄷ. 공껍질을 통해 물이 흡수되기 위해 콩이 살아있지 않아도 된다.
ㄹ. 5일째에 날콩과 삶은콩의 무게가 같았다.
ㅁ. 삶은콩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은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 때문이다.
다음 중 위의 <보기>에서 관찰된 사실만으로 묶은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ㄹ, ㅁ

위의 <보기>에서 실험결과에 의해 잠정적으로 지지되는 결론들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ㄹ, ㅁ

[12~13]
전기회로 요소 $\text{R}_{1}$ 및 $\text{R}_{2}$의 전류(I)와 전압(V) 사이의 관계는 다음 그림과 같다.
다음 질문을 읽고 <보기>에서 골라 답하시오.
$\text{R}_{1}$과 $\text{R}_{2}$를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할 때 <보기> 중 A에서 B로 흐르는 전류(I)와 A와 B에 가해준 전압(V)의 관계를 가장 가깝게 나타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text{R}_{1}$과 $\text{R}_{2}$를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할 때 <보기> 중 A에서 B로 흐르는 전류(I)와 A와 B에 가해준 전압(V)의 관계를 가장 가깝게 나타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14~15]
아래 그림은 큰 호수와 강이 만나는 하구의 생태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그 주위의 주요 특징들을 표시한 지도이다.
C지역에서 D지역까지 식물 군락(군집)을 조사하였다. C에서 D로 가면서 볼 수 있는 식물의 군락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낙엽수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② 낙엽수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③ 농작물 - 낙엽수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④ 농작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농작물

⑤ 초지(토끼풀 등)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 농작물

지도 위에 표시한 ㉮~㉲의 다섯 장소 중 동물들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곳은? (단, 동물은 물, 지표, 지상에 사는 모든 동물 포함)

① ㉮

② ㉯

③ ㉰

④ ㉱

⑤ ㉲

[16~17]
다음 그림과 같이 회전열차 놀이터에서 엔진이 없는 궤도차가 반경 20m의 루프형태의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이 궤도차는 궤도차를 탄 사람이 B점에서 원심력을 느끼지 못하는 속도로 운동하고 있다. (단, 원운동의 중심으로 향한 가속도는 ‘$속도\times 속도/반경$’이고, 중력가속도는 10$\text{m}/\text{s}^{2}$로 계산한다.)
이 궤도차의 B점에서의 속도는?

① 10m/s

② $10\sqrt{2}$m/s

③ 20m/s

④ $20\sqrt{2}$m/s

⑤ 100m/s

다음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궤도차는 제일 높은 곳인 B점에서 제일 느리다.

② 궤도차가 B점에 가면 A점보다 위치에너지를 더 갖는다.

③ 궤도차는 계속 빨라져서 D점에서 C점보다 2배의 속력이다.

④ 마찰력이 없으면 A점에서는 들어온 속력과 나갈 때의 속력이 같다.

⑤ B점에서 원심력을 느끼지 못하고 마찰력이 없는 상태라면 A점에서의 속력도 구할 수 있다.

[18~19]
아래 표는 여러 조건하에서 염산에 티오황산나트륨을 넣었을 때의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0.5M 염산의 양 (mL)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 (M)온도 (℃)반응속도 (1/s)
500.12200.0180
500.06200.0091
500.03200.0046
500.03300.0089
500.03400.0180
이 실험설계로 보아 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리라고 생각한 변인을 <보기>에서 바르게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염산의 양
ㄴ. 온도
ㄷ. 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 실험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을 <보기> 중에서 바르게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온도에 정비례한다.
ㄴ.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염산의 양과는 무관하다.
ㄷ.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에 정비례한다.
ㄹ.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온도가 10℃ 올라감에 따라 2배 정도 증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ㄷ, ㄹ

[20~21]
아래 그림은 과냉각 상태의 물과 얼음의 포화수증기압과 그들의 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위 그림에서 물과 얼음의 포화수증기압 차가 가장 클 때의 온도와 수증기압은?

① [온도 (℃)] : $-5$ / [수증기압 (mb)] : 0.3

② [온도 (℃)] : $-5$ / [수증기압 (mb)] : 0.5

③ [온도 (℃)] : $-12$ / [수증기압 (mb)] : 1.0

④ [온도 (℃)] : $-12$ / [수증기압 (mb)] : 2.0

⑤ [온도 (℃)] : $-20$ / [수증기압 (mb)] : 3.0

기온이 0℃보다 낮은 상공의 구름속에 과냉각 상태의 물과 빙정이 섞여 있다. 같은 온도에서 과냉각 물의 포화수증기압이 빙정의 포화수증기압보다 높으면 공기속의 수증기는 빙정의 둘레에 달라붙어서 서리같은 성에가 생긴다. 위 그림에서 냉장고 안에 성에가 낄 때 가장 잘 생기는 지점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만약 달에서 우주비행사가 일식이 일어나는 현상을 보았다면 이 때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① 달의 위상이 삭이므로 일식이 일어난다.

② 달의 위상이 삭이므로 월식이 일어난다.

③ 달의 위상이 망이므로 일식이 일어난다.

④ 달의 위상이 망이므로 월식이 일어난다.

⑤ 달의 위상과 관계없이 일식이 일어난다.

[23~24]
한 연구원이 식수 속에 들어 있는 플루오르가 치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0개 도시에서 어린이 7,000여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아래 그림에는 각 도시 어린이들의 평균 충치 수와 이들이 마신 식수의 플루오르 농도가 나타나 있다.
이 조사결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끼리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식수속의 플루오르 농도는 치아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준다.
ㄴ. 식수속의 플루오르 농도가 증가할수록 치아의 건강에 이롭다.
ㄷ. 이 자료만으로는 플루오르 농도가 치아에 주는 영향을 말하기 어렵다.
ㄹ. 플루오르 농도가 0.5ppm 이하인 식수를 마신 어린이들은 충치를 많이 갖고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ㄱ, ㄴ,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이 연구원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식수의 플루오르 농도는 1.0ppm 수준이 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에 대한 다음 의견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 플루오르는 몸에 해로우므로 이 주장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② 조사과정과 결과를 볼 때 이 주장은 받아들일 만하다.

③ 그렇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어린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④ 그렇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도시의 어린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⑤ 개개인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이므로, 국민들의 의견을 조사한 후 다수의 의견에 따라야 할 것이다.

[25~26]
사람의 신장에서 여과되는 혈액량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이눌린이라는 물질을 사용한다. 이눌린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세뇨관에서 재흡수나 분비가 일어나지 않고 바로 오줌으로 배설된다. 사람의 혈관 속에 이눌린을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여 하루 동안 혈액 속의 이눌린 농도를 혈액 1L당 6mg으로 유지하였다. 분석결과, 하루 동안 배설된 오줌 속에서 1.02g의 이눌린이 나왔다.
사구체에서 하루 동안 여과된 총 혈액의 양은?

① 80L

② 130L

③ 150L

④ 170L

⑤ 190L

하루 동안 배설된 오줌 속에서 25.5g의 요소가 나왔다. 이 기간 동안 혈액 속의 요소 농도가 300mg/L이었다면 사구체에서 여과된 요소의 몇 %가 재흡수되었는가?

① 20%

② 35%

③ 50%

④ 75%

⑤ 90%

미국의 해양탐사선 그로마 챌린저 호는 대서양 해저에서 일련의 시추를 통해 암석을 채취하여 대양저 산맥으로부터의 거리와 연령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양저 산맥으로부터의 거리 (km)암석의 측정연령 (백만년)
20010
42024
52027
75032
86040
100048
130066
168078
위의 자료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① 대양저는 계속 이동하며 확장한다.

② 대양저의 이동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③ 대양저의 이동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④ 대양저 산맥을 직각으로 자르는 변환단층이 있다.

⑤ 대양저 산맥에서의 거리나 암석의 연령과는 관계가 있다.

[28~29]
다음의 왼쪽 그림과 같이 물체가 ⓐ 위치에서 자유낙하를 시작하여 바로 ⓑ 위치를 통과하고 한참 후 ⓒ 위치를 통과한다. 이 물체는 중력 및 속도에 정비례하는 저항력을 받으면서 운동하고 있다. 운동분석을 위하여 ⓑ, ⓒ 두 위치에서 $\Delta t$ 시간마다 조명되는 다중 섬광 사진을 찍었다.
ⓑ, ⓒ 두 위치에서 찍은 사진을 분석한 속도와 시간의 관계는 각각 아래의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단, 중력 가속도는 10$\text{m/s}^{2}$, 물체의 질량은 1g이다.)
$\Delta t$ 시간에 가장 가까운 시간은?

① 1초

② 1/20초

③ 1/40초

④ 1/200초

⑤ 1/1600초

낙하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저항력을 $kv$라고 표시하면 $k$의 값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v$는 속도이다.)

