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09/03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예체능계](과학)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산성비의 원인, 피해 및 대책을 조사하기 위해 이들과 관련된 화학 반응식을 찾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가) $3\text{NO}_{2}+ \text{H}_{2}\text{O} → 2\text{HNO}_{3} + \text{NO}$
(나) $\text{CaCO}_{3} + \text{H}_{2}\text{SO}_{4} → \text{CaSO}_{4} + \text{H}_{2}\text{CO}_{3}$
(다) $\text{Ca(OH)}_{2}+ 2\text{HNO}_{3} → \text{Ca}(\text{NO}_{3})_{2}+ 2\text{H}_{2}\text{O}$
이들을 고찰하여 산성비에 관해 <보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보기
ㄱ. 들판에 석회를 뿌리면 산성 토양이 중화된다.
ㄴ. 산성비는 대리석으로 된 건축물의 부식을 촉진한다.
ㄷ.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ㄹ. 수십만 년 동안 빗물의 작용으로 석회암 동굴이 생성되었다.
위에 제시된 화학 반응식과 내린 결론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가) : ㄷ / (나) : ㄱ / (다) : ㄴ

② (가) : ㄷ / (나) : ㄴ / (다) : ㄱ

③ (가) : ㄷ / (나) : ㄴ / (다) : ㄹ

④ (가) : ㄹ / (나) : ㄱ / (다) : ㄴ

⑤ (가) : ㄹ / (나) : ㄴ / (다) : ㄷ

다음은 사람의 어떤 유전병에 대한 설명이다.
○ 아버지가 정상이면 딸은 모두 정상이다.
○ 정상의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식도 이 유전병을 가질 수 있다.
○ 어머니가 이 유전병을 가지면 아들은 반드시 이 유전병을 가진다.
이 질병의 유전자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X 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② X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③ 상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④ 상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⑤ X 또는 Y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다음은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반응 속도가 늦어진다.’는 가설의 타당성을 알아보는 과정 중 탐구 설계 과정만을 요약한 것이다.
○ 그림과 같이 20m/s의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P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적색 신호등이 켜지도록 한다.
○ P점의 위치는 운전자가 모르도록 한다.
○ 술을 마시지 않은 김모씨와 술을 마신 이모씨를 선정한다.
○ 두 운전자에게 다른 자동차를 배정한다.
○ 적색등이 켜지는 순간에 브레이크를 밟도록 한다.
○ P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자동차의 운동이 기록되도록 한다.
철수는 위의 탐구 설계 과정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보기>에서 그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P점의 위치를 운전자가 모르도록 하였다.
ㄴ. 두 운전자가 같은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았다.
ㄷ. 술을 마신 상태와 마시지 않은 상태의 운전자를 같은 사람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과거 약 100년 동안의 지구의 연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같은 기간 동안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과 관련지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연평균 기온 변화는 이산화탄소 농도 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도 받았다.
ㄴ. 1920년에서 1940년 사이보다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량이 더 컸다.
ㄷ.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두 배 높아진다면 연평균 기온도 두 배 정도 높아질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실험 조건을 달리한 장치를 설치하고 일주일이 경과한 후 쇠못이 녹슨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ABCD
실험 조건물, 쇠못물, 쇠못, 마그네슘물, 쇠못, 아연물, 쇠못, 주석
쇠못의 녹슨 양많이 생김거의 없음거의 없음매우 많이 생김
위 탐구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B의 마그네슘과 실험 D의 쇠못은 환원제 역할을 한다.
ㄴ. 아연으로 만든 못에 철사를 감아 물 속에 넣어 두면 철사는 쉽게 녹슨다.
ㄷ. 철로 만든 수도관에 마그네슘 판을 접촉시켜 놓으면 수도관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물속의 DO(용존산소량)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강의 상류와 하류에서 물을 채취하여 DO를 측정하였다.
(나) 시험관 A와 B에 상류의 물을, C와 D에 하류의 물을 각각 넣고 B와 D에는 같은 크기의 검정말을 넣었다.
(다) 20℃의 암실에서 5일간 두었다가 DO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 : ppm]
시험관ABCD
처음 DO9955
5일 후 DO8510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유기물이 유입되었다.
ㄴ. A와 C에서 상류와 하류의 BOD 차이를 알 수 있다.
ㄷ. B와 D에서 검정말은 DO를 증가시켰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축구경기를 관람하고 있던 철수는 운동장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보았다.
보기
홍길동 선수는 상대팀 수비수들을 피해 공이 있는 지점으로 ㉠ 빠르게 뛰어가 강한 슈팅을 하였다. ㉡ 눈 깜짝할 사이에 공은 골문 안으로 들어갔다. 골문 안으로 들어간 공은 골네트에 닿아 ㉢ 점점 느리게 되어 정지하였다. 그 순간 관중들의 “오! 필승 코리아! 대~한민국” 하는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보기>의 ㉠, ㉡, ㉢에 해당되는 가장 적당한 물리량들로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 속력 / ㉡ 시간 / ㉢ 가속도

② ㉠ 속력 / ㉡ 시간 / ㉢ 거리

③ ㉠ 시간 / ㉡ 거리 / ㉢ 속력

④ ㉠ 시간 / ㉡ 시간 / ㉢ 속력

⑤ ㉠ 시간 / ㉡ 시간 / ㉢ 가속도

그림은 계절에 따른 우리 나라 주변 해양의 표면 수온 분포도이다.
계절에 따른 표면 수온의 차가 해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도 37°N에서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수심의 영향 때문이다.
ㄴ. 경도 130°E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작은 이유는 주로 난류의 영향 때문이다.
ㄷ. 위도 33°N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편서풍의 영향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물고기의 복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것은?

① 복제 동물도 자손을 낳을 수 있다.

② 형광 유전자는 우성의 특징을 보인다.

③ 형광 유전자는 물고기의 성염색체로 끼어 들어갔다.

④ 복제 형광 물고기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도 가지고 있다.

⑤ 물고기의 체세포 핵에는 발생에 필요한 모든 유전자가 들어 있다.

다음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제라늄 세 그루를 유리 용기 안에 각각 넣었다.
(나) 각 화분을 $\text{CO}_{2}$ 농도 및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달리한 후, 3일 동안 30℃로 유지하였다.
(다) 각 화분의 잎을 따서 색소를 제거하고 요오드 반응으로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화분ABC
요오드 반응청남색갈색갈색
위 실험에 대한 가설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ㄴ.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text{CO}_{2}$가 필요하다.
ㄷ.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가 필요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세계의 화산과 지진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고, 그림 (나)는 여러 가지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가)에 표시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각변동의 모습을 그림 (나)와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가) : ㄱ - (나) : B

② (가) : ㄴ - (나) : A

③ (가) : ㄷ - (나) : B

④ (가) : ㄷ - (나) : D

⑤ (가) : ㄹ - (나) : C

그림은 뜨거운 주전자에 손이 닿았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손을 움츠리는 행동에 대한 흥분 전달 과정이다.
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 반응을 조절하는 중추는 대뇌이다.
ㄴ. 뜨거운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각점은 피부에 분포한다.
ㄷ. 자극을 받은 후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경로는 A→B→C이다.
ㄹ. (가)에서 흥분이 전달되지 않으면 뜨거움을 느낄 수 없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영희는 ‘수영할 때 몸이 앞으로 나가는 이유는, 손과 발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미는 작용에 대해 물이 몸을 미는 반작용 때문이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다. 영희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작용과 반작용으로 구분하여 <보기>와 같이 정리하였다.
보기
상황작용반작용
야구 선수가 공을 잡을 때공이 장갑에 작용하는 힘장갑이 공에 작용하는 힘
바람이 창문에 부딪칠 때공기가 창문에 작용하는 힘창문이 공기에 작용하는 힘
TV가 책상 위에 놓여 있을 때지구가 TV를 당기는 힘책상이 TV를 반치는 힘
줄로 썰매를 당길 때줄이 썰매를 당기는 힘바닥이 썰매에 작용하는 힘
<보기>에서 작용과 반작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ㄹ

그림은 태양계에 속해 있는 어떤 행성 사진이다.
이 행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행성의 고리는 행성의 적도면에 나란히 놓여 있다.
ㄴ. 안쪽 고리와 바깥쪽 고리는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ㄷ. 행성 표면의 줄무늬는 빠른 자전 속도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마그네슘은 염산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text{Mg}(s)+2\text{HCl}(aq)→\text{MgCl}_2(aq)+\text{H}_2(g)$$ 이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묽은 염산이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일정량의 마그네슘 리본을 넣고 유리관을 끼운 고무마개로 막은 후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한다.
○ 실험 1 : 4.0% 염산 5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 실험 2 : 2.0% 염산 10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부피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두 실험 조건과 비교하여 바르게 짝지는 것은?

① [실험 1] : A / [실험 2] : B

② [실험 1] : B / [실험 2] : A

③ [실험 1] : B / [실험 2] : C

④ [실험 1] : C / [실험 2] : A

⑤ [실험 1] : A / [실험 2] : A

철수의 아버지는 당뇨병을 앓고 있다. 철수는 자신에게도 당뇨병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4개의 시험관에 아버지와 자신의 혈장과 오줌을 각각 10mL 씩 넣는다.
(나) 각 시험관에 포도당 검출 시약인 베네딕트 용액을 1mL 씩 넣고 잘 흔들어 준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관에서 베네딕트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 시험관은 요오드 반응을 시켜 보아야 한다.
ㄴ. 베네딕트 용액을 넣은 후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ㄷ. C와 D에는 베네딕트 용액을 넣기 전에 오줌을 가열했다가 식혀야 한다.
ㄹ.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한 것을 추가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4개의 염색체를 가진 어떤 생물의 생식 세포 분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염색체 이동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 염색체의 이동과 생식 세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제1분열에서는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상동 염색체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ㄴ. 이 생물은 유전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생식 세포를 만든다.
ㄷ. 제2분열은 염색분체가 양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ㄹ. 염색체 수가 더 많은 생물에서는 더 많은 종류의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영희는 아연판과 구리판을 묽은 황산에 넣어 만든 볼타 전지 실험에서 전압이 곧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쪽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가 전극 표면에 붙어 전자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을 알고 영희는 다음 가설을 세웠다.
<가설> 수소기체가 발생하는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면 전지 전압이 낮아지는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두 번의 실험에 필요한 전극을 옳게 짝지은 것은? (단, 반응에 의한 표면적 변화는 무시한다.)
1차 실험2차 실험
($-$)극($+$)극($-$)극($+$)극
그림은 상자 B를 60N의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안에 상자 A와 B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자 A와 B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상자 A에 작용하는 알짜힘(합력)은 0이다.
ㄴ. 수평면과 상자 B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마찰력은 60N이다.
ㄷ. 상자 A가 상자 B를 누르는 힘의 크기는 상자 B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철수는 그림과 같이 시험관을 꽂은 고무마개로 소량의 물방울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를 밀폐시켰다. 시험관에 수산화바륨과 질산암모늄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어준 후,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의 크기가 줄었고, 시험관 표면에 물이 형성된 후, 얼음으로 바뀌었다.
위의 실험에서 시험관 안과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일어난 현상들 중에 흡열과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시험관 안에서 일어난 반응 과정
ㄴ. 시험관의 바깥 표면에 물이 맺히는 과정
ㄷ.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이 점차 작아지는 과정
ㄹ. 시험관 표면에 맺혀있던 물이 얼음으로 바뀌는 과정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고 창문과 커텐의 소음 차단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들이다. <실험 1>에서 발견된 규칙을 사용하여 <실험 2>의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실험 1>에서 차량별 소음의 차이는 없다고 가정한다.)
<실험 1>
어떤 자동차 전용도로 근처의 한 지점에서 소음의 크기와 통과하는 차량 대수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대자동차 대수소음의 세기(평균)
오전 7~8시8,00063dB
오전 9~10시4,00060dB
오후 2~3시2,00057dB
<실험 2>
이 도로 근처에 있는 어느 주택의 실내에서 같은 시간에 세 가지 다른 방음조건에 대해 소음측정기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음조건소음의 세기
창문과 커텐 열림50dB
창문만 닫음40dB
커텐만 닫음47dB
보기
ㄱ. 커텐은 소음을 약 절반으로 줄이는 소음 차단 효과를 준다.
ㄴ. 커텐보다 창문이 소음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ㄷ. 커텐과 창문을 모두 닫으면 소음의 세기는 43.5dB이 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여성의 2개월 동안 난소 내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여성에서 호르몬의 농도나 자궁 내벽의 두께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1점]

