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05/27

1992-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5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외국어영역(영어)

시행 : 1992.5.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8번까지는 듣고 푸는 문제입니다. 방송을 잘 듣고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대화를 듣고 남자가 원하는 것을 바르게 나타낸 그림을 고르시오.
대화를 듣고 물건의 값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5.50

② $\$$15.15

③ $\$$15.50

④ $\$$50.15

⑤ $\$$50.50

식당에서 일어난 대화를 듣고 현재의 시간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7:00

② 8:00

③ 9:00

④ 10:00

⑤ 11:00

대화를 듣고 John의 계획을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go fishing.

② write a comedy.

③ do his homework.

④ watch a comedy on TV.

⑤ go shopping to buy a TV.

대화를 듣고 물음에 답하시오.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대화를 듣고 이 대화가 일어난 장소를 바르게 나타낸 것을 고르시오.

① airport

② hotel

③ hospital

④ post office

⑤ school

다음을 듣고 말하는 이가 권장하는 음료를 고르시오.

① juice

② milk

③ cocoa

④ coffee

⑤ tea

다음을 듣고 말하는 사람의 직업을 고르시오.

① a newscaster

② a tour guide

③ a merchant

④ a coach driver

⑤ a journalist

이제 듣기 문제는 다 끝났습니다. 9번 문제부터는 문제지의 지시에 따라 답하시오.
말의 의도하는 바가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① May I go to Washington Square?

② How can I get to Washington Square?

③ Please tell me the way to Washington Square.

④ Will you show me the way to Washington Square?

⑤ Could you tell me how to get to Washington Square?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은 고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고, 필요가 있다면, 가장 잘 고쳐진 것을 고르시오.
The little girl who used to hold a penny firmly in one hand and press her nose against the glass at a candy counter now has grown up and can be seen with the same look on her face as she holds a ten-dollar bill at a meat counter.

① 고칠 필요 없음

② was grown up and could be seen

③ was grown up and seen

④ had grown up and could be seen

⑤ grew up and saw

[11~12]
(A)의 글을 (B)의 대화문으로 구성한다고 할 때 빈칸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을 고르시오.
(A)
Henry invites Susan to go swimming. Susan says she can't because she has a bad cold. Henry then invites Susan to watch a movie in the Dobie Theater. Susan accepts the invitation. She tells Henry to pick her up at two o'clock in the afternoon.

(B)
Henry: Would you like to go swimming?
Susan:  (11) .
Henry: Then how about going to a movie in the Dobie Theater?
Susan:  (12) . Can you pick me up at two in the afternoon?
Henry: Sure, I can.
빈 칸 (11)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은?

① I'm sorry, I can't. I have a bad cold.

② I'd love to, but I have a bad cold.

③ I'm afraid I can't. I have a bad cold.

④ I wish I could, but I have a bad cold.

⑤ I hope I have a bad cold.

빈 칸 (12)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은?

① That's true.

② That will be fine.

③ Sounds good.

④ That's nice.

⑤ I think I can go there.

사선(/)에 의해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진 아래 문장에서 어색한 표현이 있는 부분은?
① Because of / ② she seldom wrote you / ③ doesn't mean / ④ she loves you / ⑤ no longer.
다음 각가의 문장에서 밑줄 친 this가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This is a schoolmaster of the common people. (H. W. Beecher)
This is a mirror of the world. (James Ellis)
This should be the maximum of information, and the minimum of comment. (R. Cobden)
This is a circulating library with high blood pressure. (A. Baer)

① A medicine

② A computer

③ A telephone

④ A book

⑤ A newspaper

빈칸 친 it이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것은?
Naturally the young are more inclined to novelty than their elders and it is in their speech that most of the verbal changes originate. A new usage once took time to spread, but now a pop star can flash it across the world in hours.

① novelty

② a star

③ their speech

④ an origin

⑤ a new usage

빈칸 친 his가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것은?
In South Africa today, one of that country's most repressive sets of race laws has formally gone out of existence. They were called “pass laws”. Every black South African had to have a “pass book”. He couldn't move or work without it. How repressive? A black man was once pulled out of marathon because he didn't have his on him.

① a pass law

② a pass book

③ a marathon race

④ race laws

⑤ repressive sets

다음 글에서 밑줄 친 Spring을 통해 doorman이 의도한 의미와 Borg가 표현한 의미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One fine sunny day, as comedian Billy Borg was leaving his hotel, the doorman said, “Spring in the air, Mr. Borg.”
Borg did just that - sprang into the air - and then went merrily on his way.

① [Doorman이 의도한 의미] : 봄 / [Borg가 표현한 의미] : 봄

② [Doorman이 의도한 의미] : 샘물 / [Borg가 표현한 의미] : 쏟아져 나오다

③ [Doorman이 의도한 의미] : 봄 / [Borg가 표현한 의미] : 뛰어 오르다

④ [Doorman이 의도한 의미] : 용수철 / [Borg가 표현한 의미] : 뛰어 오르다

⑤ [Doorman이 의도한 의미] : 샘물 / [Borg가 표현한 의미] : 용수철

[18~24]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Henry : May I borrow your calculator?
Cindy : Yes, but be sure to turn it off between each problem so the battery doesn't     .

① carry over

② push up

③ match up

④ get back

⑤ wear out

Client : I'd appreciate your professional opinion. Do you think that I should sue the company?
Lawyer :      We can settle this out of court.

① Not really.

② I think so.

③ Let's do it.

④ I'm afraid so.

⑤ Why not?

Miriam : That picture certainly flatters Jane. Don't you think so?
Robert : No, I don't.     , I think it makes her look older than she really is.

① In the end

② As a matter of fact

③ Nonetheless

④ Of course

⑤ Therefore

In one year, the number of new units of private housing started in January showed a drop of 15 percent from the December rate. Ordinarily, this would have been taken as an indication of business difficulties, but that year it was attributed to severe winter weather, which made it impossible to     .

① move furniture

② get bank loans

③ find warm places

④ start construction

⑤ obtain a permit

There are some people who think that women who are exceptionally pretty and men who are particularly handsome must be stupid. They believe that only     .

① unattractive people can be intelligent

② attractive people can be intelligent

③ unattractive people can be stupid

④ exceptionally pretty women can be intelligent

⑤ particularly handsome men can be intelligent

Changing schools in the middle of the year presented a problem for Donna in many ways. First of all, she would have to leave all her good friends five hundred miles behind. She would have to give up her part-time job at the department store. Worst of all, she would have to face a school full of strangers.    .

① She would feel like a fish out of water

② She was eager to meet them

③ She will make a lot of friends

④ She would treat them the way they treat her

⑤ She would make a lot of money

     The people in favor of bilingual education say, “I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school work in history, mathematics, science, etc., at the same time they are learning English.” The people against bilingual education say, “It's a waste of time and government money. English is the national language of the United States.”
* bilingual education : 2개 국어 병용 교육

① When does bilingual education begin?

② Who are bilingual teachers?

③ Bilingual education is useless.

④ Bilingual education is an unsettled issue.

⑤ Who needs bilingual education?

[25~26]
다음 문단을 읽고, 본문 전체의 흐름과 관계가 없는 문장을 고르시오.
① A good weather report tells five things. ② It predicts what the temperature will be. ③ It tells whether the sky will be cloudy or clear and whether there will be any rain or snow. ④ Most people like clear, sunny weather. ⑤ A weather report also gives the direction of the wind and the strength of the wind.
① Today we depend on electricity more than we realize. ② Electricity gives us light in darkness, warmth in winter, and coolness in summer. ③ It cooks our food and washes our clothes and dishes. ④ Electricity gives us movies and television to entertain us in our free time. ⑤ Sometimes storms cut off the supply of electricity.
빈칸 (A)와 (B)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으로 짝지워진 것은?
Stamp collecting is a popular hobby for several reasons. Collectors gain pleasure from the varied colors and designs of the stamps, while enjoying the fun of watching their collections grow.  (A) , stamp collecting has educational value. Stamps often tell the collector a great deal about the customs, events, and famous citizens of a country.  (B) , collectors soon learn to find out the exact location of a country and often become interested enough to find out other important facts about the country.

① (A) : In addition - (B) : Furthermore

② (A) : Thus - (B) : However

③ (A) : As a result - (B) : Now

④ (A) : First of all - (B) : Instead

⑤ (A) : Later - (B) : Finally

다음 단락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때, 빈칸 (A)와 (B)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으로 짝지워진 것은?
Our real world is not as exciting as the world of the TV screen. TV is not comparable to reality. People find their own lives boring. Besides, people may get upset when they are not able to solve problems in the real world as quickly as TV actors.
The  (A)  of TV programs with  (B)  life may have a conflicting effect on people.

