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 6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과학탐구 영역 [자연계 선택] [화학Ⅱ]
시행 : 2002.6.12(수)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삽화, 사진, 표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65. 다음 그림은 몇 가지 원자와 이온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위 입자들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점]
<보 기>
ㄱ. (가), (라)는 동위 원소 관계이다.
ㄴ. (나), (다)는 이온을 나타낸 모형이다.
ㄷ. 질량수가 가장 큰 것은 (다)이다.
ㄴ. (나), (다)는 이온을 나타낸 모형이다.
ㄷ. 질량수가 가장 큰 것은 (다)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66. 원자량은 탄소 원자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질량비의 값으로 나타낸다. 어떤 두 원자 X, Y의 질량관계가 그림과 같았다면 이 두 원자 X와 Y의 원자량은? (단, 탄소의 원자량은 12.00이며, X, Y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① [X의 원자량] : 8.00 / [Y의 원자량] : 12.00
② [X의 원자량] : 8.00 / [Y의 원자량] : 14.00
③ [X의 원자량] : 16.00 / [Y의 원자량] : 14.00
④ [X의 원자량] : 16.00 / [Y의 원자량] : 24.00
⑤ [X의 원자량] : 16.00 / [Y의 원자량] : 28.00
67. 다음은 기체 X의 분자량을 구하는 실험이다.
(가) 플라스크를 진공으로 한 다음 질량($m_{1}$)을 측정한다.
(나) 과정 (가)의 플라스크에 질소 기체를 1기압이 되도록 채운 다음 질량($m_{2}$)을 측정한다.
(다) 과정 (나)의 플라스크에 질소 대신 기체 X를 1기압이 되도록 채운 다음 질량($m_{3}$)을 측정한다.
(나) 과정 (가)의 플라스크에 질소 기체를 1기압이 되도록 채운 다음 질량($m_{2}$)을 측정한다.
(다) 과정 (나)의 플라스크에 질소 대신 기체 X를 1기압이 되도록 채운 다음 질량($m_{3}$)을 측정한다.
위 실험에서 기체 X의 분자량을 구하려고 할 때, $m_{1}$, $m_{2}$, $m_{3}$ 외에 추가로 필요한 자료는?(단,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① 질소의 분자량
② 아보가드로수
③ 용기의 부피
④ 표준상태 기체 1몰의 부피
⑤ 실험 조건에서 기체 1몰의 부피
68. 다음은 몇 가지 오비탈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비탈에 대한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2p_{x}$, $2p_{y}$, $2p_{z}$의 에너지 준위는 모두 같다.
ㄴ. 오비탈은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ㄷ. $2s$ 오비탈에서 원자핵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자를 발견할 확률이 커진다.
ㄴ. 오비탈은 전자를 발견할 확률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ㄷ. $2s$ 오비탈에서 원자핵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자를 발견할 확률이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69. 다음은 세 원자 A, B, C의 바닥 상태에서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A : $1s ^{2} 2s ^{2} 2p ^{6} 3s ^{1}$
B : $1s ^{2} 2s ^{2} 2p ^{6} 3s ^{2}$
C : $1s ^{2} 2s ^{2} 2p ^{5}$
B : $1s ^{2} 2s ^{2} 2p ^{6} 3s ^{2}$
C : $1s ^{2} 2s ^{2} 2p ^{5}$
A, B, C의 주기적 성질을 비교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단, A, B, 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보 기>
ㄱ. 전자친화도가 가장 큰 원자는 A이다.
ㄴ. 원자반지름이 가장 큰 원자는 B이다.
ㄷ. 이온화에너지가 가장 큰 원자는 C이다.
ㄴ. 원자반지름이 가장 큰 원자는 B이다.
ㄷ. 이온화에너지가 가장 큰 원자는 C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70. 다음은 어떤 2주기 원소의 수소 화합물에 관한 자료이다.
◦ 중심원자에 비공유 전자쌍이 있다.
◦ 분자 내에 이중 극자가 존재한다.
◦ 원자들의 중심이 모두 동일한 평면에 존재한다.
◦ 분자 내에 이중 극자가 존재한다.
◦ 원자들의 중심이 모두 동일한 평면에 존재한다.
위 자료에 해당되는 수소화합물의 분자 모형으로 옳은 것은?
71. 표는 3주기 원소 $A$, $B$, $C$의 순차적 이온화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단, $A$, $B$, $C$는 임의의 원소이다.)
원소 | 이온화 에너지(kJ/몰) | |||
$E_{1}$ | $E_{2}$ | $E_{3}$ | $E_{4}$ | |
$A$ | 494 | 4561 | 6912 | 9544 |
$B$ | 736 | 1452 | 7732 | 10539 |
$C$ | 577 | 1816 | 2745 | 11577 |
표의 각 원소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원소 $A$는 상온에서 물과 반응한다.
