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08/31

1992-08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8월 31일 (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6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2.8.31(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음은 빙하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만약 빙하가 화살표 방향으로 E의 왼쪽까지 후퇴한다면 새로운 퇴적층이 쌓이는 지점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A - B - C - D - E

② B - C - D - E - A

③ C - D - E - A - B

④ D - E - C - B - A

⑤ E - D - C - B - A

아래 그림은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00g의 물이 온도가 변화할 때, 위 그림에서 그 부피가 가장 큰 위치는?

① P

② Q

③ R

④ S

⑤ T

[3~4]
마을 사람들이 10일 동안 외부의 단수에도 수도 물을 공급받도록 그림과 같은 구모양의 물탱크가 지상 약 20m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물탱크는 같은 굵기인 3개의 속이 찬 둥근 석기둥으로 받쳐 있고, 이 석기둥은 필요 이상 굵게 되어 있지 않다.
30일 동안의 단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물탱크를 크게 할 때 10일짜리 물탱크와 30일짜리 물탱크의 직경의 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① 1 : 1.4

② 1 : 1.7

③ 1 : 3

④ 1 : 9

⑤ 1 : 27

큰 물탱크를 설치하려면 3개의 석기둥도 현재 것보다 더 굵어야 한다. 10일짜리 탱크용 석기둥과 30일짜리 탱크용 석기둥의 반지름의 비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물탱크를 만드는 석의 무게의 증가는 무시한다.)

① 1 : 1.4

② 1 : 1.7

③ 1 : 3

④ 1 : 9

⑤ 1 : 27

플라나리아의 재생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철수는 비슷한 크기의 플라나리아들을 머리, 중간, 꼬리 부분으로 잘라 5개의 접시에 각각 20조각씩 넣었다. 그 후 2주 동안 배양액, 빛, 온도가 다른 조건에서 배양한 후 재생된 개체수를 조사해 보니 아래 표와 같았다.
접시부위배양액빛의 조건온도재생개체수
꼬리연못물밝은 곳105
머리개울물어두운 곳258
머리개울물밝은 곳206
중간개울물어두운 곳255
꼬리연못물밝은 곳259
위의 표에서 온도가 플라나리아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해야 할 접시 2개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다음은 어느 지역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지질 단면도이다.
위의 단면도에서 천연가스, 석유, 물이 함유되어 있는 부분은?

① [천연가스] : A / [석유] : B / [물] : C

② [천연가스] : A / [석유] : C / [물] : B

③ [천연가스] : B / [석유] : C / [물] : D

④ [천연가스] : B / [석유] : D / [물] : C

⑤ [천연가스] : C / [석유] : D / [물] : B

[7~9]
정희는 아래와 같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어떤 금속이 산화될 때 나타나는 질량변화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때, 질량을 측정하면서 가끔씩 집게로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이 실험에서 뚜껑을 가끔씩 열었다 닫는 이유는?

① 도가니가 지나치게 가열되면 위험하므로

② 도가니 속의 팽창된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③ 밖의 공기가 도가니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④ 금속이 지나치게 가열되는 것을 막으려고

⑤ 지나치게 가열되면 뚜껑이 깨질 염려가 있으므로

이 실험에서 얻은 자료는 <보기>와 같다.
보기
도가니 + 뚜껑의 질량 : 23.50g
도가니 + 뚜껑 + 금속의 질량 : 23.68g
도가니 + 뚜껑 + 산화된 금속의 질량 : $x$g
시간 (분)12345
질량 $x$ (g)23.7223.7623.7923.8023.80
이 실험 자료로부터 금속의 질량과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을 구하면?

①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04

②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18

③ [금속의 질량(g)] : 0.12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30

④ [금속의 질량(g)] : 0.18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04

⑤ [금속의 질량(g)] : 0.18 / [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 0.12

이 실험을 세 번 반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횟수금속의 질량(g)금속과 결합한 산소의 질량(g)
10.060.04
20.220.14
30.300.20
실험결과로 부터, 위 실험에서 생성된 금속산화물의 실험식을 구했을 때 옳은 것은? (단, 산소의 원자량은 16이고, 금속의 원소기호는 X, 원자량은 24로 한다.)