① 프로게스테론

② FSH

③ 에스트로겐

④ LH

⑤ 자궁 내벽의 두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이 지질 단면에서 지층과 암석이 생성된 선후 관계가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층은 B층 위에 쌓였기 때문에 B층보다 나중에 쌓였다.
ㄴ. C면을 경계로 층들의 배열 상태가 달라진 것으로 보아 이 면의 상하 지층 사이에 매우 긴 시간 공백이 있었다.
ㄷ. 관입암체 F는 E층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인공 위성은 그 특성에 따라 표와 같이 구분된다.
특성 \ 구분정지궤도 위성극궤도 위성
고도적도 상공 36,000km500~1,000km
공간 분해능수km수m
관측 조건항상 가능하루에 한 번
(공간 분해능 :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 크기. 예를 들면 공간 분해능이 1km이면 크기가 1km보다 작은 물체를 식별할 수 없다.)
관측 목적에 따라 인공 위성의 종류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북극 지방 빙하의 계절별 분포 - 극궤도 위성
ㄴ. 기상 예보에 필요한 구름 분포 - 정지궤도 위성
ㄷ. 우리 나라 전지역의 도로 지도 작성 - 정지궤도 위성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오른쪽 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비열이다.
비열(J/kg·K)
알루미늄900
구리386
철수는 그림 (가)와 같이 질량이 같은 알루미늄판과 구리 도막을 물 속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한 후, 그림 (나)와 같이 질량이 같은 20℃의 물이 담겨 있는 동일한 열량계 A와 B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중 두 열량계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지표로부터 공급된 CFC-12 ($\text{CF}_{2}\text{Cl}_{2}$)에 의해 성층권의 오존층이 파괴되는 과정을 (가)에, 남반구 성층권에서 측정한 위도별 일산화염소(ClO)와 오존($\text{O}_{3}$)의 농도를 (나)에 나타내었다. $$\underline{\text{CF}_{2}\text{Cl}_{2}→ \text{CF}_{2}\text{Cl} + \text{Cl}}\\ \text{O}_{3} + \text{Cl} → \text{ClO} + \text{O}_{2}\\ \underline{\text{ClO} + \text{O}_{3} → 2\text{O}_{2}+ \text{Cl}}\\ 전체반응 : 2\text{O}_{3} → 3\text{O}_{2}$$ 위 자료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오존($\text{O}_{3}$)이 산소($\text{O}_{2}$)로 되는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ㄴ. 염소 원자(Cl)는 오존층 파괴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ㄷ. 일산화염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오존의 농도는 감소한다.
ㄹ. 62°S~67°S 지역에서는 오존 구멍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는 그림과 같이 맑은 날 고압선 위에 앉아 있는 제비가 감전사하지 않는 사실을 보고는 그동안 학교에서 배운 전기 개념을 통해 <보기>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들을 생각해 보았다.
보기
ㄱ. 제비의 몸이 저항이 작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ㄴ. 제비의 두 발 사이의 전압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일 것이다.
ㄷ. 고압선의 전류는 전선을 통해서만 흐르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보기>에서 알맞은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할로겐 원소 $\text{X}_{2}$, $\text{Y}_{2}$의 성질 및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X, Y는 임의의 원소기호이다.)
<실험 과정 및 결과>
(가) Y의 나트륨 화합물 NaY 수용액 5mL를 시험관에 넣는다.
(나) 무색의 사염화탄소($\text{CCl}_{4}$)에 $\text{X}_{2}$를 충분히 녹이니 연두색을 나타내었다. (가)의 시험관에 이 용액 8mL를 넣고 흔들어준 다음 가만히 두었더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적갈색과 무색의 두 층으로 나누어졌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적갈색 층에는 $\text{Y}_{2}$가 녹아 있다.
ㄴ. 무색 층에는 $\text{X}^{-}$이 녹아 있다.
ㄷ. $\text{X}_{2}$는 $\text{Y}_{2}$보다 환원되기 쉽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며, (나)는 어떤 기단이 발원지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기단의 온도와 이슬점이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나)에 해당되는 기단과 기상 현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A 기단에 의해 겨울철 서해안 지방에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② B 기단에 의해 봄철에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③ C 기단에 의해 여름철에도 초가을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④ D 기단에 의해 무덥고 습한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한다.

⑤ E 기단에 의해 태풍의 피해가 생기기도 한다.

다음 표는 30년 동안 정오에 해수면에서 측정한 위도별 평균일사량($\text{W/m}^{2}$)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0°)35°N70°N
춘분550410105
하지485620475
추분550410105
동지4852100
이 자료를 이용하여 추론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세 지역 중 연평균 기온 변화가 가장 작은 곳은 적도이다.
ㄴ. 적도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때는 하지날이다.
ㄷ. 동짓날에 70°N 지역의 일사량이 0인 이유는 태양이 뜨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오른쪽 그래프는 반응 입자의 에너지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T_{1}$, $T_{2}$는 온도를 나타내며, $E_{1}$, $E_{2}$는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낸다)
다음의 〈보기〉에서 위의 그림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반응 속도와 관련된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여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음식물이 쉽게 상한다.
ㄴ. 장작불을 피우기 위해 잘게 쪼갠 불쏘시개를 사용한다.
ㄷ. 꺼져가는 성냥불을 산소가 들어 있는 병에 넣으면 다시 살아난다.
ㄹ.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피부에 바르면 상처난 부위에서 거품이 많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ㄷ

다음은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전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정전집진장치는 강한 전기력으로 오염물질 입자들을 대전시켜, 반대 부호로 대전되어 있는 도체판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다음 중 정전집진장치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① 초전도체

② 진공청소기

③ 스키선수

④ 전자석 기중기

⑤ 빗에 끌리는 종이조각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지구과학Ⅱ]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슬기네 반은 며칠 전 현장 체험 학습 시간에 학교 뒷산에 갔다. 암석을 관찰하던 중 그들은 셰일층에 약 3cm 정도의 폭으로 길게 뻗어있는 하얀색 맥을 발견하였다. 이 맥이 방해석이나 석영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한 슬기는 시료를 채취해 탐구하기로 하였다. 방해석과 석영을 구별하기 위해 슬기가 설계한 탐구 방법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시료를 쇠못으로 긁어 본다.
ㄴ. 자석을 시료에 가까이 대어 본다.
ㄷ. 시료의 깨끗한 면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 본다.
ㄹ. 시료 조각을 망치로 쳐서 쪼개짐과 깨짐을 관찰한다.

① ㄱ, ㄴ

② ㄱ,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그림은 범람원을 흐르는 사행천의 퇴적물 분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 그림으로부터 추론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강물은 굵은 모래가 분포하는 지역에서 빠르게 흐를 것이다.
ㄴ. A 지점에서는 하천벽의 침식이 활발히 일어날 것이다.
ㄷ. B 지점에서는 하천 바닥의 침식이 활발히 일어날 것이다.
ㄹ. 시간이 지나도 하천 수로의 위치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지구에는 대기가 있어 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다. 만일 지구 대기가 없어진다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바람이 불지 않을 것이다.
ㄴ. 지표면 온도의 일교차가 작아질 것이다.
ㄷ.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감소할 것이다.
ㄹ. 지표가 방출하는 에너지는 전열, 전도, 대류, 복사 중 복사의 형태로만 방출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그림 (가)는 빙하에 의해 암석이 긁힌 자국의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의 A, B, C, D, E 지역은 빙퇴석 및 같 은 종류의 식물 화석이 산출된 곳을 나타낸 것이다.
두 그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그림 (가)에서 빙하 자국이 있는 암석의 분포 지역들은 과거에 고위도에 있었다.
ㄴ. 그림 (나)에서 A, B, C, D, E를 포함하는 대륙들은 과거에 인접하여 있었다.
ㄷ. A, B, C, D, E 지역에서 빙퇴석이 쌓일 당시에 빙하가 남반구 대륙의 대부분과 적도를 지나 북반구까지 분포하였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은 1600년부터 1962년까지 영국 런던의 지구자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지구자기의 변화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자북의 위치가 변해왔음을 알 수 있다.
ㄴ. 편각과 복각은 일정하게 증가해 왔다.
ㄷ. 300년 전에 자북과 진북의 차가 제일 컸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표는 어느 날 오후 2시경에 측정한 높이에 따른 대기의 물리량을 나타낸 것이다.
고도(km)온도(℃)이슬점(℃)
지표27.020.0
0.521.017.0
1.016.016.0
1.512.512.5
2.09.05.0
2.510.54.0
이 표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구름은 1.0~1.5km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ㄴ. 역전층은 2.0~2.5km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ㄷ. 기층은 0.5~1.0km 사이에서 가장 불안정하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ㄴ,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표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어느 도시에서 3월 20일 00시부터 3시간 간격으로 관측한 기상 자료이다.
시간00시03시06시09시
온도(℃)111075
이슬점(℃)101071
풍향서풍남서풍북서풍북서풍
이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전선이 통과한 시각은 03시와 06시 사이다.
ㄴ. 09시경에는 비가 오지 않았다.
ㄷ. 이 도시는 온난전선이 통과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대기에서 볼 수 있는 지균풍과 지상풍의 관계를 바다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다음은 우리 나라 주변의 어느 해역에서 조사한 해류를 설명하고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해류의 유속과 방향을 나타낸다.)
(가) 저층을 제외한 상층 해류는 북으로 향하는 지형류였다.
(나) 저층 해류는 상층 해류보다 약하고 북북서로 향하고 있었다.
저층 해류의 형성과정에 대해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마찰에 의해 해류가 약해지고 그 결과 전향력이 작아졌다.
ㄴ. 전향력이 수압경도력보다 작아져 해류의 방향이 달라졌다.
ㄷ. 해류의 방향이 달라진 후 다시 수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크기 가 같아졌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파도타기는 파도의 운동을 이해하기에 좋은 해양 스포츠이다. 파도타기 하는 것을 보면 그림과 같이 선수가 파도와 같은 속도로 진 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파도타기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선수가 파도와 같이 진행할 수 있는 것은 바닷물이 이동하기 때문이다.
ㄴ. 선수가 파도를 타고 이동하는 속도는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 가까이로 올수록 느려진다.
ㄷ. 먼 바다보다 수심이 얕아지는 해안 가까이로 올수록 파고가 높아져서 파도타기에 좋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어느 날 하늘에서 아주 밝은 별이 남중해 있는 것을 발견하고 천구 상에서 별의 위치를 그림과 같이 관측하여 표에 기록하였다.
별의 위치
방위각180.0°
고도32.0°
철수는 영국 런던에 살고 있는 영희에게 전자우편으로 이 별의 위치를 알려주어 영희도 이 별을 보게 하고 싶었다. 영희가 런던에서 이 별을 찾을 수 있도록 관측한 값 이외에 더 알려주어야 할 것을 다음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관측 일시
ㄴ. 관측 지점의 위도와 경도
ㄷ. 관측 지점에서의 북극성의 방위각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고등학교 천체 관측반 학생들은 휴일을 이용하여 관측 여행을 떠났다. 천체 관측을 끝낸 다음 날, 이들은 지난 밤 관측한 내용들로 다음과 같이 이야기꽃을 피웠다. 이들의 대화 내용 중 옳지 않은 관측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은? [2점]

① “어제 달이 참 밝더라. 오른쪽이 둥그런 반달이었는데 해가 지고 노을이 물든 무렵 남쪽 하늘 높이 떠 있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어. 한 폭의 그림 같았지.”

② “그래! 나도 봤었는데 정말 아름답더라. 게다가 서쪽 하늘에는 화성이 붉게 반짝이던걸”

③ “나는 자정까지 계속 지켜보았는데 달이 질 때쯤 동쪽 하늘에 금성이 정말 아름답게 빛나더군. 사람들이 왜 샛별이라고 하는지 알겠더라니까!”

