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6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 영역 [자연계 선택] [생물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삽화, 사진, 표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65. 그림은 세포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물질을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위 분석 과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단백질과 핵산은 에테르와 10% 삼염소아세트산 용액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ㄴ. 지질은 10% 삼염소아세트산 용액에 용해되지만 탄수화물은 용해되지 않는다.
ㄷ. 무기염류는 세포 건조물을 연소시켜 얻을 수 있다.
ㄴ. 지질은 10% 삼염소아세트산 용액에 용해되지만 탄수화물은 용해되지 않는다.
ㄷ. 무기염류는 세포 건조물을 연소시켜 얻을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6. 다음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른 여러 생물의 번식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환경 조건 | 세균 | 해캄 | 히드라 | 진딧물 |
양분이 많을 때 | 분열법 | 분열법 | 출아법 | 단위생식 |
양분이 적을 때 | 접합 | 접합 | 수정 | 수정 |
온도가 적당할 때 | 분열법 | 분열법 | 출아법 | 단위생식 |
온도가 낮을 때 | 접합 | 접합 | 수정 | 수정 |
위 자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① 하등한 생물일수록 생식 방법이 복잡하다.
② 하등한 생물일수록 유성 생식으로 증식한다.
③ 다양한 생식 방법을 갖는 생물은 번식 속도가 빠르다.
④ 생식 방법이 복잡한 생물이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잘 살아갈 수 있다.
⑤ 환경 조건이 불리해지면 다양한 유전자 조합을 갖는 자손을 낳는다.
67. 그림은 농도가 다른 용액에 양파의 표피 세포와 적혈구를 넣었을 때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저장액 | 등장액 | 고장액 | |
양파세포 | 팽윤 | 변화 없음 | 원형질 분리 |
적혈구 | 용혈 현상 | 변화 없음 | 수축 |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세포막은 큰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작은 물질만 통과시키는 반투과성 막이다
ㄴ. 식물 세포에서는 확산 현상이, 동물 세포에서는 삼투 현상이 주로 일어난다.
ㄷ. 세포벽은 단단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세포를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한다.
ㄴ. 식물 세포에서는 확산 현상이, 동물 세포에서는 삼투 현상이 주로 일어난다.
ㄷ. 세포벽은 단단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세포를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68. 효소 저해제는 기질과 비슷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의 작용을 방해한다. 그림은 효소를 기질에 반응시켰을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질(S)과 산물(P)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효소 반응이 일어나는 도중, C 시점에서 충분한 양의 저해제를 투입하면 기질과 산물의 양은 어떻게 되겠는가?
69. 그림은 빛의 세기와 $CO_{2}$의 농도에 따른 광합성 속도를 나타낸 것이고, 표는 $C_{3}$ 식물과 $C_{4}$ 식물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C_{3}$ 식물 | $C_{4}$ 식물 | |
대상이 되는 식물 | 감자, 참나무 | 옥수수, 사탕수수 |
$CO_{2}$와 결합하여 생성되는 물질 | PGA (인글리세르산) | 말산 |
위 자료와 관련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동일한 $CO_{2}$ 농도에서 옥수수는 감자보다 광합성 속도가 더 빠르다.
ㄴ. 사탕수수는 참나무보다 광포화점이 더 높다.
ㄷ. $CO_{2}$와 결합하여 말산을 만드는 식물보다 PGA를 만드는 식물의 광합성 효율이 더 높다.
ㄴ. 사탕수수는 참나무보다 광포화점이 더 높다.
ㄷ. $CO_{2}$와 결합하여 말산을 만드는 식물보다 PGA를 만드는 식물의 광합성 효율이 더 높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0. 그림은 우리가 평소 섭취하는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소화된 후, 세포 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을 토대로 서술한 내용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지방은 해당 과정, TCA 회로, 전자 전달계를 거치면서 ATP를 합성한다.
② TCA회로에서 생성된 수소는 전자전달계를 거치면서 $O_{2}$와 결합하여 물이 된다.
③ 단백질의 섭취량이 많아지면 질소 노폐물인 요소의 생성량이 증가한다.
④ 각 호흡 기질은 TCA 회로와 전자전달계를 거치면서 완전히 분해된다.
⑤ 단백질의 섭취량이 많아지면 TCA 회로의 중간 대사 물질이 증가한다.
71. 곤충의 호흡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가) 두 개의 시험관 A, B에 $KOH$ 용액을 넣고 중간 부분에 철망을 걸쳐놓는다. (단, $KOH$는 $CO_{2}$를 흡수한다.)
(나) A는 그대로 두고, B에만 귀뚜라미를 넣는다.
(다) 그림과 같이 양쪽 시험관에 각각 눈금이 있는 유리관을 연결하고, 유리관 끝 부분에 잉크를 한 방울씩 주입한다. (이 때 주사기를 이용하여 양쪽 유리관 안의 잉크 방울 ⓐ, ⓑ가 같은 눈금에 위치하도록 한다.)
(라) 이 장치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잉크 방울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다.
(마) 측정 결과 잉크 방울 ⓐ는 움직이지 않았고, ⓑ는 왼쪽으로 이동하였다.
