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11/10

1992-11 대학수학능력시험 제7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7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11월 10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7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2.11.10(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여러가지 물질의 빛에 대한 굴절률은 아래 표와 같다.
고  체액  체
물질굴절률물질굴절률
얼음1.311.33
유리1.50벤젠1.50
다이아몬드2.42알코올1.36
고체를 액체 속에 넣고 액체의 위 표면을 보지 않고 측면에서 볼 때, 액체 속의 고체가 가장 잘 보이지 않는 경우는?

① 얼음을 물에 넣을 때

② 얼음을 벤젠에 넣을 때

③ 유리를 벤젠에 넣을 때

④ 유리를 알코올에 넣을 때

⑤ 다이아몬드를 벤젠에 넣을 때

달의 기온은 낮에 최고 $118℃$, 밤에 최저 $-153℃$로 크게 변하며, 표면 기압은 0이다. 달의 표면에 있는 암석과 유사한 현무암을 선택하여 알코올 램프로 가열시켰다가 찬 얼음물에 급히 냉각시키는 작업을 계속하여 보니, 암석의 부스러기들이 많이 생겼다. 위 실험결과로부터 달의 암석들은 기계적 풍화작용이 잘 일어난다고 결론을 지었다. 이 결론이 옳다고 할 수 없는 이유는?

① 달에는 현무암이 없기 때문에

② 달에는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③ 암석의 부스러기만 생겼기 때문에

④ 기온의 차가 큰 것은 화학적 풍화작용의 요인이므로

⑤ 급히 냉각시키기보다는 서서히 냉각시켜야 하므로

아래 그림은 몇 가지 원소의 전기음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온성 결합을 쉽게 이룰 수 있는 원자끼리 짝지어 놓은 것은?

① A, D

② B, E

③ C, F

④ E, I

⑤ F, G

[4~5]
연어는 강의 상류에서 부화하여 먼 바다로 가서 살다가 산란을 위해 자기가 태어났던 곳으로 정확하게 돌아온다. 한 과학자는 연어가 어떻게 고향으로 돌아오는지를 알기 위해 3회에 걸쳐 실험해 보았다. 아래 표는 그 실험 결과이고 <보기>는 질문을 위한 가설이다.
고향으로 돌아오는 비율 (단위 : %)
시행횟수 \ 연어보통연어시각을 마비시킨 연어후각을 마비시킨 연어
119.020.00.5
220.518.51.0
319.019.01.0
보기
ㄱ. 연어들은 어렸을 적에 하류로 내려가면서 보았던 물체들을 알아봄으로써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다.
ㄴ. 연어들은 그들이 태어난 강의 냄새나 맛을 앎으로써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다.
ㄷ. 연어들은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보기> 중에서 과학자가 이 실험에서 설정한 가설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보기> 중에서 실험결과를 통해 지지된 가설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6~7]
다음의 그림 (가)는 어떤 지역의 지질단면도이다. 그림 (나) 중에서 선(Ⅰ)은 ⓑ 암석속에 남아있는 방사성 원소의 함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선(Ⅱ)은 ⓒ 암석속에 남아있는 방사성 원소의 함량과 시간과의 관계를 각각 보여준다.
위 그림 (나)의 (Ⅰ)과 (Ⅱ)에서 3억 2천만년이 지날때까지 방사성 원소는 반감기를 몇 차례 거쳤는가?

① (Ⅰ) : 1 / (Ⅱ) : 2

② (Ⅰ) : 1 / (Ⅱ) : 3

③ (Ⅰ) : 2 / (Ⅱ) : 3

④ (Ⅰ) : 2 / (Ⅱ) : 4

⑤ (Ⅰ) : 3 / (Ⅱ) : 4

위 그림 (가)에서 암석 ⓑ을 조사하였더니 방사성 원소는 반감기를 1회 거쳤고, 암석 ⓒ에서의 방사성 원소는 반감기를 2회 거쳤다. 지층 ⓐ의 연령은?