④ “나는 목성을 계속 지켜보았는데 마치 해가 지나간 길을 따라가는 것 같이 보이더군.”

⑤ “그렇게 보일 수밖에…… 태양계 행성들은 거의 같은 평면 위에서 공전하고 있으니까.”

그림은 온도는 같지만 광도가 다른 세 별(주계열성, 거성, 초거성)의 스펙트럼이며, 두 개의 강한 흡수선은 수소 원자에 의한 것이다. 철수는 별의 온도가 같을 경우 흡수선의 폭은 별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로부터 스펙트럼 A, B, C에 해당되는 별을 짝지어 보았다.
다음 중, 스펙트럼과 별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단, 흡수선의 폭은 원자들의 충돌이 많을수록 넓어진다.)

① (A) : 주계열성 / (B) : 거성 / (C) : 초거성

② (A) : 거성 / (B) : 초거성 / (C) : 주계열성

③ (A) : 초거성 / (B) : 주계열성 / (C) : 거성

④ (A) : 주계열성 / (B) : 초거성 / (C) : 거성

⑤ (A) : 초거성 / (B) : 거성 / (C) : 주계열성

그림 (가)는 태양 주변 별들의 H-R도를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구상성단(M5)의 H-R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 나타난 별들에 대한 해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림 (가)의 별은 대부분 주계열성이다.

② 그림 (나) 별에는 주계열로부터 진화한 별이 많다.

③ 그림 (가) 별은 그림 (나)의 별에 비해 백색왜성이 더 많다.

④ 그림 (가) 별의 평균 나이는 그림 (나) 별의 평균 나이보다 적다.

⑤ 그림 (가)의 별에는 그림 (나)의 별에 비해 밝으면서 표면온도가 낮은 별들이 더 많다.

철수는 야외에서 클리노미터를 이용해 기울어진 퇴적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였다. 그림 (가)는 철수가 답사한 지역의 지질과 측정 방법을 입체적으로 스케치한 것이고, 그림 (나)는 그 지역에서 주향과 경사를 측정한 클리노미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측정 결과가 기호로 바르게 표시된 것은? (단, 편각의 보정은 무시한다. 문제지의 위쪽이 북쪽이다.) [2점]
다음 두 그림은 우리 은하의 적외선 사진과 가시광선 사진이며, 은하의 중심은 사진의 중앙에 있다.
이 사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적외선 사진은 성간 티끌의 영향을 적게 받은 것이다.
ㄴ. 태양보다 질량이 큰 밝은 별들은 주로 적외선을 방출한다.
ㄷ. 가시광선 사진에 나타나는 검은 띠는 성간 티끌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 (가)와 (나)는 석유(원유)를 탐사하려고 시추공을 뚫은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그림 (가)의 지질구조에서는 석유가 산출되었으나 그림 (나)의 지질구조에서는 산출되지 않았다.
이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가)의 사암 위의 셰일은 조직이 치밀하여 원유가 지표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 주었을 것이다.
ㄴ. (가)의 사암은 다공질 암석이어서 원유가 저장되기에 적합할 것이다.
ㄷ. (나)의 역암은 원유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에 적합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생물Ⅱ]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광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분자들이 포함하고 있는 산소 원자의 이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보았다.
$$6\text{CO}_{2} + 12\text{H}_2\text{O} → \text{C}_6\text{H}_{12}\text{O}_{6} + 6\text{H}_2\text{O} + 6\text{O}_{2}$$ ㄱ. A는 C로 된다.
ㄴ. A는 D로 된다.
ㄷ. B는 D로 된다.
한편 루벤은 아래와 같이 클로렐라에 방사성 동위원소인 ${}^{18}\text{O}$를 포함한 물이나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고 광합성 실험을 하였다.
(가) ${}^{18}\text{O}$가 포함된 물($\text{H}_{2}{}^{18}\text{O}$)을 공급한 경우는 발생된 산소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었다.
(나) ${}^{18}\text{O}$가 포함된 이산화탄소($\text{C}{}^{18}\text{O}_{2}$)를 공급한 경우는 발생된 산소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
루벤의 실험 결과를 근거로 판단할 때,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그림은 철수 가족의 혈액에 대한 응집 반응의 결과이고, 표는 가족의 혈액 성분을 기재한 자료이다.
응집원 A응집원 B응집소 $\alpha$응집소 $\beta$
아버지××
어머니××
철수
영희××
위 표에서 응집원과 응집소가 옳게 기재된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

① 아버지

② 어머니

③ 아버지, 철수

④ 철수, 영희

⑤ 어머니, 영희

그림은 오징어의 신경세포에 물질대사 저해제를 처리한 후 ATP를 주입했을 때 세포막을 통한 $\text{Na}^+$의 분당 유출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다. (단, ATP의 2차 주입량은 1차 주입량보다 많았다.)
위 자료에 대한 해석이나 추론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TP 주입량이 많으면 $\text{Na}^+$의 유출량이 증가한다.
ㄴ. 위에서 처리한 물질대사 저해제 때문에 세포가 죽었다.
ㄷ. ATP를 주입했을 때 $\text{Na}^+$이 유출된 것은 삼투 현상 때문이다.
ㄹ. 물질대사 저해제를 처리하기 전에는 세포 안보다 밖의 $\text{Na}^+$의 농도가 더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철수는 방안에서 키운 화초들이 창문 쪽으로 굽어있는 것을 발견하고, 다음과 같이 굴광성에 관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가) 귀리의 자엽초를 그림과 같이 처리한다.
(나) 이들을 암실에 두고 한쪽에서만 빛을 비추어 준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이 실험에서 A는 B와 C에 대한 대조구이다.
ㄴ. 이 실험은 굴광성을 일으키는 부위가 어디인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ㄷ. 이 실험은 굴광성이 자극의 세기에 따라 나타나는 생장 운동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체세포로부터, (나)는 배아세포로부터 동물을 복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해석 또는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기>에서 맞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가)의 방법으로 암을 치료하는 단일 클론 항체를 만든다.
ㄴ. 양의 젖샘세포로부터 복제된 돌리는 (나)의 방법으로 태어났다.
ㄷ. 위의 방법으로 멸종될 위기의 생물을 복제하여 보존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같은 기질에 작용하는 두 효소 A와 B의 온도와 pH 변화에 따른 활성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를 토대로 추론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효소 A의 최적온도는 B보다 높다.
ㄴ. 효소 A는 B보다 높은 온도에서 변성된다.
ㄷ. 최적 pH에서 효소 A와 B의 활성도는 같다.
ㄹ. 효소 A가 활성이 없는 pH 영역에서 효소 B도 활성이 없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다음은 정상인 사람, 당뇨병 환자 A, 당뇨병 환자 B 등 세 명의 식사 후 혈당량과 혈중 인슐린 농도를 조사한 것이다. (단, 그래프에서 혈당량과 혈중 인슐린 농도는 각각 상대값이다.)
이를 토대로 해석하거나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정상인 사람은 식사 후 혈당량이 최고로 증가한 다음에 혈중 인슐린 농도가 최고에 도달한다.
ㄴ. 당뇨병 환자 A는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는다.
ㄷ. 당뇨병 환자 B는 정상인 사람과 같이 인슐린이 분비되나 혈당 조절이 안된다.
ㄹ. 당뇨병 환자 B는 인슐린 투여로 혈당이 조절된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그림은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어떤 연못 생태계의 먹이연쇄이다. (숫자는 유입되는 에너지이고, 단위는 kcal/$\text{m}^{2}$/년이다)
위 생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이 연못 생태계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ㄴ. 장구벌레는 (다) 어류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ㄷ. (다) 어류가 없어지면 (나) 어류의 개체수가 증가될 것이다.
ㄹ. 육식성인 (가) 곤충이 없어지면 (나) 어류가 감소될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신장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재흡수에 대한 설명과 혈액 내 수분 함량의 조절 과정이다.
○ 수분의 80~85%는 세뇨관에서 재흡수되며, 체내 수분의 양에 따라 집합관에서 다시 재흡수가 된다.
○ 하루에 5L 이상의 많은 소변을 보고, 물을 많이 마셔야 하는 질환을 요붕증이라 한다.
요붕증 환자의 오줌양이 증가하는 이유로 타당한 것은? [1점]

① ADH의 분비에 관계없이 수분의 재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② ADH의 분비가 촉진되어 수분의 재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③ ADH의 분비가 촉진되어 수분의 재흡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④ ADH의 분비가 억제되어 수분의 재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⑤ ADH의 분비가 억제되어 수분의 재흡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어떤 환경에서 효모는 그림과 같이 알코올 발효를 하며 살아간다. 효모는 맥주, 포도주 또는 빵의 제조에 이용된다.
효모의 알코올 발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산소가 없을 경우 알코올 발효가 일어난다.
ㄴ. (가) 반응에서 생긴 $\text{NADH}_{2}$는 ATP로 전환된다.
ㄷ. (가)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나) 반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표>는 초파리의 세 가지 형질에 대한 대립 형질의 우열 관계와 유전자 위치를 나타낸다. (단, 날개 유전자와 눈색 유전자 사이의 교차율은 36.5%이다.)
형질대립 형질유전자 위치
우성열성
날개긴 날개흔적 날개2번 염색체
눈색붉은 눈갈색 눈2번 염색체
몸색황갈색검은색3번 염색체
순종의 긴 날개·붉은 눈·황갈색 몸색 초파리와 순종의 흔적 날개·갈색 눈·검은색 몸색 초파리를 교배하여 $F_{1}$을 얻었다. 이 $F_{1}$끼리 교배하여 나오는 $F_{2}$ 초파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점]

① 눈색과 몸색 형질은 독립적으로 유전된다.

② 긴 날개와 흔적 날개의 분리는 $3 : 1$이다.

③ 황갈색 몸색과 검은색 몸색의 분리는 $3 : 1$이다.

④ 형질이 다른 $F_{2}$ 초파리는 모두 4종류가 있다.

⑤ 날개와 눈색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연관되어 있다.

그림은 낭배의 초기와 후기에 신경 예정역을 표피 예정역으로 각각 이식한 실험이다.
(가) 낭배 초기
(나) 낭배 후기
위 실험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표피와 신경계는 다른 배엽으로부터 형성된다.
ㄴ. 표피와 신경계의 분화는 낭배 운동이 진행되면서 일어난다.
ㄷ. (나)에서 2차 신경판은 이식된 후 유도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리소좀의 생성 과정 및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리소좀은 골지체로부터 만들어진다.
ㄴ. 노쇠한 세포 소기관은 리소좀에 의해 분해된다.
ㄷ. 위의 그림으로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ㄹ. 분해 후 찌꺼기는 엔도시토시스(내포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그림은 식물의 계통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의 분류 기준으로 타당한 내용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기호(가)(나)
떡잎이 두 장인가?원뿌리와 곁뿌리가 구분되는가?
씨방이 있는가?관다발의 배열이 규칙적인가?
중복수정을 하는가?형성층이 있어 부피생장을 하는가?
꽃잎과 꽃받침이 있는가?엽록소 a, b를 가지고 있는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림은 생태계의 질소 순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가)에 이용되는 물질 A는 주로 무기물이다.
ㄴ. (나)에 관여하는 생물은 모두 녹색식물과 공생한다.
ㄷ. (다)는 대기 중의 질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ㄹ. 생태계에서 (가), (나), (다) 과정은 주로 미생물에 의해 진행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표>는 핵산 5 종류의 염기조성 비율을 조사한 결과다.
핵산염기조성 비율(%)
아데닌(A)구아닌(G)시토신(C)티민(T)우라실(U)합계
29.819.620.430.2-100
30.229.719.920.2-100
33.316.932.717.1-100
19.228.824.5-27.5100
30.519.919.8-29.8100
사람의 정자에서 추출한 핵산으로 추정되는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음 표는 임의의 원소들(A, B, C, X, Y, Z)에 대한 전기음성도이며, 그림은 원자들로부터 형성되는 화합물과 그 결합형태에 대한 예이다.
원자전기음성도원자전기음성도
A2.1X4.0
B1.0Y3.0
C0.9Z2.8
다음에서 결합형태가 옳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점]