① 0.1g/s

② 0.2g/s

③ 0.3g/s

④ 0.4g/s

⑤ 0.5g/s

[30~31]
짚신벌레에는 체내에 클로렐라를 갖고 있어 녹색을 띠는 짚신벌레와 보통의 투명한 짚신벌레가 있다. 빛은 충분히 주고 먹이 조건을 다르게 하여 두 종류 짚신벌레의 개체 수를 조사하였다.
빛이 없을 때 생장곡선이 위의 것과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①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 [먹이 조건] : 풍부

②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 [먹이 조건] : 부족

③ [짚신벌레의 종류] : 투명 / [먹이 조건] : 풍부

④ [짚신벌레의 종류] : 투명 / [먹이 조건] : 부족

⑤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투명 / [먹이 조건] : 풍부

연못에 사는 녹색짚신벌레의 생존에 가장 유리한 점은?

① 삼투압 조절이 쉽다.

② 수초와 같은 색으로 보호색을 띤다.

③ 클로렐라로부터 동화물질을 제공받는다.

④ 클로렐라로부터 무기염류를 제공받는다.

⑤ 클로렐라로부터 산소를 제공받는다.

[32~33]
다음은 행성의 회합주기, 공전주기, 거리를 보여주는 표이다.
행성회합주기 (일)공전주기 (년)거리 (AU)
수성1160.240.39
금성5840.620.72
지구-1.001.00
화성7801.881.52
목성39911.865.20
토성37829.419.54
천왕성37084.0119.20
해왕성368164.7930.10
명왕성367248.6039.50
만약 10번째 행성이 발견된다면 그 행성의 회합주기에 가까운 것은?

① 300일

② 335일

③ 350일

④ 365일

⑤ 380일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소행성의 회합주기와 공전주기를 추정한다면 그 범위는? (단, $거리 = 0.4 + 0.3\times 2^{n}$, $n = 3$)

① [회합주기] : 367 이하 / [공전주기] : 248.60 이상

② [회합주기] : 368 이상 370 이하 / [공전주기] : 84.01 이상 164.79 이하

③ [회합주기] : 378 이상 399 이하 / [공전주기] : 11.86 이상 29.41 이하

④ [회합주기] : 399 이상 780 이하 / [공전주기] : 1.88 이상 11.86 이하

⑤ [회합주기] : 780 이상 / [공전주기] : 1.88 이하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x=1992$, $y=4325$일 때, $\dfrac{x+yi}{y-xi}+\dfrac{y-xi}{x+yi}$의 값은? (단, $i =\sqrt{-1}$)

① $0$

② $1$

③ $-1$

④ $i$

⑤ $-i$

다항식 $x^{49} +x^{25}+x^{9}+x$를 $x^{3}-x$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R(x)$라 하면, $R(2)$는?

① $8$

② $10$

③ $14$

④ $16$

⑤ $20$

각 자리의 수의 합이 $9$의 배수인 $10$ 이상의 자연수 $n$은 $9$의 배수임을 다음과 같이 보이려고 한다.
주어진 자연수 $n$의 일의 자리의 수를 $B$라 하면
적당한 자연수 $A$에 대하여 $n=10A+B$라 쓸 수 있다.
$10A+B=9A+(A+B)$이므로 가정으로부터
$A+B$는 $9$의 배수이고, $9A$도 $9$의 배수이므로
$n$은 $9$의 배수이다.
위 과정에서 밑줄 친 부분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없다.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P(x^{2} +1) = \left\{ P(x) \right\}^{2} +1, P ( 0) =0$$ 을 만족하는 2차 이하의 다항식 $P(x)$의 개수는?

① 1

② 2

③ 3

④ 없다.

⑤ 무수히 많다.

유리수 전체의 집합을 $Q$라 하고 자연수 $n$에 대하여 집합 $A_{n}$을 $$A_{n} =\left\{x \in Q \left|\, x-[x]=\dfrac{1}{n}\right.\right\}$$ 과 같이 정하면, 다음 중에서 참인 것은?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 정수를 나타낸다.)

① $-\dfrac{4}{3}\in A_{3}$

② $A_{2}\subset A_{4}$

③ $A_{4}\subset A_{2}$

④ $A_{2}\cap A_{3} =\phi$

⑤ $A_{5}=\left\{\dfrac{1}{5}, \dfrac{6}{5}, \dfrac{11}{5}, \cdots,\dfrac{51}{5}\right\}$

구간 $[0, 1]$을 $10$등분하여 앞에서부터 여섯 번째 구간을 버린다. 두 번째 시행에서도 남은 $9$개의 구간을 구간별로 각각 $10$둥분하여 여섯 번째 구간들을 버린다. 이와 같은 시행을 계속 반복할 때, 다음 중 세 번째 시행에서 버려진 구간에 있는 숫자는?

① $0.45237$

② $0.52421$

③ $0.77533$

④ $0.89154$

⑤ $0.99175$

반지름이 각각 $10$, $20$인 두 개의 원이 있다. 큰 원이 작은 원의 원둘레를 이등분하도록 교차할 때, 두 교점 간의 거리는?

① $20$

② $25$

③ $10\sqrt{3}$

④ $20\sqrt{3}$

⑤ $25\sqrt{3}$

넓이가 $4$이고 $B=30\degree$인 $\triangle ABC$ 중에서 $\overline{AC}$가 최소일 때, $\overline{AB} + \overline{BC}$의 값은?

① $5$

② $6$

③ $7$

④ $8$

⑤ $9$

좌표평면 위의 점 $(x, y)$에서의 높이가 $x^{2}+y^{2}-x$인 입체가 있다. 좌표평면 위의 집합 $\left\{(x,y)\,|\,x^{2}+y^{2}-x=n\right\}$을 이 입체에 대한 높이 $n$에서의 등고선이라 하자. 이때, 높이 $0$, $1$, $2$, $3$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 것은?
좌표평면 위의 두 영역 $$A=\left\{(x,y)\,|\,|x|\le 2\text{, }|y|\le 2\right\},  B=\left\{(x,y)\,|\,0\le y\le 1-|x|\right\}$$ 에 대하여 영역 $$\left\{(a_{1}+b_{1},a_{2}+b_{2})\,|\,(a_{1}, a_{2})\in A\text{, }(b_{1}, b_{2})\in B\right\}$$ 가 나타내는 도형의 모양은?
그림과 같이 $4$, $6$, $20$, $x$, $y$가 오각형의 인접한 변의 길이가 되도록 $x$, $y$가 변할 때, $x^{2}+y^{2}$의 최소 정수 값은? (단, 각 꼭지점의 내각의 크기는 $180\degree$보다 작다.)

① $45$

② $48$

③ $51$

④ $54$

⑤ $57$

자연수 $n$에 대하여 $a_{n}$은 $n!$을 $100$으로 나눈 나머지이다. 이때, $\displaystyle\sum_{n=9}^{12}a_{n}$의 값은?

① $60$

② $65$

③ $70$

④ $75$

⑤ $80$

그릇 A에는 농도 $p$%의 소금물 300g, 그릇 B에는 농도 $q$%의 소금물 300g이 있다. 동시에 100g씩 퍼내어 서로 교환해 섞는 시행을 $n$회 반복한 후, 그릇 A의 소금물의 농도를 $a_{n}$, 그릇 B의 소금물의 농도를 $b_{n}$이라 하면 $$\begin{pmatrix}a_{n+1}\\b_{n+1}\end{pmatrix}=\begin{pmatrix}a&b\\c&d\end{pmatrix}\begin{pmatrix}a_{n}\\b_{n}\end{pmatrix}\,\, (단,\,\,n=1,\,\,2,\,\,3,\,\,\cdots)$$ 이다. 이때, 행렬 $\begin{pmatrix}a&b\\c&d\end{pmatrix}$는?

① $\begin{pmatrix}1&2\\1&2\end{pmatrix}$

② $\begin{pmatrix}2&1\\1&2\end{pmatrix}$

③ $\begin{pmatrix}\dfrac{1}{3}&\dfrac{2}{3}\\\dfrac{1}{3}&\dfrac{2}{3}\rule{0pt}{3.5ex}\end{pmatrix}$

④ $\begin{pmatrix}\dfrac{2}{3}&\dfrac{1}{3}\\\dfrac{1}{3}&\dfrac{2}{3}\rule{0pt}{3.5ex}\end{pmatrix}$

⑤ $\begin{pmatrix}\dfrac{1}{3}&2\\2&\dfrac{1}{3}\end{pmatrix}$

곡선 $y=x^{2}$ 위의 점 $P(x, y)$에 대하여 $A(x)$를 세 점 $O(0, 0)$, $P(x,y)$, $Q(1,0)$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라 하고, $B(x)$를 세 점 $O(0, 0)$, $P(x,y)$, $R(0,1)$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라 하자. 이때, $\displaystyle\lim_{x\to 0}\dfrac{A(x)}{B(x)}$의 값은?

