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4년 11월 23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예체능계](과학)
시행 : 1994.11.23(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 (가)와 (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맞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ㄴ. 그림 (가)에서 연필이 눈에 가까울수록 연필의 시차 내에 보이는 배경의 나무 판지 개수가 감소한다.
ㄷ. 그림 (가)에서 두 눈동자의 위치는 그림 (나)에서 지구의 위치와 대응된다.
ㄹ. 그림 (나)와 같이 실제 별 A의 연주 시차 관측시,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아주 밝은 별들을 배경으로 선택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측정 시기 | 항체 농도 |
첫째 날 | 0 |
1주 | 0 |
2주 | 5 |
3주 | 20 |
4주 | 100 |
5주 | 80 |
6주 | 10 |
7주 | 2500 |
8주 | 1000 |
9주 | 800 |
10주 | 650 |
①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1주~2주 사이
②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3주~4주 사이
③ [감염 횟수] : 1회 / [감염 시기] : 6주~7주 사이
④ [감염 횟수] : 2회 / [감염 시기] : 1주~2주 사이, 6주~7주 사이
⑤ [감염 횟수] : 2회 / [감염 시기] : 3주~4주 사이, 6주~7주 사이
↓(Ⅰ)
ㆍ 따라서, B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A의 2배이다.
↓(Ⅱ)
ㆍ 따라서, B의 가속도는 A의 2배이다.
↓(Ⅲ)
ㆍ 따라서, B의 낙하 시간은 A의 $\dfrac{1}{2}$배이다.
① Ⅰ
② Ⅲ
③ Ⅰ, Ⅲ
④ Ⅱ, Ⅲ
⑤ 잘못 전개된 단계가 없다.
ㆍ 시험관에 이산화탄소를 넣고 물이 든 비커 속에 거꾸로 세워 두면 수면이 올라간다.
ㆍ 이 비커에 메틸레드 지시약을 떨어뜨리면 용액이 적색으로 변하며, 이 적색 용액을 끓이면 황색으로 변한다.
실험 (나)
ㆍ 묽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용액이 적색으로 변하며, 이 적색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통과시키면 무색으로 변한다.
① 이산화탄소는 물에 녹는다.
②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다.
③ 이산화탄소는 수산화나트륨과 반응한다.
④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은 용액은 산성이 된다.
⑤ 용액을 끓이면 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는 날아간다.
다음 중 이 모형 보트의 출발 후 운동 상태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① 처음 4초 동안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② 4초 때 보트가 잠시 멈추었다.
③ 4초가 지난 후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④ 6초 때 보트의 운동 에너지가 최소였다.
⑤ 6초 때 보트의 이동 거리는 최대였다.
나. 위의 과정을 1분 간격으로 50회 반복한다.
다. 잠시 후 빛만 쪼인 다음, 플라나리아의 반응을 조사한다.
① 지렁이는 빛이 없는 쪽으로 이동한다.
② 과거에 맛있게 먹었던 음식을 보면 침이 나온다.
③ 벌은 춤의 모양을 통해 먹이의 위치를 알려 준다.
④ 손가락에 뜨거운 물체가 닿으면 순간적으로 손을 움츠린다.
⑤ 침팬지가 천정에 매달린 바나나를 따기 위해 상자를 쌓아올린다.
ㄴ. 동쪽에는 푸른 하늘이 보이고, 서쪽 하늘에 구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ㄷ. 권층운이 끼고 희미한 달무리가 보인다.
ㄹ. 석양 노을이 붉게 물들었다.
① ㄱ, ㄹ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ㄴ. $\text{CaCl}_{2}$ 결정을 넣는다.
ㄷ. 1M $\text{HCl}$ 수용액을 넣는다.
ㄹ. 1M $\text{Ca(NO}_{3})_{2}$ 수용액을 넣는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암석 D가 형성될 당시의 대륙과 해양의 분포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이 그래프의 해석으로 옳은 것은?
① 해충과 거미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
② 살충제를 사용한 결과 해충은 전보다 더 증가하였다.
③ 거미가 감소한 것은 해충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④ 해충 개체군의 크기는 주기적으로 변동한다.
