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20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과학탐구영역[자연계](과학)[화학Ⅱ]
시행 : 2002.11.20(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경기도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 물질 A의 끓는점은 일정하였고, 전기 분해하였더니 양쪽 전극에서 기체가 발생하였다.
◦ 물질 B의 끓는점은 일정하지 않았으며, 증류하여 여러 종류의 물질이 얻어졌다.
① [A] : 홑원소 물질 / [B] : 혼합물
② [A] : 혼합물 / [B] : 화합물
③ [A] : 화합물 / [B] : 홑원소 물질
④ [A] : 화합물 / [B] : 혼합물
⑤ [A] : 혼합물 / [B] : 홑원소 물질
실험 번호 | 황화철의 질량(g) | 철의 질량(g) | 황의 질량(g) |
1 | 11 | 7 | 4 |
2 | 22 | 14 | 8 |
3 | 33 | 21 | 12 |
ㄴ. 철의 원자량은 황의 원자량보다 작다.
ㄷ. 황화철을 구성하는 성분 원소의 질량비는 일정하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가) $\text{H}_2\text{SO}_4$과 $\text{NaCl}$이 반응하여 발생되는 기체 A를 그림 Ⅰ과 같이 시험관에 모은다.
(나) 과정 (가)의 시험관 입구에 그림 Ⅱ와 같이 암모니아수를 묻힌 유리 막대를 대었더니 흰색 연기가 생겼다.
(다) 기체 A가 들어 있는 시험관에 물을 넣고 그림 Ⅲ과 같이 푸른색 리트머스 종이를 시험관에 넣었더니 붉게 변하였다.
ㄴ. 기체 A는 물에 녹아 산성을 띤다.
ㄷ. 암모니아는 기체 A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원자 또는 이온 | 원자 번호 | 양성자수(개) | 중성자수(개) | 질량수 | 전자수 (개) |
A | 16 | 36 | 18 | ||
B | 18 | 18 | 18 | ||
C | 18 | 22 | 18 | ||
D | 20 | 40 | 18 |
① B와 C는 원자이다.
② B와 C는 동위 원소이다.
③ C와 D는 질량수가 같다.
④ A와 D는 중성자수가 같다.
⑤ A와 D는 핵 전하량이 같다.
(가) 구리 산화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시료 접시에 넣는다.
(나) 그림과 같이 장치하여 구리 산화물을 수소 기체와 완전히 반응시킨다.
(다) 반응이 끝난 후 시료 접시에 남은 고체의 질량을 측정한다.
ㄴ. 산소의 원자량
ㄷ. 구리의 원자량
ㄹ. 염화칼슘의 화학식량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가) 10% HCl 수용액 100g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솜마개로 막은 다음 질량을 측정한다.
(나) 아연 조각의 질량을 측정하고, 과정 (가)의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다) 솜마개로 삼각 플라스크를 느슨하게 막고 반응이 끝난 후 삼각 플라스크의 질량을 측정한다.
ㄴ. 배수 비례의 법칙
ㄷ. 기체 반응의 법칙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가) 질산은 1.70g을 물 100g에 녹여 질산은 용액을 만든다.
(나) 과정 (가)에서 만든 질산은 용액에 충분한 양의 구리 조각을 넣고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 용액은 푸른색으로 변하고, 구리 표면에서 은이 석출된다.
ㄴ. 반응이 끝난 후 용액의 질량은 증가한다.
ㄷ. 용액 중의 질산 이온의 양은 반응 전·후에 변화 없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 공장 A에서 하루에 사용되는 석탄의 질량 : 1000kg
◦ 석탄에 포함되어 있는 황의 질량 백분율 : 1.34%
ㄴ. 탄소의 원자량
ㄷ. 산소의 원자량
ㄹ. 석탄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양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위 자료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빛의 에너지는 파장에 반비례한다.)
ㄴ. 가장 큰 에너지를 방출한 계열은 파센 계열이다.
ㄷ.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 일정한 크기로 변화한다.
ㄹ.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질 때에는 에너지가 방출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그래프로부터 $\text{A}_2$와 $\text{B}_2$의 결합 에너지와 공유 결합 길이를 각각 옳게 비교한 것은?
