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4년 11월 23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자연계](과학)
시행 : 1994.11.23(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 (가)와 (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그림 (가)에서 연필이 눈에 가까울수록 연필의 시차 내에 보이는 배경의 나무 판지 개수가 감소한다.
ㄷ. 그림 (가)에서 두 눈동자의 위치는 그림 (나)에서 지구의 위치와 대응된다.
ㄹ. 그림 (나)와 같이 실제 별 A의 연주 시차 관측시,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아주 밝은 별들을 배경으로 선택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측정 시기 | 항체 농도 |
첫째 날 | 0 |
1주 | 0 |
2주 | 5 |
3주 | 20 |
4주 | 100 |
5주 | 80 |
6주 | 10 |
7주 | 2500 |
8주 | 1000 |
9주 | 800 |
10주 | 650 |
①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1주~2주 사이
②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3주~4주 사이
③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6주~7주 사이
④ [감염 횟수] : 2회 / [감염 시기] : 1주~2주 사이, 6주~7주 사이
⑤ [감염 횟수] : 2회 / [감염 시기] : 3주~4주 사이, 6주~7주 사이
↓(Ⅰ)
ㆍ 따라서, B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A의 2배이다.
↓(Ⅱ)
ㆍ 따라서, B의 가속도는 A의 2배이다.
↓(Ⅲ)
ㆍ 따라서, B의 낙하 시간은 A의 $\dfrac{1}{2}$배이다.
① Ⅰ
② Ⅲ
③ Ⅰ, Ⅲ
④ Ⅱ, Ⅲ
⑤ 잘못 전개된 단계가 없다.
ㆍ 시험관에 이산화탄소를 넣고 물이 든 비커 속에 거꾸로 세워 두면 수면이 올라간다.
ㆍ 이 비커에 메틸레드 지시약을 떨어뜨리면 용액이 적색으로 변하며, 이 적색 용액을 끓이면 황색으로 변한다.
실험 (나)
ㆍ 묽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용액이 적색으로 변하며, 이 적색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통과시키면 무색으로 변한다.
① 이산화탄소는 물에 녹는다.
②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다.
③ 이산화탄소는 수산화나트륨과 반응한다.
④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은 용액은 산성이 된다.
⑤ 용액을 끓이면 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는 날아간다.
다음 중 이 모형 보트의 출발 후 운동 상태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① 처음 4초 동안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② 4초 때 보트가 잠시 멈추었다.
③ 4초가 지난 후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④ 6초 때 보트의 운동 에너지가 최소였다.
⑤ 6초 때 보트의 이동 거리는 최대였다.
나. 위의 과정을 1분 간격으로 50회 반복한다.
다. 잠시 후 빛만 쪼인 다음, 플라나리아의 반응을 조사한다.
① 지렁이는 빛이 없는 쪽으로 이동한다.
② 과거에 맛있게 먹었던 음식을 보면 침이 나온다.
③ 벌은 춤의 모양을 통해 먹이의 위치를 알려 준다.
④ 손가락에 뜨거운 물체가 닿으면 순간적으로 손을 움츠린다.
⑤ 침팬지가 천정에 매달린 바나나를 따기 위해 상자를 쌓아올린다.
ㄴ. 동쪽에는 푸른 하늘이 보이고, 서쪽 하늘에 구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ㄷ. 권층운이 끼고 희미한 달무리가 보인다.
ㄹ. 석양 노을이 붉게 물들었다.
① ㄱ, ㄹ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ㄴ. $\text{CaCl}_{2}$ 결정을 넣는다.
ㄷ. 1M $\text{HCl}$ 수용액을 넣는다.
ㄹ. 1M $\text{Ca(NO}_{3})_{2}$ 수용액을 넣는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암석 D가 형성될 당시의 대륙과 해양의 분포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이 그래프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① 해충과 거미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
② 살충제를 사용한 결과 해충은 전보다 더 증가하였다.
③ 거미가 감소한 것은 해충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④ 해충 개체군의 크기는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⑤ 해충 개체군의 출생률은 일정하다.
쓰고 남은 나트륨을 아주 잘게 부수어 많은 물과 함께 싱크대에 버렸다.
ㄴ. 4월 24일
1M $\text{NaOH}$ 용액이 필요해서 1몰의 $\text{NaOH}$를 1L의 물에 녹여 1M $\text{NaOH}$ 용액을 만들었다.
ㄷ. 5월 14일
3M $\text{NaOH}$ 용액을 손등에 엎질렀다. 그래서 3M HCl 용액으로 중화시킨 후 수돗물로 깨끗이 씻었다.
