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6/12

2002-06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6월 1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2002학년도 6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은 식물 조직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A, B, C 부분이 갖는 공통된 특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세포의 크기가 작다.
ㄴ. 액포가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ㄷ. 어린 세포보다 성숙한 세포가 많다.
ㄹ. 세포벽의 두께가 얇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과 같이 설탕, 포도당, 과당 용액이 들어있는 비커에 포도당과 설탕 용액이 들어 있는 셀로판 주머니를 넣었다. 24 시간이 지난 후 나타난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포도당, 과당 분자의 크기 < 셀로판막 구멍의 크기 < 설탕 분자의 크기)
보기
ㄱ. 설탕 분자는 셀로판 주머니 안에서 밖으로 이동한다.
ㄴ. 셀로판 주머니 안팎의 포도당 농도는 같아진다.
ㄷ. 과당 분자는 모두 셀로판 주머니 안쪽으로 이동한다.
ㄹ. 셀로판 주머니의 부피가 커진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관수가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수행한 탐구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관수가 십이지장에서의 소화에 대해 배운 내용]
 (가)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온 음식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나) 세크레틴은 십이지장벽에서 분비되며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다) 이자액에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text{NaHCO}_3$)은 산성 음식물을 중화시킨다.
[문제인식]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가 설] 십이지장에 들어온 산성 음식물이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한다.
[실험수행]
 1. 개의 십이지장에 산성 물질을 넣어준다.
 2. 십이지장에 분비된 이자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이자액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결 론] 십이지장의 산성 물질이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시켜 이자액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관수가 자신의 가설이 맞다고 주장하려면 반드시 추가해야할 실험 과정은?

① 이자액에서 소화액의 분비를 억제한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② 십이지장에 염기성 물질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③ 위에 산성 물질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④ 위에 염기성 물질을 넣어 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⑤ 위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분비 작용이 활발한 이자 세포에 방사성 동위 원소인 $^{14}\text{C}$로 표지된 아미노산을 3분간 투입한 후, 시간에 따라 세포 소기관에서 방사능의 양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세포 소기관에서 측정된 방사능의 비율(%)>
경과 시간(분)310204060
조면소포체9044382416
골지체343381511
분비 소낭49235970
기타 지역34123
이 실험은 무엇을 알아보기 위한 것인가?

① 단백질을 주로 생산하는 세포 소기관은 무엇인가?

② 방사선을 쪼인 세포는 얼마나 생존할 수 있는가?

③ 방사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세포 기관은 무엇인가?

④ 세포 소기관에서 생성하는 단백질의 종류는 무엇인가?

⑤ 세포 내에서 분비 단백질의 이동 경로는 무엇인가?

다음은 현미경으로 양파의 표피 세포를 관찰하는 과정이다.
(가) 양파의 안쪽 표피를 벗겨 슬라이드글라스 위에 놓는다.
(나) 세포에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떨어뜨린 후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다) 100배($접안렌즈 \times 10$, $대물렌즈 \times 10$)의 배율로 관찰하였더니 약 32개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라) $대물렌즈를 \times 40$로 교체한 후 관찰하였다.
(마) 세포의 크기를 재기 위하여 접안마이크로미터와 대물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을 비교해보았더니 아래 그림과 같았다. (단, 대물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10$\mu\text{m}$이다)
(바) 양파의 표피세포의 크기는 접안마이크로미터 20눈금에 해당하였다.
실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나) 과정에 의해 핵이 염색된다.

② (라) 과정에서 현미경의 배율은 400배가 된다.

③ (라) 과정에서는 양파 표피 세포가 약 2개 정도 관찰된다.

④ (마) 과정에서 접안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2.5$\mu\text{m}$이다.

⑤ (바) 과정에서 측정한 양파 표피 세포의 크기는 200$\mu\text{m}$이다.

다음은 생물체 내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물질대사 과정이다.
각 반응에는 서로 다른 효소가 작용하고 있으며, 반응 결과 생성된 물질에 의해 효소의 작용이 조절된다.
위 물질 대사가 일어나는 세포에 물질 E와 물질 H가 충분히 존재한다면, 다음 반응 중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① 물질 A → 물질 B

② 물질 A → 물질 F

③ 물질 D → 물질 E

④ 물질 B → 물질 C

⑤ 물질 G → 물질 H

다음은 인체 내에서 녹말이 소화되어 물질 대사에 이용되는 과정(A~D)을 나타낸 것이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는 이화 작용이다.

② D에서는 ATP가 이용된다.

③ B와 C는 에너지가 소모되는 반응이다.

④ B와 C는 동화 작용이며, D는 이화 작용이다.

⑤ A와 D는 식물체에서도 일어난다.