① $\text{XO}$

② $\text{XO}_{2}$

③ $\text{X}_{2}\text{O}$

④ $\text{X}_{2}\text{O}_{3}$

⑤ $\text{X}_{3}\text{O}_{2}$

[10~11]
한 실험에서 날콩과 삶은콩이 물을 얼마나 흡수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날콩 6봉지와 삶은콩 6봉지를 준비하였다. 그 열두 봉지를 따뜻하면서 습한 곳에 두고 매일 같은 시각에 각각 한 봉지씩 꺼내 콩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무게를 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일수날콩의 무게삶은콩의 무게
06.406.00
16.676.24
27.016.47
37.346.83
47.367.01
57.347.34
67.357.82
아래 <보기>는 위 실험과 관련된 진술이다.
보기
ㄱ. 콩들은 싹이 트기 시작한 직후 며칠 동안 물을 흡수하지 않는다.
ㄴ. 삶은콩은 매일 무게가 증가했다.
ㄷ. 공껍질을 통해 물이 흡수되기 위해 콩이 살아있지 않아도 된다.
ㄹ. 5일째에 날콩과 삶은콩의 무게가 같았다.
ㅁ. 삶은콩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은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 때문이다.
다음 중 위의 <보기>에서 관찰된 사실만으로 묶은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ㄹ, ㅁ

위의 <보기>에서 실험결과에 의해 잠정적으로 지지되는 결론들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ㄹ, ㅁ

[12~13]
전기회로 요소 $\text{R}_{1}$ 및 $\text{R}_{2}$의 전류(I)와 전압(V) 사이의 관계는 다음 그림과 같다.
다음 질문을 읽고 <보기>에서 골라 답하시오.
$\text{R}_{1}$과 $\text{R}_{2}$를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할 때 <보기> 중 A에서 B로 흐르는 전류(I)와 A와 B에 가해준 전압(V)의 관계를 가장 가깝게 나타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text{R}_{1}$과 $\text{R}_{2}$를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할 때 <보기> 중 A에서 B로 흐르는 전류(I)와 A와 B에 가해준 전압(V)의 관계를 가장 가깝게 나타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14~15]
아래 그림은 큰 호수와 강이 만나는 하구의 생태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그 주위의 주요 특징들을 표시한 지도이다.
C지역에서 D지역까지 식물 군락(군집)을 조사하였다. C에서 D로 가면서 볼 수 있는 식물의 군락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낙엽수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② 낙엽수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③ 농작물 - 낙엽수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④ 농작물 - 완전히 잠긴 수생식물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농작물

⑤ 초지(토끼풀 등) - 반쯤 잠긴 수생식물 - 낙엽수림 - 농작물

지도 위에 표시한 ㉮~㉲의 다섯 장소 중 동물들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곳은? (단, 동물은 물, 지표, 지상에 사는 모든 동물 포함)

① ㉮

② ㉯

③ ㉰

④ ㉱

⑤ ㉲

[16~17]
다음 그림과 같이 회전열차 놀이터에서 엔진이 없는 궤도차가 반경 20m의 루프형태의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이 궤도차는 궤도차를 탄 사람이 B점에서 원심력을 느끼지 못하는 속도로 운동하고 있다. (단, 원운동의 중심으로 향한 가속도는 ‘$속도\times 속도/반경$’이고, 중력가속도는 10$\text{m}/\text{s}^{2}$로 계산한다.)
이 궤도차의 B점에서의 속도는?

① 10m/s

② $10\sqrt{2}$m/s

③ 20m/s

④ $20\sqrt{2}$m/s

⑤ 100m/s

다음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궤도차는 제일 높은 곳인 B점에서 제일 느리다.

② 궤도차가 B점에 가면 A점보다 위치에너지를 더 갖는다.

③ 궤도차는 계속 빨라져서 D점에서 C점보다 2배의 속력이다.

④ 마찰력이 없으면 A점에서는 들어온 속력과 나갈 때의 속력이 같다.

⑤ B점에서 원심력을 느끼지 못하고 마찰력이 없는 상태라면 A점에서의 속력도 구할 수 있다.