① (A) : action - (B) : social

② (A) : protection - (B) : ideal

③ (A) : comparison - (B) : real

④ (A) : production - (B) : actual

⑤ (A) : decision - (B) : normal

글의 흐름으로 볼 때, 아래의 글 바로 다음에 가장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는 글의 내용은?
How about some good news for a change?
Something to consider when you are in a people-are-no-good mood? Here’s a phrase we hear a lot : “You can’t trust anybody anymore.” Doctors and politicians and merchants and salesmen. They’re all out to cheat you, right? It isn’t necessarily so.

① 정직한 사람들도 많음

② 기분을 전환하는 방법

③ 뉴스의 상호 교환

④ 신용사회의 단점

⑤ 의사, 정치인, 상인 등의 부도덕성

글의 내용으로 보아 아래의 글 바로 앞에 가장 자연스럽게 올 수 있는 글의 내용은?
The main sources of renewable energy are sun, wind, and water. Renewable energy is used as a supplement both to fossil fuels and to nuclear energy. In temperate parts of the world there is more sunshine in summer and more wind in winter, so a system that combines the two is much more efficient than the one that relies on either.

① 석유 산업의 붕괴

② 원자력 에너지의 원료

③ 원자력 발전소의 위험

④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개념

⑤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단점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가장 알맞은 곳은?
These people are not moody at all.
When people are under stress they react in different ways. ( ① ) Some people find it difficult to stay calm. ( ② ) They get very annoyed if they have to wait just a few minutes too long in a store or a restaurant. ( ③ ) One minute they are fine and the next they can be really angry. ( ④ ) Other people seem to stay calm almost all the time, and rarely get angry. ( ⑤ ) They don't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but always seem to be in control of their emotion.
어떤 회사에서 한 고객에게 보낸 다음의 세 통신문(A), (B), (C)가 쓰여진 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A)
Dear Sir:
Your failure to answer our previous requests for payment makes it necessary for us to inform you that unless your account is brought up to date at once, we shall refer it to our legal department.
Yours truly,
(B)
Dear Friend:
Guess what? You forgot to make your payment this month. We understand how easy it is to forget. Please take a moment now and drop it in the mail.
Cordially,
(C)
Dear Customer:
Ten days ago we notified you that your June payment was past due. It has still not arrived in our office, nor have we heard from you as to your reason for not remitting it.
Sincerely,

① (A)-(B)-(C)

② (A)-(C)-(B)

③ (B)-(A)-(C)

④ (B)-(C)-(A)

⑤ (C)-(B)-(A)

[33~34]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을 고르시오.
Barbara McClintock won the 1983 Nobel Prize for medicine. She was honored for her discovery that genes can wander from one position on a chromosome to another, causing sudden evolutionary changes. Her discovery of the “jumping genes” was made some thirty years ago and originally was regarded with doubt and disbelief by other scientists because it went against the accepted view that genes were stationary.
* chromosome : 염색체

① McClintock의 발견은 1983년에 이루어졌다.

② McClintock의 이론은 아직 인정 받지 못했다.

③ McClintock은 염색체를 발견했다.

④ McClintock은 유전자를 만들어냈다.

⑤ McClintock은 유전자의 이동을 발견했다.

The latest survey concludes that the extent of hospital teaching differs a great deal across the country. It found that half the hospitals which admit children have no teacher. A further quarter have only a part-time teacher. Fewer than one in five children have some contact with a hospital teacher -- and that contact may be as little as two hours a day. Most children interviewed were surprised to find a teacher in hospital at all.

① 최근에 학교 교육에 대한 조사가 있었다.

② 전국의 모든 병원이 어린이들을 돌본다.

③ 병원도 학교 근처에 있다.

④ 병원 학교도 하루 종일 공부를 한다.

⑤ 많은 아이들이 병원 학교를 모르고 있다.

[35~3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Write the number of the record you want for only 20 cents (to help cover postage and handling) on the postage-free card. Then fill in the numbers of four more records you want. They will be sent to you for 10 days' free home listening. You may keep the 4 records for only $\$$1 (plus a small handling and shipping charge) if you accept the Membership and agree to buy only five additional records during the year ahead. Otherwise, return the four records at our cost within 10 days. The record for 20 cents is yours to keep in any case!
회원이 되었을 당시 지불한 돈의 총액은?

① $\$$1.00

② $\$$1.20

③ 20 cents plus postage and handling charge

④ $\$$1.20 plus a handling and shipping charge

⑤ $\$$1.00 plus the price of the five records

만약 회원이 되기로 결심했다면, 1년 후에 최소한으로 가질 수 있는 record의 수효는?

① one

② four

③ five

④ ten

⑤ fourteen

[37~3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young fellow, suffering from insomnia, decided to see a doctor. “Count to ten and repeat it until your eyelids feel heavy,” advised the doctor. A few days later, the young man returned to the doctor's office. “You seem worse than before,” said the doctor. The young man explained that it was the effect of the advice. “I count,” he said. “But when I reach eight, I always jump out of bed.” “Why?” asked the doctor. “I'm a boxer,” he replied.
If a person suffers from insomnia, he has difficulty with     .

① counting

② dreaming

③ sleeping

④ boxing

⑤ eyesight

윗글의 내용을 가장 잘 나타내는 표현은?

①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

②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③ 정직은 최상의 방책

④ 습관은 제 2의 천성

⑤ 오늘은 어제의 내일

[39~40]
다음 대화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Huston : Come in. Come in. Ah! I've been expecting you. What's your name again?
Jackson : Carol Jackson.
Huston : Oh yes. Sit down, Miss Jackson. Certainly glad to see you.
Jackson : Thank you, sir.
Huston : No need to “sir” me, Miss Jackson. Just relax and make yourself at home. We like our employees to feel like one, big, happy family. So you want to work for us, eh?
Jackson : Yes, sir. I mean Mr. Huston.
Huston : That's the spirit. You know, most of the office staff call me Papa.
위의 대화는 어떤 상황의 대화인가?

① a job interview

② a telephone conversation

③ a TV debate

④ a classroom discussion

⑤ a family gathering

Mr. Huston의 말들이 주는 느낌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① funny

② informal

③ businesslike

④ rude

⑤ threatening

[41~43]
다음 글의 필자가 주장하는 요지를 고르시오.
Sometimes you may say something you really don't mean. But words once spoken, like bullets once fired, can't be recalled. And they can wound. Before you say something needlessly hurtful, calm down. Speak with reason, not just emotion. Otherwise you may say something you'll regret always.

① 사람은 무슨 뜻인지 모를 말을 가끔 한다.

② 소문은 총알처럼 멀리 퍼진다.

③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다.

④ 말과 글을 구별하여야 한다.

⑤ 말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If you earn a dollar and spend 99 cents, you're OK. But spend $\$$1.01 and you're heading for trouble. Yet today spending seems more popular than saving. It leads to headaches for people, for companies, and even governments. No new economic theory beats this old favorite: A penny saved is a penny earned. As Calvin Coolidge once said, “There is no independence quite so important as living within your means.”

① 경제 이론에도 유행이 있다.

② 돈을 많이 벌어야 성공한다.

③ 버는 돈 보다는 적게 써야 한다.

④ 큰 돈보다는 잔돈이 중요하다.

⑤ 경제는 똑똑한만큼 중요하지 않다.

The greatest waste of our natural resources is the number of people who never achieve their potential. If you think you can't, you won't. If you think you can, you will. Even making the effort will make you feel like a new person. Reputations are made by searching for things that can't be done and doing them. Aim low: boring. Aim high: soaring.
* potential : 잠재력

① 범죄는 돈과 관계 없다.

② 잠재력은 개발하여야 한다.

③ 지하 자원은 아껴야 한다.

④ 잠재력을 자신해서는 안 된다.

⑤ 불가능한 일은 시도해서는 안 된다.

다음 글의 제목으로 알맞은 것은?
Chemistry, as a science or field of knowledge, is concerned with ideas and concepts relating to the behavior of matter. Although these concepts are abstract, their application has had a concrete impact on human culture. This impact is due to modern technology, which may be said to have begun about 200 years ago and which has grown rapidly ever since.

① Chemical Elements

② The Behavior of Matter

③ Chemistry and Modern Technology

④ Culture and Society

⑤ Knowledge and Behavior

다음 글을 쓴 목적으론 가장 알맞은 것은?
I always try to do my best for my employer and colleagues. I am cooperative with others. I am eager to learn, easy to train, and ambitious to be a productive part of your organization. I believe that I have a great deal to offer your company, and I know that your company has a lot to offer me.