(나) A는 그대로 두고, B에만 귀뚜라미를 넣는다.
(다) 그림과 같이 양쪽 시험관에 각각 눈금이 있는 유리관을 연결하고, 유리관 끝 부분에 잉크를 한 방울씩 주입한다. (이 때 주사기를 이용하여 양쪽 유리관 안의 잉크 방울 ⓐ, ⓑ가 같은 눈금에 위치하도록 한다.)
(라) 이 장치를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잉크 방울이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다.
(마) 측정 결과 잉크 방울 ⓐ는 움직이지 않았고, ⓑ는 왼쪽으로 이동하였다.
잉크 방울 ⓑ가 이동한 거리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2점]
① 귀뚜라미의 $O_{2}$ 흡수량
② 귀뚜라미의 $CO_{2}$ 방출량
③ 귀뚜라미의 $H_{2}O$ 방출량
④ 귀뚜라미의 $O_{2}$ 흡수량과 귀뚜라미의 $CO_{2}$ 방출량의 합
⑤ 귀뚜라미의 $O_{2}$ 흡수량과 귀뚜라미의 $CO_{2}$ 방출량의 차이
72. 삶은 달걀 흰자를 잘게 썰어 0.5g씩 5개의 시험관에 넣고 펩신 용액을 5mL씩 넣은 후, 그림과 같이 조건을 달리하여 항온 수조에 30분간 두었다.
달걀 흰자가 가장 잘 분해된 시험관은? [1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73. 다음은 삼투압 조절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 체액의 수분량이 부족하면 간뇌의 시상 하부가 자극을 받아 뇌하수체 후엽으로부터 바소프레신(ADH)의 분비를 증가시켜 신장에서의 수분 재흡수를 촉진한다.
◦ 체액의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면 부신피질로부터 무기질 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되어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분비하여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분비량을 조절한다.
◦ 체액의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면 부신피질로부터 무기질 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되어 신장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분비하여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분비량을 조절한다.
짠 음식을 많이 먹었을 경우, 체내에서 호르몬 분비는 어떻게 되겠는가?
①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분비 안 된다 / [바소프레신] : 분비 안 된다
②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감소한다 / [바소프레신] : 감소한다
③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증가한다 / [바소프레신] : 증가한다
④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감소한다 / [바소프레신] : 증가한다
⑤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증가한다 / [바소프레신] : 감소한다
74. 덩굴 식물을 재료로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가) 커다란 상자에 그림과 같이 칸막이를 하였다.
(나) 상자의 한 쪽 모서리에 덩굴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놓았다.
(다) 화분과 반대 위치에 구멍이 뚫어진 뚜껑을 덮고 밀봉한 뒤 밝은 장소에 놓았다.<그림1>
(라) 20일 후 뚜껑을 열어보니 덩굴 식물이 구멍 쪽을 향하여 굽어 자란 것을 관찰하였다.<그림2>
(나) 상자의 한 쪽 모서리에 덩굴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놓았다.
(다) 화분과 반대 위치에 구멍이 뚫어진 뚜껑을 덮고 밀봉한 뒤 밝은 장소에 놓았다.<그림1>
(라) 20일 후 뚜껑을 열어보니 덩굴 식물이 구멍 쪽을 향하여 굽어 자란 것을 관찰하였다.<그림2>
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생물의 특성은? [1점]
① 생물은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을 나타낸다.
② 생물은 다양하게 분화된 세포로 구성된다.
③ 생물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생활 양식을 갖는다.
④ 생물의 유전적 특징은 자손에게 그대로 전해진다.
⑤ 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복잡하지만 체계적인 구성을 가진다.
75. 식물의 꽃눈 형성은 온도나 빛과 같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그림은 환경 조건에 따른 사리풀의 꽃눈 형성을 나타낸 것이다.
사리풀과 같은 원리로 꽃이 피는 것은?
① 국화는 밤의 길이가 일정시간 이상이 되는 가을에 꽃이 핀다.
② 벼는 낮의 길이가 일정시간 이상이 되는 여름에 꽃이 핀다.
③ 토마토는 빛과 관계없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꽃이 핀다.
④ 가을에 파종한 보리는 겨울을 지난 후 봄에 꽃이 핀다.
⑤ 민들레는 기온이 높은 낮에는 꽃이 피고, 밤에는 꽃이 오므라든다.
76. 큰가시고기는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둥지를 짓고 암컷을 유인하여 산란을 유도한다. 다음은 큰가시고기의 짝짓기 행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큰가시고기의 행동과 관련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배우자의 특정한 행동이 상대방의 다음 행동을 유발시 킨다.
ㄴ. 수컷이 암컷의 꼬리를 건드리는 것을 제지하면 수컷은 둥지 입구를 가리키는 행동을 반복할 것이다.
ㄷ. 이런 짝짓기 행동은 연속적인 반사 작용의 결과이다.
ㄹ. 이런 행동은 신 김치를 보고 침을 흘리는 조건 반사와 같은 행동이다.