① A-Z : 극성공유결합

② B-X : 이온결합

③ C-X : 극성공유결합

④ X-Y : 극성공유결합

⑤ Z-Z : 무극성공유결합

아래의 그림은 분자들의 구조와 결합각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다음 <보기>의 해석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text{BF}_3$는 공유전자쌍만 세 개 있기 때문에 평면삼각형구조를 가진다.
ㄴ. $\text{H}_2\text{O}$는 $\text{NH}_3$보다 비공유전자쌍을 더 많이 가지기 때문에 결합각이 작다.
ㄷ. $\text{CH}_4$는 공유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사면체구조를 가진다.
ㄹ. $\text{NH}_3$는 공유전자쌍 사이의 반발력이 공유전자쌍과 비공유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결합각이 $\text{CH}_4$보다 작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다전자 원자가 바닥 상태에 있을 경우 오비탈에 전자를 배치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가) 전자는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낮은 것부터 차례로 채워진다.
(나) 한 오비탈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 전자 수는 2개이다.
(다)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 채워지는 전자는 가능하면 짝짓지 않은 전자의 수가 많아지도록 배치된다.
위 원리에 따라 4가지 원자의 전자 배치를 하였다.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며, □는 오비탈을, ●는 전자를 의미한다.)
원자 A~D의 전자 배치를 보고 설명한 <보기>의 내용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는 매우 안정한 전자 배치를 하고 있다.
ㄴ. B의 원자가전자 수는 5개이다.
ㄷ. C에는 전자를 가진 오비탈이 3개 있다.
ㄹ. 홀전자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원자는 D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ㄷ, ㄹ

영희는 몇 가지 염에 대해 가수분해에 의한 수용액의 액성을 실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text{CH}_3\text{COONa}$$\text{NaCl}$$\text{NH}_4\text{Cl}$$\text{NaHSO}_4$
수용액의 액성약한 염기성중성약한 산성약한 산성
ㅁ 위의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text{CH}_3\text{COO}^- + \text{H}_2\text{O} ⇄ \text{CH}_3\text{COOH} + \text{OH}^-$의 반응 때문에 $\text{CH}_3\text{COONa}$ 수용액은 약한 염기성이다.
ㄴ. 이온화된 $\text{Na}^+$과 $\text{Cl}^-$이 가수분해하지 않으므로 NaCl 수용액은 중성이다.
ㄷ. ${\text{NH}_4}^+ + \text{H}_2\text{O} ⇄ \text{NH}_3 + \text{H}_3\text{O}^+$의 반응 때문에 $\text{NH}_4\text{Cl}$ 수용액은 약한 산성이다.
ㄹ. $\text{Na}^+ + 2\text{H}_2\text{O} ⇄ \text{NaOH} + \text{H}_3\text{O}^+$의 반응 때문에 $\text{NaHSO}_4$ 수용액은 약한 산성이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가역반응 $\text{N}_{2}\text{O}_4(g) ⇄ 2\text{NO}_{2}(g)$에서 정반응의 속도는 $v_{1}$, 역반응의 속도는 $v_{2}$이다. 이 반응이 화학평형을 이루었을 때 시간 $t_{1}$에서 $\text{N}_{2}\text{O}_4$를 첨가한 후 각 성분의 농도 변화를 관찰하여 그림의 결과를 얻었다.
위의 결과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0\sim t_{1}$구간에서 $v_{1} = v_{2} = 0$이다.
ㄴ. $t_{1}\sim t_{2}$의 구간에서 $v_{1} > v_{2}$이다.
ㄷ. $t_{2}$ 이후에는 $v_{1} = v_{2}$이다.
ㄹ. $\text{N}_{2}\text{O}_4$를 첨가하니 $\text{N}_{2}\text{O}_4$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는 물 30mL가 각각 들어있는 3개의 메스실린더를 준비하였다. 다음 미지의 3가지 액체 A, B, C를 각각 10mL씩 메스실린더에 넣은 후, 액체의 층 분리를 아래 그림과 같이 확인하였다.
위 실험에서 관찰된 결과만 가지고 내린 철수의 추론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혼합했을 때 부피의 변화는 무시한다.) [2점]
보기
ㄱ. B의 밀도는 A보다 더 크다.
ㄴ. C는 A보다 극성이 더 큰 액체이다.
ㄷ. (다)에 30mL의 물을 더 넣으면 두 층으로 분리된다.
ㄹ. (나)를 (가)에 조심스럽게 부으면 세 층으로 분리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물의 상평형 그림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높은 산에서 설익은 밥이 지어지는 현상은 곡선 AD로 설명된다.
ㄴ. 얼음 표면에 높은 압력을 가할 때 얼음이 녹는 현상은 곡선 AB로 설명된다.
ㄷ. 일정한 압력에서 점 E로부터 온도를 낮추면 수증기가 물을 거쳐 얼음으로 변한다.
ㄹ. 일정한 온도에서 점 F로부터 압력을 낮추면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을 냉동 건조할 수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철수는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순수한 휘발성 액체의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해, 그림과 같은 장치로 실험하였다.
(가) 건조한 플라스크의 입구를 작은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질량을 측정했다.
(나) 플라스크에 약간의 시료를 넣어 끓는 물 속에 담그고 플라스크 안에 있는 액체를 관찰했다.
(다) 액체 상태의 시료가 모두 없어질 때 물의 온도와 대기압을 측정하고 플라스크를 꺼냈다.
(라) 플라스크 표면의 물기를 닦고 상온 근처로 식혀 질량을 측정했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시료의 분자량을 결정하려고 한다. 부가적인 실험을 통해 반드시 측정해야 할 것은?

① 넣은 시료의 질량

② 넣은 시료의 부피

③ 응축된 시료의 질량

④ 응축된 시료의 부피

⑤ 플라스크 전체의 부피

영희는 실험실에서 진한 질산을 묽혀 0.25M 용액 500mL를 만들려 했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것들을 다음과 같이 실험 노트에 정리하였다.
자료시약기구장치
질산의 분자량, 진한 질산의 % 농도, 진한 질산의 밀도증류수, 진한 질산증류수통, 비커후드
반드시 추가로 필요한 기구나 장치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ㅁ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ㄹ, ㅁ

과산화수소의 분해반응과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2\text{H}_2\text{O}_{2}(aq) → 2\text{H}_2\text{O}(l) + \text{O}_{2}(g),\,\,\,\,반응속도 = k[\text{H}_2\text{O}_{2}]$$
실험$\text{H}_2\text{O}_{2}$ 수용액의 농도반응온도촉매($\text{MnO}_{2}$)
12%25℃사용안함
24%25℃사용안함
32%50℃사용안함
42%25℃사용
위의 표와 같이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조건에서 과산화수소 분해반응을 실험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1과 실험 3의 초기 반응속도는 다르다.
ㄴ. 네 개의 실험에서 얻어지는 반응 속도상수 $k$는 모두 같다.
ㄷ. 실험 2의 초기 반응속도는 실험 1의 초기 반응속도의 두 배이다.
ㄹ. 실험 1과 실험 4에서 농도가 1%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같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탄소와 일산화탄소의 연소 반응에 대한 열화학 반응식이다.
$$\text{C}(s) + \text{O}_{2}(g) → \text{CO}_{2}(g)\,\,\,\,\,\,\,\,\Delta\text{H} = -393.5\text{kJ}$$ $$\text{CO}(g) + \dfrac{1}{2}\text{O}_{2}(g) → \text{CO}_{2}(g)\,\,\,\,\,\,\,\,\Delta\text{H}= -283.0\text{kJ}$$
위의 자료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이산화탄소 1몰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393.5 kJ의 열이 발생한다.
ㄴ. $\text{C}(s) + \dfrac{1}{2}\text{O}_{2}(g) → \text{CO}(g)$ 반응에서는 110.5 kJ의 열이 발생한다.
ㄷ. $2\text{CO}_{2}(g) → 2\text{CO}(g) + \text{O}_{2}(g)$ 반응에서는 566.0 kJ의 열이 발생한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탄산칼슘($\text{CaCO}_3$)은 염산과 반응할 때 아래 화학 반응식과 같이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text{CaCO}_3 + 2\text{HCl} → \text{CaCl}_{2} + \text{H}_2\text{O} + \text{CO}_{2}↑$$ 석영($\text{SiO}_{2}$)이 불순물로 포함된 탄산칼슘의 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1>
(가) 순수한 탄산칼슘 4g을 약포지에 정확히 측정한다.
(나) 4g의 탄산칼슘을 반응시키기에 충분한 염산을 비커에 넣고 질량을 측정한다.
(다) 염산이 들어있는 비커를 저울에 올려놓고 4g의 탄산칼슘을 조금씩 넣으면서 완전히 반응시킨다.
(라) 반응이 멈추면 전체 질량을 측정한다.
<실험 2>
순도를 구하려는 탄산칼슘 4g을 준비하여 위 (나)~(라)의 과정에 따라 실험한다.
<실험 결과>
실험 1실험 2
반응 전 ($비커+염산+시료$)의 질량(g)$a$$c$
반응 후 ($비커+염산+잔류생성물$)의 질량(g)$b$$d$
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포함된 탄산칼슘의 순도(%)를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① $\dfrac{c - d}{a - b} \times 100$

② $\dfrac{c - a}{d - b} \times 100$

③ $\dfrac{a}{a - b} \times 100$

④ $\dfrac{d}{c - d} \times 100$

⑤ $\dfrac{a - b}{c - d} \times 100$

분자량이 비슷한 몇 가지 탄소 화합물의 성질을 조사하여 다음의 자료를 얻었다.
화합물구조식분자량녹는점(℃)끓는점(℃)
A44$-188$$-42$
B45$-81$17
C46$-114$78
D46$-142$$-25$
E468101
다음 중 각 화합물에서 주로 작용하는 분자간의 힘과 상온(25℃)에서의 상태를 옳게 연결한 것은?
화합물주로 작용하는 분자간의 힘상온에서의 상태
A분산력액체
B수소결합기체
C분산력액체
D수소결합기체
E수소결합고체
다음 표는 주기율표의 제3주기 원소인 X, Y, Z의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를 조사한 자료이다. (단, X, Y,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원소순차적 이온화에너지(kJ/mol)
$E_{1}$$E_{2}$$E_3$$E_4$
X5771,8142,74211,566
Y7321,4427,68710,559
Z1,2672,6923,9845,208
원소 X, Y, Z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원자 번호의 크기 순서는 $\text{X} < \text{Y} < \text{Z}$이다.
ㄴ. X원자 1몰이 안정한 이온이 되기 위해서는 5,133kJ의 에너지를 흡수하여야 한다.
ㄷ. 원소 Y와 염소($\text{Cl}_2$)가 반응할 때 생성되는 물질의 화학식은 $\text{YCl}_2$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염화철(Ⅲ) 수용액 20mL를 200mL들이 비커에 넣고, 뷰렛으로 0.5M의 질산은 수용액을 떨어뜨리니 염화은의 흰색 앙금이 생성되었다. 이 때 넣어준 질산은 수용액의 부피와 생성된 앙금의 양을 아래와 같은 그래프로 나타냈다.
이 실험에 관련된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3\text{AgNO}_3(aq)+\text{FeCl}_3(aq)→\text{Fe}(\text{NO}_3)_3(aq)+3\text{AgCl}(s)$$ 위 앙금 생성 반응의 양적 관계를 바르게 추론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text{FeCl}_3$와 $\text{AgNO}_3$는 수용액에서 완전히 이온화한다.) [2점]
보기
ㄱ. 생성된 앙금의 총 몰수는 0.03몰이다.
ㄴ. 질산은과 염화철(Ⅲ)은 1 : 1의 몰수비로 반응한다.
ㄷ. 반응한 질산은의 몰수보다 생성된 앙금의 몰수가 크다.
ㄹ. 질산은 수용액 60mL 넣었을 때 염화철(Ⅲ)은 모두 반응에 소비되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떤 탄소화합물의 구조식을 알기 위해 실험한 결과이다.
○ 분자식은 $\text{C}_4\text{H}_8$이다.
○ 사슬모양의 탄화수소이다.
○ $\text{Br}_{2}$와 반응한다.
○ 첨가중합체를 만들 수 있다.
○ 기하 이성질체가 있다.
이 화합물의 구조식으로 가능한 것은?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고정 도르래에 물체 A와 B를 매단 후, 물체 B를 잡고 있다가 놓았더니 잠시 후에 물체 A가 바닥에 떨어졌다. 그래프는 물체 B를 놓는 순간부터 물체 B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물체 A, B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물체 A의 질량은 물체 B보다 크다.)
보기
ㄱ. 물체 A는 0.2초에 바닥에 떨어진다.
ㄴ. 물체 B는 0.3초에 최고점에 도달한다.
ㄷ. 물체 B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은 0.2초부터 바뀐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물체에 크기가 일정한 힘 $F$를 작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며, $\theta$는 힘의 방향과 물체의 이동 방향 사이의 각이다. (단, $0 < \theta < 90\degree$)
일정거리 $S$만큼 이동시키는 동안 물체에 한 일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중력이 한 일은 0이다.
ㄴ. $\theta$가 감소하면 힘 $F$가 한 일은 커진다.
ㄷ. 마찰력의 크기가 달라도 주어진 $\theta$에 대해 힘 $F$가 한 일은 일정하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공기 중에서 낙하하는 물체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커지는 공기 저항력을 받아 결국 일정한 속도(종단속도)에 도달하게 된다. 그림은 질량이 같고 부피가 다른 두 개의 공을 공기 중에서 동시에 떨어뜨린 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찍은 사진이다.
두 공의 운동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① 두 공에 작용하는 중력은 다르다.