① 8천만년과 1억년 사이

② 1억년과 1억 2천만년 사이

③ 1억 2천만년과 1억 6천만년 사이

④ 1억 6천만년과 1억 8천만년 사이

⑤ 1억 8천만년과 2억년 사이

[8~9]
화합물 Y는 가열하면 분해되면서 가체를 발생한다. 아래 표에는 5명의 학생들이 화합물 Y를 25℃, 1기압에서 가열했을 때 발생되는 기체의 양과, 화합물 Y의 감소된 질량을 측정하여 얻은 값이 기록되어 있다.
학생ABCDE
발생한 기체의 양($\text{cm}^{3}$)2445607590
감소된 질량(g)0.0320.0600.0800.0900.120
5명의 학생 중에서 발생한 기체의 양을 잘못 측정한 학생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아래 표는 몇 가지 기체의 밀도(25℃, 1기압에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중에서 화합물 Y가 분해될 때 발생한 기체로 생각되는 것은?
기체의 종류수소질소산소이산화탄소프로판
밀도($\text{g/cm}^{3}$)0.000080.001160.001330.001840.00188

① 수소

② 질소

③ 산소

④ 이산화탄소

⑤ 프로판

[10~11]
여러 물질들이 얇은 막으로 된 주머니를 통과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세 가지 실험 A, B, C를 하였다. 아래 그림은 실험 A를 위한 장치이며 B, C도 이와 유사하다. 또한, 실험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실험주머니 안에 들어 있는 물질시험관 안의 물질결과
주머니 안시험관 안
A녹말 용액요오드 용액자주색변화없음
B요오드 용액녹말 용액
C포도당오렌지색오렌지색
10분 후 실험 A의 결과가 위의 표와 같았다. 같은 시간 후 실험 B에서 예상되는 변화는?

① ㄱ : 자주색 / ㄴ : 자주색

② ㄱ : 자주색 / ㄴ : 변화없음

③ ㄱ : 자주색 / ㄴ : 알 수 없다.

④ ㄱ : 변화없음 / ㄴ : 자주색

⑤ ㄱ : 변화없음 / ㄴ : 변화없음

실험 C의 시험관을 실온에서 24시간 놓아둔 후, 주머니 안에 있는 물질과 시험관 안의 물질을 일정량 취하여 각각 베네딕트 용액을 넣고 가열하였더니 모두 오렌지색으로 변하였다. 녹말, 요오드, 포도당 입자의 주머니 통과 여부를 옳게 짝지어 놓은 것은? (단, 베네딕트 용액은 포도당 검출 반응에 사용하는 시약이다.)

①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

②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못함 / 포도당 : 통과못함

③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못함 / 포도당 : 통과

④ 녹말 : 통과못함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못함

⑤ 녹말 : 통과못함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

[12~13]
물결파 실험을 하여 보기와 같은 현상이 관찰되었다.
보기
ㄱ. 같은 파장의 물결파를 크고 작은 슬릿을 통해 보내면 큰 슬릿 쪽에서 회절이 잘 안 된다.
ㄴ. 두 개의 파원에서 물결파를 보내면 어둡고 밝은 마디선이 생긴다.
ㄷ. 물이 얕은 곳으로 물결파를 보내면 굴절된다.
ㄹ. 같은 슬릿을 통해 크고 작은 파장의 물결파를 보낼 때 큰 파장의 물결파에 회절이 크게 일어난다.
ㅁ. 물결파를 큰 슬릿을 통해 보내면 더 많은 물결파가 들어온다.
서로 가까이 위치한 희미한 두 별을 구경이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분리되어 보이지 않으나, 구경이 큰 망원경으로 보면 분리된 2개의 상으로 밝게 보인다. 위 <보기> 중 이 사실과 관계있는 현상끼리 묶은 것은?

