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6월 1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이 시각 이후 영침 그림자의 끝은 점점 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ㄷ. 동지에는 영침 그림자의 끝이 맨 위쪽 가로선에 오게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단, 파리와 카이엔의 위도는 각각 48°N , 5°N 이다.)
ㄴ. 리셰는 진자의 길이를 더 길게 조절하였다.
ㄷ. 저위도에서는 진자의 주기가 더 길어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지구의 모양이 타원체인 것을 고려할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극으로 갈수록 만유 인력의 크기는 증가한다.
② 원심력의 크기는 적도에서 최대이다.
③ 적도로 갈수록 중력의 크기는 감소한다.
④ 극에서는 중력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작용한다.
⑤ 지구의 자전 속도가 빨라지면 적도에서 중력의 크기는 증가할 것이다.
이 자료로 알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외핵은 액체 상태로 되어 있다.
ㄷ. P파의 속도는 내핵에서 최대가 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보기>는 이 사진을 보고 4명의 학생이 나눈 대화이다. 사진에 대한 해석을 옳게 한 학생을 모두 고른 것은?
아름 : 맞아. 가운데 북극성이 있잖아. 사진에서 보면 별들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움직였어.
정우 : 별이 시간에 따라 이렇게 움직인 것은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일주권이 생기게 돼.
현민 : 일주권 모양으로 보아 사진에 있는 별들은 모두 출몰성이야.
① 은영, 아름
② 정우, 현민
③ 은영, 정우
④ 아름, 현민
⑤ 은영, 현민
이에 대한 해석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우리나라에서 편각은 북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ㄷ. 그림 (나)의 세 지점 중에서 복각이 가장 큰 곳은 C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ㄴ. 태양의 적위는 6월 중에 최소가 된다.
ㄷ. 이 지역의 위도는 37.5°N 이다.
① ㄱ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이에 대한 다음 해석 중 옳지 않은 것은? [1점]
① 대기권은 기압의 변화를 기준으로 4개의 층으로 구분한다.
② 지구 대기의 대부분이 대류권에 밀집되어 있다.
③ 성층권은 안정한 층으로 대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④ 중간권에서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내려간다.
⑤ 대기권의 기온은 중간권 계면에서 가장 낮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토양 (가)의 투수율이 (나)보다 더 크다.
ㄷ. 토양 (나)는 입자의 크기가 (가)보다 더 다양하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그림을 해석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text{SiO}_2$ 함량이 70%인 화성암은 산성암에 속한다.
② 염기성암은 어두운 색을 띤다.
③ 암석의 색이 밝을수록 Ca, Mg의 성분이 증가한다.
④ $\text{SiO}_2$ 함량이 많을수록 암석의 색은 밝다.
⑤ $\text{SiO}_2$ 함량이 많을수록 K, Na의 성분이 증가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가)에서 (다)로 갈수록 암석 전체의 표면적은 증가한다.
ㄷ. (가)에서 (다)로 갈수록 화학적 풍화 작용은 더 약하게 일어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ㄴ. 우리나라의 기온은 하지에 가장 높을 것이다.
ㄷ. 12월에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이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보다 더 많다.
ㄹ.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이 가장 많을 때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도 가장 많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점]
ㄴ. (나)는 석회암 지대에서 잘 나타난다.
ㄷ. (다)는 바람에 의한 퇴적 작용으로 생성된 지형이다.
ㄹ. (라)는 빙하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생성된 지형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이 암석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암석 A와 B는 주로 열에 의해 변성되었다.
② 암석 A는 셰일보다 더 단단하다.
③ 암석 A는 편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④ 암석 B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리면 거품을 일으키며 반응한다.
⑤ 암석 B는 건축물의 내부 장식재로 이용된다.
감람석 | 휘석 | 각섬석 | 흑운모 |
ㄴ. 감람석에 충격을 가하면 방향성 없이 깨진다.
ㄷ. 흑운모는 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성질이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1점]
① 지구의 태양 복사 에너지 반사율은 20%이다.
② 지구에서 공간으로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은 64%이다.
③ 대기가 지표면에서 얻는 에너지량은 모두 123%이다.
④ 지표면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은 103%이다.
⑤ 지구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양과 지구에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의 양은 같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