② 종단속도에 도달한 후 두 공의 가속도는 0이다.

③ 두 공의 종단속도는 같다.

④ 같은 높이에서 두 공의 속도는 같다.

⑤ 종단속도에 도달하기 전에는 두 공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력이 같다.

동일한 축구공을 같은 높이에서 모래 위와 고무판 위에 떨어뜨리면, 모래 위에 떨어진 공은 튀어 오르지 않고 고무판 위에 떨어진 공은 튀어 오른다. 그래프는 충돌하는 동안 축구공에 작용한 힘의 변화를 나타낸다.
충돌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모래와 고무판 위에서 공이 받는 충격량은 같다.
ㄴ. 충돌하는 시간은 고무판 위보다 모래 위에서 더 길다.
ㄷ. 충돌과정에서 손실된 역학적 에너지는 고무판 위보다 모래 위에서 더 적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수평면과 나무판자 사이의 각도 $\theta$를 조절하여 나무 도막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키고 $\theta$만을 측정하여 나무 도막과 나무판자 사이의 마찰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철수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나무 도막과 나무판자 사이의 마찰계수를 구하려고 <보기>와 같은 여러 실험조건 하에서 $\theta$를 측정하였다.
보기
ㄱ. 나무 도막이 움직이지 않을 때
ㄴ. 나무 도막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ㄷ. 나무 도막이 등속도 운동을 할 때
ㄹ. 나무 도막이 가속도 운동을 할 때
<보기>에서 정지마찰계수와 운동마찰계수를 구하기 위한 조건을 옳게 고른 것은?

① [정지마찰계수] : ㄱ / [운동마찰계수] : ㄴ

② [정지마찰계수] : ㄱ / [운동마찰계수] : ㄷ

③ [정지마찰계수] : ㄱ / [운동마찰계수] : ㄹ

④ [정지마찰계수] : ㄴ / [운동마찰계수] : ㄷ

⑤ [정지마찰계수] : ㄴ / [운동마찰계수] : ㄹ

그림 (가)는 놀이공원에 있는 롤러코스터의 일부분이다. 그림 (나)는 이 롤러코스터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한 모식도로, 연직면 상의 원 궤도를 따라 마찰 없이 계속 원운동하는 물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나)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물체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물체에는 중력과 수직 항력이 작용한다.
ㄴ. 물체의 속력은 원 궤도의 최저점에서 가장 크다.
ㄷ. 원 궤도의 최고점에서 수직 항력의 크기는 속력이 작을수록 커진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부피가 변하지 않는 단열 용기 안에 풍선이 들어있고 용기와 풍선 안에 같은 종류의 기체가 들어있다. 처음에는 용기와 풍선 안의 압력과 온도가 같다.
스위치를 달아 용기 안의 기체에 열 에너지를 공급할 때, 풍선의 부피 변화를 <보기>와 같은 단계로 추론하였다. (단, 두 곳 기체 사이에 열의 이동은 잘 일어난다.)
보기
1단계 : 용기 안의 기체의 내부 에너지가 증가한다.
2단계 : 용기 안의 기체의 온도가 올라간다.
3단계 : 풍선 안의 기체의 온도가 올라간다.
4단계 : 풍선 안의 기체의 압력이 증가한다.
5단계 : 풍선의 부피가 처음보다 커진다.
<보기>의 단계 중에서 잘못된 것은?

① 1단계

② 2단계

③ 3단계

④ 4단계

⑤ 5단계

다음은 상대 굴절률을 설명하는 그림으로, 입사각 $i$가 같아도 빛이 물에서 유리로 들어갈 때의 굴절각 $r$이 공기에서 유리로 들어갈 때의 굴절각 $r'$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나타낸 것이다.
물속에 들어있는 볼록 렌즈와 오목 거울을 향해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된 광선의 개략적인 진행 경로를 그림 (가)와 (나)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단, 그림의 광축 위에 있는 F는 공기 중에서의 초점이다.)

① (가) ㄱ / (나) ㄴ

② (가) ㄱ / (나) ㄷ

③ (가) ㄴ / (나) ㄱ

④ (가) ㄷ / (나) ㄱ

⑤ (가) ㄷ / (나) ㄴ

에너지는 보존되는데도 불구하고 절약하자고 하는 이유는 에너지를 사용하면 할수록 사용 가능한 형태의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사용 가능한 형태의 에너지가 왜 감소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는 열역학의 법칙과 관계가 깊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변화에는 방향성이 있다.
ㄴ. 저온의 물체에서 고온의 물체로 저절로 열이 이동하지는 않는다.
ㄷ. 지구에서 사용된 에너지는 언젠가는 모두 지구 밖으로 방출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그림은 라디오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가변 축전기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체판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의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보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생각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단, 그림에서 $Q$는 전하량이다.)
다음 중 <보기>의 (다)에 들어갈 그림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그림은 평행한 두 금속판 사이에 형성된 균일한 전기장 속에서 음($-$)전하가 전기력을 받아 위치 A에서 위치 B로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그래프는 A와 B 사이의 전위 V를 나타낸 것이다.
음($-$)전하가 A에서 B로 이동할 때, 위치에 따른 전기적 위치에너지 U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2점]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L$인 정사각형 모양의 구리도선이 일정한 속력 $v$로 폭이 $2L$인 균일한 자기장 속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 ×표시는 지면에 수직하게 들어가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구리도선의 중심이 세 지점 A, B, C를 통과할 때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지점 B를 지날 때 가장 큰 전류가 흐른다.
ㄴ. 지점 C를 지날 때 가장 작은 전류가 흐른다.
ㄷ. 지점 A와 B를 지날 때 전류의 세기는 같다.
ㄹ. 지점 A와 C를 지날 때 전류의 세기는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ㄹ

④ ㄱ, ㄹ

⑤ ㄴ, ㄷ

다음은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보기>에서 실험 결과와 관련된 현상을 바르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그림과 같이 두 개의 스티로폼 도막과 압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박지의 띠를 고정시킨 다음 자연스럽게 늘어뜨린다. 알루미늄 박지에 전류를 흘리고 박지의 모양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기
결과현상
전류를 흐리면 박지는 볼록하게 벌어진다.전류의 방향이 반대인 두 코일을 마주보게 하면 서로 반발한다.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박지는 더 크게 볼록해진다.검전기 근처에 있는 에보나이트 막대가 큰 전하를 띨수록 검전기의 금속박이 더 크게 벌어진다.
넓은 스티로폼 도막을 사용하여 박지 사이의 간격을 더 넓게 한 후 같은 전류를 흐리면 박지는 덜 볼록하다.나침반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보다 정확하게 남북을 가리킨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다음은 빛에 의한 어떤 물리적 현상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이다.
세 가지의 단색광을 하나씩 차례로 단일 슬릿에 통과시키고 스크린에서 빛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추론한 것 중에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가시광선이 아닌 전자기파의 경우에는 적당한 검출기를 사용한다.)
보기
ㄱ. 적외선을 사용하면 밝은 띠 사이의 간격이 (다)보다 더 넓게 될 것이다.
ㄴ. 자외선을 사용하면 밝은 띠 사이의 간격이 (가)보다 더 좁게 될 것이다.
ㄷ. 백색광이 프리즘을 통과한 후 여러 색상으로 분산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과 같이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두 도체판 사이의 균일한 전기장 내의 P지점에 질량 $m$인 양($+$)전하를 가만히 놓는다. 전기장 내에서 이 양전하의 운동의 종류와 궤도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단, 중력의 방향은 아래쪽이다.) [1점]

① [종류] : 등가속도운동 / [궤도] : 직선

② [종류] : 등가속도운동 / [궤도] : 포물선

③ [종류] : 등가속도운동 / [궤도] : 원

④ [종류] : 등속도운동 / [궤도] : 직선

⑤ [종류] : 등속도운동 / [궤도] : 포물선

방사성 물질은 방사선을 방출하면서 보다 안정된 원자핵으로 바뀐다. 다음은 세 가지 붕괴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 $\alpha$ 붕괴 : 헬륨의 원자핵(${}_{2}^{4}\text{He}$)을 방출하는 과정으로 양성자와 중성자가 각각 2개씩 줄어든다.
○ $\beta$ 붕괴 : 전자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중성자 한 개가 양성자로 바뀐다.
○ $\gamma$ 붕괴 :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원자핵의 질량수가 변하지 않는다.
다음은 우라늄 원자의 자연 붕괴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_{92}^{238}\text{U}$로부터 ${}_{88}^{226}\text{Ra}$가 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alpha$ 붕괴와 $\beta$ 붕괴의 횟수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alpha$ 붕괴] : 3 / [$\beta$ 붕괴] : 2

② [$\alpha$ 붕괴] : 2 / [$\beta$ 붕괴] : 3

③ [$\alpha$ 붕괴] : 3 / [$\beta$ 붕괴] : 3

④ [$\alpha$ 붕괴] : 4 / [$\beta$ 붕괴] : 1

⑤ [$\alpha$ 붕괴] : 4 / [$\beta$ 붕괴] : 2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필수]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산성비의 원인, 피해 및 대책을 조사하기 위해 이들과 관련된 화학 반응식을 찾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가) $3\text{NO}_{2}+ \text{H}_{2}\text{O} → 2\text{HNO}_{3} + \text{NO}$
(나) $\text{CaCO}_{3} + \text{H}_{2}\text{SO}_{4} → \text{CaSO}_{4} + \text{H}_{2}\text{CO}_{3}$
(다) $\text{Ca(OH)}_{2}+ 2\text{HNO}_{3} → \text{Ca}(\text{NO}_{3})_{2}+ 2\text{H}_{2}\text{O}$
이들을 고찰하여 산성비에 관해 <보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보기
ㄱ. 들판에 석회를 뿌리면 산성 토양이 중화된다.
ㄴ. 산성비는 대리석으로 된 건축물의 부식을 촉진한다.
ㄷ.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ㄹ. 수십만 년 동안 빗물의 작용으로 석회암 동굴이 생성되었다.
위에 제시된 화학 반응식과 내린 결론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가) : ㄷ / (나) : ㄱ / (다) : ㄴ