① $0$

② $\dfrac{1}{2}$

③ $\dfrac{1}{\sqrt{2}}$

④ $1$

⑤ $2$

오른쪽 그림은 $-1<x<6$에서 정의된 함수 $y=f(x)$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f^{\prime}(2)$는 양수이다.

② $\displaystyle\lim_{x\to3}f(x)$가 존재한다.

③ $f(x)$의 불연속인 점은 $2$개이다.

④ $f(x)$의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3$개이다.

⑤ $f^{\prime}(x)=0$인 점은 $2$개이다.

곡선 $y=x^{3}$ 위의 점 $(a, a^{3})$에서의 접선과 $y$축과의 교점을 $(0,g(a))$라 할 때, $\displaystyle\lim_{a\to \infty}\dfrac{g(a)-g\left(\sqrt{a^{2}+a}\right)}{a^{2}}$의 값은? (단, $a>0$)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어떤 주사액을 환자에게 $m$만큼 투여했을 때 환자의 혈압 $P$는 $$P=m^{2}\left(\dfrac{c}{2}-\dfrac{m}{3}\right)$$ 으로 주어진다고 하자. 이 주사액을 투여하기 시작하여 환자의 혈압이 떨어지는 순간부터 투여를 중단한다. 투여량에 대한 혈압의 변화율이 가장 클 때의 주사액의 투여량은? (단, $c$는 양의 상수)

① $\dfrac{c}{3}$

② $\dfrac{c}{2}$

③ $\dfrac{2c}{3}$

④ $\dfrac{3c}{4}$

⑤ $c$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ABCD$ 내부의 점 $P$를 임의로 택할 때, $\triangle ABP$가 예각삼각형이 될 확률은?

① $\dfrac{1}{2}$

② $\dfrac{2}{3}$

③ $\dfrac{\pi}{10}$

④ $1-\dfrac{\pi}{10}$

⑤ $1-\dfrac{\pi}{8}$

한 개부터 여섯 개까지의 점이 찍혀 있으나 각 면이 나타날 확률이 모두 다른 주사위가 있다. 이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나타나는 눈의 수를 $X$라 하자. $X$의 기댓값을 구해 보니 $E(X)=3.5$이었다.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이 주사위는 $X$의 값이 $3$ 또는 $4$일 확률이 가장 크다.

② 이 주사위를 매우 많이 던질 때 나오는 $X$의 값들 전체의 평균이 약 $3.5$이다.

③ 이 주사위를 매우 많이 던질 때 $X$의 값은 $3.5$ 근처의 값이 가장 많을 것이다.

④ 이 주사위를 던질 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X$의 값은 $3.5$이다.

⑤ 이 주사위를 매우 많이 던질 때 $X$ 값들의 확률분포는 정규분포를 이룬다.

다음 그림은 어느 도시의 주요 도로망과 소매상점 $A$, $B$, $C$, $D$, $E$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상점에 물을 공급할 도매상점을 가, 나, 다, 라, 마 중의 한 곳에 정하려 한다. 각 소매상점에서 도매상점까지 도로를 따라 다녀오는 왕복거리를 각각 $|A|$, $|B|$, $|C|$, $|D|$, $|E|$라 할 때, $|A|+|B|+|C|+|D|+|E|$가 최소가 되는 도매상점의 위치는? (단, 모든 도로는 수직으로 교차한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6번까지는 듣고 푸는 문제입니다. 방송을 잘 들으면서 문제지를 동시에 보아 가며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듣는 내용은 한 번만 들려 드립니다.
<물음> 맨 마지막에 말을 한 사람이 말을 계속 이어간다면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당한 것은?
그럼! 말이 안 되지.         

① 하나를 보면 열을 알 수 있다는 말이 있잖아!

② 나는 바담 풍 해도 너는 바람 풍 하라는 게 말이 되니?

③ 바가지를 뒤집어 쓴대서 벼락을 피할 수 있을 거 같애?

④ 수험생이 죄다 틀렸다고 정답이 오답 되기도 하는 거니?

⑤ 말로써 말 많으니 말 말올까 하노라. 이런 말도 모르니?

<물음> 이 여학생이 범하고 있는 잘못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흑백 논리

② 연민에 호소

③ 인신 공격

④ 잘못된 유추

⑤ 역공격

<물음> 이 발언자가 주장한 핵심 사항은?

① 청소년들이 책을 읽지 않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② 책은 여전히 정보 전달 기능을 갖고 있다.

③ 정보는 어느 곳에서 얻든지 무방하다.

④ 영상 및 전파 매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⑤ 현대에는 신속하고 많은 정보가 요구된다.

<물음> 위의 이야기로 미루어 공자가 판정을 내리기 어렵다던 까닭으로 생각되는 것은?

① 두 아이가 모두 논리적으로는 올바른 생각을 하고 있기에

② 두 아이가 모두 사실에 맞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③ 두 아이가 모두 터무니 없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④ 한 아이는 논리적으로 올바른 반면 다른 아이는 사실에 맞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⑤ 두 아이가 모두 논리적으로 올바르고 사실에도 맞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물음> 이 대화에서 비평가가 말하는 내용과 일치하는 사실은?

① 작가는 시대의 예언자가 되어야 한다.

② 앞으로의 문학에서는 개성이 강조될 것이다.

③ 사실주의적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④ 문학은 현실에 대한 작가의 주관적 표현이다.

⑤ 고대의 민요는 현재에도 살아 있는 장르이다.

<물음> 이 대화의 중심이 되는 화제는?

① 문학의 주제

② 문학의 형식

③ 문학의 목표

④ 문학의 기능

⑤ 문학의 방향

이제 듣기 문제는 다 끝났습니다. 7번 문제부터는 읽고 답하는 문제입니다.
다음은 하나의 문단을 구성하는 문장들을 순서 없이 늘어놓은 것이다. 이 문장들 중에서 주제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불의 사용은 증기 엔진이라는 동력 혁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나) 불의 사용으로 인류는 다양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다) 불의 사용은 제련된 금속 무기의 발달을 가져오게 하였다.
(라) 불의 사용으로 인류는 문화사적 진보를 이루게 되었다.
(마) 불의 사용은 인간의 주거 가능 지역을 확장시켰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아래 글의 첫 문장에 구사된 비유의 의미가 이 글 전체에 일관성 있게 살아나도록 (㉠) - (㉣)을 채우고자 할 때, 다음 중 사용할 수 없는 하나는?
말은 돈과 같은 것이다. 과장된 말은 ( ㉠ )와 같고, 약속을 실천하지 못하는 말은 흡사 ( ㉡ )와 같으며, 의식적인 거짓말은 ( ㉢ )와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은 말이 다반사인 인간 사회는 건전성을 가지지 못하며, 마침내는 붕괴를 면치 못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말은 신용이 있어야 한다. 특히 정치가의 말은 ( ㉣ )와 같이 정확해야 한다.

① 부도 수표

② 보증 수표

③ 위조 지폐

④ 인플레

⑤ 이자

의미와 음성이 미묘하게 넘나들어 이중의 효과를 드러냄으로써 표현의 맛을 살려내고 있는 말을 (가)와 (나)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산 밑에 살자 하니 소쩍새도 부끄럽다
내 집을 굽어 보고 솥 적다 우는고나
두어라 안빈낙도이니 한(恨)할 줄이 있으랴
(나)
우리의 마음을 비추는 한낮
뒷숲에서 매미가 우네
오늘도 귀를 뜨고 마음을 뜨고,
아아 임의 말소리, 미더운 발소리,
또는 대님 푸르는 소리까지 어여삐 기삐 그려낼 수 있는
명명한 명명한 매미가 우네

① 산 밑에 — 뒷숲에서

② 소쩍새 — 대님

③ 부끄럽다 — 마음을 뜨고

④ 솥 적다 — 명명한 명명한

⑤ 한(恨)할 줄이 있으랴 — 기삐 그려낼 수 있는

다음은 불완전하고 부정확하게 쓰인 글이다. ㉠, ㉡ 부분을 모두 바르게 고쳐 쓴 것은?
현대 사회 속에 살아가는 인간들의 비극적 모습과 현대 사회의 부정적 특성을 ㉠이해하려며는 소외란 개념보다 더 흔히 사용되는 개념은 없는 것 같다.
현대 사회와 현대 인간을 자주 논하는 사회학자라면 소외 현상에 주목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지적 작업을 ㉡난관에 봉착시킨다.

① ㉠ : 이해하기 위해서는 / ㉡ : 파탄에 이르게 한다.

② ㉠ :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 ㉡ : 진전시킬 수 없을 것이다.

③ ㉠ : 파악할 때는 / ㉡ : 어렵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④ ㉠ : 잘 드러냄으로써 / ㉡ : 전환하게 만들 것이다.