① ㄱ, ㅁ

② ㄱ, ㅁ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ㅁ

야외 음악회에서 사용되는 확성기의 소리가 나오는 나팔 부분은 높이가 1.0m, 폭 0.3m인 직사각형 모양의 슬릿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빛에서 사용되는 슬릿보다 상당히 크다. 나팔 부분이 상하로 긴 이유는 수평면으로 소리가 더 잘 퍼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 <보기> 중 이 사실과 관계있는 현상끼리 묶은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대기권 높이 약 3km 지점의 눈이 0°C 이상의 따뜻한 기층을 지나 낙하하면, 이 눈은 녹아 물이 된다. 이 물이 계속 낙하하여 다음의 찬 기층을 통과하면 과냉각이 되고, 지면에 닿게 되면 급속도로 얼어 붙는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도에 따른 온도 분포로 잘 나타낸 그래프는?
[15~16]
성희는 자기집 정원에서 <보기>와 같은 방법으로 학교에서 배운 유전 원리를 확인해 보기로 했다.
보기
ㄱ. 순종(혹은 순계)으로 확인된 둥근 모양의 완두콩과 주름진 완두콩을 각각 5개씩 정원에 심었다.
ㄴ. 완두의 꽃이 피었을 때, 주름진 완두콩으로부터 자란 완두의 꽃잎을 열고 수술을 모두 제거했다.
ㄷ. 둥근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의 꽃가루를 주름진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의 암술에 묻혀 주었다.
ㄹ. 둥근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를 모두 정원에서 뽑아 버렸다.
ㅁ. 그 해 가을 수확한 완두 콩깍지를 모두 열어 완두콩의 모양을 관찰하였다.
성희가 이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던 것은?

① 우열의 법칙

② 분리의 법칙

③ 독립의 법칙

④ 검정 교배

⑤ 위 과정만 가지고는 알 수 없다.

성희가 가을에 수확한 완두콩들의 모양은? (단, 둥근 모양은 주름진 모양에 대해 우성이다.)

① $\text{둥근 모양} : \text{주름진 모양} = 3 : 1$

② $\text{둥근 모양} : \text{주름진 모양} = 1 : 1$

③ 모두 둥근 모양이다.

④ 모두 주름진 모양이다.

⑤ 알 수 없다.

[17~18]
철수는 1.0M $\text{FeCl}_{3}$ 용액 10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3.0M NaOH 수용액 2mL를 넣은 후 잘 섞이도록 흔들어 주었다. 그리고 10분 정도 지난 후 생성된 침전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NaOH 수용액의 양을 달리 하면서 이와 같은 실험을 반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0M NaOH 수용액의 양 (mL)24681012
침전의 높이 (mm)4812162020
철수가 이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① 반응물질의 농도가 커지면 반응속도도 커질 것이다.

② 반응물질의 양이 증가하면 반응속도도 커질 것이다.

③ 반응물질의 질량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④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은 어느 순간에 평형을 이룰 것이다.

⑤ 생성된 침전은 어느 순간에 더 이상의 반응을 방해할 것이다.

3.0M NaOH 수용액 10mL에 들어 있는 NaOH의 몰 수는?

① $3.0 \times 10^{-3}$ 몰

② $3.0 \times 10^{-2}$ 몰

③ $3.0 \times 10^{-1}$ 몰

④ $3.0$ 몰

⑤ $30$ 몰

[19~20]
10cm 길이의 고무줄 1개를 1cm 늘려 물체를 끌 때 물체는 1$\text{cm/s}^{2}$의 가속도를 갖게 된다.
같은 재료로 된 20cm 길이의 고무줄 2개를 그림과 같이 물체에 연결하고 총 길이를 1cm 늘리는 힘으로 물체를 끝낼 때 생기는 가속도는? (단 마찰은 무시한다.)