① 항의

② 초청

③ 사고

④ 변명

⑤ 취업

다음 글의 필자의 아들에 대해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I remember once telling my eight-year-old son, who was keenly interested in outer space, that astronomers had found evidence that Pluto has a moon. “But daddy,” he replied, “I thought Pluto was too cold for anything to live there.” I told him that was right. He asked, “Well, why would Pluto have a moon if there is no one there to see it?” In his view, moons exist only to entertain people. He will also answer that snow exists so that children can play in it, when asked, “Why is there snow?”
* Pluto : 명왕성

① 공부만 좋아한다.

② 논리적인 질문만 한다.

③ 명왕성에 달이 있다고 믿는다.

④ 자기 중심적으로 사겨든 본다.

⑤ 우주 비행사가 되려고 한다.

글에서 묘사된 마을에 대한 필자의 인상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It was a town of red brick. It contained several large streets all very like one another, and many small streets still more like one another, full of people equally like one another. They all went in and out at the same hours, with the same sound upon the same pavements, to do the same work. To them every day was the same as yesterday and tomorrow, and every year the same as the last and the next.

① quiet

② noisy

③ monotonous

④ lively

⑤ harmonious

필자의 심경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It was going to be a wonderful experience. Everybody assured me of it. The train journey, they said, south from Fort William in Scotland, is the most scenic and the most breathtaking in Britain. The Highlands, the Moor of Rannock, Loch Lomond, all this would be mine.
So I boarded the 18:22 at Fort William, found a quiet window-seat and settled back.

① 사명감

② 기대감

③ 실망감

④ 당혹감

⑤ 신뢰감

[49~5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The situation comedies (sitcoms) we see on television have a very long history. The first sitcoms go back to the fourth century B.C. In that period, people had active social lives, and they liked entertainment. Much of this came in the form of plays. A man named Menander wrote many light plays or sitcoms. His best play is about a grouch who has lots of money. Many people don't like him and like to play tricks on him. The tricks make him mad, but they made the audiences laugh. That's what the situation comedies of today do for us.
* grouch : 항상 불평을 늘어 놓는 사람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Menander's Tricks

② Tricks of TV

③ The Origin of Sitcoms

④ The Audiences of Sitcoms

⑤ The History of Plays

Menander 는 어떤 사람인가?

① a playwright

② a merchant

③ a grouch

④ a rich man

⑤ a historian

1992-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5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사회)

시행 : 1992.5.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보기>는 『국부론』에 제시된 애덤 스미스의 주장 일부이다. 이 주장이 함축하고 있는 적절한 진술을 고른다면?
보기
군주가 지켜야 할 의무는 오로지 셋밖에 없다.
첫째로, 사회를 다른 사회의 폭력과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의무
둘째로, 사회의 구성원을 다른 구성원의 부정과 압박으로부터 보호하는 의무
셋째로, 약간의 공공 작업장과 공공 기관을 설치하는 의무

① 백성은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② 자연의 법칙은 신성하다.

③ 인간 관계는 쌍무적이다.

④ 사회는 폭력과 부정으로 쌓여 있다.

⑤ 군주는 복지 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보기>와 같은 내용들이 지닌 윤리적인 문제를 공통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은?
보기
○ 장남이지만 전출이 많은 직장에 다니기 때문에 부모님을 모시지 못해 안타까워하고 있다.
○ 아버지는 결정을 내리고 온 가족원은 단지 따라가기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자녀 교육 문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① 가족의 사회적 기능

② 사회 분화의 양상

③ 가족 생활의 민주화

④ 가족원의 역할 변화

⑤ 여성의 사회적 평등

<보기>의 질문들이 공통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바를 서술한 것으로서 적합한 것은?
보기
○ 어떤 사실이 역사적으로 의의가 있는가?
○ 역사적 사실의 의의는 고정되어 있는가?
○ 과거의 사실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가?
○ 과거의 사실을 모두 알 필요가 있는가?

① 역사는 과거에 일어났던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다.

② 과거의 사실은 인간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드러난다.

③ 역사적 사실은 근본적으로 자연과학적 사실과 다르지 않다.

④ 역사적 현상에는 일반적 법칙의 적용이 가능하다.

⑤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은 관점에 따라서 역사적 사실이 될 수도 있다.

<그림>은 한족과 북방 민족과의 관계를 시대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보고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을 세 개 고른다면?

① 북방 민족은 한족 문화에 동화되어 갔다.

② 한족과 북방 민족은 끊임없이 대결하였다.

③ 한족의 힘이 강력하면 북방 민족의 진출이 주춤하였다.

④ 북방 민족은 힘이 강성하면 국가를 세우기도 하였다.

⑤ 북방 민족의 위협이 없을 때는 한족 국가의 존속 기간이 길었다.

강화도 부근리에는 매우 커다란 고인돌 유적이 있다. 고인돌 덮개의 무게는 수 톤이나 나감직하다. 이 유적을 답사한 역사학도가 우선적으로 지녔을 의문점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막대한 노동력을 어떻게 동원했을까?

② 돌을 높이 올리는 데는 어떠한 방법이 쓰였을까?

③ 어떠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을까?

④ 당시 이 지역의 기후는 어땠을까?

⑤ 이 유적은 당시의 지배 세력과 관계가 있는가?

우리 나라 소시장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의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사람들의 쇠고기 수요가 늘면 대체로 소의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② 외국산 소의 수입이 늘어나면 대체로 우리 나라 소의 가격은 떨어진다.

③ 소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대체로 소금 수요의 가격 탄력성보다 작다.

④ 사람들의 소득이 높아지면 대체로 쇠고기 수요가 늘어나게 되어 소의 가격이 올라갈 것이다.

⑤ 가격 이외에도 소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사회의 정치·경제 체제가 다르면 구성원들의 의식과 사회생활 양식에도 커다란 차이가 있다. 다음은 다른 나라에서 생활한 경험이 없는 북한 사람이, 남한에 와서 가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의문들을 나열하고 있다. 의문을 가질 가능성이 가장 적은 질문은?

① 당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어도 되는가?

② 어째서 역사를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가?

③ 시장에서 상품의 가격이 지니는 역할은 무엇인가?

④ 사람들의 경제 행위를 이끌어내는 유인은 무엇인가?

⑤ 민주주의 개념은 북한은 그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8~9]
다음 지도는 우리 나라의 내륙 침식 분지의 일부를 그린 것이다. 한 학생이 현지 조사에 앞서 지도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이 지역에 관한 예비 조사를 행하고자 한다.
위의 지도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 중 올바른 것은?

① 이 지역은 침식 분지 내에서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② 신월동의 가옥들은 대부분 낮은 구릉 위에 입지하고 있다.

③ (ㄱ)과 (ㄴ) 사이에는 경사 급변점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④ (가) 하천의 양안에는 비교적 넓은 범람원이 분포하고 있다.

⑤ 저지대에는 전형적인 포드졸이 형성되어 있다.

위의 지도에서 (나)는 삼국시대 이래의 관개용 저수지로 알려지고 있다. 이 저수지의 규모를 감안할 때, 그 입지 선정의 이유로 부적절한 것을 두 개 고른다면?

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② 자연 경사를 따라서 관계하기에 편리했기 때문이다.

③ 집수 구역이 가장 넓었기 때문이다.

④ 재방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⑤ 농가들이 비교적 희소하게 분포했기 때문이다.

어느 윤리학책에 있는 <보기>와 같은 문장을 읽고, 여러 학생들이 나름대로 판단을 내렸다고 하자. 합리적인 가치 판단 능력이 가장 발달된 학생의 것은?
보기
최근에 와서는 현대적 민주 사회의 윤리와 전통 윤리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중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적으며, 두 가지가 서로 조화되는 것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르쳐지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조화의 중요성은 다른 윤리학자들도 공통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격 완성도 원칙적으로 그러한 방향으로 따라가야 한다.

① 윤리학책에 쓰여 있는 것을 보니,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② 많은 사람들이 강조하고 있는 방향으로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두 가지 윤리의 조화가 더 바람직한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④ 청소년들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격 완성의 방향이라 볼 수 없다.

⑤ 윤리학자들이 인정한 것으로 보아, 바람직한 방향임에 틀림없다.

사람들은 똑같은 자료를 보고도 자신의 위치와 관심, 그리고 시각에 따라, 의사 결정의 내용과 방향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다음의 <그림>을 보고 내린 의사 결정 가운데에서, 정책 결정자의 차원이라는 점에서는 같으나,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결정의 방향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것은?

