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20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물리Ⅱ]
시행 : 2002.11.20(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경기도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가속도가 1m/s$^{2}$인 구간과 <보기>에서 그 구간의 위치-시간 그래프를 골라 옳게 짝지은 것은?
① AB - ㄱ
② AB - ㄴ
③ BC - ㄱ
④ CD - ㄴ
⑤ CD - ㄷ
ㄴ. 비행기의 가속도는 항상 지구 중심 방향이다.
ㄷ. 비행기의 원운동에 필요한 구심력은 중력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이 장치에 타고 있는 철수의 운동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단, CD 구간에서는 자유낙하를 한다.)
ㄴ. CD 구간에서 철수에게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ㄷ. DE 구간에서 철수는 등속도 운동을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BC 구간에서 쇠구슬이 운동하는 동안 운동에너지와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단, 위치에너지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며, 마찰이나 공기저항은 무시한다.)
① 쇠구슬의 운동에너지는 일정하다.
② 쇠구슬의 위치에너지는 증가한다.
③ 쇠구슬의 역학적 에너지는 B점에서 가장 작다.
④ 쇠구슬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
⑤ B점에서 쇠구슬의 위치에너지는 C점에서의 운동에너지와 같다.
추와 쇠공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쇠공과 바닥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2점]
ㄴ. 충돌 직후 운동량의 크기는 쇠공이 추보다 크다.
ㄷ. 충돌 직후 추의 운동량의 크기는 충돌 직전과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쇠구슬의 수직 높이(cm) | 10 | 20 | 30 | 40 |
나무도막의 이동 거리(cm) | 8 | 16 | 24 | 32 |
ㄴ 쇠구슬의 위치에너지와 나무도막의 이동거리는 비례한다.
ㄷ. 나무도막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 일의 양은 쇠구슬의 위치에너지에 비례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추의 무게가 4N일 때 추에 작용하는 구심력의 크기는 ? (단, 모눈종이 1눈금은 1N을 나타낸다.) [1점]
① 1N
② 2N
③ 3N
④ 4N
⑤ 5N
공기의 온도 변화(℃) | 5 | 10 | 15 | 20 |
추의 높이 변화(mm) | 4 | 8 | 12 | 16 |
ㄴ. 공기의 부피 변화는 온도 변화에 비례한다.
ㄷ. 플라스크 속의 공기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물체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물체 A의 질량이 B보다 작다.)
ㄴ. 물체 A가 B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물체 B가 A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같다.
ㄷ. 물체 A, B에 작용하는 알짜 힘의 크기는 같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20m 다음은 공기저항을 무시할 때 축구공의 처음 속력을 구하는 과정이다.
Ⅱ. 수평 성분의 크기는 20m를 ( ㉠ )초로 나눈 값과 같다.
Ⅲ. 중력 가속도의 크기를 10m/s$^2$이라고 하면, 연직 성분의 크기는 최고점에서 물체가 1초 동안 자유낙하 했을 때의 속력과 같으므로 ( ㉡ )m/s이다.
IV. 처음 속도의 크기는 $\sqrt{(수평성분)^2 + (연직성분)^2 }= 10 \sqrt{2}$m/s이다. 따라서, 처음 속력은 $10\sqrt{2}$m/s이다.
① ㉠ : 1 / ㉡ : 5
② ㉠ : 1 / ㉡ : 10
③ ㉠ : 2 / ㉡ : 5
④ ㉠ : 2 / ㉡ : 10
⑤ ㉠ : 2 / ㉡ : 20
그림(나)와 같이 같은 모양의 대전되지 않은 금속판 B를 A에 가까이 하면 금속박은 어떻게 될까?
① 변화 없다.
② 더 벌어진다.
③ 조금 닫힌다.
④ 더 벌어졌다 닫힌다.
⑤ 조금 닫혔다 벌어진다.
다음 중 저항 상자 속에 들어 있는 회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과정 Ⅱ : 외부에서 기체에 30J의 열을 공급하였다.
ㄴ.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은 과정 Ⅰ, Ⅱ에서 서로 같다.
ㄷ. 과정 Ⅱ에서 기체가 외부에 한 일은 0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수도관에 흐르는 물을 전하에 비유할 때, 수도관과 전기회로 사이의 대응관계가 바르게 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
ㄴ. [수도관] : 1초 동안 흐르는 물의 양 / [전기회로] : 전류의 세기
ㄷ. [수도관] :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 / [전기회로] : 전기저항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이 때 양전하($+\text{Q}$)에는 전기력 이외에 또 다른 힘 F가 작용하고 있다. 이 힘 F의 크기와 방향으로 옳은 것은?
① [힘 F의 크기] : 전기력과 같다. / [힘 F의 방향] : 오른쪽
② [힘 F의 크기] : 전기력과 같다. / [힘 F의 방향] : 왼쪽
③ [힘 F의 크기] : 전기력보다 크다. / [힘 F의 방향] : 오른쪽
④ [힘 F의 크기] : 전기력보다 크다. / [힘 F의 방향] : 왼쪽
⑤ [힘 F의 크기] : 전기력보다 작다. / [힘 F의 방향] : 오른쪽
두꺼운 스펀지 바닥에서는 유리컵이 깨지지 않지만 시멘트 바닥에서는 깨진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ㄴ. 유리컵이 받는 충격량은 시멘트 바닥이 더 크다.
ㄷ. 유리컵이 받는 최대 충격력은 시멘트 바닥이 더 크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