② (가) : ㄷ / (나) : ㄴ / (다) : ㄱ

③ (가) : ㄷ / (나) : ㄴ / (다) : ㄹ

④ (가) : ㄹ / (나) : ㄱ / (다) : ㄴ

⑤ (가) : ㄹ / (나) : ㄴ / (다) : ㄷ

다음은 사람의 어떤 유전병에 대한 설명이다.
○ 아버지가 정상이면 딸은 모두 정상이다.
○ 정상의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식도 이 유전병을 가질 수 있다.
○ 어머니가 이 유전병을 가지면 아들은 반드시 이 유전병을 가진다.
이 질병의 유전자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X 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② X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③ 상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④ 상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⑤ X 또는 Y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다음은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반응 속도가 늦어진다.’는 가설의 타당성을 알아보는 과정 중 탐구 설계 과정만을 요약한 것이다.
○ 그림과 같이 20m/s의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P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적색 신호등이 켜지도록 한다.
○ P점의 위치는 운전자가 모르도록 한다.
○ 술을 마시지 않은 김모씨와 술을 마신 이모씨를 선정한다.
○ 두 운전자에게 다른 자동차를 배정한다.
○ 적색등이 켜지는 순간에 브레이크를 밟도록 한다.
○ P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자동차의 운동이 기록되도록 한다.
철수는 위의 탐구 설계 과정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보기>에서 그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P점의 위치를 운전자가 모르도록 하였다.
ㄴ. 두 운전자가 같은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았다.
ㄷ. 술을 마신 상태와 마시지 않은 상태의 운전자를 같은 사람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과거 약 100년 동안의 지구의 연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같은 기간 동안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과 관련지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연평균 기온 변화는 이산화탄소 농도 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도 받았다.
ㄴ. 1920년에서 1940년 사이보다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량이 더 컸다.
ㄷ.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두 배 높아진다면 연평균 기온도 두 배 정도 높아질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실험 조건을 달리한 장치를 설치하고 일주일이 경과한 후 쇠못이 녹슨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ABCD
실험 조건물, 쇠못물, 쇠못, 마그네슘물, 쇠못, 아연물, 쇠못, 주석
쇠못의 녹슨 양많이 생김거의 없음거의 없음매우 많이 생김
위 탐구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B의 마그네슘과 실험 D의 쇠못은 환원제 역할을 한다.
ㄴ. 아연으로 만든 못에 철사를 감아 물 속에 넣어 두면 철사는 쉽게 녹슨다.
ㄷ. 철로 만든 수도관에 마그네슘 판을 접촉시켜 놓으면 수도관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물속의 DO(용존산소량)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강의 상류와 하류에서 물을 채취하여 DO를 측정하였다.
(나) 시험관 A와 B에 상류의 물을, C와 D에 하류의 물을 각각 넣고 B와 D에는 같은 크기의 검정말을 넣었다.
(다) 20℃의 암실에서 5일간 두었다가 DO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 : ppm]
시험관ABCD
처음 DO9955
5일 후 DO8510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유기물이 유입되었다.
ㄴ. A와 C에서 상류와 하류의 BOD 차이를 알 수 있다.
ㄷ. B와 D에서 검정말은 DO를 증가시켰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축구경기를 관람하고 있던 철수는 운동장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보았다.
보기
홍길동 선수는 상대팀 수비수들을 피해 공이 있는 지점으로 ㉠ 빠르게 뛰어가 강한 슈팅을 하였다. ㉡ 눈 깜짝할 사이에 공은 골문 안으로 들어갔다. 골문 안으로 들어간 공은 골네트에 닿아 ㉢ 점점 느리게 되어 정지하였다. 그 순간 관중들의 “오! 필승 코리아! 대~한민국” 하는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보기>의 ㉠, ㉡, ㉢에 해당되는 가장 적당한 물리량들로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 속력 / ㉡ 시간 / ㉢ 가속도

② ㉠ 속력 / ㉡ 시간 / ㉢ 거리

③ ㉠ 시간 / ㉡ 거리 / ㉢ 속력

④ ㉠ 시간 / ㉡ 시간 / ㉢ 속력

⑤ ㉠ 시간 / ㉡ 시간 / ㉢ 가속도

그림은 계절에 따른 우리 나라 주변 해양의 표면 수온 분포도이다.
계절에 따른 표면 수온의 차가 해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도 37°N에서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수심의 영향 때문이다.
ㄴ. 경도 130°E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작은 이유는 주로 난류의 영향 때문이다.
ㄷ. 위도 33°N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편서풍의 영향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물고기의 복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것은?

① 복제 동물도 자손을 낳을 수 있다.

② 형광 유전자는 우성의 특징을 보인다.

③ 형광 유전자는 물고기의 성염색체로 끼어 들어갔다.

④ 복제 형광 물고기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도 가지고 있다.

⑤ 물고기의 체세포 핵에는 발생에 필요한 모든 유전자가 들어 있다.

다음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제라늄 세 그루를 유리 용기 안에 각각 넣었다.
(나) 각 화분을 $\text{CO}_{2}$ 농도 및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달리한 후, 3일 동안 30℃로 유지하였다.
(다) 각 화분의 잎을 따서 색소를 제거하고 요오드 반응으로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화분ABC
요오드 반응청남색갈색갈색
위 실험에 대한 가설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ㄴ.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text{CO}_{2}$가 필요하다.
ㄷ.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가 필요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세계의 화산과 지진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고, 그림 (나)는 여러 가지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가)에 표시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각변동의 모습을 그림 (나)와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가) : ㄱ - (나) : B

② (가) : ㄴ - (나) : A

③ (가) : ㄷ - (나) : B

④ (가) : ㄷ - (나) : D

⑤ (가) : ㄹ - (나) : C

그림은 뜨거운 주전자에 손이 닿았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손을 움츠리는 행동에 대한 흥분 전달 과정이다.
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 반응을 조절하는 중추는 대뇌이다.
ㄴ. 뜨거운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각점은 피부에 분포한다.
ㄷ. 자극을 받은 후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경로는 A→B→C이다.
ㄹ. (가)에서 흥분이 전달되지 않으면 뜨거움을 느낄 수 없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영희는 ‘수영할 때 몸이 앞으로 나가는 이유는, 손과 발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미는 작용에 대해 물이 몸을 미는 반작용 때문이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다. 영희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작용과 반작용으로 구분하여 <보기>와 같이 정리하였다.
보기
상황작용반작용
야구 선수가 공을 잡을 때공이 장갑에 작용하는 힘장갑이 공에 작용하는 힘
바람이 창문에 부딪칠 때공기가 창문에 작용하는 힘창문이 공기에 작용하는 힘
TV가 책상 위에 놓여 있을 때지구가 TV를 당기는 힘책상이 TV를 반치는 힘
줄로 썰매를 당길 때줄이 썰매를 당기는 힘바닥이 썰매에 작용하는 힘
<보기>에서 작용과 반작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ㄹ

그림은 태양계에 속해 있는 어떤 행성 사진이다.
이 행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행성의 고리는 행성의 적도면에 나란히 놓여 있다.
ㄴ. 안쪽 고리와 바깥쪽 고리는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ㄷ. 행성 표면의 줄무늬는 빠른 자전 속도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마그네슘은 염산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text{Mg}(s)+2\text{HCl}(aq)→\text{MgCl}_2(aq)+\text{H}_2(g)$$ 이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묽은 염산이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일정량의 마그네슘 리본을 넣고 유리관을 끼운 고무마개로 막은 후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한다.
○ 실험 1 : 4.0% 염산 5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 실험 2 : 2.0% 염산 10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부피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두 실험 조건과 비교하여 바르게 짝지는 것은?

① [실험 1] : A / [실험 2] : B

② [실험 1] : B / [실험 2] : A

③ [실험 1] : B / [실험 2] : C

④ [실험 1] : C / [실험 2] : A

⑤ [실험 1] : A / [실험 2] : A

철수의 아버지는 당뇨병을 앓고 있다. 철수는 자신에게도 당뇨병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4개의 시험관에 아버지와 자신의 혈장과 오줌을 각각 10mL 씩 넣는다.
(나) 각 시험관에 포도당 검출 시약인 베네딕트 용액을 1mL 씩 넣고 잘 흔들어 준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관에서 베네딕트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 시험관은 요오드 반응을 시켜 보아야 한다.
ㄴ. 베네딕트 용액을 넣은 후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ㄷ. C와 D에는 베네딕트 용액을 넣기 전에 오줌을 가열했다가 식혀야 한다.
ㄹ.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한 것을 추가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4개의 염색체를 가진 어떤 생물의 생식 세포 분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염색체 이동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 염색체의 이동과 생식 세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제1분열에서는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상동 염색체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ㄴ. 이 생물은 유전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생식 세포를 만든다.
ㄷ. 제2분열은 염색분체가 양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ㄹ. 염색체 수가 더 많은 생물에서는 더 많은 종류의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영희는 아연판과 구리판을 묽은 황산에 넣어 만든 볼타 전지 실험에서 전압이 곧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쪽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가 전극 표면에 붙어 전자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을 알고 영희는 다음 가설을 세웠다.
<가설> 수소기체가 발생하는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면 전지 전압이 낮아지는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두 번의 실험에 필요한 전극을 옳게 짝지은 것은? (단, 반응에 의한 표면적 변화는 무시한다.)
1차 실험2차 실험
($-$)극($+$)극($-$)극($+$)극
그림은 상자 B를 60N의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안에 상자 A와 B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자 A와 B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상자 A에 작용하는 알짜힘(합력)은 0이다.
ㄴ. 수평면과 상자 B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마찰력은 60N이다.
ㄷ. 상자 A가 상자 B를 누르는 힘의 크기는 상자 B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철수는 그림과 같이 시험관을 꽂은 고무마개로 소량의 물방울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를 밀폐시켰다. 시험관에 수산화바륨과 질산암모늄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어준 후,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의 크기가 줄었고, 시험관 표면에 물이 형성된 후, 얼음으로 바뀌었다.
위의 실험에서 시험관 안과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일어난 현상들 중에 흡열과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시험관 안에서 일어난 반응 과정
ㄴ. 시험관의 바깥 표면에 물이 맺히는 과정
ㄷ.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이 점차 작아지는 과정
ㄹ. 시험관 표면에 맺혀있던 물이 얼음으로 바뀌는 과정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고 창문과 커텐의 소음 차단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들이다. <실험 1>에서 발견된 규칙을 사용하여 <실험 2>의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실험 1>에서 차량별 소음의 차이는 없다고 가정한다.)
<실험 1>
어떤 자동차 전용도로 근처의 한 지점에서 소음의 크기와 통과하는 차량 대수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대자동차 대수소음의 세기(평균)
오전 7~8시8,00063dB
오전 9~10시4,00060dB
오후 2~3시2,00057dB
<실험 2>
이 도로 근처에 있는 어느 주택의 실내에서 같은 시간에 세 가지 다른 방음조건에 대해 소음측정기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음조건소음의 세기
창문과 커텐 열림50dB
창문만 닫음40dB
커텐만 닫음47dB
보기
ㄱ. 커텐은 소음을 약 절반으로 줄이는 소음 차단 효과를 준다.
ㄴ. 커텐보다 창문이 소음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ㄷ. 커텐과 창문을 모두 닫으면 소음의 세기는 43.5dB이 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여성의 2개월 동안 난소 내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여성에서 호르몬의 농도나 자궁 내벽의 두께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1점]