① 인력 수급 구조가 왜곡되고 있으므로 제조업 분야에 대한 지원을 더욱 확대하기로 하였다.

② 도소매업의 비중이 더 높아질 것이 예상되므로 지금부터 그 쪽으로 진로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겠다.

③ 일하는 분위기 조성 등 국민 의식을 변화시켜 나가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하였다.

④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통하여 취업 구조가 더욱 선진국형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

⑤ 대출과 조세 제도의 전환을 통하여 서비스업 종사자의 비율을 대폭 감소시켜 나가겠다.

[12~13]
다음 두 지도는 어느 지방 도시에 인접한 완사면의 경관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며, <보기>는 그 변화 과정에 나타난 사실을 적은 것이다.
보기
○ 1940년대에 임야의 대부분이 개간되었다.
○ 개간 초기에는 밭농사가 주로 행해졌다.
○ 1960년대에 (가), (나) 저수지가 완공되었다.
1950년대에 정부는 식량 증산을 위하여 이 완사면에 논을 조성하려는 의도에서, 이 곳이 어떤 지형인지를 파악해 달라고 한 지리학자에게 요청하였다. 당시 이 학자가 현지를 조사하기로 결정하였을 경우,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을 두 개만 고른다면?

① 지하수면의 깊이를 조사한다.

② 배후 산지를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를 확인한다.

③ 토양층에 남아 있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한다.

④ 농가의 토지 이용 방식을 조사한다.

⑤ 상부와 하부에 덮여 있는 물질의 특징을 비교한다.

위 <보기>의 내용을 토대로 두 지도를 비교하면서, 이 지역에서 일어난 촌락경관의 변화를 설명한 내용 중 잘못된 것 두 개는?

① 논의 면적은 크게 확대되었으나, 밭의 면적은 축소되었다.

② 해발 고도 70~100m 부분에는 집촌이 형성되었다.

③ 밭의 면적은 축소되었으나, 과수원의 면적은 확대되었다.

④ 산림은 벌채되어 대부분 농경지로 전환되었다.

⑤ 관개 용수를 공급하기 어려운 부분에는 밭과 과수원이 조성되었다.

<보기>는 18세기에 이중환이 저술한 『택리지』에서 어떤 농작물의 재배 한계에 관한 내용을 발췌 번역한 것이다.
보기
영남, 호남 지방에 가장 잘 되어서 산골 땅이나, 바닷가 땅이나를 가릴 것 없이, 모두 가꾸기에 알맞다. 강원도 영동쪽에서 북쪽 함경도까지는 모두 종자조차 없으며, 비록 심는다 하더라도 자라지 않는다. 강원도 영서쪽은 산기후가 서늘하여 더구나 가꾸기에 알맞지 않고, 오직 원주, 춘천 가까운 들에 조금씩 심으나, 겨우겨우 자란다.... 평안도의 산중 고을에는 심는 곳이 드물지만 들판 고을에는 가꾸기에 알맞지 않은 곳이 없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이 농작물의 재배 한계와 관련이 깊은 기후 조건 두 개는?

① 무상기일

② 최심 적설량

③ 연간 강수량

④ 여름 평균 기온

⑤ 연간 일조시간

어떤 민주 정치 국가에서 정당이 하나밖에 없다고 가정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일들을 기술하고 있다. <보기>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면?
보기
ㄱ. 행정부가 정치에서 철저히 분리된다.
ㄴ. 사법부의 권한이 확대된다.
ㄷ. 대통령의 선출에 정당 예비 선거가 결정적이다.
ㄹ. 정당에서 선출된 의원의 후보는 민의에 귀기울이지 않기 쉽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다음은 어느 해 어떤 나라의 국민경제 상태를 한눈에 알아보기 위해 고안한 그림표이다. 이 표와 여기에 표시된 각 나라의 경제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① 갑국은 물가 안정과 국제 수지 개선을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크다.

② 이 그림표에서는 경제 상태가 좋을수록 다이아몬드의 크기가 커진다.

③ 병국과 을국보다 갑국의 경제 상태가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④ 같은 크기라도 다이아몬드의 모습을 잃으면 경제상태는 다이아몬드의 모습을 갖추었을 때보다 나쁠 것으로 여겨진다.

⑤ 이 그림표에 나타난 바로는 병국의 국민경제 규모가 제일 크다.

다음 그래프는 어떤 나라의 휘발유 소비에 대한 역사적 기록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그래프를 바탕으로 한 가장 타당한 결론은?

① 사람들의 1인당 1일 휘발유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였다.

② 휘발유 소비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은 1960년과 1970년 사이다.

③ 1인당 1일 휘발유 소비량은 최근 50년 동안에 2배 이상 증가하였다.

④ 현재(1992)의 휘발유 소비량은 1970년의 2배 정도이다.

⑤ 사람들은 50여년 전보다 휘발유를 낭비하고 있다.

다음 표는 우리 나라 공업에서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의 추이를 사업체 수와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 중 바른 것은?
사업체수
지역 \ 연도19601970198019861989
전국(개수)22,30424,11430,82350,06365,684
수도권
(%)
서울14.123.724.830.427.7
인천·경기10.79.219.025.931.0
종업원수
지역 \ 연도19601970198019861989
전국(만명)29.086.1201.4273.8309.3
수도권
(%)
서울21.733.922.119.717.0
인천·경기10.712.123.728.631.7

① 서울 지역은 인천·경기 지역보다 더 가속적인 공업 성장 과정을 보여주었다.

② 서울 지역에서는 정부의 공업 분산책으로 종업원 수가 1970년대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③ 수도권에서 서울 지역이 차지하는 공업의 비중은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볼 때, 점차 커지고 있다.

④ 지난 30년 동안 우리 나라 전체 공업에서 사업체 수의 증가율은 종업원 수의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였다.

⑤ 수도권의 공업에서 사업체 수는 종업원 수보다 최근 더 큰 집중 현상을 나타내었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도시 유권자들이 (가)후보를 지지한 경향이 있었던 반면, 농촌의 유권자들은 (나)후보를 지지한 경향이 있었다.”는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자료를 모았다. 이를 바탕으로 물음에 답하라.
유권자거주지지지후보
1도시
2도시
3도시
4도시
5도시
6도시
7도시
8도시
9도시
10도시
11농촌
12농촌
13농촌
14농촌
15농촌
16농촌
17농촌
18농촌
19농촌
20농촌
위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의 처리와 해석 방법으로 적절한 것을 다음 <보기>에서 고르면?
보기
ㄱ. 농촌과 도시 거주자의 각 후보 지지 비율을 계산해 본다.
ㄴ. 농촌과 도시 거주자의 각 후보 지지 평균을 계산해 본다.
ㄷ. 농촌과 도시 거주자의 각 후보 지지 중앙값을 계산해 본다.
ㄹ. 후보 지지에 대한 거주지별 차이가 유의한 차이인지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다.
ㅁ. 후보 지지에 대한 거주지별 차이가 유의한 차이인지 생각할 필요는 없다.

① ㄱ, ㄹ

② ㄱ, ㅁ

③ ㄴ, ㅁ

④ ㄷ, ㄹ

⑤ ㄷ, ㅁ

다음은 어느 지역의 인구 피라미드이다. 두 시기간에 인구의 사회적 증감이 없었다고 가정할 때, 올바른 설명 내용은?

① 인구는 감소 국면에 접어 들었다.

② 청장년층의 인구는 크게 감소되었다.

③ 평균 수명은 남녀 모두 연장되었다.

④ 노년층에서는 남자의 수가 더욱 크게 증가되었다.

⑤ 유년층에서는 여자의 수가 더욱 크게 증가되었다.

<보기>는 가게에 들어가 계란을 훔친 사람에 대한 변호사의 변론 요지이다. 이 변론을 칸트의 ‘인간에게는 동물적 충동이나 욕망을 억누르고 도덕적 법칙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자율적 의지가 있다.’는 주장에 의거하여 해석하고 있는 것은?
보기
변호사 : “피고는 생활 보호 대상자로서 정부의 보조금으로 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당장 먹을 것도 없는데 어린 아이들이 배고프다고 조르는 것을 보고 순간적으로 계란을 훔쳤던 것입니다.”

① 변호사는 피고의 어려운 사정을 잘 알고 있다.

② 변호사는 국가 보조금이 적다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③ 변호사의 의도는 가난에 대한 동정심을 유발하려는데 있다.

④ 변호사의 변론은 인간의 도덕적 법칙에 의존하고 있다.

⑤ 변호사는 인간의 자율적 의지의 중요성을 소홀히 하고 있다.

