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16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한국지리)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한국지리)

시행 : 2023.11.16(목)
대상 : 고등학교 3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삽화, 사진, 표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 다음 자료의 (가)~(다) 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구분(가)(나)(다)
기준점 위ㆍ경도34° 04′ 32″ N
125° 06′ 31″ E
33° 07′ 03″ N
126° 16′ 10″ E
37° 14′ 22″ N
131° 52′ 08″ E
특징ㆍ 섬의 이름은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라는 뜻에서 유래.
ㆍ 일제 강점기에 ‘소흑산도’로 불렸으나, 2008년에 현 지명으로 복원
ㆍ 섬의 최고점이 약 39m로 해안 일부가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화산섬.
ㆍ 섬 전체가 남북으로 고구마 모양으로 평탄한 초원이 있음.
ㆍ 섬의 이름은 돌섬이라는 뜻의 ‘독’이 ‘홀로 독’으로 한자화 됨.
ㆍ 동도와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 도서로 구성.

① (가)는 우리나라 영토의 최서단(극서)에 위치한다.
② (나)의 남서쪽 우리나라 영해에 이어도 종합 해양 과학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
③ (다)로부터 200해리까지 전역은 우리나라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 해당한다.
④ (나)와 (다)는 영해 설정에 통상 기선을 적용한다.
⑤ (가)~(다) 중 우리나라 표준 경선과의 최단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은 (나)이다.

2. 다음 자료의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평창군 황병산 일대에서는 해발 고도 800m가 넘는 곳에 넓은 ㉠평탄면을 볼 수 있다. 이 평탄면은 과거 오랜 기간 풍화와 침식을 받아 평탄해진 곳이 ㉡경동성 요곡 운동으로 융기한 후에도 완만한 기복을 유지하고 있는 지형이며, 목초 재배에 유리하여 목축업이 발달하였다.

북한강 유역의 춘천은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의 평탄면에 발달한 도시이다. 춘천 분지는 ㉣변성암과 ㉤화강암의 차별적인 풍화ㆍ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지형으로, 용수 확보가 쉬워 일찍부터 농업 및 생활의 중심지로 이용되었다.

① ㉠에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많이 분포한다.
② ㉣은 주로 시멘트 공업의 원료로 이용된다.
③ ㉡으로 한반도 전역에 ㉤이 관입되었다.
④ ㉢에서는 ㉠보다 바람이 강하여 풍력 발전에 유리하다.
⑤ ㉣은 ㉤보다 한반도 암석 분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3. 그림의 (가)~(라)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도의 A~D에서 고른 것은? (단, A~D는 각각 단양, 울릉도, 제주도, 철원 중 하나임.)

① (가) : B / (나) : A / (다) : C / (라) : D
② (가) : B / (나) : A / (다) : D / (라) : C
③ (가) : B / (나) : D / (다) : A / (라) : C
④ (가) : C / (나) : A / (다) : B / (라) : D
⑤ (가) : C / (나) : B / (다) : D / (라) : A

4. 다음 자료에서 설명하는 지역을 지도의 A~E에서 고른 것은?

이 지역은 한강 뱃길과 육로 교통의 길목으로 삼국 시대에는 각축을 벌이던 전략 요충지였다. 수자원 확보와 홍수 피해 경감 등을 목적으로 다목적댐이 건설되어 전력 생산과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민간 기업이 주도적으로 개발하는 기업도시가 조성되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5. 다음 <조건>만을 고려하여 아동 복지 시설의 입지를 선정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곳을 지도의 A~E에서 고른 것은? [3점]

〈조건1〉 : ‘시(市)’ 단위 행정 구역인 곳
〈조건2〉 :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10% 이상인 곳
〈조건3〉 : 〈조건1〉과〈조건2〉를 만족한 지역 중 총부양비가 가장 높은 곳

〈연령층별 인구 비율〉
(단위 : %)
구분0~14세15~64세65세 이상
A12.870.716.5
B8.960.530.6
C8.461.829.8
D8.963.827.3
E14.574.411.1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6. 다음 자료는 자연재해에 대한 온라인 수업 자료의 일부 내용이다. (가)~(다)에 해당하는 자연재해를 A~C에서 고른 것은? (단, (가)~(다)와 A~C는 각각 대설, 태풍, 호우 중 하나임.)

자연재해의 유형 : 기후적 요인의 자연재해와 지형적 요인의 자연재해로 구분
(1) 기후적 요인의 자연재해
    A     :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것을 말하며, 산간 마을의 고립, 농작물을 재배하는 시설, 축사, 건물 등의 붕괴, 교통이 마비되어 도로가 혼잡해지는 피해를 발생시킴.
    B     : 열대성 저기압이 우리나라 부근을 통과하면서 강풍과     C    을/를 동반하여 풍수해를 일으키며, 해안이나 섬 지역에서는 해일이 발생하여 피해가 더욱 커지기도 함.
    C     : 장마 전선이 정체하거나 온대 저기압 및     B    이/가 통과할 때 주로 발생하며, 하천이 범람하여 저지대의 가옥과 농경지가 침수되는 피해를 입히기도 함.