[18~19]
아래 표는 여러 조건하에서 염산에 티오황산나트륨을 넣었을 때의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0.5M 염산의 양 (mL)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 (M)온도 (℃)반응속도 (1/s)
500.12200.0180
500.06200.0091
500.03200.0046
500.03300.0089
500.03400.0180
이 실험설계로 보아 반응속도에 영향을 주리라고 생각한 변인을 <보기>에서 바르게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염산의 양
ㄴ. 온도
ㄷ. 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 실험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을 <보기> 중에서 바르게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온도에 정비례한다.
ㄴ.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염산의 양과는 무관하다.
ㄷ.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티오황산나트륨의 농도에 정비례한다.
ㄹ. 이 반응의 반응속도는 온도가 10℃ 올라감에 따라 2배 정도 증가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ㄷ, ㄹ

[20~21]
아래 그림은 과냉각 상태의 물과 얼음의 포화수증기압과 그들의 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위 그림에서 물과 얼음의 포화수증기압 차가 가장 클 때의 온도와 수증기압은?

① [온도 (℃)] : $-5$ / [수증기압 (mb)] : 0.3

② [온도 (℃)] : $-5$ / [수증기압 (mb)] : 0.5

③ [온도 (℃)] : $-12$ / [수증기압 (mb)] : 1.0

④ [온도 (℃)] : $-12$ / [수증기압 (mb)] : 2.0

⑤ [온도 (℃)] : $-20$ / [수증기압 (mb)] : 3.0

기온이 0℃보다 낮은 상공의 구름속에 과냉각 상태의 물과 빙정이 섞여 있다. 같은 온도에서 과냉각 물의 포화수증기압이 빙정의 포화수증기압보다 높으면 공기속의 수증기는 빙정의 둘레에 달라붙어서 서리같은 성에가 생긴다. 위 그림에서 냉장고 안에 성에가 낄 때 가장 잘 생기는 지점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만약 달에서 우주비행사가 일식이 일어나는 현상을 보았다면 이 때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은?

① 달의 위상이 삭이므로 일식이 일어난다.

② 달의 위상이 삭이므로 월식이 일어난다.

③ 달의 위상이 망이므로 일식이 일어난다.

④ 달의 위상이 망이므로 월식이 일어난다.

⑤ 달의 위상과 관계없이 일식이 일어난다.

[23~24]
한 연구원이 식수 속에 들어 있는 플루오르가 치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0개 도시에서 어린이 7,000여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아래 그림에는 각 도시 어린이들의 평균 충치 수와 이들이 마신 식수의 플루오르 농도가 나타나 있다.
이 조사결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끼리 골라 놓은 것은?
보기
ㄱ. 식수속의 플루오르 농도는 치아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준다.
ㄴ. 식수속의 플루오르 농도가 증가할수록 치아의 건강에 이롭다.
ㄷ. 이 자료만으로는 플루오르 농도가 치아에 주는 영향을 말하기 어렵다.
ㄹ. 플루오르 농도가 0.5ppm 이하인 식수를 마신 어린이들은 충치를 많이 갖고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ㄱ, ㄴ,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이 연구원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식수의 플루오르 농도는 1.0ppm 수준이 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에 대한 다음 의견 중 가장 타당한 것은?

① 플루오르는 몸에 해로우므로 이 주장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② 조사과정과 결과를 볼 때 이 주장은 받아들일 만하다.

③ 그렇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어린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④ 그렇게 주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도시의 어린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⑤ 개개인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이므로, 국민들의 의견을 조사한 후 다수의 의견에 따라야 할 것이다.

[25~26]
사람의 신장에서 여과되는 혈액량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이눌린이라는 물질을 사용한다. 이눌린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세뇨관에서 재흡수나 분비가 일어나지 않고 바로 오줌으로 배설된다. 사람의 혈관 속에 이눌린을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여 하루 동안 혈액 속의 이눌린 농도를 혈액 1L당 6mg으로 유지하였다. 분석결과, 하루 동안 배설된 오줌 속에서 1.02g의 이눌린이 나왔다.
사구체에서 하루 동안 여과된 총 혈액의 양은?

① 80L

② 130L

③ 150L

④ 170L

⑤ 190L

하루 동안 배설된 오줌 속에서 25.5g의 요소가 나왔다. 이 기간 동안 혈액 속의 요소 농도가 300mg/L이었다면 사구체에서 여과된 요소의 몇 %가 재흡수되었는가?