① [결합 에너지] : $\text{A}-\text{A} > \text{B}-\text{B}$ / [공유 결합 길이] : $\text{A}-\text{A} > \text{B}-\text{B}$
② [결합 에너지] : $\text{A}-\text{A} > \text{B}-\text{B}$ / [공유 결합 길이] : $\text{A}-\text{A} < \text{B}-\text{B}$
③ [결합 에너지] : $\text{A}-\text{A} = \text{B}-\text{B}$ / [공유 결합 길이] : $\text{A}-\text{A} = \text{B}-\text{B}$
④ [결합 에너지] : $\text{A}-\text{A} < \text{B}-\text{B}$ / [공유 결합 길이] : $\text{A}-\text{A} > \text{B}-\text{B}$
⑤ [결합 에너지] : $\text{A}-\text{A} < \text{B}-\text{B}$ / [공유 결합 길이] : $\text{A}-\text{A} < \text{B}-\text{B}$
위 그래프에서 두 원자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A,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ㄴ. A와 B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화학식은 AB이다.
ㄷ. B의 안정한 이온의 반지름은 원자 반지름보다 작다.
ㄹ. A와 B로 이루어진 화합물은 용융 상태에서 전기가 잘 통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연료 | 연소 반응식 | 연소열(kJ/mol) |
메탄 | $\text{CH}_4+ 2\text{O}_2 → \text{CO}_2 + 2\text{H}_2\text{O}$ | 889 |
프로판 | $\text{C}_3\text{H}_8 + 5\text{O}_2 → 3\text{CO}_2 + 4\text{H}_2\text{O}$ | 2217 |
부탄 | $2\text{C}_4\text{H}_{10} + 13\text{O}_2 → 8\text{CO}_2 + 10\text{H}_2\text{O}$ | 2874 |
① $부탄 > 프로판 > 메탄$
② $부탄 > 메탄 > 프로판$
③ $프로판 > 메탄 > 부탄$
④ $프로판 > 부탄 > 메탄$
⑤ $메탄 > 프로판 > 부탄$
입자 \ 원소 | A | B | C | D |
원자 | ||||
이온 |
ㄴ. 원자 번호는 A가 D보다 크다.
ㄷ. 원소 A와 C 사이의 결합은 공유 결합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위에 주어진 원자들의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단, A~C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ㄴ. $\text{이온 $\text{A}^-$의 반지름}>\text{이온 $\text{B}^+$의 반지름}$
ㄷ. $\text{원자 A의 반지름}>\text{이온 $\text{A}^-$의 반지름}$
ㄹ. $\text{원자 C의 반지름}>\text{이온 $\text{C}^{2+}$의 반지름}$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 한 오비탈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 전자수는 2개이다.
◦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 채워질 때 가능하면 쌍을 이루지 않으려고 한다.
B : $1s^2 2s^2 2{p_x}^2 2{p_y}^2 2{p_z}^1$
C : $1s^2 2s^2 2{p_x}^2 2{p_y}^2 2{p_z}^2 3s^1$
D : $1s^2 2s^2 2{p_x}^2 2{p_y}^2 2{p_z}^2 3s^1 3{p_x}^1$
① A, B
② A, C
③ B, C
④ B, D
⑤ C, D
위 자료를 이용하여 반응한 $\text{CoCl}_3·5\text{NH}_3$와 $\text{AgNO}_3$의 몰수비를 구하면?
① [$\text{CoCl}_3·5\text{NH}_3$] : [$\text{AgNO}_3$] $ = 1 : 1$
② [$\text{CoCl}_3·5\text{NH}_3$] : [$\text{AgNO}_3$] $ = 1 : 2$
③ [$\text{CoCl}_3·5\text{NH}_3$] : [$\text{AgNO}_3$] $ = 2 : 1$
④ [$\text{CoCl}_3·5\text{NH}_3$] : [$\text{AgNO}_3$] $ = 1 : 3$
⑤ [$\text{CoCl}_3·5\text{NH}_3$] : [$\text{AgNO}_3$] $ = 3 : 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