⑤ ㉠ : 이해할 때마다 / ㉡ : 포기하게 될 것이다.

기술 및 경제의 측면에서 농경 사회와 산업 사회를 합리적으로 비교 또는 대조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양자(兩者)를 효과적으로 표상하는 각각의 소재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노예와 머슴

② 농기구와 무기

③ 베틀과 방직기

④ 기사(騎士)와 공장 노동자

⑤ 증기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스포츠는 전쟁이 아니다’를 주장하는 글을 쓰려고 할 때, 바람직한 글쓰기의 사고 과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스포츠의 속성과 전쟁의 속성을 생각나는 대로 모아 본다.

② 양자의 유사한 속성과 대립적 속성을 구분하여 정리해 본다.

③ 대립적 속성을 중심으로 그러한 속성이 지니는 가치를 판단한다.

④ 겉으로 유사하게 보이는 속성도 심층적 의미까지 유사한지 검토한다.

⑤ 스포츠의 속성이 전쟁의 속성을 모두 포괄하고도 남음을 밝힌다.

다음에서 결론이 부당하게 내려지고 있는 것은?

① 철수는 인본주의자임에 틀림없어. 인본주의자는 모두 남의 자유를 존중하는데 철수도 남의 자유를 존중하거든.

② 아니, 철수는 인본주의자가 아니야. 인본주의자는 모두 남의 자유를 존중하지만 철수는 그렇지 않거든.

③ 철수가 인본주의자라면 문수는 박애주의자일 텐데, 문수는 분명히 박애주의자가 아니니까 철수가 인본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해.

④ 철수는 인본주의자이거나 염세주의자 둘 중의 하나일 텐데 염세주의자는 아니거든. 그러니까 인본주의자야.

⑤ 철수가 인본주의자라면 쾌락주의자는 아니겠군. 어느 쾌락주의자도 인본주의자는 아니니까.

[14~17]
다음의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갑 : 철수처럼 비인간적인 사람은 없어. 지나치게 합리적이고 이성적이거든.
을 : 그렇지만 합리적이 아니면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합리적이고 이성적일수록 오히려 동물적이 아니라 더 인간적이라고 보아야 옳지. 인간이 동물일 수는 없지 않은가?
갑 : 아니, 그럼 자네는 인간이 동물이 아니라고 생각하나? 인간도 동물이네. 따라서 인간이란 비합리적인 구석을 갖게 마련이네. 그런데 철수는 도대체 감정이 없는 냉정한 사람이네. 어떤 일이 닥쳐도 냉정을 잃지 않을 사람이네. 정말로 인간이 아니네.
을 : 제 맘에 들지 않는다고 덮어놓고 같은 한 인간을 인간이 아니라고 매도하지 말게. 그런 생각이야말로 비인간적이라네. 그런 생각을 하는 자네같은 비인간적인 사람들 때문에 우리 사회가 이 모양 이 꼴이네. 냉정한 인간도 인간은 인간이야.
갑 : 아니, 자네 나한테 무슨 감정이 있는가? ‘내 맘에 들지 않는다고 덮어놓고’ 그런다니? 내 말꼬리를 잡고 늘어지는 자네야말로 정말 비인간적인 사람이군. 겉에 드러난 말만 보지 말고 그 말 속의 말을 들여다봐야지. 내가 하는 말 뜻도 알아듣지 못하는 주제에 누굴 비인간적이라고 운운하는가.
을 : 내가 자네에게 ㉠감정이 있을 까닭이 뭐 있는가. 자네가 엉뚱하게 인간적인 사람을 비인간적이라고 말하니까 그렇지. 그리고 자네 주장의 논리에 따르면 나에게 ㉡감정이 있는 것이 오히려 ‘인간적’일 텐데. 왜 ‘비인간적’이라고 비난하는가?
갑 : 그래! 나는 비논리적이고 자네는 정말 논리적이군. 빌려간 내 돈을 기일 안에 갚지도 못하는 자네가 논리를 운운하는 꼴이라니! 논리적인 인간은 다 그러냐?
철수에 대한 갑과 을의 견해 차이는 주로 무엇에 기인하는가?

① 철수와의 관계

② 동물에 대한 생각

③ 인간에 대한 관념

④ 서로에 대한 반감

⑤ 서로 다른 성품

갑의 마지막 발언에 대한 논리적 비평으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말이 폭력으로 변해 버렸군.

② 정말 인품을 알 만하군.

③ 흑백 사고에 물들어 있군.

④ 엉뚱한 이야기로 빠지고 말았군.

⑤ 자기당착이 되어 버렸군.

이 대화는 유익한 결실을 맺지 못하고 서로 마음만 상한 채 끝나고 말았다. 이런 결과를 가져온 갑과 을의 공통된 논리적 오류를 지적한 것은?

① 발언 내용을 벗어나서 발언자를 탓했다.

② 원인과 결과를 혼동했다.

③ 쓸 데 없이 권위에 매달렸다.

④ 성급한 일반화를 했다.

⑤ 복합적인 질문을 했다.

윗글 ㉠과 ㉡의 의미로 적합한 것은?

① ㉠ : 정서 / ㉡ : 평가

② ㉠ : 정서 / ㉡ : 느낌

③ ㉠ : 반감 / ㉡ : 호감

④ ㉠ : 불만 / ㉡ : 정서

⑤ ㉠ : 느낌 / ㉡ : 마음

[18~22]
다음 시들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그냥 갈까
그래도
다시 더 한 번……
저 山에도 가마귀, 들에 가마귀,
西山에는 해 진다고
지저귑니다.

앞 강물, 뒷 강물,
흐르는 물은
어서 따라오라고 따라가자고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나)
짐을 매어놓고 떠나려 하시는 이 날
어둔 새벽부터 시름없이 나리는 비
來日도 나리오소서 連日 두고 오소서
부디 머나먼 길 떠나지 마오시라
날이 저물도록 시름없이 내리는 비
저윽이 말리는 정은 나보다도 더하오
잡았던 그 소매를 뿌리치고 떠나신다
갑자기 꿈을 깨니 반가운 빗소리라
매어 둔 짐을 보고는 눈을 도로 감으오
(다)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님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西域 三萬里.
헌 옷깃 여며 여며 가옵신 님의
다시 오진 못하는 巴蜀 三萬里.
신이나 삼아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 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굽이굽이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울로 가신 님아.
㉠~㉤ 중 사실을 그대로 진술하고 있는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나)에서 자연은 ‘나’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① 수동적

② 긍정적

③ 수평적

④ 대조적

⑤ 우호적

(다)의 첫째 연에 나오는 ‘길’의 의미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시어는?

① 진달래

② 헌 옷깃

③ 메투리

④ 은장도

⑤ 은핫물

(다)의 둘째 연에 담긴 심정을 나타내는 말로 적당한 것은?

① 쾌도난마(快刀亂麻)

② 은인자중(隱忍自重)

③ 언어도단(言語道斷)

④ 각골난망(刻骨難忘)

⑤ 후회막급(後悔莫及)

위 세 편의 시는 유사한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그 정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잔 들고 혼자 앉아 먼 뫼를 바라보니
그리던 님이 오다 반가움이 이러하랴
말씀도 웃음도 아녀도 못내 좋아 하노라

②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더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서 울어 밤길 예놋다

③ 가노라 다시 보자 그립거든 어이 살고
비록 천리라도 꿈이면 아니 보랴
꿈 깨어 곁에 없으면 그를 어이 하리오

④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르더냐
이시랴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여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⑤ 있으렴 부디 갈다 아니 가는 못할소냐
무단히 싫더냐 님의 말을 들었느냐
그래도 하 애도래라 가는 뜻을 일러라