① 프로게스테론

② FSH

③ 에스트로겐

④ LH

⑤ 자궁 내벽의 두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이 지질 단면에서 지층과 암석이 생성된 선후 관계가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층은 B층 위에 쌓였기 때문에 B층보다 나중에 쌓였다.
ㄴ. C면을 경계로 층들의 배열 상태가 달라진 것으로 보아 이 면의 상하 지층 사이에 매우 긴 시간 공백이 있었다.
ㄷ. 관입암체 F는 E층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인공 위성은 그 특성에 따라 표와 같이 구분된다.
특성 \ 구분정지궤도 위성극궤도 위성
고도적도 상공 36,000km500~1,000km
공간 분해능수km수m
관측 조건항상 가능하루에 한 번
(공간 분해능 :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 크기. 예를 들면 공간 분해능이 1km이면 크기가 1km보다 작은 물체를 식별할 수 없다.)
관측 목적에 따라 인공 위성의 종류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북극 지방 빙하의 계절별 분포 - 극궤도 위성
ㄴ. 기상 예보에 필요한 구름 분포 - 정지궤도 위성
ㄷ. 우리 나라 전지역의 도로 지도 작성 - 정지궤도 위성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오른쪽 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비열이다.
비열(J/kg·K)
알루미늄900
구리386
철수는 그림 (가)와 같이 질량이 같은 알루미늄판과 구리 도막을 물 속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한 후, 그림 (나)와 같이 질량이 같은 20℃의 물이 담겨 있는 동일한 열량계 A와 B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중 두 열량계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지표로부터 공급된 CFC-12 ($\text{CF}_{2}\text{Cl}_{2}$)에 의해 성층권의 오존층이 파괴되는 과정을 (가)에, 남반구 성층권에서 측정한 위도별 일산화염소(ClO)와 오존($\text{O}_{3}$)의 농도를 (나)에 나타내었다. $$\underline{\text{CF}_{2}\text{Cl}_{2}→ \text{CF}_{2}\text{Cl} + \text{Cl}}\\ \text{O}_{3} + \text{Cl} → \text{ClO} + \text{O}_{2}\\ \underline{\text{ClO} + \text{O}_{3} → 2\text{O}_{2}+ \text{Cl}}\\ 전체반응 : 2\text{O}_{3} → 3\text{O}_{2}$$ 위 자료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오존($\text{O}_{3}$)이 산소($\text{O}_{2}$)로 되는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ㄴ. 염소 원자(Cl)는 오존층 파괴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ㄷ. 일산화염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오존의 농도는 감소한다.
ㄹ. 62°S~67°S 지역에서는 오존 구멍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는 그림과 같이 맑은 날 고압선 위에 앉아 있는 제비가 감전사하지 않는 사실을 보고는 그동안 학교에서 배운 전기 개념을 통해 <보기>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들을 생각해 보았다.
보기
ㄱ. 제비의 몸이 저항이 작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ㄴ. 제비의 두 발 사이의 전압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일 것이다.
ㄷ. 고압선의 전류는 전선을 통해서만 흐르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보기>에서 알맞은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할로겐 원소 $\text{X}_{2}$, $\text{Y}_{2}$의 성질 및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X, Y는 임의의 원소기호이다.)
<실험 과정 및 결과>
(가) Y의 나트륨 화합물 NaY 수용액 5mL를 시험관에 넣는다.
(나) 무색의 사염화탄소($\text{CCl}_{4}$)에 $\text{X}_{2}$를 충분히 녹이니 연두색을 나타내었다. (가)의 시험관에 이 용액 8mL를 넣고 흔들어준 다음 가만히 두었더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적갈색과 무색의 두 층으로 나누어졌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적갈색 층에는 $\text{Y}_{2}$가 녹아 있다.
ㄴ. 무색 층에는 $\text{X}^{-}$이 녹아 있다.
ㄷ. $\text{X}_{2}$는 $\text{Y}_{2}$보다 환원되기 쉽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며, (나)는 어떤 기단이 발원지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기단의 온도와 이슬점이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나)에 해당되는 기단과 기상 현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A 기단에 의해 겨울철 서해안 지방에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② B 기단에 의해 봄철에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③ C 기단에 의해 여름철에도 초가을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④ D 기단에 의해 무덥고 습한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한다.

⑤ E 기단에 의해 태풍의 피해가 생기기도 한다.

다음 표는 30년 동안 정오에 해수면에서 측정한 위도별 평균일사량($\text{W/m}^{2}$)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0°)35°N70°N
춘분550410105
하지485620475
추분550410105
동지4852100
이 자료를 이용하여 추론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세 지역 중 연평균 기온 변화가 가장 작은 곳은 적도이다.
ㄴ. 적도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때는 하지날이다.
ㄷ. 동짓날에 70°N 지역의 일사량이 0인 이유는 태양이 뜨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오른쪽 그래프는 반응 입자의 에너지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T_{1}$, $T_{2}$는 온도를 나타내며, $E_{1}$, $E_{2}$는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낸다)
다음의 〈보기〉에서 위의 그림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반응 속도와 관련된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여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음식물이 쉽게 상한다.
ㄴ. 장작불을 피우기 위해 잘게 쪼갠 불쏘시개를 사용한다.
ㄷ. 꺼져가는 성냥불을 산소가 들어 있는 병에 넣으면 다시 살아난다.
ㄹ.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피부에 바르면 상처난 부위에서 거품이 많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ㄷ

다음은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전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정전집진장치는 강한 전기력으로 오염물질 입자들을 대전시켜, 반대 부호로 대전되어 있는 도체판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다음 중 정전집진장치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① 초전도체

② 진공청소기

③ 스키선수

④ 전자석 기중기

⑤ 빗에 끌리는 종이조각

2002-09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9월 3일 (화)에 시행되었습니다.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과학탐구영역(과학)

시행 : 2002.9.3(화)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서울교육청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산성비의 원인, 피해 및 대책을 조사하기 위해 이들과 관련된 화학 반응식을 찾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가) $3\text{NO}_{2}+ \text{H}_{2}\text{O} → 2\text{HNO}_{3} + \text{NO}$
(나) $\text{CaCO}_{3} + \text{H}_{2}\text{SO}_{4} → \text{CaSO}_{4} + \text{H}_{2}\text{CO}_{3}$
(다) $\text{Ca(OH)}_{2}+ 2\text{HNO}_{3} → \text{Ca}(\text{NO}_{3})_{2}+ 2\text{H}_{2}\text{O}$
이들을 고찰하여 산성비에 관해 <보기>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보기
ㄱ. 들판에 석회를 뿌리면 산성 토양이 중화된다.
ㄴ. 산성비는 대리석으로 된 건축물의 부식을 촉진한다.
ㄷ.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는 산성비의 원인이 된다.
ㄹ. 수십만 년 동안 빗물의 작용으로 석회암 동굴이 생성되었다.
위에 제시된 화학 반응식과 내린 결론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가) : ㄷ / (나) : ㄱ / (다) : ㄴ

② (가) : ㄷ / (나) : ㄴ / (다) : ㄱ

③ (가) : ㄷ / (나) : ㄴ / (다) : ㄹ

④ (가) : ㄹ / (나) : ㄱ / (다) : ㄴ

⑤ (가) : ㄹ / (나) : ㄴ / (다) : ㄷ

다음은 사람의 어떤 유전병에 대한 설명이다.
○ 아버지가 정상이면 딸은 모두 정상이다.
○ 정상의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식도 이 유전병을 가질 수 있다.
○ 어머니가 이 유전병을 가지면 아들은 반드시 이 유전병을 가진다.
이 질병의 유전자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X 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② X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③ 상염색체에 있으며 열성으로 유전된다.

④ 상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⑤ X 또는 Y 염색체에 있으며 우성으로 유전된다.

다음은 ‘술을 마신 상태에서는 반응 속도가 늦어진다.’는 가설의 타당성을 알아보는 과정 중 탐구 설계 과정만을 요약한 것이다.
○ 그림과 같이 20m/s의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P점을 통과하는 순간에 적색 신호등이 켜지도록 한다.
○ P점의 위치는 운전자가 모르도록 한다.
○ 술을 마시지 않은 김모씨와 술을 마신 이모씨를 선정한다.
○ 두 운전자에게 다른 자동차를 배정한다.
○ 적색등이 켜지는 순간에 브레이크를 밟도록 한다.
○ P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자동차의 운동이 기록되도록 한다.
철수는 위의 탐구 설계 과정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보기>에서 그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P점의 위치를 운전자가 모르도록 하였다.
ㄴ. 두 운전자가 같은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았다.
ㄷ. 술을 마신 상태와 마시지 않은 상태의 운전자를 같은 사람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과거 약 100년 동안의 지구의 연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같은 기간 동안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위 그림과 관련지어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점]
보기
ㄱ. 연평균 기온 변화는 이산화탄소 농도 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도 받았다.
ㄴ. 1920년에서 1940년 사이보다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량이 더 컸다.
ㄷ.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두 배 높아진다면 연평균 기온도 두 배 정도 높아질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실험 조건을 달리한 장치를 설치하고 일주일이 경과한 후 쇠못이 녹슨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ABCD
실험 조건물, 쇠못물, 쇠못, 마그네슘물, 쇠못, 아연물, 쇠못, 주석
쇠못의 녹슨 양많이 생김거의 없음거의 없음매우 많이 생김
위 탐구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실험 B의 마그네슘과 실험 D의 쇠못은 환원제 역할을 한다.
ㄴ. 아연으로 만든 못에 철사를 감아 물 속에 넣어 두면 철사는 쉽게 녹슨다.
ㄷ. 철로 만든 수도관에 마그네슘 판을 접촉시켜 놓으면 수도관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철수는 물속의 DO(용존산소량)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강의 상류와 하류에서 물을 채취하여 DO를 측정하였다.
(나) 시험관 A와 B에 상류의 물을, C와 D에 하류의 물을 각각 넣고 B와 D에는 같은 크기의 검정말을 넣었다.
(다) 20℃의 암실에서 5일간 두었다가 DO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단위 : ppm]
시험관ABCD
처음 DO9955
5일 후 DO8510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상류와 하류 사이에서 유기물이 유입되었다.
ㄴ. A와 C에서 상류와 하류의 BOD 차이를 알 수 있다.
ㄷ. B와 D에서 검정말은 DO를 증가시켰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축구경기를 관람하고 있던 철수는 운동장에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것을 보았다.
보기
홍길동 선수는 상대팀 수비수들을 피해 공이 있는 지점으로 ㉠ 빠르게 뛰어가 강한 슈팅을 하였다. ㉡ 눈 깜짝할 사이에 공은 골문 안으로 들어갔다. 골문 안으로 들어간 공은 골네트에 닿아 ㉢ 점점 느리게 되어 정지하였다. 그 순간 관중들의 “오! 필승 코리아! 대~한민국” 하는 환호성이 울려 퍼졌다.
<보기>의 ㉠, ㉡, ㉢에 해당되는 가장 적당한 물리량들로 짝지어진 것은? [1점]

① ㉠ 속력 / ㉡ 시간 / ㉢ 가속도

② ㉠ 속력 / ㉡ 시간 / ㉢ 거리

③ ㉠ 시간 / ㉡ 거리 / ㉢ 속력

④ ㉠ 시간 / ㉡ 시간 / ㉢ 속력

⑤ ㉠ 시간 / ㉡ 시간 / ㉢ 가속도

그림은 계절에 따른 우리 나라 주변 해양의 표면 수온 분포도이다.
계절에 따른 표면 수온의 차가 해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도 37°N에서 황해가 동해보다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수심의 영향 때문이다.
ㄴ. 경도 130°E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작은 이유는 주로 난류의 영향 때문이다.
ㄷ. 위도 33°N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수온 차가 큰 이유는 주로 편서풍의 영향 때문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물고기의 복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것은?

① 복제 동물도 자손을 낳을 수 있다.

② 형광 유전자는 우성의 특징을 보인다.

③ 형광 유전자는 물고기의 성염색체로 끼어 들어갔다.

④ 복제 형광 물고기는 다른 생물의 유전자도 가지고 있다.

⑤ 물고기의 체세포 핵에는 발생에 필요한 모든 유전자가 들어 있다.

