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9년 11월 1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수리ㆍ탐구영역(Ⅰ)[예체능계](수학)
시행 : 1999.11.17(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① $\dfrac{1}{4}$
② $\dfrac{1}{2}$
③ $0$
④ $-\dfrac{1}{2}$
⑤ $-\dfrac{1}{4}$
① $0$
② $24$
③ $48$
④ $24i$
⑤ $48i$
① $\dfrac{1}{\sqrt{2}}$
② $\dfrac{1}{2}$
③ $1$
④ $- \dfrac{1}{2}$
⑤ $- \dfrac{1}{\sqrt{2}}$
① $2$
② $3$
③ $4$
④ $5$
⑤ $6$
① $\dfrac{1}{5}$
② $\dfrac{2}{5}$
③ $\dfrac{3}{5}$
④ $\dfrac{4}{5}$
⑤ $\dfrac{6}{5}$
① $\dfrac{1}{5}$
② $\dfrac{1}{4}$
③ $\dfrac{1}{3}$
④ $\dfrac{1}{2}$
⑤ $1$
① $\dfrac{1}{3} \log_{3} 2$
② $\dfrac{1}{2} \log_{3} 2$
③ $\log_{3} 2$
④ $2 \log_{3} 2$
⑤ $3 \log_{3} 2$
① $b$
② $a^{2} - b$
③ $a^{2} + b$
④ $a + b$
⑤ $a - b$
ㄴ. $A \subset B$이면 $f ( A ) \le f ( B )$이다.
ㄷ. $f ( A \cap B ) = f ( A ) + f ( B )$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ㄴ. $f (x )=-x$
ㄷ. $f (x )=-x+1$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① $0 < x < 1$
② $\dfrac{1}{2} < x < \dfrac{3}{2}$
③ $1 < x < 2$
④ $1 < x < \dfrac{5}{2}$
⑤ $\dfrac{3}{2} < x < \dfrac{5}{2}$
① $120˚ $
② $90˚ $
③ $60˚ $
④ $45˚ $
⑤ $30˚ $
① $1+ \sqrt{2}$
② $3- \sqrt{2}$
③ $2+ \sqrt{2}$
④ $4- \sqrt{2}$
⑤ $3+ \sqrt{2}$
① $a$
② $b$
③ $c$
④ $b$, $c$ 모두 가능하다.
⑤ $a$, $b$, $c$ 모두 가능하다.
① $x x x x$
② $x x x y$
③ $x x y y$
④ $x y y y$
⑤ $y y y y$
ㄴ. $g ( f ( n ) ) = g ( n )$
ㄷ. $f ( g ( n ) ) = f ( n )$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ⅰ) $a \ne c$이고 $a \ne - c$일 때,
직선 $AC$의 기울기는 $\dfrac{b}{a - c}$이므로,
변 $AC$의 중점 $E$를 지나고 변 $AC$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 = \fbox{ ㈎ } \left( x - \dfrac{a + c}{2} \right) + \dfrac{b}{2} = \fbox{ ㈎ } x + \fbox{ ㈏ }$ $\cdots $ ①
같은 방법으로, 변 $AB$의 중점 $D$를 지나고 변 $AB$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 = - \left( \dfrac{a + c}{2} \right) + \dfrac{b}{2} = \fbox{ ㈏ }$ $\cdots $ ②
두 직선 ①, ②의 $y$절편이 같으므로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y$축 위의 점 $\left( 0, \fbox{ ㈏ } \right)$에서 만난다.
따라서, $\triangle ABC$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ⅱ) $a =c$ 또는 $a =- c$일 때,
$\triangle ABC$는 $\fbox{ ㈐ }$이므로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D$ 또는 $E$에서 만난다.
따라서 $\triangle ABC$의 세 변의 수직이등분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① $- \dfrac{a - c}{b}$, $\dfrac{a^{2} + b^{2} - c^{2}}{2b}$, 직각삼각형
② $- \dfrac{a - c}{b}$, $\dfrac{a^{2} + b^{2} - c^{2}}{2b}$, 정삼각형
③ $- \dfrac{a - c}{b}$, $\dfrac{a^{2} + b^{2} - c^{2}}{2b}$, 이등변삼각형
④ $\dfrac{a - c}{b}$, $\dfrac{a^{2} + b^{2} - c^{2}}{2b}$, 이등변삼각형
⑤ $\dfrac{a - c}{b}$, $\dfrac{a^{2} + b^{2} - c^{2}}{2b}$, 직각삼각형
$n = 4(3\cdot7\cdot11\cdot19\cdot\cdots\cdot p)+ 3$이라 하면,
$n$은 $3$, $7$, $11$, $19$, $\cdots$, $p$로 $\fbox{ ㈎ }$.
$n$의 모든 소인수는 $4k + 1$ 또는 $4k + 3$꼴의 정수이고, $4k + 1$꼴의 두 정수를 곱하면 $\fbox{ ㈏ }$꼴의 정수이다.
그러므로 $n$의 모든 소인수가 $\fbox{ ㈏ }$꼴이면, $n$도 $\fbox{ ㈏ }$꼴이다.
이것은 모순이므로 $n$은 $\fbox{ ㈐ }$꼴의 소인수 $q$를 갖는다.
$n$은 $q$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3$, $7$, $11$, $19$, $\cdots$, $p$가 아닌 $4k + 3$꼴의 소수가 존재한다. 이것은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4k + 3$꼴의 소수는 무수히 많다.
① 나누어 떨어진다. $4k + 1$, $4k + 1$
② 나누어 떨어진다. $4k + 3$, $4k + 3$
③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4k + 3$, $4k + 1$
④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4k + 1$, $4k + 1$
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4k + 1$, $4k + 3$
① $- 1 \le a \le 9$
② $a \ge 0$
③ $a \ge 5$
④ $a \le 7$
⑤ $a \le 9$
① $1 : 9$
② $1 : 7$
③ $1 : 6$
④ $1 : 5$
⑤ $1 : 3$
① $\left( \dfrac{a+b}{2}, \dfrac{2}{a+b} \right)$
② $\left( a+b, \dfrac{1}{a+b} \right)$
③ $\left( \dfrac{a+b}{\sqrt{2}}, \dfrac{\sqrt{2}}{a+b} \right)$
④ $\left( a+b, \dfrac{2}{a+b} \right)$
⑤ $\left( \dfrac{2}{a+b}, a+b \right)$
① 300m
② 400m
③ 500m
④ 600m
⑤ 800m
입력값을 이진법의 수로 $pq_{(2)}$와 같이 표현하였을 때, $p$가 $1$인 입력값의 집합을 $P$, $q$가 $1$인 입력값의 집합을 $Q$라 하자. 빨간 전등이 점등되는 모든 입력값의 집합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P$
② $Q$
③ $P \cup Q^{c}$
④ $P^{c} \cup Q$
⑤ $P^{c} \cap Q^{c}$
① 2003년
② 2006년
③ 2009년
④ 2012년
⑤ 2024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