[23~2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최서방은 마흔두 살이엇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40여 년이라는 최서방의 생애는 몹시 단조하고도 곡절 많은 생애였다. 여남은 살에 어버이를 다 여의고, 그 때부터 그는 독립된 생활을 시작하였다. 촌집 머슴, 도회의 자유 노동, 행랑살이, 그러한 유의 온갖 직업에 손을 안 대어 본 것이 없었다.
정직한 이는 하늘이 아신다 하지만, 최서방의 존재는 하느님도 잊어버렸다. ㉡부지런한 자는 성공함을 본다 하지만, 최서방의 부지런은 그의 입조차 넉넉히 치지를 못하였다.
유랑에 유랑, 이 직업에서 저 직업으로, 이 집에서 저 집으로 — 최서방의 생애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이것이었다.
도회 친구들은 그의 너무 솔직함을 웃었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 나가기에는 5할의 부정직함과 5할의 비위가 있어야 한다 함을 가르쳤다. 그것이 영리함이라 하였다.
그리고 그도 그것이 ㉢진리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삶은 살 수가 없었다. 그러한 삶을 살아 보려고 노력까지 하여 보았으나 못하였다. 얼굴이 뜨거워 오며 스스로 속으로 불유쾌하여 할 수가 없었다.
천성은 어쩌나, 그는 ㉣단념하였다.
김장의네 집에서도 그의 정직함과 부지런함은 곧 나타났다.
그는 소와 같이 일하였다. 씩씩 말없이 일하였다. 일이 없을 때는 뜰을 쓸었다. 그리고도 일이 없으면 뜰의 돌을 주웠다. 그래도 그냥 일이 없으면 추녀끝, 토방 아래, 담장 모퉁이의 거미줄까지 없이하였다.
잠시도 그는 쉬는 때가 없었다. 정 할 일이 없으면 그는 일부러 일을 만들었다. 볏섬이 곱게 가려지지 않았다고 혼자서 헐어 가지고 다시 가렸다. 뜰이 낮다고 앞재에 가서 흙을 파다가 뜰을 돋우었다. 대문에서 김장의의 방 앞까지의 길을 돌로 깔았다.
윗글에 나타난 주인공의 삶을 가리키는 말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우여곡절(迂餘曲折)

② 파란만장(波瀾萬丈)

③ 적막강산(寂寞江山)

④ 안빈낙도(安貧樂道)

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윗글의 서술상 특징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주로 짧은 문장들을 써서 사건을 급속하게 진행시켰다.

② 요약과 구체화의 방법을 섞어 시각의 변화를 이루었다.

③ 외부 묘사에 치중하여 객관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④ 과장된 표현들에 의존하여 주인공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켰다.

⑤ 숫자를 고의로 부정확하게 나타내 독자들의 상상력을 촉진시켰다.

㉠과 ㉡처럼 교훈적인 내용을 직접적인 전달 방법과 간명한 형식을 통해 들려주고 있는 것은?

①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② 겨울이 되면 눈이 많이 내린다.

③ 실 가는 데 바늘 간다.

④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다.

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의 문맥상의 의미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① 논리적으로 타당한 것

② 객관적으로 입증된 것

③ 현실적으로 통용되는 것

④ 상식적으로 허용되는 것

⑤ 당위적으로 지켜야 할 것

㉣의 대상으로 알맞은 것은?

① 솔직함

② 부정직함

③ 비위

④ 영리함

⑤ 천성

[28~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조선 시대 전통 사회에서 농민을 주축으로 한 평민들은 농업과 가내 수공업에 의존하면서 주어진 환경에 문화적으로 적응하며 생활을 영위해 왔다. 그들은 대부분 농업 이외의 다른 생업의 선택 가능성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토지에 고착되어 있었으며 비이동성(非移動性)을 특징으로 했다. 그러나 그들이 생산한 농작물과 기초 생활용품은 생산자인 평민들 자신뿐만 아니라 소비자인 양반들의 생활을 가능케 한 물질적 기초였다.
(나)
유교를 기반으로 한 지배층의 이데올로기는 본질적으로 불평등한 신분 체제를 정당화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평민들은 그들의 생활권 밖에서 형성된 이데올로기에 반응하지도 못하고 관심을 가질 수도 없었다. 양반들은 수대에 걸친 대가족을 이상으로 하고 혈통과 가계 계승을 중시하는 조상 숭배 의례를 행했지만, 평민들의 가족은 부부 중심의 소가족이었고 그것이 그들의 농업 생산의 단위였다. 그래서 평민들은 양반의 조상 숭배 의례에 흉내만 내었을 뿐, 권력을 행사하기 위한 동족의 결합에는 무관심하였다.
(다)
평민들에게는 양반의 신분에 도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대부분 양반의 신분을 얻으려고 노력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스스로 권리를 덜 행사하거나 혜택을 덜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자기들에겐 권리가 없거나 그 이상의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태어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양반의 위치는 하늘의 별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느껴졌고, 신분의 상승이란 꿈도 꿀 수 없는 딴 세상의 것이었다.
(라)
항상 수탈의 대상이 되어 왔던 평민들은 불리한 생활 조건에서 가난에 찌들리고 심리적으로 불안과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는 뚜렷하게 내세울 만한 조상도 없었고 동족 간의 긴밀한 연대감도 없었다. 따라서 평민들에게는 집안의 터주와 조왕과 같은 가신(家神)과 마을의 서낭이나 산신과 같은 동신(洞神)을 위하고 받드는 집 단위의 무속 의례와 마을 단위의 동제(洞祭) 등 민간 신앙과 의례가 발달함으로써, 양반의 조상 숭배 의례와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마)
평민들은 항상 불리한 생활의 처지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무엇이든지 노력하면 이를 수 있다는 성취적인 인생관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대신 일이 되어가는 대로 자기에게 주어진 운명에 맡긴다는 일종의 ㉡숙명적인 태도를 널리 갖게 되었다.
윗글 각 문단에서 다루고 있는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가) - 생태와 경제

② (나) - 사회 통제

③ (다) - 사회 계층

④ (라) - 신앙과 의례

⑤ (마) - 인생관

양반과 평민에 대한 진술로 윗글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평민들의 경제적 역할은 생산자였다.

② 양반들은 대가족을 이상으로 삼았다.

③ 평민들은 무속 신앙 및 의례를 발달시켰다.

④ 양반들은 유교를 중심적인 이데올로기로 삼았다.

⑤ 평민들은 신분 상승에 대해 능동적인 태도를 가졌다.

다음 중 ㉠이 뜻하는 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자유친(父子有親)

② 군신유의(君臣有義)

③ 부부유별(夫婦有別)

④ 장유유서(長幼有序)

⑤ 붕우유신(朋友有信)

㉡의 뜻과 가장 대립적인 표현은?

① 등잔 밑이 어둡다.

②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니?

③ 될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④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⑤ 팔자는 독에 들어가서도 못 피한다.

윗글로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은?

① 동족 조직는 양반들에게서 발달하였다.

② 대가족은 생산의 단위로 부적절하였다.

③ 양반들은 이동적인 생활의 특성을 가졌다.

④ 양반들에게는 심리적 불안과 두려움이 없었다.

⑤ 양반들은 평민들의 신분 이동을 부분적으로 허용하였다.

윗글로부터 이끌어 낼 수 있는 적절한 가설이 아닌 것은?

① 이데올로기와 사회 계층은 상호 관련된다.

② 혈연 의식과 경제적 분업은 상호 관련된다.

③ 생태적 적응과 생활의 이동성은 상호 관련된다.

④ 전체적인 생활 조건과 인생관은 상호 관련된다.

⑤ 사회적, 심리적 조건과 종교적 신앙은 상호 관련된다.

[34~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금으로부터 약 40년 전 허친슨 박사는 소위 늪지의 기체로 불리는 메탄가스가 생물학적 작용의 산물임을 일깨워 주었다. 처음에는 그도 메탄가스의 대부분이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들의 방귀로부터 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비록 되새김질 동물(반추 동물)들의 기여도를 부정할 필요는 없다고 하더라도, 우리들은 현재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해저, 늪지, 습지, 하구 등 탄소 화합물이 많이 묻혀 있는 장소에서 박테리아의 혐기성(嫌氣性) 발효(무산소 발효)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고 있다. 이처럼 미생물들이 생산하는 메탄가스의 양은 엄청나게 많아서 매년 약 10억 톤에 이른다.
메탄가스가 대기권에 포함되면 그것은 두 방면으로 산소의 농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한편으로는 공급자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소비자로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 지표로부터의 메탄가스는 대부분 산화하여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되지만 일부는 산화하지 않은 채 성층권까지 도달한다. 여기에서 메탄가스는 마침내 분해되어 이 층에 물분자를 공급하게 되는데, 물분자는 다시 산소와 수소로 갈라지게 된다. 그러면 수소는 외계로 탈출하고 산소는 아래쪽으로 내려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탄가스는 비록 양적으로 보면 적지만 오랜 기간 동안 엄청난 양이 방출됨으로써 대기권 산소의 농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지금처럼 대기의 대차 대조표가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에는 외계로 탈출하는 만큼의 수소의 양은 곧 대기권이 새로 얻게 되는 산소의 양에 해당된다.
그런데 이와 반대로 지표에서 가까운 층에서는 메탄가스의 산화로 매년 약 20억 톤의 산소가 소모된다. 이러한 작용은 우리들이 살아 숨쉬는 주변에서 천천히 끊임없이 진행되는데, 만약 메탄가스가 없었다면 공기 중의 산소 농도는 최소 매 1만 2천년마다 1퍼센트씩 증가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질학적 시간의 개념에서 볼 때 이러한 변화는 너무나 급속한 것이며, 또 생물학적으로는 매우 위험한 것이다.
공기 중에 산소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필경 어떤 경고 신호가 발해서 메탄가스의 생산이 증대되고, 그 결과 대기권의 산소 조절 기체(메탄가스)의 양이 많아져서 산소 농도가 다시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것이리라. 메탄가스의 산화에 소요되는 명백한 에너지의 낭비는 능동적 조절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어쩔 수 없는 비용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고약한 냄새가 코를 찌르는 해저, 호수, 연못 등지의 진흙탕 속에 살고 있는 ㉠혐기성 미생물의 도움 없이는 이 글을 쓸 수도, 읽을 수도 없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또한 그것들이 생산하는 메탄가스가 없었다면 공기 중의 산소 농도는 계속 증가되어 한 차례의 화재가 전세계의 삼림을 모두 휩쓸어 버리는 그러한 재난을 빈번히 발생시켰을 것이다. ㉡이런 때에도 습지에서 자라는 미생물 조류들은 그다지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을 것이다.
메탄가스의 생성에 관한 설명으로 윗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매년 약 10억 톤이 생성된다.