ㄴ. 원소 $B$의 산화물의 화학식은 $B_{2}O$이다.
ㄷ. 원소 $C$는 전자를 3개 잃을 때 안정한 이온이 된다.
ㄴ. 원소 $B$의 산화물의 화학식은 $B_{2}O$이다.
ㄷ. 원소 $C$는 전자를 3개 잃을 때 안정한 이온이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72. 표는 크롬의 착화합물 $CrCl_{3}(H_{2}O)_{3}$, $CrCl_{3}(H_{2}O)_{4}$, $CrCl_{3}(H_{2}O)_{5}$를 1몰씩 녹인 수용액에 충분한 양의 질산은 수용액을 넣었을 때 생긴 염화은($AgCl$)의 몰수를 나타낸 것이다.
착화합물 | 배위수 | $AgCl$의 몰 수 |
$CrCl_{3}(H_{2}O)_{3}$ | 6 | 0 |
$CrCl_{3}(H_{2}O)_{4}$ | 6 | 1 |
$CrCl_{3}(H_{2}O)_{5}$ | 6 | 2 |
위의 자료로 판단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2점]
<보 기>
ㄱ. $CrCl_{3}(H_{2}O)_{3}$에서 중심 금속은 +2가 이온이다.
ㄴ. $CrCl_{3}(H_{2}O)_{4}$에서 리간드로 사용되는 $Cl^{-}$은 2개이다.
ㄷ. $CrCl_{3}(H_{2}O)_{5}$에서 착이온의 화학식은 $[Cr(H2_{O})5Cl]^{2+}$이다.
ㄴ. $CrCl_{3}(H_{2}O)_{4}$에서 리간드로 사용되는 $Cl^{-}$은 2개이다.
ㄷ. $CrCl_{3}(H_{2}O)_{5}$에서 착이온의 화학식은 $[Cr(H2_{O})5Cl]^{2+}$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73. 다음은 설탕, 염화나트륨, 나프탈렌이 각각 들어 있는 시약병의 라벨이 떨어져 있어 이들 물질을 구별하려고 한 실험의 결과이다. 이 세 가지 물질을 임의로 A, B, C라고 할 때 A, B, C에 해당되는 물질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점]
① [A] : 염화나트륨 / [B] : 설탕 / [C] : 나프탈렌
② [A] : 나프탈렌 / [B] : 염화나트륨 / [C] : 설탕
③ [A] : 나프탈렌 / [B] : 설탕 / [C] : 염화나트륨
④ [A] : 설탕 / [B] : 나프탈렌 / [C] : 염화나트륨
⑤ [A] : 염화나트륨 / [B] : 나프탈렌 / [C] : 설탕
74. 다음은 삼각주의 형성에 관한 어느 책의 내용 중 일부이다.
강물에 들어 있는 점토 콜로이드는 물에 분산된 상태로 있다가 강의 하류에서 바닷물에 녹아있는 염의 작용으로 엉겨서 침전된다. 이렇게 물에 가라앉은 점토 성분에 의해 강의 하류에 삼각주가 형성된다.
다음 중 점토 콜로이드가 침전하여 삼각주를 형성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일어나는 현상은?
① 수산화제이철의 콜로이드 용액에 빛을 비추면 빛의 진로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② 꽃가루를 물에 넣고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꽃가루 입자가 불규칙하게 움직인다.
③ 콩을 갈아 만든 콩물에 염화마그네슘 수용액을 넣으면 두부가 만들어진다.
④ 먹물에 아교를 넣거나 잉크에 아라비아고무를 넣으면 색소 입자의 엉김이 방지된다.
⑤ 소금이 녹아있는 녹말 콜로이드를 셀로판 주머니에 넣고 흐르는 물에 담그면 소금이 제거된다.
75. 표는 서로 반응하지 않는 기체 A, B, C, D가 10L들이 용기에 섞여 있을 때, 각 기체의 부분 압력과 몰수를 나타낸 것이다.
기체 | A | B | C | D |
부분 압력(기압) | 0.5 | 0.2 | 0.2 | 조사하지 않음 |
몰수 | 1.0 | 조사하지 않음 | 0.4 | 0.2 |
위 자료에 대한 해석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체 A의 질량이 가장 크다.
② 기체 B의 몰수는 0.4몰이다.
③ 기체 B와 기체 C의 분자수는 같다.
④ 기체 C의 몰분율은 0.2이다.
⑤ 기체 D의 부분 압력은 0.1기압이다.
76. 철수는 고무 풍선에는 기체가 분출해 나올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다음의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같은 종류의 풍선에 기체 A, B를 각각 같은 부피씩 넣은 후 입구를 묶었다.
(나) (가)의 풍선을 유리 상자 안에 넣었다.
(다) 하루가 지난 후 유리 상자 안의 풍선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 처음에 그림Ⅰ처럼 기체 A가 들어 있는 풍선만 떠올랐다.