ㄴ. 수컷이 암컷의 꼬리를 건드리는 것을 제지하면 수컷은 둥지 입구를 가리키는 행동을 반복할 것이다.
ㄷ. 이런 짝짓기 행동은 연속적인 반사 작용의 결과이다.
ㄹ. 이런 행동은 신 김치를 보고 침을 흘리는 조건 반사와 같은 행동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77. 다음은 생물체 내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이소류신의 양이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아미노산 중 트레오닌은 여러 효소의 작용으로 이소류신으로 변한다. 이 과정의 최종 산물인 이소류신이 많아지면 이소류신은 효소1의 작용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소류신의 양이 감소하면 효소의 억제 작용이 풀려 이소류신을 다시 합성하게 된다.
다음 중 위 과정과 같은 원리가 아닌 것은?
① 혈액 중에 갑상선호르몬의 양이 많으면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된다.
② 혈액에 수분이 부족하면 세뇨관에서 수분의 재흡수가 촉진된다.
③ 혈당량이 높아지면 인슐린의 분비가 촉진된다.
④ 체온이 올라가면 땀 분비량이 증가된다.
⑤ 심실이 수축하면 최고혈압이 나타난다.
78. 메셀슨과 스탈은 질소의 동위 원소인 ${}^{15}N$와 보통 질소인 ${}^{14}N$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15}NH_{4}Cl$이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질량이 큰 ${}^{15}N$만을 함유한 DNA를 가지는 대장균($G_{1}$)을 얻었다.
(나) 다음에 $G_{1}$을 ${}^{14}NH_{4}Cl$만 들어있는 배지에 옮겨 한 번 분열한 것($G_{2}$), $G_{2}$를 다시 분열시켜 얻은 것($G_{3}$)을 각각 원심분리하였다.
[실험 결과]
ㆍ $G_{1}$의 DNA : 모두 시험관의 C 부분에 모였다.
ㆍ $G_{2}$의 DNA : 모두 시험관의 B 부분에 모였다.
ㆍ $G_{3}$의 DNA : 1/2은 A 부분에, 1/2는 B 부분에 모였다.
(가) ${}^{15}NH_{4}Cl$이 들어있는 배양액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질량이 큰 ${}^{15}N$만을 함유한 DNA를 가지는 대장균($G_{1}$)을 얻었다.
(나) 다음에 $G_{1}$을 ${}^{14}NH_{4}Cl$만 들어있는 배지에 옮겨 한 번 분열한 것($G_{2}$), $G_{2}$를 다시 분열시켜 얻은 것($G_{3}$)을 각각 원심분리하였다.
[실험 결과]
ㆍ $G_{1}$의 DNA : 모두 시험관의 C 부분에 모였다.
ㆍ $G_{2}$의 DNA : 모두 시험관의 B 부분에 모였다.
ㆍ $G_{3}$의 DNA : 1/2은 A 부분에, 1/2는 B 부분에 모였다.
이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론으로 옳은 것은 ?
① DNA는 당, 인산, 염기로 구성된 이중나선 구조를 갖는다.
② DNA는 두 가닥의 염기 사슬이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③ DNA는 각각의 사슬을 주형으로 새로운 사슬이 반보존적으로 복제된다.
④ 방사성동위원소는 DNA 복제에 영향을 주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⑤ 원심분리 실험을 통해 DNA의 두 가닥 사슬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
79. 그림은 고양이의 털 색깔을 발현하는 유전자의 조절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ㆍ 효소 ⓐ : 유전자 A의 산물이며, 털 색을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화시킨다.
ㆍ 효소 ⓑ : 유전자 B의 산물이며, 효소 ⓐ의 작용을 억제하여 털 색이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해한다.
ㆍ 효소 ⓑ : 유전자 B의 산물이며, 효소 ⓐ의 작용을 억제하여 털 색이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해한다.
검은 털 색깔을 갖는 고양이의 유전자형은?(단, A, B 유전자는 a, b에 대하여 각각 우성이다.) [2점]
① AABB
② AaBb
③ Aabb
④ aaBB
⑤ aabb
80. 다음은 어떤 진화설을 설명하기 위해 철수와 영희가 한 실험 내용이다.
(가) 철수가 빨간색 성냥개비와 녹색 성냥개비 각각 50개 씩을 사방 5m의 잔디밭에 뿌린다.
(나) 영희가 5분 동안 잔디밭에 있는 성냥개비를 찾는다.
(다) 영희가 찾은 성냥개비의 수를 색깔 별로 기록한다.
(나) 영희가 5분 동안 잔디밭에 있는 성냥개비를 찾는다.
(다) 영희가 찾은 성냥개비의 수를 색깔 별로 기록한다.
영희가 포식자이고 성냥개비가 피식자에 해당된다면 이 실험을 통해 어떤 진화설을 설명할 수 있겠는가?
① 사용하는 기관은 발달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관은 퇴화한다.
② 환경에 잘 적응한 개체는 살아남고 적응하지 못한 것은 도태된다.
③ 생물은 개체마다 변이가 있는데 이 변이가 유전된다.
④ 생물 진화는 내부 요인에 의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⑤ 환경적인 격리가 진화의 요인이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