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11월 10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2.11.10(화)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고 체 | 액 체 | ||
물질 | 굴절률 | 물질 | 굴절률 |
얼음 | 1.31 | 물 | 1.33 |
유리 | 1.50 | 벤젠 | 1.50 |
다이아몬드 | 2.42 | 알코올 | 1.36 |
① 얼음을 물에 넣을 때
② 얼음을 벤젠에 넣을 때
③ 유리를 벤젠에 넣을 때
④ 유리를 알코올에 넣을 때
⑤ 다이아몬드를 벤젠에 넣을 때
① 달에는 현무암이 없기 때문에
② 달에는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③ 암석의 부스러기만 생겼기 때문에
④ 기온의 차가 큰 것은 화학적 풍화작용의 요인이므로
⑤ 급히 냉각시키기보다는 서서히 냉각시켜야 하므로
이온성 결합을 쉽게 이룰 수 있는 원자끼리 짝지어 놓은 것은?
① A, D
② B, E
③ C, F
④ E, I
⑤ F, G
고향으로 돌아오는 비율 (단위 : %)
시행횟수 \ 연어 | 보통연어 | 시각을 마비시킨 연어 | 후각을 마비시킨 연어 |
1 | 19.0 | 20.0 | 0.5 |
2 | 20.5 | 18.5 | 1.0 |
3 | 19.0 | 19.0 | 1.0 |
ㄴ. 연어들은 그들이 태어난 강의 냄새나 맛을 앎으로써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다.
ㄷ. 연어들은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① (Ⅰ) : 1 / (Ⅱ) : 2
② (Ⅰ) : 1 / (Ⅱ) : 3
③ (Ⅰ) : 2 / (Ⅱ) : 3
④ (Ⅰ) : 2 / (Ⅱ) : 4
⑤ (Ⅰ) : 3 / (Ⅱ) : 4
① 8천만년과 1억년 사이
② 1억년과 1억 2천만년 사이
③ 1억 2천만년과 1억 6천만년 사이
④ 1억 6천만년과 1억 8천만년 사이
⑤ 1억 8천만년과 2억년 사이
학생 | A | B | C | D | E |
발생한 기체의 양($\text{cm}^{3}$) | 24 | 45 | 60 | 75 | 90 |
감소된 질량(g) | 0.032 | 0.060 | 0.080 | 0.090 | 0.120 |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기체의 종류 | 수소 | 질소 | 산소 | 이산화탄소 | 프로판 |
밀도($\text{g/cm}^{3}$) | 0.00008 | 0.00116 | 0.00133 | 0.00184 | 0.00188 |
① 수소
② 질소
③ 산소
④ 이산화탄소
⑤ 프로판
실험 | 주머니 안에 들어 있는 물질 | 시험관 안의 물질 | 결과 | |
주머니 안 | 시험관 안 | |||
A | 녹말 용액 | 요오드 용액 | 자주색 | 변화없음 |
B | 요오드 용액 | 녹말 용액 | ㄱ | ㄴ |
C | 포도당 | 물 | 오렌지색 | 오렌지색 |
① ㄱ : 자주색 / ㄴ : 자주색
② ㄱ : 자주색 / ㄴ : 변화없음
③ ㄱ : 자주색 / ㄴ : 알 수 없다.
④ ㄱ : 변화없음 / ㄴ : 자주색
⑤ ㄱ : 변화없음 / ㄴ : 변화없음
①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
②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못함 / 포도당 : 통과못함
③ 녹말 : 통과 / 요오드 : 통과못함 / 포도당 : 통과
④ 녹말 : 통과못함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못함
⑤ 녹말 : 통과못함 / 요오드 : 통과 / 포도당 : 통과
ㄴ. 두 개의 파원에서 물결파를 보내면 어둡고 밝은 마디선이 생긴다.
ㄷ. 물이 얕은 곳으로 물결파를 보내면 굴절된다.
ㄹ. 같은 슬릿을 통해 크고 작은 파장의 물결파를 보낼 때 큰 파장의 물결파에 회절이 크게 일어난다.
ㅁ. 물결파를 큰 슬릿을 통해 보내면 더 많은 물결파가 들어온다.
① ㄱ, ㅁ
② ㄱ, ㅁ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ㅁ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ㄴ. 완두의 꽃이 피었을 때, 주름진 완두콩으로부터 자란 완두의 꽃잎을 열고 수술을 모두 제거했다.
ㄷ. 둥근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의 꽃가루를 주름진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의 암술에 묻혀 주었다.
ㄹ. 둥근 완두콩에서 자란 완두를 모두 정원에서 뽑아 버렸다.
ㅁ. 그 해 가을 수확한 완두 콩깍지를 모두 열어 완두콩의 모양을 관찰하였다.
① 우열의 법칙
② 분리의 법칙
③ 독립의 법칙
④ 검정 교배
⑤ 위 과정만 가지고는 알 수 없다.
① $\text{둥근 모양} : \text{주름진 모양} = 3 : 1$
② $\text{둥근 모양} : \text{주름진 모양} = 1 : 1$
③ 모두 둥근 모양이다.
④ 모두 주름진 모양이다.
⑤ 알 수 없다.
3.0M NaOH 수용액의 양 (mL) | 2 | 4 | 6 | 8 | 10 | 12 |
침전의 높이 (mm) | 4 | 8 | 12 | 16 | 20 | 20 |
① 반응물질의 농도가 커지면 반응속도도 커질 것이다.