② 대체로 생물학적 작용으로 생겨난다.

③ 거의 혐기성 미생물이 만들어 낸다.

④ 대부분 되새김질 동물들의 산물이다.

⑤ 주로 호수, 연못 등의 진흙탕 속에서 발생한다.

윗글에 나오는 자연 현상의 과정과 일치하는 것은?

① 메탄가스 생성 → 대부분 성층권 도달 → 수소의 외계 탈출

② 메탄가스 산화 → 공기 중 산소 농도의 증가 → 생물학적 위험 초래

③ 공기 중 산소 농도의 증가 → 메탄가스의 생산 중대 → 산소 농도의 정상화

④ 메탄가스의 분해 → 이산화탄소 증가 → 산소의 외계 탈출

⑤ 공기 중 산소 농도의 감소 → 메탄가스의 산화 → 이산화탄소 증가

윗글의 내용으로 볼 때, 해저, 늪지, 습지 등을 모두 없앨 경우 예상되는 현상은?

① 1만 2천년 후 생물의 대재난

② 메탄가스의 대폭적 증가

③ 성층권 수소의 폭발적 탈출

④ 대규모 삼림 화재의 빈발

⑤ 공기 중 산소 농도의 급격한 감소

㉠과 ㉡으로 미루어 보아 미생물에 관한 필자의 생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얼마나 흥미있는 생물인가!

② 우리를 위하여 얼마나 봉사하는가!

③ 얼마나 이타적(利他的)인가!

④ 얼마나 생존 능력이 강한가!

⑤ 우리에게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가!

윗글의 주제와 가장 잘 부합하는 생각은?

① 모든 생명 현상은 원자와 화합물의 상호 작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② 모든 생명체들이 상호 밀접한 연관 속에 살아 간다.

③ 대기가 순환하듯이 모든 생명체의 삶도 순환·반복한다.

④ 인간은 자연의 주인으로서 미생물까지도 잘 이용해야 한다.

⑤ 박테리아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산소는 모든 생명의 근본이다.

윗글의 내용을 통해 합리적으로 제기될 수 있는 의문이 아닌 것은?

① 되새김질 동물의 방귀에 메탄가스가 있는 것으로 보아 동물의 내장에 혐기성 박테리아가 살고 있지 않을까?

② 혐기성 박테리아가 늪지에 사는 것은 산소를 마시면 죽기 때문이 아닐까?

③ 성층권에서 수소가 외계로 탈출하는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지금보다 공기 중 수소 농도가 더 높지 않았을까?

④ 생물이 아주 오래 전부터 살아 온 것으로 보아 전지구적 차원의 산소 농도 조절 기능이 있지 않을까?

⑤ 1만 2천년 정도의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라면 생물들은 그 변화에 무리없이 적응할 수 있지 않을까?

[40~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언론의 자유권에 대한 가장 철저한 대변자는 「자유론」을 쓴 밀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의 존엄성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으므로 언론의 자유권은 무제한적이며,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시도는 거의 모든 경우 비난받을 일이라는 것이다. 표명된 의견이 절대 다수의 것이든 극소수의 것이든 상관없으며, 심지어 이 세상에서 그러한 의견을 갖는 사람이 오직 한 사람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밀에 따르면 ㉠“한 사람을 제외한 전인류가 같은 의견이고 오직 한 사람만이 반대 의견일지라도 인류가 그 사람을 침묵하게 하는 것이 정당하지 못한 것은, 그 한 사람이 권력을 가지고 전인류를 침묵하게 하는 것이 정당하지 못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밀의 논변은 두 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하나는 관련된 다수거나 관계 당국이 억압하고자 하는 의견이 진리일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그 의견이 허위일 경우이다. 밀은 이 두 경우 모두에 관용을 요구한다. 만일 그 의견이 진리일 때 그것을 억압함으로써 우리는 진리를 발견하게 될 소중한 기회를 상실하게 되며, 이는 인류에게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비록 허위인 경우에도 그것을 억압할 경우, 우리는 그것이 진리와 충돌하면서 진리를 더욱 분명히 인식하게 하고 생생한 인상을 가지게 할 엄청난 혜택을 잃게 된다. 더욱이 침묵시키고자 하는 의견이 오류라고 우리는 확신할 수가 없고, 확신이 선다 할지라도 그것을 침묵시키는 것은 여전히 해악인 것이다.
우선 첫번째 경우에서와 같이 억압당하는 의견이 진리일 경우 억압하는 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런 의견이 진리가 아니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이러한 생각이 오류일 수 있음을 깨닫지 못하고 그러한 의견을 억압할 경우 ㉡그들은 자신의 무오류성(無謬誤性)을 가정하고 있는 셈이다. 역사 속에서 권력을 가진 자가 자신의 견해는 오류일 수 없다고 가정하고 언젠가 진리로 판명될 소수자의 의견을 억압하는 일이 수없이 자행되어 왔다. 권력을 쥔 자가 자신의 의견이 진리라고 생각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 의견에 대한 증거는 일반적으로 불완전하고 때로는 전혀 증거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오히려 그들과 반대되는 견해를 지지하는 이유가 제시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나 그들 자신의 무오류성을 확신할 아무런 근거도 없는 것이다.
나아가서 관련된 다수자나 관계 당국이 반대 견해가 진리임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그것을 애써 억압해야 할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만일 그것이 허위일 뿐이라면 백일하에 토론을 거쳐 그 허위성이 모든 사람에게 명백히 폭로되는 일을 막아야 할 이유가 무엇인가? 사실상 권력을 쥔 자들은 그들이 유린하려는 의견이 진리일 수도 있으며 자신의 견해가 그릇된 것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말미암아 자신의 그릇됨을 솔직히 받아들이는 대신 반대 견해를 억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윗글에 나타난 밀의 입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자유주의

② 방임주의

③ 평등주의

④ 공리주의

⑤ 인도주의

언론의 자유에 대한 밀의 주장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은?

① 언론의 자유는 결국 진리의 상대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② 언론의 자유는 진리를 추구하기 위해 보장되어야 한다.

③ 언론의 통제는 경우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

④ 모든 인간은 자유로이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는 존엄한 존재이다.

⑤ 언론의 자유는 다수자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하다.

윗글로 보아 권력을 가진 자가 언론 탄압을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①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하여

② 자신의 견해가 진리라는 확신 때문에

③ 자신의 무오류성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④ 자신의 견해가 오류일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⑤ 자신과 반대되는 견해가 진리일까 두려워하기 때문에

㉠의 주장에 담긴 궁극적 의도는?

① 독재자의 위선 폭로

② 다수결의 횡포 입증

③ 언론 자유의 절대성 강조

④ 개인 의견의 타당성 옹호

⑤ 여론 정치의 불완전성 논박

㉡과 같은 입장을 취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적절한 것은?

① 상대주의자

② 합리주의자

③ 독선주의자

④ 전제주의자

⑤ 권위주의자

무제한적인 언론 자유론에 대한 반론들 중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은?

① 어떤 견해가 허위라는 개연성이 있을 경우에는 억압이 정당화될 수 있다.

②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할 경우 제한이 필요하다.

③ 진리는 억압과 쓰라린 시련을 통해서만 생겨날 수 있다.

④ 정부의 주장을 비판하는 견해일 경우 통제되어야 한다.

⑤ 다수자의 주장과 상치될 경우 제한되어야 한다.

