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6/12

2002학년도 6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 영역 [자연계 선택] [지구과학Ⅱ]

2002학년도 6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 영역 [자연계 선택] [지구과학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삽화, 사진, 표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65. 그림은 마그마의 분화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2점]

 <보 기> 
ㄱ. 현무암질 마그마는 안산암질, 유문암질 마그마로 분화한다.
ㄴ. 감람석은 마그마의 분화 말기에 정출된다.
ㄷ. 유문암질 마그마는 가장 낮은 온도에서 생성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66. 그림은 여러 가지 퇴적 구조와 그 단면도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는 점토로 된 토양에서 잘 만들어진다.
② (나)는 역전되어 있는 지질 구조이다.
③ (나)는 심해저에서 저탁류에 의해 만들어진다.
④ (다)는 유수의 방향을 유추할 수 있다.
⑤ (가), (나), (다)는 퇴적 장소나 퇴적 당시의 환경을 알려준다.

67. 그림 (가), (나), (다)는 각각 위도 0°, 30°N , 90°N인 지역에서 푸코 진자를 A-B 방향으로 진동시킨 후 4시간 후에 관측한 결과이다. (단, A-B는 처음 진동 방향, A'-B'는 4시간 후의 진동 방향이다.)

위도($\phi$)와 푸코 진자 진동면의 회전 주기(T) 사이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68. 그림 (가)는 위도에 따른 증발량(E)과 강수량(P)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표층 해수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와 관계 깊은 물리량을 그림 (나)에서 모두 고르면?

① 염분
② 수온
③ 밀도
④ 수온, 염분
⑤ 수온, 밀도

69. 그림 (가)는 진원과 지진 관측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두 관측소의 진앙거리에 따른 지진파의 도달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지진파의 특성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점]

 <보 기> 
ㄱ. 진앙에서 멀어질수록 A의 길이가 길어진다.
ㄴ. 진앙에서 멀어질수록 B의 길이가 짧아진다.
ㄷ. B는 PS시이다.
ㄹ. C는 S파, D는 P파의 주시곡선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고, 그림 (나)는 화성암 A, B에 들어있는 방사성 원소 X의 시간에 따른 양적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화성암 A와 B에 들어 있는 방사성 원소 X의 모원소와 자원소의 비가 각각 1 : 3 , 1 : 7이라고 할 때, 지층 D의 생성 시기는?

① 0.5억 년 ~ 1억 년
② 1억 년 ~ 1.5억 년
③ 1.5억 년 ~ 2억 년
④ 2억 년 ~ 2.5억 년
⑤ 2.5억 년 ~ 3억 년

71. 철수는 구름의 발생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플라스크 바닥에 약간의 물을 넣고 변화를 관찰한다.
(나) A를 연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며 변화를 관찰한다.
(다) A를 막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며 변화를 관찰한다.
(라) A를 열면서 변화를 관찰한다.
(마) 다시 A를 막은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며 변화를 관찰한다.

이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 중 구름의 발생 단계는?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72. 그림은 우리 나라 여름과 겨울의 전형적인 기압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여름에는 주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는다.
ㄴ.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이 분다.
ㄷ. 여름에는 대륙의 영향을 받아서 고온 건조하다.
ㄹ. 겨울에는 여름보다 바람이 약하게 분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3.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도를 나타낸 것이고, <보기>는 네 학생이 지질도를 해석한 것이다. 옳게 해석한 학생은?

 <보 기> 
◦ 철수 : 이 지역의 지형은 산의 골짜기이다.
◦ 동수 : 이 지역에서는 부정합이 발견된다.
◦ 영희 : 지층의 생성순서는 C→D→E→B→A이다.
◦ 순희 : A, B는 경사층이고, C, D, E는 수평층이다.

① 철수, 동수
② 철수, 영희
③ 철수, 순희
④ 동수, 영희
⑤ 영희, 순희

74. 그림 (가)는 빙정설에 의한 강수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온도에 따른 포화 수증기압을 나타낸 것이다.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구름 속에 빙정과 과냉각 물방울이 함께 있어야 한다.
ㄴ. 과냉각 물방울은 작아지고 빙정이 성장하여 비가 내린다.
ㄷ. 과냉각 물방울보다 빙정의 포화수증기압이 크기 때문에 비가 내린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75. 그림 (가)는 지구자기의 요소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우리 나라의 편각과 복각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제주에서 서울을 향해 갈 때, 나타나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복각은 증가한다.
ㄴ. 연직 자기력의 크기는 증가한다.
ㄷ. 나침반의 바늘은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6. 그림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이 H-R도 상에서 진화해 가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별의 진화 과정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주계열성에서 거성으로 진화함에 따라 별의 크기는 점점 커진다.
ㄴ. 적색 거성 단계에 이르면 수소핵 융합 반응은 거의 끝난 상태이다.
ㄷ. 백색 왜성, 중성자별, 블랙 홀은 밀도가 매우 큰 별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7. 그림은 대기와 해수에 의해 고위도로 운반되는 에너지량을 위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대기에 의한 에너지 수송량은 위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ㄴ. 대기와 해수에 의한 전체 에너지 수송량이 가장 많은 곳은 30°N 부근이다.
ㄷ. 고위도에서는 대기보다 해수에 의한 에너지 수송량이 많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78. 그림은 행성들의 회합주기를 나타낸 것이다.

행성들의 공전주기와 회합주기에 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점]

 <보 기> 
ㄱ. 지구와 화성 사이에 행성이 있다면 이 행성의 회합주기는 2년일 것이다.
ㄴ. 회합주기는 목성이 금성보다 짧지만, 공전주기는 목성이 금성보다 길다.
ㄷ. 소행성 세레스(Ceres)의 회합주기는 목성의 회합주기보다 길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79. 그림은 1700년 이후 관측된 태양 흑점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흑점수의 변화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흑점수의 극소기에는 50개, 극대기에는 100개 이상의 흑점이 관측되었다.
ㄴ. 1800년에서 1900년 사이에 흑점수 극대기는 9회 있었다.
ㄷ. 1900년에는 지구상에 자기폭풍 현상이 있었을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80. 그림 (가)는 성단의 나이에 따른 H-R도의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여러 가지 산개 성단들의 H-R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성단은 어느 것인가? [2점]

① NGC2362
② 플레이아데스
③ M11
④ 히아데스
⑤ M6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