ㄹ. 5월 29일
1M 황산 용액이 필요해서 1몰에 해당하는 진한 황산에 물을 조금씩 가하여 1M 황산 용액을 만들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바르게 실험한 것이 없음
ㆍ 화강암을 이루는 광물들의 크기가 경계로 갈수록 작아진다.
ㆍ 셰일에서 경계로 갈수록 미세한 광물 입자들이 방향성이 없고 치밀하며, 견고한 조직을 이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보기>의 진술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2점]
ㄴ. 입자가 점 B를 통과할 때의 운동 에너지는 점 A를 통과할 때의 운동 에너지의 $\dfrac{1}{2}$이다.
ㄷ. 점 C에서 이 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0이 아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시기 | 세포 수 | 소요 시간 |
휴지기 | 180 | 14시간 24분 |
전 기 | 15 | 1시간 11분 |
중 기 | 1 | 5분 |
후 기 | 2 | 10분 |
말 기 | 2 | 10분 |
계 | 200 | 16시간 |
① 휴지기는 세포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각 시기에 해당하는 세포 수의 비는 각 시기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와 같다.
③ 분열 중인 세포 수와 휴지기에 속하는 세포 수의 비는 $1 : 9$이다.
④ 휴지기 초기의 내포 내 DNA 양과 분열 중인 세포 내 DNA 양의 비는 $1 : 2$이다.
⑤ 세포 주기의 길이는 그 세포가 갖고 있는 염색체 수에 비례한다.
(가)에서 (라)로 감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화하는 규산염 광물의 성질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풍화 작용에 대한 광물의 안정도가 감소한다.
② 규소와 산소의 비가 일정하다.
③ 광물의 깨짐의 성질이 잘 나타난다.
④ 광물 정출시 마그마의 온도가 점점 높아진다.
⑤ 인접하는 $(\text{SiO}_{4})^{4-}$ 사면체 간에 공유하는 산소의 수가 증가한다.
(나) 각 용기에 물을 충분히 준 후, 용기를 밀봉하고 그 안의 $\text{CO}_{2}$를 제거한다.
(다) $\text{CO}_{2}$ 농도가 0.03%로부터 9.03%까지 1%씩 차이나도록 각 용기 내에 $\text{CO}_{2}$를 주입하고, 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라) 모든 용기를 온실에 3일간 보관한다.
(마) 실험 말기에 각 식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① (가)에서 10종의 식물을 준비하여 각 용기에 심는 식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한다.
② (나)에서 각 용기 내의 상대 습도를 2% 간격으로 다르게 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③ (다)에서 $\text{CO}_{2}$ 농도가 0.01%로부터 0.10%까지 0.01%씩 차이나도록 각 용기 내에 $\text{CO}_{2}$를 주입하고, 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④ (라)에서 각 용기 내의 온도를 20℃부터 38℃까지 2℃씩 차이를 둔다.
⑤ (라)에서 5개의 용기는 어두운 곳, 나머지 5개의 용기는 밝은 곳에 둔다.
ㆍ 고체 A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분리하였다.
ㆍ 고체 B, D와 용액 C의 전기적 특성과 고체 B, D의 녹는점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ㆍ 고체 B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으나, 일정한 온도(455℃)에서 녹았고, 이 액체는 전기를 통하였다.
ㆍ 용액 C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다.
ㆍ 고체 D는 일정한 온도(185℃)에서 녹았으며, 녹은 액체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다.
① 고체 A에는 전기가 통할 수 있다.
② 고체 A는 세 가지 물질의 혼합물이다.
③ 고체 B는 원소 상태의 물질이다.
④ 용액 C에는 공유 결합 물질이 녹아 있다.
⑤ 고체 D는 이온 결합 물질과 공유 결합 물질의 혼합물이다.
<보기> 중에서 황해의 해수면으로부터 수온약층까지의 깊이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ㄴ. 계절에 관계 없이 거의 일정한 깊이에 형성된다.
ㄷ. 겨울철에는 수온 약층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ㄹ.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깊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보기> 중 이 실험의 방법과 결과에 관한 옳은 진술을 모두 고른 것은?
ㄴ. 자기장의 변화 방향과 유도 기전력의 방향 사이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 자석의 극을 바꾸어 관찰한다.
ㄷ. 자석이 진동하면서 멈추게 되기까지 검류계의 바늘도 좌우로 진동하다가 0에서 멈추게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목성은 이 기간 동안 2회 유의 위치에 있었다.
ㄷ. 목성은 3월 1일경부터 역행에서 순행으로 바뀌었다.
ㄹ. 목성의 역행 기간은 약 4 개월 가량이었다.