[46~5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양궁은 한국 스포츠 가운데 비인기 종목이면서도 세계를 제패하여 스포츠계의 왕좌를 지켜 나아가고 있다. 그동안 각종 국제 경기에서 탁월한 실력을 발휘했고, 지난 서울 올림픽 때는 개인전은 물론 단체전에서까지 금·은·동 메달을 나란히 휩쓸어 전세계를 놀라게 하기도 한 종목이다.
(나)
한국 양궁이 세계 정상에 오르기까지 별도의 재정 지원이나 과학화된 훈련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선수들이 남다른 체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하기도 어렵다. 오히려 무관심과 소외의 그늘에 묻혀 있었다는 게 솔직한 표현일 것이다. 그럼에도 그 많은 스포츠 종목 가운데 유독 양궁이 세계 정상들과 겨루어 승리의 영광을 독차지한 것은 우리 민족의 잠재적 정신력이 발휘된 결과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다)
인간의 정신력은 개인의 천재성이나 노력의 결과라고 간단히 말하기 어렵다. 정신력은 민족의 근원적인 심성과 집단적 체험이 축적되는 가운데 자생력을 획득해 가는 것이다. 이를 전통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전통으로 변형·생성되는 정신력은 외면으로 드러나는 의식과 잠재된 형태의 무의식 두 측면을 지닌다. 의식은 문화의 형태로 지속성을 띠면서 전해져 내려오는 반면, 무의식은 집단의 심리 가운데 형태화하기 어려운 에너지원으로 잠재되어 전승된다. 집단무의식이라고도 하는 이 잠재력은 어떤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 의식의 표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라)
집단무의식은 음악, 미술, 문학 같은 예술에는 물론 문화 일반에도 표출된다. 스포츠는 문화의 한 양태로서 민족의 잠재적인 에너지가 표출된 것이기 때문에 스포츠에도 집단무의식의 영향이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집단무의식이 궁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점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활을 잘 쏘는 민족으로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동이족(東夷族)이라는 말이 바로 그것이다. 이(夷) 자는 큰 대(大) 자와 활 궁(弓) 자가 합쳐진 것이다. 드넓은 아시아 대륙을 달리며 활을 쏘던 선조들의 호방한 정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우리 민족이 활을 잘 다루었다는 사실이나 활이 중국 대륙과의 중요한 교역 품목이었던 것을 보더라도 우리 민족의 핏속에 궁도의 맥이 살아 있음을 능히 알 수 있다. 활쏘기는 수렵이나 전쟁의 수단적인 의미를 훨씬 넘어 기예로 정착되었고, ㉡기예는 마침내 ‘도’로 승화되었던 것이다. 도로 승화된 궁도의 유구한 전통이 현대 양궁의 승리를 뒷받침해 준 것이라 하겠다.
윗글에서 사용한 추론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진술은?

① 한국 선수들이 격투기를 잘 하게 된 것은 소외와 무관심 속에서 길러진 호전성 때문이다.

② 재정적 지원이 충분했던 종목은 세계 정상을 차지하는 영광을 누렸다.

③ 한국에서 세계적인 음악인을 배출하게 된 것은 예로부터 가무를 즐긴 전통과 관계가 있다.

④ 서울 올림픽의 성공은 단군 신화에 담긴 집단무의식이 표출된 결과이다.

⑤ 역사에 기록된 일이라야 후대 사람들의 집단무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나)의 내용을 참조하여 (가)의 성과를 치하하는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적수공권(赤手空拳)으로 이룩한 오늘의 쾌거는 민족 정신의 상징으로 길이 남을 것입니다.

② 정상을 한 번 차지하기는 쉽지만 그 정상을 계속 유지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랍니다.

③ 진정한 창조는 무관심과 소외의 그늘 속에서 피와 땀으로 이루어지는 게 당연합니다.

④ 여러분이 이룩한 이 찬란한 영광은 여러분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빛나는 기억이 될 것입니다.

⑤ 세계 제패(世界制覇)의 영광은 한민족의 ‘도’가 발전된 결과이며 인류 화합의 원천입니다.

㉠과 같은 주장을 하기 위한 전제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삶의 양식은 변함 없이 계승된다.

② 성공은 자만을 부르기 쉽다.

③ 개인은 집단에 의해 규정된다.

④ 문화는 개인적 심성의 결과이다.

⑤ 현상의 이면에는 심층적 원인이 있다.

㉡의 사례가 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활을 쏘는 대에 오르면 명중률을 높이는 데에만 마음을 쓰고, 다 쏘면 내려와 흥겹게 술을 마신다.

② 법대로 수레를 몰아 사냥하면 종일 한 마리도 못 잡았는데, 법에 어긋나게 수레를 모니 잠깐 사이에 십여 마리를 활로 쏘아 잡았다.

③ 활을 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풍류 소리를 애써 귀담아 들어서 그 소리에 좇아 쏘며, 쏘아서 정곡을 맞히는 자야말로 어진 자로다.

④ 왕은 호랑이를 그린 표적을 쓰고, 제후는 곰을 그린 표적을 쓰고, 공경대부는 사슴을 그린 표적을 그 과녁에 배풀어 놓는다.

⑤ 활쏘기에서 남에게 지더라도 이긴 자를 욕하지 아니하는 것은 사람마다 활 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라)에서 ‘양궁의 승리’를 ‘동이족의 기록’과 연관시키는 데 필자가 주로 의존한 방식은?

① 역사 기록의 사실 여부를 확인함

② 집단무의식 개념을 매개로 추리함

③ 나라의 이름을 신화와 관련하여 풀이함

④ 역사 발전의 단계에 따라 사실을 설명함

⑤ 민족 정신의 세계적 보편성을 찾음

[51~5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바닷가 햇볕 바른 바위 위에
습한 간(肝)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서스 산중에서 도망해 온 토끼처럼
둘러리를 빙빙 돌며 간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던 여윈 독수리야!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찌고
나는 여위어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다시는 용궁의 유혹에 안 떨어진다.
프로메테우스 불쌍한 프로메테우스
불 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침전(沈澱)하는 프로메테우스.
(가)
이 시는 윤동주의 작품으로 두 개의 이질적인 설화 — 프로메테우스, 구토설화(龜兎說話) — 가 형상화되어 있다. 이 둘은 공통요소를 중심으로 결합하는데, 시 전체에 의미 깊은 상황을 설정하는 서사적 골격은 토끼 설화의 이해에 마련된다. 두루 알려진 바와 같이 토끼 설화는 자라의 유혹에 넘어가 죽을 뻔한 토끼가 기지로 목숨을 건지는 이야기다.
(나)
인간적인 의미의 차원에서 볼 때, 토끼는 현실의 고난 때문에 환상에 잡히는 인간성의 전형이다. 그는 자기가 처한 현실의 억압과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서 가상하던 이상적인 삶을 누리기 위해 용궁에 찾아갔으나 오히려 삶의 포기를 요구받는다. 결국 그의 꿈은 한낱 환상이었음을 깨닫고, 토끼는 자신의 설 곳이 갈등의 현실뿐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토끼는 허약한 존재에서 삶의 현실을 깨달은 ㉠보다 강한 자신으로 발전하는 발전적 인물이다.
(다)
「간」에 설정된 극적 상황은 토끼가 지상에 돌아온 장면이다. 1연에 보이는 바 토끼 설화의 맥락에 프로메테우스 이야기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간」은 의미심장한 상징이 된다. 코카서스에서의 간은 매일 쪼아 먹히면서도 끊임없이 새로 돋아나는 ‘인간적 고통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라)
그러면 간을 지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통을 피하기 위해서? 아니다. 여기서부터 윤동주의 뛰어난 시적 변용력은 ㉡설화적 맥락을 넘어선다. 화자(토끼로 형상화된 자신)는 ‘독수리’를 스스로 길렀으며, 자기 간을 뜯어 먹도록 요구한다. 이 때 ‘독수리’는 화자의 밖에 있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의 생명[肝]을 쪼아 내며 스스로에게 아픔을 주는 자아의 예리한 의식이다. 자신의 삶을 쪼아 내는 자아의 의식 활동이 치열한 아픔을 주지만, 그는 안식이 아니라 고통을 선택한다. 오히려 고통을 주는 반성적 의식이 살찔 것을 기대하는 것이다.
(마)
여기서 다시 토끼 설화의 맥락이 의미 깊게 되살아난다. ‘용궁’이라는 환상적 세계의 평화를 거부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는 어떤 초월적 희망도 인간을 구제할 수 없는 환상에 불과함을 깨닫고 ㉢‘지금 - 여기’에서의 고통스런 자기 응시와 긴장을 선택한다. 이러한 의지는 고유한 의미에 있어서 비극적인 의지이며 마지막 연에서 우리는 이를 확인하게 된다.
위의 시에는 ㉠과 같은 ‘전환’이 나타나 있다. 이를 내면적으로 다짐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연은?

① 1연

② 2연

③ 3연

④ 4연

⑤ 5연

구토설화에서 토끼는 행동의 선택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관련시켜 볼 때, ㉡의 의미는?