① $\dfrac{1}{2}\text{cm/s}^{2}$

② 1$\text{cm/s}^{2}$

③ 2$\text{cm/s}^{2}$

④ 4$\text{cm/s}^{2}$

⑤ 8$\text{cm/s}^{2}$

위와 같은 실험을 이번에는 등속 원운동을 하는 버스 안에서 하고 있다. 이번에는 위 물체와 10cm 길이의 고무줄 1개를 수평면 위에 놓고 실험하고 있다. 이때 외부에서 보면 이 버스의 운동은 중심방향으로 1$\text{cm/s}^{2}$의 가속도운동으로 관찰된다. 이 물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려면 고무줄을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당겨주어야 하는가? (단 마찰은 무시한다.)

① 버스 전방으로 2cm

② 버스 후방으로 1cm

③ 버스의 원운동 중심방향으로 1cm

④ 버스의 원운동 중심 반대 방향으로 2cm

⑤ 정지상태이므로 전혀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된다.

[21~22]
다음 그림에서 실선은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이 만날 때 고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준다.
아래 <보기>에서 위 그림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보기
ㄱ. 더운 공기가 찬 공기를 타고 상승했다.
ㄴ. 찬 공기가 더운 공기를 타고 상승했다.
ㄷ. 전선에서 기온의 역전이 발생했다.
ㄹ. 전선면에서 기온의 증가가 있었다.
ㅁ. 한냉전선이 형성되었다.

① ㄱ, ㄷ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ㅁ

위 그림의 A 구역에서 형성될 수 있는 구름과 그 모양은?

① 적란운

② 적운

③ 층운

④ 권운

⑤ 권적운

다음 그림과 같이 초점거리 10cm인 볼록 렌즈 1개를 거울 위에 놓고, 거울 위 10cm 지점에 꼬마 전구를 놓았을 때 상이 생기는 곳은?

① 위쪽 무한대

② A지점에

③ B지점에

④ C지점에

⑤ 전등이 놓여 있는 위치에

[24~25]
아래 그림은 세 종류의 금속산화물에 대하여 금속원소 X와 산소 사이의 질량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을 이용하여 X의 원자량과 산소 원자량의 비를 구했을 때 가장 가까운 값은?

① [X의 원자량] : 8 / [산소의 원자량] : 1

② [X의 원자량] : 4 / [산소의 원자량] : 1

③ [X의 원자량] : 2 / [산소의 원자량] : 1

④ [X의 원자량] : 1 / [산소의 원자량] : 2

⑤ [X의 원자량] : 1 / [산소의 원자량] : 4

일정량의 $\text{X}_{2}\text{O}$를 분석하니 그 속에 포함된 X의 양이 8.0g이었다. 위 그림을 이용하여 이 화합물에 포함된 산소의 양을 구할 때 가장 가까운 값은?

① 1.0g

② 1.5g

③ 2.0g

④ 3.0g

⑤ 4.0g

아래 그래프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에 의해 조절되는 혈당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를 올바르게 해석한 것은?

① 인슐린이 분비되면 혈당 수준이 올라간다.

② 인슐린은 혈당 수준과 관계없이 계속 분비된다.

③ 글루카곤은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④ 글루카곤은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한다.

⑤ 글루카곤은 혈당 수준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작용한다.

[27~28]
다음 그림은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의 과거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위 그림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 모두 감소했다.

② 평균 태양일의 감소율은 삭망월보다 크다.

③ 평균 태양일의 감소는 삭망월 감소의 원인이다.

④ 평균 태양일의 감소는 완만히 계속될 것이다.

⑤ 평균 태양일은 약 8.5 삭망월이다.

