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서울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6월 12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A, B, C 부분이 갖는 공통된 특징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ㄴ. 액포가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ㄷ. 어린 세포보다 성숙한 세포가 많다.
ㄹ. 세포벽의 두께가 얇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ㄴ. 셀로판 주머니 안팎의 포도당 농도는 같아진다.
ㄷ. 과당 분자는 모두 셀로판 주머니 안쪽으로 이동한다.
ㄹ. 셀로판 주머니의 부피가 커진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가)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온 음식물은 산성을 나타낸다.
(나) 세크레틴은 십이지장벽에서 분비되며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다) 이자액에 들어있는 탄산수소나트륨($\text{NaHCO}_3$)은 산성 음식물을 중화시킨다.
[문제인식]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가 설] 십이지장에 들어온 산성 음식물이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한다.
[실험수행]
1. 개의 십이지장에 산성 물질을 넣어준다.
2. 십이지장에 분비된 이자액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 과] 이자액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결 론] 십이지장의 산성 물질이 세크레틴의 분비를 촉진시켜 이자액의 분비량이 증가한다.
① 이자액에서 소화액의 분비를 억제한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② 십이지장에 염기성 물질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③ 위에 산성 물질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④ 위에 염기성 물질을 넣어 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⑤ 위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어준 후 결과를 측정한다.
<각 세포 소기관에서 측정된 방사능의 비율(%)>
경과 시간(분) | 3 | 10 | 20 | 40 | 60 |
조면소포체 | 90 | 44 | 38 | 24 | 16 |
골지체 | 3 | 43 | 38 | 15 | 11 |
분비 소낭 | 4 | 9 | 23 | 59 | 70 |
기타 지역 | 3 | 4 | 1 | 2 | 3 |
① 단백질을 주로 생산하는 세포 소기관은 무엇인가?
② 방사선을 쪼인 세포는 얼마나 생존할 수 있는가?
③ 방사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세포 기관은 무엇인가?
④ 세포 소기관에서 생성하는 단백질의 종류는 무엇인가?
⑤ 세포 내에서 분비 단백질의 이동 경로는 무엇인가?
(나) 세포에 아세트산카민 용액을 떨어뜨린 후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다) 100배($접안렌즈 \times 10$, $대물렌즈 \times 10$)의 배율로 관찰하였더니 약 32개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라) $대물렌즈를 \times 40$로 교체한 후 관찰하였다.
(마) 세포의 크기를 재기 위하여 접안마이크로미터와 대물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을 비교해보았더니 아래 그림과 같았다. (단, 대물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10$\mu\text{m}$이다)
(바) 양파의 표피세포의 크기는 접안마이크로미터 20눈금에 해당하였다.
① (나) 과정에 의해 핵이 염색된다.
② (라) 과정에서 현미경의 배율은 400배가 된다.
③ (라) 과정에서는 양파 표피 세포가 약 2개 정도 관찰된다.
④ (마) 과정에서 접안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2.5$\mu\text{m}$이다.
⑤ (바) 과정에서 측정한 양파 표피 세포의 크기는 200$\mu\text{m}$이다.
① 물질 A → 물질 B
② 물질 A → 물질 F
③ 물질 D → 물질 E
④ 물질 B → 물질 C
⑤ 물질 G → 물질 H
각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는 이화 작용이다.
② D에서는 ATP가 이용된다.
③ B와 C는 에너지가 소모되는 반응이다.
④ B와 C는 동화 작용이며, D는 이화 작용이다.
⑤ A와 D는 식물체에서도 일어난다.
이 그래프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b 구간에서 광합성 속도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반비례한다.
ㄷ. c 구간에서 광합성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산화탄소 농도이다.
ㄹ.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광포화점이 높게 나타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위 자료를 해석하여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물질 X는 확산에 의해 이동된다.
② (가) 구간에서 물질 X는 세포 내로 유입된다.
③ (다) 구간에서 물질 Y의 수송에는 에너지가 소모된다.
④ (라) 구간에서 물질 Y는 세포 외로 유출된다.
⑤ (라) 구간에서 물질 Y는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된다.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르면?
ㄴ. 0℃ 이하에서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물질 대사율이 커진다.
ㄷ.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소모하는 에너지 양은 25~35℃에서 가장 적다.
ㄹ. 이 동물은 변온 동물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ㄹ
⑤ ㄷ, ㄹ
그래프에 대한 해석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ㄴ. 세탁시 기름때가 효과적으로 분해되려면 세제 용액의 pH가 10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ㄷ. 두 효소의 최적 pH는 다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 관찰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6월 1일은 6월 2일에 비해 맑고 건조한 날이다.
② B 식물의 총광합성량은 6월 1일보다 6월 2일이 많다.
③ 광합성 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6월2일 낮 12시 경, B 식물에서이다.
④ 6월 1일 오후에 광합성량이 감소한 이유는 수분 부족 때문일 것이다.
⑤ 수분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식물은 A이다.
A, B, C가 크기가 다른 세포라고 한다면, 세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타날 수 있는 현상과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세포의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한다.
ㄷ. 세포가 필요로 하는 물질의 출입이 원활해진다.
ㄹ. 세포의 물질 대사가 억제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실험) TMV 결정 $1\mu\text{g}$을 물에 녹여 건강한 담배 잎에 발라 주었다. 며칠 후 감염된 담배 잎에서 TMV 결정을 추출하여 그 질량을 측정하였더니 $10\mu\text{g}$이었다.
(결론) 바이러스는 생명체이다.
[영희의 탐구]
(실험) 추출된 TMV는 단백질 결정 상태로 효소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바이러스는 생명체가 아니다.
철수 | 영희 | |
① | 물질 대사 | 반응성 |
② | 물질 대사 | 생식 |
③ | 생식 | 물질 대사 |
④ | 생식 | 유전과 진화 |
⑤ | 유전과 진화 | 반응성 |
◦ 지용성 물질은 수용성 물질에 비해 인지질층을 잘 통과한다.
자료를 해석하여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지용성 물질은 신경섬유의 수초막에서 보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효과적으로 이동한다.
ㄷ.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움직일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엿당, 디펩티드, 중성 지방이 합성될 때는 물이 빠져 나온다.
② 단백질의 양쪽 끝에는 아미노기($-\text{NH}_2$)가 존재한다.
③ 중성 지방을 가수분해하면 1분자의 글리세롤과 3분자의 지방산이 생겨난다.
④ 위의 3가지 물질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원소는 C, H, O이다.
⑤ 10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에는 99개의 펩티드 결합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