① 스스로에게 고통을 주는 자의식

② 현실 생활에 대한 소극적 자세

③ 고통을 극복하려는 초월적 희망

④ 환상적 평화의 세계에 대한 거부

⑤ 비극적 의지를 지탱하는 반성적 자세

㉢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① 환상이 존재하는 현실 세계

② 갈등이 존재하는 현실 세계

③ 의식이 지배하는 현실 세계

④ 이성이 지배하는 현실 세계

⑤ 고통이 모두 소멸된 현실 세계

(가)~(마) 중 필자의 주관적인 가치 부여가 나타나 있지 않은 문단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글 (라)의 설명과 거리가 먼 뜻을 지닌 것은?

①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② 이 세상 어디서나 등불은 켜지듯
가자 고통이여 살 맞대고 가자
외롭기로 작정하면 어딘들 못 가랴
가기로 목을 걸면 지는 해가 문제랴.

③ 타고 남은 재가 기름이 됩니다.
그칠 줄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④ 지난 여름 내
땡볕 불볕 놀아 밤에는 어둠 놀아
여기 새빨간 찔레 열매 몇 개 이룩함이여.

⑤ 바람이 눈을 몰아 산창에 부딪치니
찬 기운 새어들어 잠든 매화를 침노한다
아무리 어루려 한들 봄뜻이야 앗을소냐.

[56~6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삼류하(三流河)를 건너서 냉정(冷井)에서 아침을 먹다. 십리 남짓 가서 한 줄기 산기슭을 돌아 나오자, 태복이가 갑자기 몸을 굽히고 중중걸음쳐 말 앞으로 나서서는, 땅에 엎드려 큰 소리로 “백탑(白塔)이 보임을 아뢰오.” 한다. 태복이는 정진사의 마두다.
산기슭이 가려 아직 백탑은 보이지 않는다. 빨리 말을 채찍질하여 수십 보를 채 못 가서 겨우 기슭을 벗어나자 마자, 눈빛이 아득해지면서 갑자기 한 무리 검은 점들이 오르락내리락 한다. 나는 오늘에야 깨달았노라, 인간이란 본시 어디 기댈 곳도 없으며 다만 하늘을 이고 땅을 밟으며 살아가는 존재임을!
말을 세우고 사방을 돌아보다가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손을 들어 이마에 얹고, ㉠“아, 통곡하기에 참 좋은 곳이로고! 한번 통곡할 만하구나!” 했다. 정진사가 ㉡“이렇게 천지간의 위대한 광경을 만나서 갑자기 통곡하고 싶다니 웬 말씀이오?” 한다.
“그래 그래요. 그러나 그렇지만은 않아요. 천고에 영웅이 잘 울었으며, 미인은 눈물이 많다고 하지요. 그러나 그들은 다만 두어 줄기 소리 없는 눈물을 옷깃에 떨굴 뿐이라오. 그래서 종(鍾)이나 경쇠에서 울려나오는 듯한, 천지에 가득 찬 통곡 소리는 듣지 못하였소. 사람들은 칠정(七情) 가운데 슬픔만이 통곡을 유발하는 줄로만 알고, 칠정 모두가 통곡으로 될 수 있음을 모르고 있소. 기쁨이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고, 분노가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고, 사랑이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고, 미움이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고, 욕망이 극에 달하면 통곡으로 될 수 있소. 억눌린 감정을 풀어내는 데는 소리보다 빠른 게 없고, 통곡이란 천지간에 우뢰와도 같은 것이오. 지극한 감정에서 나와서 그것이 이치에만 맞을 수 있다면, 통곡이 웃음과 무엇이 다르리요? 그렇지만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감정을 느끼되 이러한 지극한 경지는 겪어 보지를 못해, 교묘히 칠정을 나누고는 슬픔에다 통곡을 짝지어 놓고 말았소. 이 때문에 사람들은 누가 죽어 초상을 치를 때에야 비로소 억지로 ‘애고 애고’ 따위로 울부짖을 뿐이고, 칠정에서 진정으로 우러나온 바 지극하고 참다운 소리는 누르고 막고 참고 견디어,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쌓이고 맺혔더라도 감히 드러내지 못한다오. 그래서 저 가생(賈生)이란 이는 그러한 통곡 장소를 얻을 수 없어, 참고 견디다 못해 갑자기 선실(宣室)을 향해 한 마디 길게 울부짖었으니, 이 어찌 사람들이 놀라고 해괴히 여기지 않았으리요?”
“이제 이 통곡장(慟哭場)이 저토록 넓으니, 나도 마땅히 그대를 따라 한번 통곡해야 할 것이나, 아지 못게라, 이 통곡은 칠정 중 무엇이 느낀 바에 해당된단 말이오?”
“저 갓난아기에게 물어 보시오! 갓난아기가 처음 태어났을 때 어떤 감정을 느꼈겠소? 처음으로 해와 달을 보고, 다음엔 부모를 보게 되며, 친척들은 눈 앞에 가득하니 기쁘고 즐겁지 않을 리가 없소. 이러한 기쁨과 즐거움은 늙도록 둘도 없을 터인즉, 이치상 슬프거나 성낼 것이 없고, 감정상으로도 응당 즐거워하고 웃어야 할 터인데, 도리어 한없이 울부짖고, 분노와 설움에 가득 차 있소. 이를 두고, 사람이란 신령한 성인이나 우매한 범인(凡人)이나 죽게 되기는 매일반이오. 사는 동안에는 온갖 허물과 근심 걱정이 끊이지 않을 터이니, 갓난아기가 제 가 태어난 것을 후회하고는 먼저 통곡하여 스스로를 조문함이라 할 것인가. 그러나 이것은 갓난아기의 본래 감정과는 너무나 어긋나는 것이오. ㉢아기가 어머니의 탯속에 있을 때에는 어둡고 갑갑하고 얽매이고 짖눌리다가, 하루 아침에 넓고 환한 데로 터져 나와 손을 펴고 다리를 뻗게 되며 마음이 시원스레 트이게 되니, 어찌 참된 소리를 내질러 감정을 남김 없이 한바탕 쏟아내지 않으리요! 그러므로 마땅히 갓난아기의 거짓 꾸밈 없는 울음 소리를 본받아서, 비로봉 꼭대기에 올라 동해를 바라보며 한바탕 통곡할 만하고, 장연(長淵)의 금사(金沙)에 가서 한바탕 통곡할 만하지 않겠소. 이제 이 요동 벌판에 와보니, 여기서부터 산해관(山海關)까지 일천 이백 리, 사방 모두 한 점 산도 없고, 하늘가와 땅끝은 풀로 붙인 듯 실로 꿰맨 듯하며, ㉣고금에 오가는 비와 구름만 창창(蒼蒼)할 따름이니, 이 역시 한바탕 통곡할 만하지 않겠소.”
가성(賈生) : 중국 한나라 문학가 가의(賈誼)
선실(宣室) : 한나라 황제가 거처하던 방
㉠에 대하여 ㉡과 같은 물음을 하는 것을 보면 ㉠은 특이한 발상을 담고 있다. 다음 중 ㉠과 같은 발상으로 된 표현은?

① 관용은 최대의 악덕이다.

② 그 놈 참 밉상으로 생겼군.

③ 돈이 발언할 때 인간은 침묵한다.

④ 입 큰 자랑 말고 귀 큰 자랑하랬다.

⑤ 꼭 눌렀다 누루 황(黃), 휘휘친친 감을 현(玄).

윗글에서 ‘나’(지은이)가 주장한 통곡의 성격은?

① 웃음과 반대된다.

② 천지의 기운과 상통한다.

③ 슬픔이 유발하는 것이다.

④ 감정의 전 영역에 해당된다.

⑤ 사회적으로 통제되고 있는 감정이다.

윗글에서 ‘나’(지은이)가 하고자 한 통곡은 결국 칠정(七情) 중 무엇이 극대화한 것인가?

① 기쁨

② 슬픔

③ 사랑

④ 분노

⑤ 욕망

“모든 인간은 모태(母胎)를 최상의 안식처로 여긴다.”는 생각을 받아들이더라도, 윗글의 문맥에서 ㉢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이유는?

① 일상적 경험을 초월한 판단이므로

② 갓난아기의 실제 감정이 그려하므로

③ ‘나’의 감정을 갓난아기의 감정으로 전환하고 있으므로

④ 구체적 표현으로 논리적 비약을 극복하고 있으므로

⑤ ‘나’가 실제로 광야에서 맛보는 해방감과 일치하므로

아래의 참고를 이용하여 ㉣에 내포된 ‘나’(지은이)의 감정을 지적한다면?
참고
1. 윗글은 조선 후기 선구적 실학자였던 박지원의 중국 기행문이다. 당시 청(淸)은 조선보다 문명이 발전했었다.
2. 가생(賈生)은 당시 황제에게 시국의 문제 중 통곡할 만한 점을 상소했고, 박지원은 이것에 공감하여 윗글에 가생의 통곡 사건을 만들어 넣었다.

① 후회

② 비애

③ 애상

④ 절망

⑤ 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