② 반응물질의 양이 증가하면 반응속도도 커질 것이다.
③ 반응물질의 질량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④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은 어느 순간에 평형을 이룰 것이다.
⑤ 생성된 침전은 어느 순간에 더 이상의 반응을 방해할 것이다.
① $3.0 \times 10^{-3}$ 몰
② $3.0 \times 10^{-2}$ 몰
③ $3.0 \times 10^{-1}$ 몰
④ $3.0$ 몰
⑤ $30$ 몰
① $\dfrac{1}{2}\text{cm/s}^{2}$
② 1$\text{cm/s}^{2}$
③ 2$\text{cm/s}^{2}$
④ 4$\text{cm/s}^{2}$
⑤ 8$\text{cm/s}^{2}$
① 버스 전방으로 2cm
② 버스 후방으로 1cm
③ 버스의 원운동 중심방향으로 1cm
④ 버스의 원운동 중심 반대 방향으로 2cm
⑤ 정지상태이므로 전혀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된다.
ㄴ. 찬 공기가 더운 공기를 타고 상승했다.
ㄷ. 전선에서 기온의 역전이 발생했다.
ㄹ. 전선면에서 기온의 증가가 있었다.
ㅁ. 한냉전선이 형성되었다.
① ㄱ, ㄷ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ㅁ
① 적란운
② 적운
③ 층운
④ 권운
⑤ 권적운
① 위쪽 무한대
② A지점에
③ B지점에
④ C지점에
⑤ 전등이 놓여 있는 위치에
① [X의 원자량] : 8 / [산소의 원자량] : 1
② [X의 원자량] : 4 / [산소의 원자량] : 1
③ [X의 원자량] : 2 / [산소의 원자량] : 1
④ [X의 원자량] : 1 / [산소의 원자량] : 2
⑤ [X의 원자량] : 1 / [산소의 원자량] : 4
① 1.0g
② 1.5g
③ 2.0g
④ 3.0g
⑤ 4.0g
① 인슐린이 분비되면 혈당 수준이 올라간다.
② 인슐린은 혈당 수준과 관계없이 계속 분비된다.
③ 글루카곤은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④ 글루카곤은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한다.
⑤ 글루카곤은 혈당 수준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작용한다.
①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 모두 감소했다.
② 평균 태양일의 감소율은 삭망월보다 크다.
③ 평균 태양일의 감소는 삭망월 감소의 원인이다.
④ 평균 태양일의 감소는 완만히 계속될 것이다.
⑤ 평균 태양일은 약 8.5 삭망월이다.
ㄴ. 평균 태양일과 삭망월의 감소율은 같다.
ㄷ. 약 12억년 전의 평균 태양일은 약 550일이다.
ㄹ.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을 이루는 선의 한 점이다.
ㅁ. 지구의 공전속도는 지금보다 빨랐다.
① ㄱ, ㄴ, ㄷ
② ㄴ, ㄷ, ㄹ
③ ㄷ, ㄹ, ㅁ
④ ㄹ, ㅁ, ㄱ
⑤ ㅁ, ㄱ, ㄴ
① $v_{0}$보다 큰 속도로 가속된다.
② $v_{0}$ 속도의 등속도로 운동한다.
③ $v_{0}$보다 속도가 줄어든다.
④ $v_{0}$보다 큰 속도이거나 등속도이다.
⑤ $v_{0}$보다 작은 속도이거나 등속도이다.
① [$v_{0}$] : 0 / [$v_{1}$] : $v_{0}$보다 큰 속도
② [$v_{0}$] : $4e\dfrac{\text{V}}{m}$ / [$v_{1}$] : $v_{0}$보다 큰 속도
③ [$v_{0}$] : $2e\sqrt{\dfrac{\text{V}}{m}}$ / [$v_{1}$] : 거의 0에 가깝다.
④ [$v_{0}$] : $4e\dfrac{\text{V}}{m}$ / [$v_{1}$] : $v_{0}$보다 작은 속도
⑤ [$v_{0}$] : $2e\sqrt{\dfrac{\text{V}}{m}}$ / [$v_{1}$] : $v_{0}$보다 큰 속도
실험일수 | 깨끗한 물 | 폐유가 번진 물 | ||
용존산소량 (DO) | pH | 용존산소량 (DO) | pH | |
1 | 10 | 7 | 10 | 7 |
2 | 10 | 7 | 9 | 7 |
3 | 10 | 7 | 7 | 6 |
4 | 10 | 7 | 4 | 5 |
① 깨끗한 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은 일정하다.
② 물 속에 산소가 많으면 물은 산성으로 변한다.
③ 물 속의 식물은 용존산소량과 pH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깨끗한 물에서는 산소가 녹아들지 않는다.
⑤ 폐유가 번진 물은 점차 알칼리성으로 변한다.
① 산성이 강해질수록 알루미늄의 반응성도 커지므로
② 산성에서는 알루미늄 이온의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므로
③ 산성에서는 수산화알루미늄이 알루미늄 이온으로 변하는 쪽으로 반응이 일어나므로
④ 수산화알루미늄은 중성에서 용해도가 크므로
⑤ 수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 이온에 비하여 산성에서 용해도가 크므로
① $\dfrac{1}{20}$
② $\dfrac{1}{10}$
③ 2
④ 10
⑤ 20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