⑤ 해충 개체군의 출생률은 일정하다.
쓰고 남은 나트륨을 아주 잘게 부수어 많은 물과 함께 싱크대에 버렸다.
ㄴ. 4월 24일
1M $\text{NaOH}$ 용액이 필요해서 1몰의 $\text{NaOH}$를 1L의 물에 녹여 1M $\text{NaOH}$ 용액을 만들었다.
ㄷ. 5월 14일
3M $\text{NaOH}$ 용액을 손등에 엎질렀다. 그래서 3M HCl 용액으로 중화시킨 후 수돗물로 깨끗이 씻었다.
ㄹ. 5월 29일
1M 황산 용액이 필요해서 1몰에 해당하는 진한 황산에 물을 조금씩 가하여 1M 황산 용액을 만들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바르게 실험한 것이 없음
ㆍ 화강암을 이루는 광물들의 크기가 경계로 갈수록 작아진다.
ㆍ 셰일에서 경계로 갈수록 미세한 광물 입자들이 방향성이 없고 치밀하며, 견고한 조직을 이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보기>의 진술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2점]
ㄴ. 입자가 점 B를 통과할 때의 운동 에너지는 점 A를 통과할 때의 운동 에너지의 $\dfrac{1}{2}$이다.
ㄷ. 점 C에서 이 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0이 아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시기 | 세포 수 | 소요 시간 |
휴지기 | 180 | 14시간 24분 |
전 기 | 15 | 1시간 11분 |
중 기 | 1 | 5분 |
후 기 | 2 | 10분 |
말 기 | 2 | 10분 |
계 | 200 | 16시간 |
① 휴지기는 세포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각 시기에 해당하는 세포 수의 비는 각 시기에 소요되는 시간의 비와 같다.
③ 분열 중인 세포 수와 휴지기에 속하는 세포 수의 비는 $1 : 9$이다.
④ 휴지기 초기의 내포 내 DNA 양과 분열 중인 세포 내 DNA 양의 비는 $1 : 2$이다.
⑤ 세포 주기의 길이는 그 세포가 갖고 있는 염색체 수에 비례한다.
(가)에서 (라)로 감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화하는 규산염 광물의 성질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풍화 작용에 대한 광물의 안정도가 감소한다.
② 규소와 산소의 비가 일정하다.
③ 광물의 깨짐의 성질이 잘 나타난다.
④ 광물 정출시 마그마의 온도가 점점 높아진다.
⑤ 인접하는 $(\text{SiO}_{4})^{4-}$ 사면체 간에 공유하는 산소의 수가 증가한다.
(나) 각 용기에 물을 충분히 준 후, 용기를 밀봉하고 그 안의 $\text{CO}_{2}$를 제거한다.
(다) $\text{CO}_{2}$ 농도가 0.03%로부터 9.03%까지 1%씩 차이나도록 각 용기 내에 $\text{CO}_{2}$를 주입하고, 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라) 모든 용기를 온실에 3일간 보관한다.
(마) 실험 말기에 각 식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① (가)에서 10종의 식물을 준비하여 각 용기에 심는 식물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한다.
② (나)에서 각 용기 내의 상대 습도를 2% 간격으로 다르게 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③ (다)에서 $\text{CO}_{2}$ 농도가 0.01%로부터 0.10%까지 0.01%씩 차이나도록 각 용기 내에 $\text{CO}_{2}$를 주입하고, 그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④ (라)에서 각 용기 내의 온도를 20℃부터 38℃까지 2℃씩 차이를 둔다.
⑤ (라)에서 5개의 용기는 어두운 곳, 나머지 5개의 용기는 밝은 곳에 둔다.
ㆍ 고체 A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분리하였다.
ㆍ 고체 B, D와 용액 C의 전기적 특성과 고체 B, D의 녹는점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ㆍ 고체 B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으나, 일정한 온도(455℃)에서 녹았고, 이 액체는 전기를 통하였다.
ㆍ 용액 C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다.
ㆍ 고체 D는 일정한 온도(185℃)에서 녹았으며, 녹은 액체는 전기를 통하지 않았다.
① 고체 A에는 전기가 통할 수 있다.