일자 | 적경 | 거리 | |
월 | 일 | 시 분 초 | AU |
1 | 1 | 14 30 40 | 5.87 |
21 | 14 41 15 | 5.56 | |
2 | 10 | 14 48 6 | 5.24 |
20 | 14 49 50 | 5.08 | |
3 | 1 | 14 50 22 | 4.94 |
11 | 14 49 47 | 4.80 | |
4 | 10 | 14 41 11 | 4.50 |
30 | 14 31 43 | 4.42 | |
5 | 10 | 14 26 46 | 4.43 |
20 | 14 22 7 | 4.47 | |
6 | 9 | 14 14 54 | 4.63 |
29 | 14 11 42 | 4.87 | |
7 | 3 | 14 11 40 | 4.90 |
9 | 14 11 49 | 5.00 | |
8 | 8 | 14 18 48 | 5.46 |
28 | 14 28 19 | 5.76 | |
9 | 17 | 14 40 55 | 6.01 |
27 | 14 48 9 | 6.12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영희는 흰색 털이 우성인지 열성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기니아피그의 털 색깔은 한 쌍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른다고 가정할 때, 영희의 연구 문제에 대한 가설과 그 가설을 근거한 예측이 모두 타당한 것은?
가설 | 예측 | ||
교배 | 결과 | ||
① | 흰색 털은 열성이다. | 흰색 × 흰색 | → 모두 흰색 |
② | 흰색 털은 열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1 : 3 |
③ | 흰색 털은 우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3 : 1 |
④ | 흰색 털은 우성이다. | 검은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1 : 1 |
⑤ | 흰색 털은 불완전 우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모두 회색 |
이 장치로 실험할 때 유리판을 물 속에 넣는 이유는? [0.8점]
① 수면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
② 수면파의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③ 수면파의 진동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④ 수면파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⑤ 빛의 굴절에 의한 효과를 막기 위해
이 실험에서 가정하고 있는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증류수에는 물 이외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ㄷ. 자동차의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주요 원인이다.
ㄹ. 0.01% 황산 용액의 pH는 산성비의 범위에 속한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그림 (가)와 여러 가지 대기 현상을 바탕으로, 그림 (나)의 도시 B에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현상들에 대하여 발표한 것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 지역 중 공장 및 주택 혼합 지역이 하루 동안의 교통량 변화가 가장 적을 것이다.
② 상업 지역의 교통량은 오전보다 오후에 많을 것이다.
③ 강한 바람이 계속 부는 날의 하루 중 CO 농도 변화는 이 그래프에서의 농도 변화보다 작을 것이다.
④ 자동차들을 전부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에서의 CO 농도 변화가 크게 줄어들 것이다.
⑤ 오전 7~8시경, 도시 B의 여러 지역에서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text{CO}_{2}$) 농도가 감소할 것이다.
이 그래프에 의해 지지되는 가설은?
① 물질 대사 저해 물질은 $\text{Na}^{+}$이 세포 외부로 나가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② 물질 대사 저해 물질이 처리되는 동안에는 자극을 주어도 탈분극이 일어나지 않는다.
③ 활동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 세포 내부의 $\text{Na}^{+}$ 농도가 일정하다.
④ 휴지 상태의 신경 섬유막은 외부가 양($+$)으로, 내부는 음($-$)으로 하전되어 있다.
⑤ 휴지 전위로 복귀될 때 $\text{K}^{+}$이 세포 안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S를 닫았을 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결과를 다음 <보기> 중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전구 C는 켜지지 않을 것이다.
ㄷ. 전구 D는 전구 A보다 전력 소비가 많을 것이다.
ㄹ. 전구 F는 전구 E보다 전력 소비가 많을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실험 결과]
가. 약 10g의 NaOH를 물 1L에 녹여 전기 분해에 사용할 용액을 만들었다.
나. 두 탄소 전극을 장치하던 중, 하나가 부러져 ($+$)극과 ($-$)극의 전극 크기가 위의 그림과 같이 달라졌다.
다. 스위치를 당아 시험관 A에 $\dfrac{2}{3}$정도 기체가 채워질 때가지 전기 분해를 하였다.
라. 시험관 A에 모은 기체에 불씨가 남은 성냥 개비를 넣어 보았다.
① 가
② 나
③ 다
④ 가, 라
⑤ 나, 다
충돌에 관한 위의 결과는 원자(핵)의 세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핵 분열에는 느린 중성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빠른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여 가능한 한 작은 운동 에너지 값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떤 원자핵과 충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겠는가? (단, 충돌 전 원자핵은 정지하고 있으며, 충돌은 완전 탄성 충돌이라 가정한다.)
