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8년 11월 18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Ⅱ)[인문계](사회)[세계사]
시행 : 1998.11.18(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대화이다.
ㄴ. 역사는 과거 사실에 대해 현재 역사가들이 탐구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ㄷ. 역사 연구는 과거의 실상을 밝히기 위한 것이지 현재와 미래를 위한 것은 아니다.
ㄹ. 역사가들은 자신의 현재적 관심에 따라 역사를 연구하므로 역사는 시대마다 새롭게 쓰여질 수 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조. 청상 과부의 개가를 허용한다.
10조. 왜와 통하는 자는 엄징한다.
12조.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分作)한다.
① 인도의 세포이 항쟁
② 베트남의 동유 운동
③ 중국의 태평천국 운동
④ 오스만 투르크의 탄지마트
⑤ 러시아의 데카브리스트 난
① 와하브 운동
② 변법자강 운동
③ 삼민주의 운동
④ 위정척사 운동
⑤ 스와데시 운동
◦ 요(遼)는 이중 통치 제도를 실시하는 한편 거란문자를 만들었다.
◦ 베트남의 진 왕조에서는 『대월사기』를 편찬하는 동시에 추놈문자를 만들었다.
① 부국 강병책을 추구하였다.
② 중국 문화에 동화되려고 하였다.
③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려고 하였다.
④ 민족적 자주 의식을 고취시키려 하였다.
⑤ 서민 중심의 문화를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 지배 세력간에는 주종 관계를 맺어 계서적 질서를 유지하였다.
ㄴ. 서양 중세 시대
ㄷ. 위만 조선 시대
ㄹ. 중국 진시황 시대
ㅁ. 로마 공화정 시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ㄴ, ㅁ
⑤ ㄷ, ㄹ
① 성리학의 명분론
② 콜베르의 중상주의
③ 일본의 내선 일체론
④ 무솔리니의 국가 지상주의
⑤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 사상
◦ 프랑스의 7월 혁명과 2월 혁명
◦ 폴란드 바웬샤의 자유 노조 운동
◦ 남아프리카 공화국 만델라의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
① 민간의 경제 활동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불황 속의 인플레이션을 타개해 왔다. ― 작은 정부
② 시민들의 힘으로 소수 특권층만이 누리던 자유와 권리가 다수에게 확대되어 왔다. ― 시민사회
③ 자국의 이익과 번영을 위해 약소 국가를 경제적 침탈의 대상으로 삼아 왔다. ― 제국주의
④ 타민족의 압제로부터 벗어나 민족 자결과 자치의 원리를 구현해 왔다. ― 민족주의
⑤ 공업화를 통해 국민들을 가난에서 해방시키고 복지 국가를 건설해 왔다. ― 산업화
① 조공 무역의 확대
② 일조편법의 시행
③ 정화의 남해 원정
④ 화교의 동남아 진출
⑤ 신대륙과 신항로의 발견
◦ 우리를 민주주의라고 부른다. 소수가 아니라 다수가 정부를 운영하기 때문이다. (페리클레스의 연설문)
◦ 백성을 5가 단위로 편성하여 서로 감시하게 하고 연좌 책임을 지운다. 게을러 가난한 자는 가족 전체를 관노비로 삼는다. (상앙의 변법)
◦ 백성이 가장 귀하고 그 다음이 국가이며 군주는 가장 가볍다. (『맹자』)
① 민주주의는 그리스 폴리스에서 완성되었다.
② 고대에는 동ㆍ서양 모두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했다.
③ 아테네 민주주의 정신과 맹자의 왕도 정치 사상은 일치한다.
④ 페리클레스가 말하는 다수는 맹자가 말하는 백성과 같은 것이다.
⑤ 고대에는 동ㆍ서양 모두 공공 정책 결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의 원형이 존재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