<지도>는 19세기 말 서구 열강이 아프리카를 분할한 모습이다. <지도>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 두 개를 고른다면?

① 영국은 종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② 프랑스는 횡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③ 독일은 3B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④ 포르투갈과 에스파냐가 반목하고 있다.

⑤ 영국과 프랑스가 벨기에를 협공하고 있다.

<보기>는 당나라 때의 일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문화의 특성을 고른다면?
보기
○ 당나라 사람들은 서역의 풍습을 즐겨했다.
○ 당나라 장안에는 많은 외국인이 살았다.
○ 당나라 때는 외국인의 왕래로 세계관이 바뀌었다.

① 문화는 개방적이어야 발달한다.

② 문화는 교류를 통하여 변화된다.

③ 문화에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있다.

④ 지도자가 문화를 창조한다.

⑤ 창조보다는 모방이 문화의 속성이다.

조선 성종때(15세기말) 경기도 광주에 사는 농민 (갑)은 2등전 2결과, 5등전 3결을 농사 짓고 있었다. 어느 해 연분등제에서 중중년(中中年)으로 평가를 받았을 때, <표>를 참고하여 그가 부담할 전세액을 계산한다면?
<표1> 각 등급의 1결당 면적
전분면적(평방적)
1등전227,529
2등전268,324
3등전324,900
4등전413,449
5등전570,025
6등전912,025
<표2> 연분 9등의 전세율
연분1결당 전세율
상상년20두
상중년18두
상하년16두
중상년14두
중중년12두
중하년10두
하상년8두
하중년6두
하하년4두

① 2섬

② 4섬

③ 6섬

④ 10섬

⑤ 60섬

양원제 의회 제도를 가진 어떤 나라에서 정치적 성향에 관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 조사를 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가설을 가장 잘못 설명한 것은?
이 나라의 하원은 상원보다 더욱 진보적이다.

① 양 의회를 분석의 단위로 삼고 있다.

② 가치에 관한 진술을 포함하고 있다.

③ 상원과 하원을 비교하고 있다.

④ 연구가 한 나라로 한정되어, 이를 모든 나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⑤ 진보와 보수 사이에 많은 중간 단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시간대별로 어떤 상품의 수요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수요 형태를 예측하여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만들었다. 이 그래프를 보고 추론할 수 있는 것으로 적절한 것을 두 개 고르면?

① 상품의 수요는 순환적으로 변동하고 있다.

② 수요의 변화에 일정한 추세가 있는 것은 아니다.

③ 계절에 따른 수요의 차이는 별로 없다.

④ 수요는 어떤 평균 수준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⑤ 과거의 자료에서 나타나는 불규칙성도 미래의 예측에 투영되어 있다.

‘갑’ 대학교에서는 <그림>과 같은 분석 결과를 근거로, 80학년도부터 미술 대학의 신입생을 데생 실기 하나만으로 선발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런데 이 결정을 전후하여 이 미술 대학 지망생들은 <표>와 같이 입시 준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가상적인 결과가 사실이라고 할 때, 이를 통하여 추정할 수 없는 것은?
<표> 학년도 별 지망생 공부 방식
구분년도78798081
데생만 공부10%5%75%80%
다른 미술 분야도 공부90%95%25%20%

① 입시 과목의 수를 결정할 때에는, 역기능이 나타날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② 대학교의 입시 과목 결정은 입시 지망생의 준비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③ 대학의 의사 결정자는 미술 교육에서 데생 이외의 분야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④ 의사 결정 단계에서 경험적 분석 결과는 중시하였지만, 결과의 파급 효과는 소홀히 하였다.

⑤ 데생 실기 능력 하나만으로도 다른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의사 결정을 하였다.

1992-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5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과학)

시행 : 1992.5.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철수는 금속 A, B, C, D, E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 금속 이온이 포함된 용액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각각 다른 금속 조각을 넣고, 화학변화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용액에 포함된 금속이온 \ 금속조각ABCDE
A 이온·××
B 이온×·×××
C 이온·×
D 이온·×
E 이온×·
○ : 반응이 일어난 경우
× : 반응이 없는 경우
실험 결과로부터 반응성이 큰 금속부터 배열했을 때 옳은 것은?

① A-C-D-E-B

② B-C-A-D-E

③ B-D-A-C-E

④ E-D-A-C-B

⑤ E-C-A-D-B

아래 그림은 위도가 다른 지방에서 서식하는 여우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보기> 중 이와 관련이 적은 현상들로 짝지어진 것은?
북극 여우 (한대)
붉은 여우 (온대)
사막 여우 (난대)
보기
가. 추운 겨울날 창문의 안쪽에 성에가 생긴다.
나. 벙어리 장갑이 보통 장갑보다 더 따뜻하다.
다. 얼음덩어리를 빨리 녹이려면 여러 조각으로 부순다.
라. 알콜을 몸에 바르면 시원하다.
마. 날씨가 추우면 몸이 움추러진다.

① 가, 다

② 가, 라

③ 나, 라

④ 나, 마

⑤ 라, 마

다음 그래프는 환경 요인과 광합성 속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실험 결과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광합성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경우는?
온도(℃)$\text{CO}_2$농도(%)빛의 세기(Lux)
200.052000
300.101500
300.151000
400.15500
400.20100
아래 표는 외부은하까지의 거리와 외부은하의 후퇴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설명 중 아래 표를 바르게 해석한 것은?
은하속력(km/sec)거리(광년)
V1,2008천만
U15,00010억
C21,00014억
B39,00026억
H60,00040억

① 은하 V와 우리 은하 사이의 거리는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다.

② 은하가 멀리 있다고 해서 후퇴속도가 항상 더 빠른 것은 아니다.

③ 은하 C의 자료는 경향에서 벗어나므로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은하까지 거리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⑤ 거리가 30억 광년인 은하 X는 45,000km/sec로 멀어져 갈 것이다.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화성 토양을 넣은 상자에 기체를 채우고 유기양분을 첨가하면서 기체의 성분비가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어떠한 가정을 근거로 한 것인가?

① 생명체는 물질대사를 한다.

② 생명체는 번식을 한다.

③ 생명체는 자극을 받으면 행동한다.

④ 화성의 생명체는 단세포 생물이다.

⑤ 화성의 생명체는 식물일 것이다.

[6~7]
산불을 끄기 위해 헬리콥터가 물통을 나르고 있다. 왼쪽 그림은 어느 순간 물통이 헬리콥터보다 더 앞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아래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헬리콥터의 수평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위 그림에서 나타난 순간은 그래프상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위 그래프에 나타난 헬리콥터의 평균 속도는 얼마 정도인가?

① 약 13m/초

② 약 37m/초

③ 약 130m/초

④ 약 150m/초

⑤ 약 370m/초

다음은 우유와 모유에 대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이에 대한 옳바른 해석을 두 가지 고르면?
성분 \ 종류우유모유
단백질3.3%1.2%
젖당적다많다
무기염류많다적다
전체지방에 대한
불포화지방의 비율
낮다높다

① 우유는 단백질이 많으므로 아기의 항체 형성에 유리하다.

② 모유는 젖당이 많으므로 아기의 활동에너지 보충에 유리하다.

③ 우유는 무기염류가 많으므로 아기의 체온 유지에 유리하다.

④ 모유는 불포화지방의 비율이 높으므로 비만 예방에 유리하다.

⑤ 우유와 모유의 장·단점을 비교하면 두 가지가 비슷하다.

서쪽으로 $4\degree$경사진 지층 바로 위로 강물이 동에서 서로 흐르고 있다. 강물은 폭포를 이루며 커다란 호수로 흘러 들어간다. 폭포의 높이는 호수면으로부터 60m이다. 호수가에서 수집한 증거에 의하면 폭포는 매년 20cm씩 후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호수의 높이와 강물의 흐름이 일정하고 지각변동도 없었다면 이 지층은 적어도 얼마 전에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가? ($\sin4\degree = 약0.07$, $\cos4\degree = 약1$, $\tan4\degree = 약0.07$)

① 3,750년 전

② 4,280년 전

③ 4,960년 전

④ 5,540년 전

⑤ 12,470년 전

[10~11]
아래 그림은 A지역의 기온변화선, 건조단열선, 습윤단열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 공기가 상승하기 시작할 것으로 생각되는 고도는?