② 고체 A는 세 가지 물질의 혼합물이다.
③ 고체 B는 원소 상태의 물질이다.
④ 용액 C에는 공유 결합 물질이 녹아 있다.
⑤ 고체 D는 이온 결합 물질과 공유 결합 물질의 혼합물이다.
<보기> 중에서 황해의 해수면으로부터 수온약층까지의 깊이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ㄴ. 계절에 관계 없이 거의 일정한 깊이에 형성된다.
ㄷ. 겨울철에는 수온 약층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ㄹ.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깊게 나타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보기> 중 이 실험의 방법과 결과에 관한 옳은 진술을 모두 고른 것은?
ㄴ. 자기장의 변화 방향과 유도 기전력의 방향 사이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 자석의 극을 바꾸어 관찰한다.
ㄷ. 자석이 진동하면서 멈추게 되기까지 검류계의 바늘도 좌우로 진동하다가 0에서 멈추게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ㄴ. 목성은 이 기간 동안 2회 유의 위치에 있었다.
ㄷ. 목성은 3월 1일경부터 역행에서 순행으로 바뀌었다.
ㄹ. 목성의 역행 기간은 약 4 개월 가량이었다.
일자 | 적경 | 거리 | |
월 | 일 | 시 분 초 | AU |
1 | 1 | 14 30 40 | 5.87 |
21 | 14 41 15 | 5.56 | |
2 | 10 | 14 48 6 | 5.24 |
20 | 14 49 50 | 5.08 | |
3 | 1 | 14 50 22 | 4.94 |
11 | 14 49 47 | 4.80 | |
4 | 10 | 14 41 11 | 4.50 |
30 | 14 31 43 | 4.42 | |
5 | 10 | 14 26 46 | 4.43 |
20 | 14 22 7 | 4.47 | |
6 | 9 | 14 14 54 | 4.63 |
29 | 14 11 42 | 4.87 | |
7 | 3 | 14 11 40 | 4.90 |
9 | 14 11 49 | 5.00 | |
8 | 8 | 14 18 48 | 5.46 |
28 | 14 28 19 | 5.76 | |
9 | 17 | 14 40 55 | 6.01 |
27 | 14 48 9 | 6.12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영희는 흰색 털이 우성인지 열성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기니아피그의 털 색깔은 한 쌍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고 멘델의 유전 법칙을 따른다고 가정할 때, 영희의 연구 문제에 대한 가설과 그 가설을 근거한 예측이 모두 타당한 것은?
가설 | 예측 | ||
교배 | 결과 | ||
① | 흰색 털은 열성이다. | 흰색 × 흰색 | → 모두 흰색 |
② | 흰색 털은 열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1 : 3 |
③ | 흰색 털은 우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3 : 1 |
④ | 흰색 털은 우성이다. | 검은색 × 검은색 | → 흰색 : 검은색 = 1 : 1 |
⑤ | 흰색 털은 불완전 우성이다. | 흰색 × 검은색 | → 모두 회색 |
이 장치로 실험할 때 유리판을 물 속에 넣는 이유는? [0.8점]
① 수면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
② 수면파의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③ 수면파의 진동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④ 수면파의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⑤ 빛의 굴절에 의한 효과를 막기 위해
이 실험에서 가정하고 있는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증류수에는 물 이외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ㄷ. 자동차의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주요 원인이다.
ㄹ. 0.01% 황산 용액의 pH는 산성비의 범위에 속한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그림 (가)와 여러 가지 대기 현상을 바탕으로, 그림 (나)의 도시 B에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현상들에 대하여 발표한 것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세 지역 중 공장 및 주택 혼합 지역이 하루 동안의 교통량 변화가 가장 적을 것이다.
② 상업 지역의 교통량은 오전보다 오후에 많을 것이다.
③ 강한 바람이 계속 부는 날의 하루 중 CO 농도 변화는 이 그래프에서의 농도 변화보다 작을 것이다.
④ 자동차들을 전부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에서의 CO 농도 변화가 크게 줄어들 것이다.
⑤ 오전 7~8시경, 도시 B의 여러 지역에서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text{CO}_{2}$) 농도가 감소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