다음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제라늄 세 그루를 유리 용기 안에 각각 넣었다.
(나) 각 화분을 $\text{CO}_{2}$ 농도 및 온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달리한 후, 3일 동안 30℃로 유지하였다.
(다) 각 화분의 잎을 따서 색소를 제거하고 요오드 반응으로 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화분ABC
요오드 반응청남색갈색갈색
위 실험에 대한 가설로 타당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한다.
ㄴ.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text{CO}_{2}$가 필요하다.
ㄷ. 광합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도가 필요하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 (가)는 세계의 화산과 지진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고, 그림 (나)는 여러 가지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각변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림 (가)에 표시된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각변동의 모습을 그림 (나)와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가) : ㄱ - (나) : B

② (가) : ㄴ - (나) : A

③ (가) : ㄷ - (나) : B

④ (가) : ㄷ - (나) : D

⑤ (가) : ㄹ - (나) : C

그림은 뜨거운 주전자에 손이 닿았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손을 움츠리는 행동에 대한 흥분 전달 과정이다.
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위 반응을 조절하는 중추는 대뇌이다.
ㄴ. 뜨거운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각점은 피부에 분포한다.
ㄷ. 자극을 받은 후 반응이 일어나기까지의 경로는 A→B→C이다.
ㄹ. (가)에서 흥분이 전달되지 않으면 뜨거움을 느낄 수 없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영희는 ‘수영할 때 몸이 앞으로 나가는 이유는, 손과 발을 이용하여 물을 뒤로 미는 작용에 대해 물이 몸을 미는 반작용 때문이다.’는 것을 학교에서 배웠다. 영희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작용과 반작용으로 구분하여 <보기>와 같이 정리하였다.
보기
상황작용반작용
야구 선수가 공을 잡을 때공이 장갑에 작용하는 힘장갑이 공에 작용하는 힘
바람이 창문에 부딪칠 때공기가 창문에 작용하는 힘창문이 공기에 작용하는 힘
TV가 책상 위에 놓여 있을 때지구가 TV를 당기는 힘책상이 TV를 반치는 힘
줄로 썰매를 당길 때줄이 썰매를 당기는 힘바닥이 썰매에 작용하는 힘
<보기>에서 작용과 반작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ㄹ

그림은 태양계에 속해 있는 어떤 행성 사진이다.
이 행성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행성의 고리는 행성의 적도면에 나란히 놓여 있다.
ㄴ. 안쪽 고리와 바깥쪽 고리는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ㄷ. 행성 표면의 줄무늬는 빠른 자전 속도 때문에 생긴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마그네슘은 염산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이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text{Mg}(s)+2\text{HCl}(aq)→\text{MgCl}_2(aq)+\text{H}_2(g)$$ 이 반응에서 반응 조건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과정>
묽은 염산이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일정량의 마그네슘 리본을 넣고 유리관을 끼운 고무마개로 막은 후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를 측정한다.
○ 실험 1 : 4.0% 염산 5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 실험 2 : 2.0% 염산 100mL와 마그네슘 0.02g을 사용한다.
반응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소 기체의 부피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두 실험 조건과 비교하여 바르게 짝지는 것은?

① [실험 1] : A / [실험 2] : B

② [실험 1] : B / [실험 2] : A

③ [실험 1] : B / [실험 2] : C

④ [실험 1] : C / [실험 2] : A

⑤ [실험 1] : A / [실험 2] : A

철수의 아버지는 당뇨병을 앓고 있다. 철수는 자신에게도 당뇨병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 과정>
(가) 4개의 시험관에 아버지와 자신의 혈장과 오줌을 각각 10mL 씩 넣는다.
(나) 각 시험관에 포도당 검출 시약인 베네딕트 용액을 1mL 씩 넣고 잘 흔들어 준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모든 시험관에서 베네딕트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와 B 시험관은 요오드 반응을 시켜 보아야 한다.
ㄴ. 베네딕트 용액을 넣은 후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한다.
ㄷ. C와 D에는 베네딕트 용액을 넣기 전에 오줌을 가열했다가 식혀야 한다.
ㄹ.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한 것을 추가해야 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4개의 염색체를 가진 어떤 생물의 생식 세포 분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염색체 이동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 염색체의 이동과 생식 세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제1분열에서는 염색체 비분리 현상으로 상동 염색체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ㄴ. 이 생물은 유전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생식 세포를 만든다.
ㄷ. 제2분열은 염색분체가 양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ㄹ. 염색체 수가 더 많은 생물에서는 더 많은 종류의 생식 세포가 만들어질 것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영희는 아연판과 구리판을 묽은 황산에 넣어 만든 볼타 전지 실험에서 전압이 곧 낮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한쪽 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가 전극 표면에 붙어 전자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을 알고 영희는 다음 가설을 세웠다.
<가설> 수소기체가 발생하는 전극의 표면적을 크게 하면 전지 전압이 낮아지는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두 번의 실험에 필요한 전극을 옳게 짝지은 것은? (단, 반응에 의한 표면적 변화는 무시한다.)
1차 실험2차 실험
($-$)극($+$)극($-$)극($+$)극
그림은 상자 B를 60N의 힘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안에 상자 A와 B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자 A와 B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상자 A에 작용하는 알짜힘(합력)은 0이다.
ㄴ. 수평면과 상자 B 사이에 작용하는 운동마찰력은 60N이다.
ㄷ. 상자 A가 상자 B를 누르는 힘의 크기는 상자 B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와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철수는 그림과 같이 시험관을 꽂은 고무마개로 소량의 물방울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를 밀폐시켰다. 시험관에 수산화바륨과 질산암모늄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어준 후,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의 크기가 줄었고, 시험관 표면에 물이 형성된 후, 얼음으로 바뀌었다.
위의 실험에서 시험관 안과 삼각플라스크 내에서 일어난 현상들 중에 흡열과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시험관 안에서 일어난 반응 과정
ㄴ. 시험관의 바깥 표면에 물이 맺히는 과정
ㄷ. 삼각플라스크 바닥의 물방울이 점차 작아지는 과정
ㄹ. 시험관 표면에 맺혀있던 물이 얼음으로 바뀌는 과정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다음은 소음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고 창문과 커텐의 소음 차단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들이다. <실험 1>에서 발견된 규칙을 사용하여 <실험 2>의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실험 1>에서 차량별 소음의 차이는 없다고 가정한다.)
<실험 1>
어떤 자동차 전용도로 근처의 한 지점에서 소음의 크기와 통과하는 차량 대수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대자동차 대수소음의 세기(평균)
오전 7~8시8,00063dB
오전 9~10시4,00060dB
오후 2~3시2,00057dB
<실험 2>
이 도로 근처에 있는 어느 주택의 실내에서 같은 시간에 세 가지 다른 방음조건에 대해 소음측정기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음조건소음의 세기
창문과 커텐 열림50dB
창문만 닫음40dB
커텐만 닫음47dB
보기
ㄱ. 커텐은 소음을 약 절반으로 줄이는 소음 차단 효과를 준다.
ㄴ. 커텐보다 창문이 소음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ㄷ. 커텐과 창문을 모두 닫으면 소음의 세기는 43.5dB이 될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그림은 어떤 여성의 2개월 동안 난소 내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여성에서 호르몬의 농도나 자궁 내벽의 두께 변화를 옳게 나타낸 것은? [1점]

① 프로게스테론

② FSH

③ 에스트로겐

④ LH

⑤ 자궁 내벽의 두께

그림은 어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이 지질 단면에서 지층과 암석이 생성된 선후 관계가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A층은 B층 위에 쌓였기 때문에 B층보다 나중에 쌓였다.
ㄴ. C면을 경계로 층들의 배열 상태가 달라진 것으로 보아 이 면의 상하 지층 사이에 매우 긴 시간 공백이 있었다.
ㄷ. 관입암체 F는 E층보다 먼저 생성되었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인공 위성은 그 특성에 따라 표와 같이 구분된다.
특성 \ 구분정지궤도 위성극궤도 위성
고도적도 상공 36,000km500~1,000km
공간 분해능수km수m
관측 조건항상 가능하루에 한 번
(공간 분해능 :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 크기. 예를 들면 공간 분해능이 1km이면 크기가 1km보다 작은 물체를 식별할 수 없다.)
관측 목적에 따라 인공 위성의 종류가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북극 지방 빙하의 계절별 분포 - 극궤도 위성
ㄴ. 기상 예보에 필요한 구름 분포 - 정지궤도 위성
ㄷ. 우리 나라 전지역의 도로 지도 작성 - 정지궤도 위성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오른쪽 표는 알루미늄과 구리의 비열이다.
비열(J/kg·K)
알루미늄900
구리386
철수는 그림 (가)와 같이 질량이 같은 알루미늄판과 구리 도막을 물 속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한 후, 그림 (나)와 같이 질량이 같은 20℃의 물이 담겨 있는 동일한 열량계 A와 B에 넣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다음 중 두 열량계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지표로부터 공급된 CFC-12 ($\text{CF}_{2}\text{Cl}_{2}$)에 의해 성층권의 오존층이 파괴되는 과정을 (가)에, 남반구 성층권에서 측정한 위도별 일산화염소(ClO)와 오존($\text{O}_{3}$)의 농도를 (나)에 나타내었다. $$\underline{\text{CF}_{2}\text{Cl}_{2}→ \text{CF}_{2}\text{Cl} + \text{Cl}}\\ \text{O}_{3} + \text{Cl} → \text{ClO} + \text{O}_{2}\\ \underline{\text{ClO} + \text{O}_{3} → 2\text{O}_{2}+ \text{Cl}}\\ 전체반응 : 2\text{O}_{3} → 3\text{O}_{2}$$ 위 자료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오존($\text{O}_{3}$)이 산소($\text{O}_{2}$)로 되는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ㄴ. 염소 원자(Cl)는 오존층 파괴 반응에서 촉매 역할을 한다.
ㄷ. 일산화염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오존의 농도는 감소한다.
ㄹ. 62°S~67°S 지역에서는 오존 구멍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ㄴ, ㄷ, ㄹ

철수는 그림과 같이 맑은 날 고압선 위에 앉아 있는 제비가 감전사하지 않는 사실을 보고는 그동안 학교에서 배운 전기 개념을 통해 <보기>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들을 생각해 보았다.
보기
ㄱ. 제비의 몸이 저항이 작아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ㄴ. 제비의 두 발 사이의 전압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일 것이다.
ㄷ. 고압선의 전류는 전선을 통해서만 흐르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보기>에서 알맞은 원인을 모두 고른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다음은 할로겐 원소 $\text{X}_{2}$, $\text{Y}_{2}$의 성질 및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과정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단, X, Y는 임의의 원소기호이다.)
<실험 과정 및 결과>
(가) Y의 나트륨 화합물 NaY 수용액 5mL를 시험관에 넣는다.
(나) 무색의 사염화탄소($\text{CCl}_{4}$)에 $\text{X}_{2}$를 충분히 녹이니 연두색을 나타내었다. (가)의 시험관에 이 용액 8mL를 넣고 흔들어준 다음 가만히 두었더니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적갈색과 무색의 두 층으로 나누어졌다.
위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적갈색 층에는 $\text{Y}_{2}$가 녹아 있다.
ㄴ. 무색 층에는 $\text{X}^{-}$이 녹아 있다.
ㄷ. $\text{X}_{2}$는 $\text{Y}_{2}$보다 환원되기 쉽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그림 (가)는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을 나타낸 것이며, (나)는 어떤 기단이 발원지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기단의 온도와 이슬점이 변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나)에 해당되는 기단과 기상 현상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① A 기단에 의해 겨울철 서해안 지방에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

② B 기단에 의해 봄철에 건조한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③ C 기단에 의해 여름철에도 초가을 날씨가 나타나기도 한다.

④ D 기단에 의해 무덥고 습한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한다.

⑤ E 기단에 의해 태풍의 피해가 생기기도 한다.

다음 표는 30년 동안 정오에 해수면에서 측정한 위도별 평균일사량($\text{W/m}^{2}$)을 나타낸 것이다.
적도(0°)35°N70°N
춘분550410105
하지485620475
추분550410105
동지4852100
이 자료를 이용하여 추론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ㄱ. 세 지역 중 연평균 기온 변화가 가장 작은 곳은 적도이다.
ㄴ. 적도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때는 하지날이다.
ㄷ. 동짓날에 70°N 지역의 일사량이 0인 이유는 태양이 뜨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오른쪽 그래프는 반응 입자의 에너지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T_{1}$, $T_{2}$는 온도를 나타내며, $E_{1}$, $E_{2}$는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낸다)
다음의 〈보기〉에서 위의 그림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반응 속도와 관련된 현상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여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음식물이 쉽게 상한다.
ㄴ. 장작불을 피우기 위해 잘게 쪼갠 불쏘시개를 사용한다.
ㄷ. 꺼져가는 성냥불을 산소가 들어 있는 병에 넣으면 다시 살아난다.
ㄹ.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피부에 바르면 상처난 부위에서 거품이 많이 생긴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⑤ ㄱ, ㄴ, ㄷ

다음은 화력발전소의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전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이다.
정전집진장치는 강한 전기력으로 오염물질 입자들을 대전시켜, 반대 부호로 대전되어 있는 도체판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장치이다.
다음 중 정전집진장치와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① 초전도체

② 진공청소기

③ 스키선수

④ 전자석 기중기

⑤ 빗에 끌리는 종이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