① 0km

② 0.7km

③ 1.2km

④ 2km

⑤ 4km

A지역에서 공기의 상승이 계속하여 일어난다고 가정할 때 예상되는 구름은?
[12~13]
철수는 공기 중에 들어있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① 한쪽 실린더에는 공기가 전혀 들어있지 않으나 다른 쪽 실린더에는 100$\text{cm}^{3}$의 공기가 들어있다.
② 가는 석영 유리관에 들어있는 구리선을 센 불꽃으로 가열한다. 이 때 양쪽의 피스톤을 움직여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③ 구리선이 검게 변하고, 실린더 안의 공기 부피에 더 이상 변화가 없으면 가열을 멈추고, 실온까지 실험 장치를 식힌다. 이 때, 실린더 안에 든 공기의 부피를 잰다.
이 실험 과정으로 보아 철수의 가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구리는 산소와 잘 반응한다.

② 실린더와 피스톤은 잘 밀착되어 있다.

③ 공기 중의 산소만이 구리와 결합한다.

④ 불꽃은 구리와 산소가 반응을 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세다.

⑤ 유리관 속의 구리는 실린더 안의 산소가 모두 반응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반응이 끝난 후, 공기의 부피를 재기 전에 실험 장치를 실온까지 식히는 주된 이유는?

① 석영 유리관이 가열되어 있어 위험하므로

② 석영 유리관이 팽창되어 있으므로

③ 실린더가 팽창되어 있으므로

④ 실린더 안의 공기가 팽창되어 있으므로

⑤ 실린더 안의 공기 질량이 감소되어 있으므로

다음은 어떤 실험의 일부 과정을 간략히 적은 것이다. 이 실험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전기 회로의 회로도로 알맞은 것은?
① 10Ω의 니크롬선을 스티로폼 컵 속에 넣고 온도계를 꽂은 후 전기회로를 꾸민다.
② 스티로폼 컵에 물 100mL를 넣고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③ 니크롬선에 10V의 일정한 전압을 걸고, 5분 동안 매분마다 온도계의 눈금을 읽고, 니크롬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도 측정한다.
다음 그래프는 여러 가지 동물이 내쉬는 숨 속의 $\text{CO}_2$농도가 온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래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을 두 가지 고르면?

① 온도가 높을수록 대사율이 낮다.

② 진화단계가 낮을수록 대사율이 높다.

③ 항온동물은 변온동물보다 대사율이 높다.

④ 같은 항온동물(혹은 변온동물)일 경우 몸집이 작을수록 대사율이 높다.

⑤ 초식동물은 육식동물보다 대사율이 낮다.

[16~17]
일정량의 석회암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text{CO}_2$ 발생 장치를 꾸민 후 5차례에 걸쳐 다음과 같이 $\text{CO}_2$ 발생실험을 하였다.
실험12345
염산의 부피($\text{cm}^3$)6030301560
물의 부피($\text{cm}^3$)6030301560
용액의 온도(℃)4040204040
석회암(조각 혹은 가루)조각조각조각조각가루
아래 그래프는 각 실험에서 발생한 $\text{CO}_2$의 양을 반응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위 실험 설계로 보아, $\text{CO}_2$의 발생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 변인을 보기 중에서 모두 골라 놓은 것은?
보기
가. 염산의 양
나. 염산의 농도
다. 용액의 온도
라. 반응 물질의 접촉 면적

① 가, 라

② 다, 라

③ 가, 다, 라

④ 나, 다, 라

⑤ 가, 나, 다, 라

이 실험 결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온도가 높으면 반응 속도는 빨라지고, 발생한 $\text{CO}_2$의 총량도 많다.

② 석회암의 양이 많을수록 발생한 $\text{CO}_2$의 총량도 많다.

③ 석회암을 가루보다는 조각으로 넣었을 때 $\text{CO}_2$의 발생량이 적다.

④ 염산의 농도가 묽으면 반응 속도는 느려지고, $\text{CO}_2$의 발생량도 적다.

⑤ 반응한 염산의 양이 같으면, 발생한 $\text{CO}_2$의 총량도 같다.

[18~19]
연직상방으로 쏘아올린 총알의 위치($S$)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S = v_0 t - \frac{1}{2} g t^2$$
이 총알의 가속도를 나타낸 그래프는?
이 총알이 지면에 다시 떨어질 때까지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20~21]
아래 자료는 0.3g의 탄산마그네슘을 충분한 양의 묽은 질산과 반응시킬 때 발생하는 기체의 양을 반응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이다.
반응 시간(분)02468101214
기체의 양($\text{cm}^3$)036606883858686
위 자료에서 기체의 양이 잘못 측정된 시간은?

① 2분

② 4분

③ 6분

④ 8분

⑤ 10분

0.5몰(mol)의 탄산마그네슘을 충분한 양의 묽은 질산과 반응시키는 경우, 발생할 기체의 양을 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구하였을 때 맞는 것은? (단, Mg, C, O의 원자량은 각각 24, 12, 16이다.)

① 6L

② 9L

③ 12L

④ 18L

⑤ 24L

어느 과학자가 이자액의 분비에 관한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들어가면 이자액이 분비된다.
○ 십이지장과 이자에 분포된 신경을 잘라도 이자액이 분비된다.
○ 십이지장에서 흘러 나가는 혈관을 막으면 이자액의 분비가 크게 줄어든다.
○ 이자로 흘러 들어가는 혈관을 막으면 이자액의 분비가 크게 줄어든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타당한 결론은?

① 이자액은 십이지장과 이자의 신경작용에 의해 분비된다.

② 혈액에서 영양분이 이자에 공급되면 이자액이 분비된다.

③ 신경을 자를 때 나오는 어떤 물질이 혈관을 통해 이자로 운반되어 이자액을 분비시킨다.

④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이 혈관을 통해 이자로 운반되어 이자액을 분비시킨다.

⑤ 이자액의 분비는 십이지장 속의 상태와 관련이 없다.

[23~24]
아래 그래프는 시계의 정확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하였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위 그래프와 관련된 설명 중 바른 것은?

① 최초의 괘종시계는 16세기에 제작되었다.

② 조선시대의 ‘자격루’는 C-H시기에 해당한다.

③ G시계는 F시계보다 2배 정확하다.

④ 과거 300년동안 시계의 정확도는 일정한 비율로 개선되어 있다.

⑤ 세슘원자 시계의 오차는 최초 괘종시계의 오차의 $\dfrac{1}{10^6}$이하이다.

“D”에서는 온도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괘종시계를 개발함으로써 정확도가 상당히 향상되었다. 이것은 온도가 다음의 어느 것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가?

① 공기저항

② 시계추의 길이

③ 시계추의 질량

④ 시계바늘의 길이

⑤ 습도

[25~26]
글로머 챌린저호는 동태평양양해령을 가로질러 항해하면서 심해저 시추를 실시하였다. 아래 그림에는 시추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표에는 시추위치에 따른 퇴적물의 두께 및 퇴적물 중 가장 아래 층의 나이에 대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시추번호해령으로부터
거리(km)
퇴적물의
두께(m)
퇴적물 중
최하층의 나이
(백만년)
773,35948136
792,08641421.5
811,28040914.5
825492149.5
동태평양
해령
000
8379724110.5
842,0002548.5
과학자가 태평양에서 수집할 수 있는 자료의 종류는 매우 많다. 그러나 그는 시추위치를 위와 같이 선정하고 퇴적물의 두께와 최하층의 나이에 대한 자료만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결정을 내린 과학자가 생각하였던 가설로?

① 동태평양해령에는 강한 저층류가 흘러서 침식 작용이 활발할 것이다.

② 깊은 바다에서 퇴적물은 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을 것이다.

③ 깊은 바다에서 퇴적물은 지질 시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④ 해저는 동태평양해령에서 양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⑤ 동태평양해령을 직각 방향으로 자르는 많은 변환 단층이 있을 것이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할 때, 동태평양해령에서 서쪽으로 5,000km 떨어진 A지점에서 시추를 하였을 때 예상되는 퇴적물의 두께와 최하층의 나이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보기
퇴적물의 두께는
 (ㄱ) 400m 이하
 (ㄴ) 408~480m
 (ㄷ) 480m 이상
최하층의 나이는
 (ㄹ) 1,400만년 이하
 (ㅁ) 1,400만~3,700만년
 (ㅂ) 3,700만년 이상

① ㄱ, ㄹ

② ㄴ, ㅁ

③ ㄷ, ㅂ

④ ㄱ, ㅂ

⑤ ㄷ, ㄹ

다음은 온실 효과와 관련된 기체에 대한 자료이다.
<그래프> 연도에 따른 기체 농도의 변화
<표> 여러 가지 기체의 온실 효과에 대한 영향
1ppm 농도에서 온실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산화탄소1
메탄21
프레온(CFC)6000
일산화이질소290
위의 그래프와 표를 종합하여 1850년에 온실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 기체를 순서대로 배열하면?