◦ 다음 날 그림Ⅱ처럼 떠 있는 풍선의 부피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
(가) 같은 종류의 풍선에 기체 A, B를 각각 같은 부피씩 넣은 후 입구를 묶었다.
(나) (가)의 풍선을 유리 상자 안에 넣었다.
(다) 하루가 지난 후 유리 상자 안의 풍선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 처음에 그림Ⅰ처럼 기체 A가 들어 있는 풍선만 떠올랐다.
◦ 다음 날 그림Ⅱ처럼 떠 있는 풍선의 부피가 더 많이 줄어들었다.
위 실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ㄱ. 기체 A의 분자량은 기체 B의 분자량보다 크다.
ㄴ. 기체 A의 분출 속도가 기체 B의 분출 속도보다 빠르다.
ㄷ. 그림Ⅰ에서 풍선 속에 들어있는 기체 A의 몰수가 기체 B의 몰수보다 크다.
ㄴ. 기체 A의 분출 속도가 기체 B의 분출 속도보다 빠르다.
ㄷ. 그림Ⅰ에서 풍선 속에 들어있는 기체 A의 몰수가 기체 B의 몰수보다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77. 그림은 몇 가지 물질의 온도에 따른 증기 압력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철수와 그의 친구들이 위 그림을 참고하여 예측한 내용이다. 옳게 예측한 사람을 모두 찾으면?
◦ 철수 : 디에틸에테르는 1기압, 40℃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할 것이다.
◦ 영희 : 에탄올은 아세트산 보다 분자간의 인력이 강할 것이다.
◦ 미진 :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가열하면 에탄올이 먼저 끓어 나올 것이다.
◦ 영수 : 같은 부피의 물과 디에틸에테르를 각각 서로 다른 비커에 담아두면 물이 더 빠르게 증발할 것이다.
◦ 영희 : 에탄올은 아세트산 보다 분자간의 인력이 강할 것이다.
◦ 미진 :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가열하면 에탄올이 먼저 끓어 나올 것이다.
◦ 영수 : 같은 부피의 물과 디에틸에테르를 각각 서로 다른 비커에 담아두면 물이 더 빠르게 증발할 것이다.
① 철수, 미진
② 철수, 영수
③ 영희, 미진
④ 철수, 영희, 영수
⑤ 영희, 미진, 영수
78. 그림은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의 상평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의 BT곡선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ㄱ. 스케이트 날로 얼음을 누르면 날 밑의 얼음이 녹는다.
ㄴ. 높은 산에 올라가 밥을 지으면 밥이 잘 익지 않는다.
ㄷ. 매우 낮은 압력에서는 얼음이 승화하여 수증기가 된다.
ㄴ. 높은 산에 올라가 밥을 지으면 밥이 잘 익지 않는다.
ㄷ. 매우 낮은 압력에서는 얼음이 승화하여 수증기가 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79. 영희는 용매와 용액의 증기압력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가) 두 개의 용기에 0.1몰랄 농도의 설탕물과 물을 각각 넣었다.
(나) U자관에 식용유를 넣어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며칠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처음에는 U자관의 식용유 면의 높이가 (A)처럼 같았으나 며칠 후에는 (B)처럼 설탕물 쪽으로 h만큼 높아졌다.
(가) 두 개의 용기에 0.1몰랄 농도의 설탕물과 물을 각각 넣었다.
(나) U자관에 식용유를 넣어 그림과 같이 장치하고 며칠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처음에는 U자관의 식용유 면의 높이가 (A)처럼 같았으나 며칠 후에는 (B)처럼 설탕물 쪽으로 h만큼 높아졌다.
왼쪽 용기의 0.1 몰랄 농도 설탕물을 <보기>의 수용액으로 바꾸었을 때, 식용유 면의 높이차가 h보다 커지게 할 수 있는 용액을 모두 고른 것은?
<보 기>
ㄱ. 0.1 몰랄농도 포도당 수용액
ㄴ. 0.1 몰랄농도 소금물
ㄷ. 0.2 몰랄농도 설탕물
ㄴ. 0.1 몰랄농도 소금물
ㄷ. 0.2 몰랄농도 설탕물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80. 다음은 분자식이 $C_{4}H_{10}O$인 부탄올과 디에틸에테르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두 물질을 구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실험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2점]
<보 기>
ㄱ. 두 물질의 연소 생성물을 비교해 본다.
ㄴ. 두 물질에 금속나트륨 조각을 떨어뜨려 본다.
ㄷ.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넣고 변화를 관찰한다.
ㄹ. 두 물질에 각각 물을 떨어뜨려 물에 대한 용해성을 알아본다.
ㄴ. 두 물질에 금속나트륨 조각을 떨어뜨려 본다.
ㄷ. 암모니아성 질산은 용액을 넣고 변화를 관찰한다.
ㄹ. 두 물질에 각각 물을 떨어뜨려 물에 대한 용해성을 알아본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