① ${}_{1}^{2}\text{H}$
② ${}_{6}^{12}\text{C}$
③ ${}_{48}^{112}\text{Cd}$
④ ${}_{92}^{238}\text{U}$
⑤ ${}_{94}^{239}\text{Pu}$
공기가 든 플라스크에 압력계를 연결하여 밀봉한 후, 이것을 뜨거운 물이 채워진 수조에 담그고, 물이 식는 동안 물의 온도와 그때의 기체 압력을 측정하였다.
다음은 철수가 얻은 실험 결과의 일부이다.
(1Pa=1N/m$^{2}$)
온도(℃) | 압력(kPa) |
90 | 127 |
75 | 122 |
60 | 116 |
45 | 111 |
30 | 106 |
ㄴ. 철수는 플라스크의 열팽창을 중요한 문제로 생각하지 않았다.
ㄷ. 온도가 0℃일 때, 기체의 압력은 약 96kPa일 것이다.
ㄹ. 온도가 60℃일 때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30℃일 때의 2배이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나. 기체 상수 값을 찾아 본다.
다. 원소 분석을 하여 성분 원소들의 질량 조성비를 구한다.
라. 성분 원소들의 원자량을 찾아 본다.
① 이 기체의 질량을 측정한다.
② 아보가드로수를 찾아 본다.
③ 성분 원소들의 원소가전자수를 알아본다.
④ 이 기체의 끓는점을 측정한다.
⑤ 성분 원소들의 성질을 조사한다.
위의 그림에 대한 해석 중 잘못된 것은?
① $\text{Al}_{2}\text{SiO}_{5}$로 된 광물은 5kb, 400℃에서는 남정석으로 존재한다.
② 그림 (가)의 점 T에서는 홍주석, 남정석, 규선석이 함께 존재한다.
③ 이산화탄소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녹는점이 내려간다.
④ 이산화탄소는 3기압 하에서 고체를 가열하면 승화한다.
⑤ 이산화탄소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녹는점과 끓는점 사이의 온도 차이가 커진다.
액체의 종류 | pH | [$\text{H}^{+}$] | [$\text{OH}^{-}$] |
우유 | $5\times10^{-7}$ | ||
위액 | $1\times 10^{-2}$ | ||
혈액 | 7.4 | ||
비눗물 | $2\times 10^{-5}$ | ||
침 | $1\times 10^{-7}$ | ||
암모니아수 | 11.0 | ||
오렌지 주스 | 3.5 |
① 위액, 침, 우유, 혈액
② 오렌지 주스, 위액, 혈액, 비눗물
③ 오렌지 주스, 우유, 침, 암모니아수
④ 침, 비눗물, 혈액, 우유
⑤ 오렌지 주스, 비눗물, 우유, 혈액
ㆍ 유조선의 사고시 유출된 원유는 바다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며, 해양 생물에게 큰 피해를 준다.
ㆍ 물이 고인 작은 웅덩이에 석유를 소량 뿌리면 물 속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이 구제된다.
ㆍ 아세톤은 물과 잘 섞이지만, 물로 잘 지워지지 않는 얼룩을 지우는 데도 사용된다.
ㆍ 설탕은 물에 잘 녹으나, 파라핀은 녹지 않는다.
① 휘발성이 큰 물질은 끓는점이 낮아 용매로서 널리 쓰인다.
② 물은 물분자 상호 간의 인력이 강하여 다른 물질과 친화력이 작다.
③ 두 물질이 혼합되는 정도는 분자 간의 힘의 종류와 크기에 의존한다.
④ 탄소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밀도가 작다.
⑤ 생물은 유기 용매에 약하다.
A는 지구상에서 중력의 효과만을 고려할 경우의 속력 변화를, B는 지구상에서 중력 이외의 다른 힘이 함께 작용할 경우의 속력 변화를, C는 태양계 내 어떤 천체상에서의 속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ㄴ. 힘 $f$의 방향은 지구 중력과 같은 방향이다.
ㄷ. 시각 $t_{2}$에서 힘 $f$의 크기는 지구 중력과 거의 같다.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수성 | 금성 | 달 | 목성 | 토성 | |
표면 중력의 상대적 크기($지구=1$) | 0.38 | 0.91 | 0.16 | 2.54 | 1.07 |
대기의 유무 | 없음 | 있음 | 없음 | 있음 | 있음 |
① 수성
② 금성
③ 달
④ 목성
⑤ 토성
철수가 이러한 확인을 할 수 있었던 그림의 특징을 <보기> 중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그림 (가)에서 우측 하단에 2개의 외부 은하가 보인다.
ㄷ. 그림 (나)에서 별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거의 타원형으로 분포되어 있다.
ㄹ. 그림 (나)에서 장축의 한쪽 방향으로는 별들의 분포가 크게 두 갈래로 갈라져 보인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