①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이질소

②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 메탄

③ 메탄, 이산화탄소, 프레온

④ 메탄, 이산화탄소, 일산화이질소

⑤ 프레온, 일산화이질소, 메탄

아래 그림은 혜성이 지나간 경로와 지구 공전궤도를 보여준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는 대개 부스러기가 많이 남아 있다. 이 혜성에 의하여 유성이 특히 많이 떨어지는 경우는 일 년 동안 최대 몇 회나 일어날까? (단, 혜성이 A에서 B까지 진행하는데 약 2개월 걸린다.)

① 0회

② 1회

③ 2회

④ 3회

⑤ 4회 이상

[29~30]
빛의 세기가 광합성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전구와 물풀과의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그때마다 물풀에서 나오는 기체를 모으고 부피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정을 한 것이 아닌 것은?

① 물 속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점점 줄어든다.

② 전구와 물풀과의 거리는 빛의 세기와 관계가 있다.

③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는 광합성 속도에 비례한다.

④ 물 속에는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이 모두 있다.

⑤ 발생하는 기체는 물에 잘 녹지 않는다.

물풀을 넣은 수조와 전구 사이에 얇고 길쭉한 어항을 놓은 이유는?

① 일정한 파장의 빛만 통과시키기 위해서

② 빛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

③ 전구에서 나오는 열을 흡수하게 하기 위해서

④ 전구 폭발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⑤ 빛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어떤 스키 선수가 높이 125m인 점프대를 미끄러져 내려오고 있다. 아래의 표는 이 때의 운동 상태를 나타낸다. (단, 공기 저항과 마찰은 무시한다. $\text{g} =\text{10m/sec}^{2}$)
시간 (초)높이 (m)운동에너지 (J)
0125.
1120.
2.(  )
380.
445.
501.25 × 105
위의 표로부터 ( ) 속에 들어갈 운동 에너지를 구하면?

① $2.0 \times 10^4$(J)

② $2.5 \times 10^4$(J)

③ $8.0 \times 10^4$(J)

④ $1.00 \times 10^5$(J)

⑤ $1.05 \times 10^5$(J)

그림과 같은 해안 지방에서 아래와 같은 사실이 관찰되었다. 이 지역은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다.
관찰된 사실
○ 여름에는 주로 북풍이 분다.
○ 여름에는 겨울보다 해수의 수온이 더 낮다.
○ 여름에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바다의 하층에 있는 차가운 물에 영양염류가 풍부하다는 것을 알게 된 철수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가장 타당한 것은?

① 북풍이 불면 해수는 육지에서 먼 쪽으로 이동하고 용승류가 생긴다.

② 북풍의 풍속과 온도가 해수의 온도에 영향을 준다.

③ 여름에는 북풍이 불어서 한류가 흘러 내려온다.

④ 북풍이 불면 해수는 남으로 이동하고 용승류가 생긴다.

⑤ 여름에는 한류와 난류가 만나서 고기떼가 모여든다.

아래 그림은 몇 가지 원자들의 원자 번호에 따른 이온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음이온과 이온 결합을 잘 이룰 수 있는 원자끼리 모아 놓은 것은?

① A, C

② B, G

③ C, F

④ D, H

⑤ E, F

1992-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5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ㆍ탐구영역(수학)

시행 : 1992.5.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큰 수는?

① $\dfrac{1}{\sqrt{3}-\sqrt{2}}$

② $\sqrt{\pi}$

③ $\dfrac{1}{5}\log_{2}32$

④ 한 변이 $2$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⑤ $x^{2}-x+2$의 최솟값 (단, $x$는 실수)

$\sqrt{-x^{2}(x^{2}-1)^{2}}$이 실수가 되는 서로 다른 실수 $x$의 개수는?

① $0$

② $2$

③ $3$

④ $4$

⑤ 무수히 많다.

대관령 정상에서 동해 바다를 바라보았을 때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단, 지구는 반지름이 6400km인 구이고, 대관령 정상은 해발 800m로 한다.)

① 약 $10$km

② 약 $50$km

③ 약 $100$km

④ 약 $150$km

⑤ 약 $200$km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은 함수 $y=f(x)$를 나타내는 식은?

① $|x-1|-|y|=1$

② $|x+1|-y=1$

③ $|x-1|+|y|=1$

④ $|x+1|+y=1$

⑤ $|x+1|+|y|=1$

한 쪽 면에는 숫자, 다른 쪽 면에는 영어문자가 쓰여있는 카드가 있다. ‘카드의 한 쪽 면에 홀수가 쓰여 있으면 다른 쪽 면에는 자음이 쓰여 있다.’고 한다. 한 면에 ②, ⑦, ⓚ, ⓤ가 각각 쓰여 있는 카드를 차례로 보여줄 때, 위의 규칙에 맞는 카드인지 알기 위해 다른 쪽 면에 무엇이 쓰여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 카드는 어느 것인가?

① ⑦, ⓤ

② ⑦, ⓚ

③ ②, ⓤ

④ ②, ⓚ

⑤ ②, ⑦, ⓚ, ⓤ

$A=\begin{pmatrix}1&-1\\0&2\end{pmatrix}$, $B=\begin{pmatrix}a&1\\1&b\end{pmatrix}$이고 $B^{-1}AB=\begin{pmatrix}2&0\\0&1\end{pmatrix}$일 때, $a+b$의 값은? (단, $B^{-1}$는 $B$의 역행렬)

① $3$

② $2$

③ $1$

④ $0$

⑤ $-1$

넓이가 $S$인 평행사변형이 있다. 서로 다른 세 변 위에 꼭지점을 둔 임의의 삼각형의 넓이를 $T$라 하면 $\dfrac{T}{S}<\fbox{\phantom{M}}$이다. $\fbox{\phantom{M}}$ 안에 알맞은 최소의 수는?

① $\dfrac{8}{20}$

② $\dfrac{9}{20}$

③ $\dfrac{10}{20}$

④ $\dfrac{11}{20}$

⑤ $\dfrac{12}{2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서로 평행이고 거리가 $1$인 두 직선 위에 간격이 $1$이 되게 점들이 놓여 있다. 주어진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위에 주어진 점이 $n$개 놓여 있을 때 그 다각형의 넓이를 $S_{n}$이라고 하자. 다음 중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n$은 $3$ 이상인 자연수이다.)

① $S_{n+1}=S_{n}-\dfrac{3}{2}$

② $S_{n+1}=S_{n}+1$

③ $S_{n+1}=S_{n}-\dfrac{1}{2}$

④ $S_{n+1}=S_{n}+\dfrac{1}{2}$

⑤ $S_{n+1}=S_{n}+\dfrac{3}{2}$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n$각형에 외접하는 원과 내접하는 원 사이의 넓이는? (단, $n$은 $3$ 이상인 자연수이다.)

① $\dfrac{\pi}{n+1}$

② $\dfrac{\pi}{n}$

③ $\dfrac{\pi}{5}$

④ $\dfrac{\pi}{4}$

⑤ $\dfrac{\pi}{3}$

다음은 $\sqrt{2}$가 무리수임을 증명한 것이다.
증명
$\sqrt{2}$가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fbox{(가)}$인 자연수 $m$, $n$에 대하여 $\sqrt{2}= \dfrac{n}{m}$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2=\dfrac{n^{2}}{m^{2}}$이므로 $n^{2}=2m^{2}$이다.
따라서 $\fbox{(나)}$은 2의 배수이다.
$\fbox{(나)}=2k$라 놓으면 $n^{2}=2m^{2}$에서 $\fbox{(다)}^{2} =2k^{2}$이 된다.
따라서 $\fbox{(다)}$도 2의 배수이다.
이는 $m$, $n$이 $\fbox{(가)}$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그러므로 $\sqrt{2}$는 유리수가 될 수 없고, 무리수이다.
위의 증명과정에서 $\fbox{(가)}$, $\fbox{(나)}$, $\fbox{(다)}$에 알맞은 것을 순서대로 적으면?

① 홀수, $m$, $n$

② 서로소, $m$, $n$

③ $m\ne n$, $m$, $n$

④ 홀수, $n$, $m$

⑤ 서로소, $n$, $m$

$1$과 $-1$ 중의 한 수를 임의로 택하는 과정을 $27$번 반복하여 얻어진 수들을 모두 더했을 때 그 결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아래에서 $k$는 정수이다.)

① $2k$꼴 이어야 한다.

② $2k+1$꼴 이어야 한다.

③ $3k$꼴 이어야 한다.

④ $3k\pm 1$꼴 이어야 한다.