① 20%

② 35%

③ 50%

④ 75%

⑤ 90%

미국의 해양탐사선 그로마 챌린저 호는 대서양 해저에서 일련의 시추를 통해 암석을 채취하여 대양저 산맥으로부터의 거리와 연령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대양저 산맥으로부터의 거리 (km)암석의 측정연령 (백만년)
20010
42024
52027
75032
86040
100048
130066
168078
위의 자료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① 대양저는 계속 이동하며 확장한다.

② 대양저의 이동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③ 대양저의 이동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④ 대양저 산맥을 직각으로 자르는 변환단층이 있다.

⑤ 대양저 산맥에서의 거리나 암석의 연령과는 관계가 있다.

[28~29]
다음의 왼쪽 그림과 같이 물체가 ⓐ 위치에서 자유낙하를 시작하여 바로 ⓑ 위치를 통과하고 한참 후 ⓒ 위치를 통과한다. 이 물체는 중력 및 속도에 정비례하는 저항력을 받으면서 운동하고 있다. 운동분석을 위하여 ⓑ, ⓒ 두 위치에서 $\Delta t$ 시간마다 조명되는 다중 섬광 사진을 찍었다.
ⓑ, ⓒ 두 위치에서 찍은 사진을 분석한 속도와 시간의 관계는 각각 아래의 오른쪽 그래프와 같다. (단, 중력 가속도는 10$\text{m/s}^{2}$, 물체의 질량은 1g이다.)
$\Delta t$ 시간에 가장 가까운 시간은?

① 1초

② 1/20초

③ 1/40초

④ 1/200초

⑤ 1/1600초

낙하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저항력을 $kv$라고 표시하면 $k$의 값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v$는 속도이다.)

① 0.1g/s

② 0.2g/s

③ 0.3g/s

④ 0.4g/s

⑤ 0.5g/s

[30~31]
짚신벌레에는 체내에 클로렐라를 갖고 있어 녹색을 띠는 짚신벌레와 보통의 투명한 짚신벌레가 있다. 빛은 충분히 주고 먹이 조건을 다르게 하여 두 종류 짚신벌레의 개체 수를 조사하였다.
빛이 없을 때 생장곡선이 위의 것과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①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 [먹이 조건] : 풍부

②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 [먹이 조건] : 부족

③ [짚신벌레의 종류] : 투명 / [먹이 조건] : 풍부

④ [짚신벌레의 종류] : 투명 / [먹이 조건] : 부족

⑤ [짚신벌레의 종류] : 녹색, 투명 / [먹이 조건] : 풍부

연못에 사는 녹색짚신벌레의 생존에 가장 유리한 점은?

① 삼투압 조절이 쉽다.

② 수초와 같은 색으로 보호색을 띤다.

③ 클로렐라로부터 동화물질을 제공받는다.

④ 클로렐라로부터 무기염류를 제공받는다.

⑤ 클로렐라로부터 산소를 제공받는다.

[32~33]
다음은 행성의 회합주기, 공전주기, 거리를 보여주는 표이다.
행성회합주기 (일)공전주기 (년)거리 (AU)
수성1160.240.39
금성5840.620.72
지구-1.001.00
화성7801.881.52
목성39911.865.20
토성37829.419.54
천왕성37084.0119.20
해왕성368164.7930.10
명왕성367248.6039.50
만약 10번째 행성이 발견된다면 그 행성의 회합주기에 가까운 것은?

① 300일

② 335일

③ 350일

④ 365일

⑤ 380일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소행성의 회합주기와 공전주기를 추정한다면 그 범위는? (단, $거리 = 0.4 + 0.3\times 2^{n}$, $n = 3$)

① [회합주기] : 367 이하 / [공전주기] : 248.60 이상

② [회합주기] : 368 이상 370 이하 / [공전주기] : 84.01 이상 164.79 이하

③ [회합주기] : 378 이상 399 이하 / [공전주기] : 11.86 이상 29.41 이하

④ [회합주기] : 399 이상 780 이하 / [공전주기] : 1.88 이상 11.86 이하

⑤ [회합주기] : 780 이상 / [공전주기] : 1.88 이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