① (가) : A / (나) : B / (다) : C
② (가) : A / (나) : C / (다) : B
③ (가) : B / (나) : A / (다) : C
④ (가) : B / (나) : C / (다) : A
⑤ (가) : C / (나) : A / (다) : B

7. 다음은 지도에 표시된 세 지역의 하천 지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D는 각각 배후 습지, 삼각주, 자연 제방, 하안 단구 중 하나임.) [3점]

① (가)는 (다)보다 하방 침식이 활발하다.
② (나)는 (가)보다 하상의 해발 고도가 높다.
③ D는 하천 퇴적물의 공급량이 적고, 조차가 큰 하구에서 잘 발달한다.
④ A는 C보다 홍수 시 범람에 의한 침수 위험이 높다.
⑤ B는 C보다 토양 배수가 불량하다.

8. 다음 자료는 지도에 표시된 네 도시의 시청에서 출발해 광주광역시청으로 가는 길 찾기 안내의 일부이다. (가)~(라) 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다)에는 춘향전의 배경이 되는 광한루원이 있다.
② (라)에는 대규모 완성형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입지해 있다.
③ (가)와 (다)에는 모두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가 있다.
④ (나)와 (라)에는 모두 하굿둑이 건설되어 있다.
⑤ (가)~(라)에는 모두 국제공항이 입지해 있다.

9. 그래프의 (가)~(라)는 지도에 표시된 네 지역의 상대적 기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가)는 (나)보다 최한월 평균 기온이 높다.
② (다)는 (나)보다 연 강수량이 많다.
③ (다)는 (라)보다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④ (가)와 (라)는 서해안, (나)와 (다)는 동해안에 위치한다.
⑤ (가)~(라) 중 여름 강수 집중률이 가장 높은 곳은 (라)이다.

10. 그래프는 주요 농산물의 1인당 소비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가)~(라)는 각각 과실, 보리, 쌀, 채소 중 하나임.)

① (가)는 (나)보다 재배 면적이 넓다.
② (나)는 (가)보다 노지 재배 면적 비율이 높다.
③ 전남은 (가)보다 (다)의 생산량이 많다.
④ 제주는 (다)보다 (나)의 재배 면적이 넓다.
⑤ 강원은 전북보다 (라)의 생산량이 많다.

11. 다음 자료는 네 계절에 개최되는 지역 축제를 나타낸 것이다. (가)~(라) 계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가)~(라)는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하나임.) [3점]

① (나)에는 고랭지 채소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② (다)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확장으로 꽃샘추위가 발생한다.
③ (라)에는 월동을 대비해 김장을 한다.
④ (가)에는 (나)보다 서고동저형의 기압 배치가 자주 나타난다.
⑤ (가)에는 (라)보다 평균 상대 습도가 높다.

12. 지도의 A~E 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B에는 지반 융기로 형성된 해안 단구가 있다.
② C 습지는 D 호수보다 물의 염도가 높다.
③ E는 B보다 퇴적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가 크다.
④ A와 E는 주로 조류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되었다.
⑤ B와 D는 후빙기 해수면 상승 이전에 형성되었다.

13. 지도에 표시된 (가)~(다) 지역의 특징을 그림과 같이 표현할 때, A~D의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보 기> 
ㄱ. A : 도청이 입지하고 있음.
ㄴ. B :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음.
ㄷ. C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석회 동굴이 있음.
ㄹ. D : 혁신도시가 조성되어 있음.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4. 그래프는 지도에 표시된 네 지역군의 제조업 종사자 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가)~(라) 지역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가)는 (나)보다 지역군 내 제조업 출하액에서 전자 부품ㆍ컴퓨터ㆍ영상ㆍ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② (다)는 (나)보다 전국 석유 정제품 제조업 종사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③ (다)는 (라)보다 1차 금속 제조업 출하액이 많다.
④ (라)는 (나)보다 대규모 국가 산업 단지 조성을 시작한 시기가 이르다.
⑤ (가)~(라) 중 2001년에 비해 2021년 제조업 종사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군은 영남 지방에 속한다.