그래프는 어느 식물에서 $\text{CO}_2$의 농도가 각각 300ppm, 1,000ppm일 때, 빛의 세기에 따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a 구간에서는 빛의 세기가 광합성을 제한한다.
ㄴ. b 구간에서 광합성 속도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한다.
ㄷ. c 구간에서 광합성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ㄹ.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광포화점이 높게 나타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ㄴ, ㄷ

⑤ ㄷ, ㄹ

그래프는 어느 생물의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수송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물질 X와 물질 Y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호흡저해제를 처리했을 때 세포 내외에서의 두 물질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단, 호흡저해제는 세포의 에너지 생성을 억제한다.)
위 자료를 해석하여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물질 X는 확산에 의해 이동된다.

② (가) 구간에서 물질 X는 세포 내로 유입된다.

③ (다) 구간에서 물질 Y의 수송에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④ (라) 구간에서 물질 Y는 세포 외로 유출된다.

⑤ (라) 구간에서 물질 Y는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된다.

그래프는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어떤 동물의 체온 변화와 물질 대사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ㄱ.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대체로 물질 대사가 활발해진다.
ㄴ. 0℃ 이하에서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물질 대사율이 커진다.
ㄷ.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소모하는 에너지 양은 25~35℃에서 가장 적다.
ㄹ. 이 동물은 변온 동물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시중에 판매되는 효소 세제에는 일반적인 세제 성분 이외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지방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가 첨가되어 있다. 그래프는 pH 변화에 따른 어느 동물의 리파아제와 미생물에서 추출한 세제용 리파아제의 지방 분해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그래프에 대한 해석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보기
ㄱ. 두 효소의 지방을 분해시키는 최고 속도는 같다.
ㄴ. 세탁시 기름때가 효과적으로 분해되려면 세제 용액의 pH가 10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ㄷ. 두 효소의 최적 pH는 다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래프는 두 가지 종류의 식물(A와 B)에서 빛, 수분, 온도 조건이 변화될 때, 광합성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단, 수분 스트레스는 식물체에 공급되는 수분이 적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이 관찰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6월 1일은 6월 2일에 비해 맑고 건조한 날이다.

② B 식물의 총광합성량은 6월 1일보다 6월 2일이 많다.

③ 광합성 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6월2일 낮 12시 경, B 식물에서이다.

④ 6월 1일 오후에 광합성량이 감소한 이유는 수분 부족 때문일 것이다.

⑤ 수분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식물은 A이다.

그림은 한 정육면체 각 변의 길이를 $\dfrac{1}{2}$, $\dfrac{1}{4}$로 나누었을 때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A, B, C가 크기가 다른 세포라고 한다면, 세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타날 수 있는 현상과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세포의 표면적이 증가한다.
ㄴ. 세포의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한다.
ㄷ. 세포가 필요로 하는 물질의 출입이 원활해진다.
ㄹ. 세포의 물질 대사가 억제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는 담배 잎에 반점이 생기는 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다. 바이러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수와 영희가 수행한 탐구 과정이다.
[철수의 탐구]
(실험) TMV 결정 $1\mu\text{g}$을 물에 녹여 건강한 담배 잎에 발라 주었다. 며칠 후 감염된 담배 잎에서 TMV 결정을 추출하여 그 질량을 측정하였더니 $10\mu\text{g}$이었다.
(결론) 바이러스는 생명체이다.
[영희의 탐구]
(실험) 추출된 TMV는 단백질 결정 상태로 효소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바이러스는 생명체가 아니다.
철수와 영희가 가정하고 있는 생명체의 특성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철수영희
물질 대사반응성
물질 대사생식
생식물질 대사
생식유전과 진화
유전과 진화반응성
아래 설명은 생체막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 생체막의 주요 구성 물질은 단백질과 인지질이다.
◦ 지용성 물질은 수용성 물질에 비해 인지질층을 잘 통과한다.
그림(가)는 여러 생체막의 단백질과 인지질의 구성비를, 그림 (나)는 사람 세포와 쥐 세포의 융합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자료를 해석하여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생체막의 종류에 따라 인지질과 단백질의 구성 비율이 다르다.
ㄴ. 지용성 물질은 신경섬유의 수초막에서 보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한다.
ㄷ.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움직일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다음은 원형질의 주요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합성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엿당, 디펩티드, 중성 지방이 합성될 때는 물이 빠져 나온다.

② 단백질의 양쪽 끝에는 아미노기($-\text{NH}_2$)가 존재한다.

③ 중성 지방을 가수분해하면 1분자의 글리세롤과 3분자의 지방산이 생겨난다.

④ 위의 3가지 물질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원소는 C, H, O이다.

⑤ 1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에는 99개의 펩티드 결합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