아래 <보기>에서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이 만나는 A점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보기
ㄱ.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은 다른 값을 가진다.
ㄴ.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의 감소율은 같다.
ㄷ. 약 12억년 전의 평균 태양일은 약 550일이다.
ㄹ.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을 이루는 선의 한 점이다.
ㅁ. 지구의 공전속도는 지금보다 빨랐다.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ㄹ

③ ㄷ, ㄹ, ㅁ

④ ㄹ, ㅁ, ㄱ

⑤ ㅁ, ㄱ, ㄴ

[29~30]
다음 그림과 같이 대전된 입자의 공급원에서 양전하인 +2e로 대전된 입자가 전위 +V로 대전된 도체 구의 열린 곳을 향하여 방출되고 있다.
위 그림에서 공급원과 구 사이에서 입자의 운동은?

① $v_{0}$보다 큰 속도로 가속된다.

② $v_{0}$ 속도의 등속도로 운동한다.

③ $v_{0}$보다 속도가 줄어든다.

④ $v_{0}$보다 큰 속도이거나 등속도이다.

⑤ $v_{0}$보다 작은 속도이거나 등속도이다.

열린 곳을 겨우 들어갈 수 있는 속도 $v_{0}$와 구 내부에서의 속도 $v_{1}$은? (단, $m$은 입자의 질량이다.)

① [$v_{0}$] : 0 / [$v_{1}$] : $v_{0}$보다 큰 속도

② [$v_{0}$] : $4e\dfrac{\text{V}}{m}$ / [$v_{1}$] : $v_{0}$보다 큰 속도

③ [$v_{0}$] : $2e\sqrt{\dfrac{\text{V}}{m}}$ / [$v_{1}$] : 거의 0에 가깝다.

④ [$v_{0}$] : $4e\dfrac{\text{V}}{m}$ / [$v_{1}$] : $v_{0}$보다 작은 속도

⑤ [$v_{0}$] : $2e\sqrt{\dfrac{\text{V}}{m}}$ / [$v_{1}$] : $v_{0}$보다 큰 속도

공장 폐유가 하천의 물과 식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두 양동이에 물을 담고 같은 양의 물풀을 넣은 후 한 양동이에만 공장 폐유 몇 방울을 떨어뜨리고 그날부터 4일 동안 용존산소량(DO)와 pH를 측정하였다.
실험일수깨끗한 물폐유가 번진 물
용존산소량 (DO)pH용존산소량 (DO)pH
1107107
210797
310776
410745
위 실험 결과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깨끗한 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은 일정하다.

② 물 속에 산소가 많으면 물은 산성으로 변한다.

③ 물 속의 식물은 용존산소량과 pH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깨끗한 물에서는 산소가 녹아들지 않는다.

⑤ 폐유가 번진 물은 점차 알칼리성으로 변한다.

[32~33]
알루미늄은 물 속에서 수화된 이온상태인 $\text{Al}(\text{H}_{2}\text{O})_{6}^{3+}$로 존재하는데, 어느 정도는 아래와 같이 가수분해 되기도 한다. $$\text{Al}(\text{H}_2\text{O})_{6}^{3+} \xrightarrow{-2\text{H}^+} \text{Al}(\text{H}_2\text{O})_4(\text{OH})_{2}^{+} \xrightarrow{-\text{H}^+} \text{Al}(\text{H}_2\text{O})_3(\text{OH})_3$$ 또한, 알루미늄의 용해도는 물의 액성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과 같이 물의 액성이 중성에서 산성으로 갈수록 알루미늄의 용해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① 산성이 강해질수록 알루미늄의 반응성도 커지므로

② 산성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므로

③ 산성에서는 수산화알루미늄이 알루미늄 이온으로 변하는 쪽으로 반응이 일어나므로

④ 수산화알루미늄은 중성에서 용해도가 크므로

⑤ 수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 이온에 비하여 산성에서 용해도가 크므로

위 그림과 같이 물속에 플루오르 이온이 들어 있으면 알루미늄의 용해도는 변한다. pH 7에서 플루오르 이온은 알루미늄의 용해도를 몇 배 정도 증가시켰는가?

① $\dfrac{1}{20}$

② $\dfrac{1}{10}$

③ 2

④ 10

⑤ 20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