15. 다음은 한국지리 온라인 수업의 한 장면이다. 답글의 내용이 적절한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전기 요금 차등 부과 법안 통과
모든 지역에 같은 단가를 적용하는 현행 전기 요금 부과 방식 대신, 발전소와의 거리를 고려해 지역별로 요금에 차등을 둘 수 있게 하는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그동안 발전소 밀집 지역은 각종 규제에 노출된 반면, 서울, 경기처럼 전력 소비량이 많은 지역은 별다른 부담을 지지 않은 채 혜택만 본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발전소 밀집 지역은 시설 입지 반대와 관련한 갈등이 일어나고 피해를 겪고 있지만, 전기 요금은 똑같아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따라서 앞으로는 전력 생산량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많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전기 요금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 : 제시된 자료에 대하여 답글을 달아 보세요.
갑 : 발전으로 인한 대기 오염 물질 배출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이에요.
을 : 모든 광역시는 전력 생산량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많아요.
병 : 전력 생산지와 전력 소비지의 불일치로 환경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정 : 이 법안이 시행될 경우 상대적으로 서울은 전기 요금 단가가 상승할 수 있어요.

① 갑, 을
② 을, 병
③ 병, 정
④ 갑, 을, 병
⑤ 갑, 병, 정

16. 다음은 한국지리 수업 장면이다. 발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라) 지역에 대해 발표해 볼까요?
갑 : (가)에는 유엔 개발 계획(UNDP)의 지원을 계기로 지정된 북한 최초의 경제 특구가 있어요.
을 : (나)는 북한 최대도시인 평양의 외항으로, 대동강 하구에 서해 갑문이 설치되어 있어요.
병 : (다)와 (라) 모두 남북 합작으로 지정 ‘운영된 관광특구가 있었으나, 2008년 이후 관광이 중단되었어요.

① 갑
② 병
③ 갑, 을
④ 을, 병
⑤ 갑, 을, 병

17. 표는 지도에 표시된 세 지역의 교육 기관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단, A~C는 각각 대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 하나임.)

지역 \ 교육기관ABC
(가)1526217
(나)27102
(다)1870

 <보 기> 
ㄱ. (다)는 (가)보다 보유하고 있는 중심지 기능이 다양하다.
ㄴ. (가)와 (나)는 모두 세종특별자치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ㄷ. A는 B보다 학교 간 평균 거리가 멀다.
ㄹ. C는 A보다 학생들의 평균 통학권 범위가 넓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8. 다음 자료는 지도에 표시된 네 지역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통근ㆍ통학자별 인구 비율>
지역지역 내서울기타
(가)70.912.017.1
(나)56.815.727.5
(다)83.46.410.2
(라)60.124.515.4

① (가)는 (라)보다 지역 내 농가 인구 비율이 높다.
② (나)는 (다)보다 주간 인구 지수가 높다.
③ (다)는 (라)보다 주택 유형 중 아파트 비율이 높다.
④ (가)에는 수도권 1기 신도시, (나)에는 2기 신도시가 건설되었다.
⑤ (가)~(라) 중 생산자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가)가 가장 많다.

19. 다음 글은 주요 에너지 자원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가)~(다)는 각각 석유, 석탄, 천연 가스 중 하나임.)

(가) 무연탄은 주로 평안 누층군에 분포하며, 강원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이 활발하였으나, 에너지 소비 구조의 변화로 국내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한편 제철 공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역청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나) 1차 에너지 자원 중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며, 주로 화학 공업의 원료 및 수송용 연료로 이용된다. 대부분 서남 아시아에서 수입되고 있어 수입 지역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다) 주로 가정ㆍ상업용 연료로 이용되며 수송 및 발전용 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른 화석 에너지보다 연소 시 대기 오염 물질 배출량이 적은 편이다.

① (나)의 1차 에너지 공급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북이다.
② (다)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이다.
③ (나)는 (가)보다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비율이 높다.
④ (다)는 (가)보다 전력 생산에 이용된 시기가 이르다.
⑤ 전남은 (나)보다 (가)의 1차 에너지 공급량이 많다.

20. 다음은 지도에 표시된 A~F 지역에 대한 학생의 답변과 교사의 채점 결과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질문답변
A와 B는 모두 인구 100만 명 이상 도시인가요?
B와 C는 모두 서울과 전철로 연결되어 있나요?아니오
(가)아니요
(나)
점수4점2점

 <보 기> 
ㄱ. (가)가 ‘D와 F에는 모두 폐탄광을 활용한 석탄 박물관이 있나요?’이면, ㉡은 ‘예’이다.
ㄴ. (나)가 ‘D는 C보다 청장년층 인구의 성비가 높나요?’이면, ㉠은 ‘예’이다.
ㄷ. (가)가 ‘C에는 다목적 댐이 있나요?’이면, (나)에는 ‘B에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 문화유산이 있나요?’가 들어갈 수 있다.
ㄹ. ㉠이 ‘예’이면, (나)에는 ‘C와 E의 지명에서 ‘강원’의 지명이 유래했나요?’가 들어갈 수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