⑤ $-27$부터 $27$까지의 어떤 정수라도 얻을 수 있다.

$f(x)$는 $x$에 관한 $3$차 다항식이고, $f(x)+1$은 $x^{2}-3x+2$로 나누어 떨어지고, $f(x)-1$은 $x^{2}+3x+2$로 나누어 떨어진다. $f(x)=0$의 세 근을 모두 더하면?

① $0$

② $1$

③ $-1$

④ $4$

⑤ $-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다리꼴 영역 안에 넣을 수 있는 직사각형의 최대 넓이는?

① $300$

② $310$

③ $320$

④ $330$

⑤ $340$

각 자연수 $n$에 대하여 $x$에 관한 이차방정식 $x^{2}+2nx+1=0$의 두 근을 $\alpha_{n}$, $\beta_{n}$이라 놓을 때, $\displaystyle\sum_{n=1}^{5}\left({\alpha_{n}}^{2}+{\beta_{n}}^{2}\right)$의 값은?

① $170$

② $180$

③ $190$

④ $200$

⑤ $210$

단위원에 외접하는 사다리꼴에서 평행인 두 변의 길이를 $x$, $y$라 할 때, 다음 [보기]에 있는 명제들 중 참인 것을 모두 고르면?
보기
가. $x+y\ge 4$이다.
나. $x+y= 4$이면 사다리꼴은 정사각형이다.
다. $xy\ge 4$이다.
라. $xy=4$이면 사다리꼴은 정사각형이다.

① 가, 나

② 다, 라

③ 가, 다

④ 가, 나, 다

⑤ 가, 나, 다, 라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 $ABC$ 모양의 종이가 있다. 이때 각 변의 중점을 이어서 만든 정삼각형 $A_{1}B_{1}C_{1}$ 모양을 오려내고, 또 다시 나머지 세 개의 정삼각형 모양의 종이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한가운데 정삼각형 모양을 오려낸다. 이와 같은 방법을 처음부터 $10$회 반복 시행한 후 남아 있는 종이의 넓이는?

① $\sqrt{3}$

② $\sqrt{3}\left(\dfrac{1}{4}\right)^{10}$

③ $\sqrt{3}\left(\dfrac{2}{3}\right)^{10}$

④ $\sqrt{3}\left(\dfrac{3}{4}\right)^{10}$

⑤ $\sqrt{3}\left(\dfrac{4}{5}\right)^{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A, B 두 지점을 왕복 운항하는 비행기가 있다. 일정한 속력의 북서풍이 불고 있을 때, 비행기가 A를 출발하여 B를 거쳐서 다시 A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때 이 비행기의 실제 운항 평균속력을 구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자료를 모두 고르면? (단, 공기 저항은 무시하기로 한다.)
가. A, B 사이의 거리
나. 비행기 자체의 속력
다. 바람의 속력

① 가, 나

② 나, 다

③ 가, 다

④ 가, 나, 다

⑤ 나

그림과 같이 포물선 모양인 강이 포물선의 초점 위치에 있는 마을 P와 또 다른 마을 Q를 돌아 흐르고 있다. 강변의 한 곳에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려 하는데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두 마을까지의 직선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하려면 A, B, C, D, E 중 어느 곳이 좋을까?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1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월 불입금 10만원, 월 이율 1%, 매달 복리로 계산하는 적금에 가입하려고 한다. 최소한 몇 번의 불입금을 내야 만기일에 원리합계가 1000만원 이상이 되는가? (단, 적금의 만기일은 마지막 불입금을 낸 때로부터 한 달 후이다.)
상용로그표
$0$$1$$2$
$1.0$$.0000$$.0043$$.0086$
$1.1$$.0414$$.0453$$.0492$
$1.2$$.0792$$.0828$$.0864$
$1.3$$.1139$$.1173$$.1206$
$1.4$$.1461$$.1492$$.1523$
$1.5$$.1761$$.1790$$.1818$
$1.6$$.2041$$.2068$$.2095$
$1.7$$.2304$$.2330$$.2355$
$1.8$$.2553$$.2577$$.2601$
$1.9$$.2788$$.2810$$.2833$
$2.0$$.3010$$.3022$$.3054$
$2.1$$.3222$$.3243$$.3263$
$2.2$$.3424$$.3444$$.3464$
$2.3$$.3617$$.3636$$.3655$
$2.4$$.3802$$.3820$$.3838$
$2.5$$.3979$$.3997$$.4014$

① $70$

② $80$

③ $87$

④ $93$

⑤ $100$

아래 그림과 같이 $A$지점에서 $P$지점까지의 직선거리를 구하려 한다. $P$지점에 높이 $210$m인 철탑 $PQ$가 있고 $\overline{AB}=2$km, $\angle ABP=45\degree$, $\angle QBP=4\degree$이다. 이때, $A$지점에서 $P$지점까지의 거리는 약 몇 km인가? (단, $\sin 4\degree=0.070$, $\cos 4\degree=0.998$, $\tan 4\degree=0.070$이다.)

① $1.8$

② $2.1$

③ $2.4$

④ $2.7$

⑤ $3.0$

다음에 예시된 [예시-1]~[예시-10]문항들은 '9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범위에 맞추어 출제한 문항들입니다.
'94학년도 대학입시에 대비하여 참고 자료로 제시한 것이므로 풀지 않아도 됩니다.
[예시-1]
정적분 $\displaystyle\int_{0}^{1}(x^{2}+1)^{2}dx$의 값은?

① $\dfrac{27}{15}$

② $\dfrac{28}{15}$

③ $\dfrac{29}{15}$

④ $\dfrac{30}{15}$

⑤ $\dfrac{31}{15}$

[예시-2]
극한 $\displaystyle\lim_{h\to0}\dfrac{1}{h}\displaystyle\int_{1}^{1+h}(t^{3}+t^{2}+t+1)dt$의 값은?

① $0$

② $2$

③ $4$

④ $6$

⑤ 무한대로 발산한다.

[예시-3]
곡선 $y=x^{4}-2x^{3}+x^{2}$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① $\dfrac{1}{15}$

② $\dfrac{1}{20}$

③ $\dfrac{1}{25}$

④ $\dfrac{1}{30}$

⑤ $\dfrac{1}{35}$

[예시-4]
오른쪽 표는 어느 학교 학생 전체의 학생별 학기말 평균성적을 1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각 점수대별 학생수를 조사하여 정리한 도수분포표이다. 이 학교 학생 한 사람의 학기말 평균 성적을 확률변수 $X$라 할 때, $X$의 확률밀도함수의 그래프로 적당한 것은?
계급도수
$0^{이상}\sim 0.1^{미만}$$126$명
$0.1^{이상}\sim 0.2^{미만}$$94$명
$0.2^{이상}\sim 0.3^{미만}$$78$명
$0.3^{이상}\sim 0.4^{미만}$$72$명
$0.4^{이상}\sim 0.5^{미만}$$79$명
$0.5^{이상}\sim 0.6^{미만}$$91$명
$0.6^{이상}\sim 0.7^{미만}$$134$명
$0.7^{이상}\sim 0.8^{미만}$$145$명
$0.8^{이상}\sim 0.9^{미만}$$167$명
$0.9^{이상}\sim 1.0^{미만}$$234$명
합계$1220$명
[예시-5]
세 사람이 차례대로 주사위를 던져 $6$의 눈이 먼저 나오면 이기는 놀이가 있다. 이런 놀이에서 제일 처음 던지는 사람이 이길 확률은? (단, 주사위를 던졌을 때 각 눈이 나올 확률은 동일하다고 본다.)

① $\dfrac{34}{91}$

② $\dfrac{35}{91}$

③ $\dfrac{36}{91}$

④ $\dfrac{37}{91}$

⑤ $\dfrac{38}{91}$

[예시-6]
평균이 $\mu$이고 표준편차가 $5$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모집단에서 얻은 크기 $100$인 임의 표본의 평균이 $68.2$이다. 공식 $\overline{x}\pm 1.96\dfrac{\sigma}{\sqrt{n}}$로 부터, 이 모집단의 평균 $\mu$에 관한 $95$% 신뢰구간은 $(67.22,69.18)$임을 알 수 있다. 우리 동네에 새로 이사온 집에 두 명의 아이가 있는데 하나는 남자아이라고 한다. 다른 아이가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보기1] 중에서 택하고 그 택한 답의 신뢰도를 [보기2] 중에서 택하되, 앞의 신뢰구간 및 신뢰도와 논리적 일관성이 가장 높은 것들을 택하면? (단, 남녀의 출생확률은 항상 $\dfrac{1}{2}$로 본다.)
보기1
가. 남자 아이일 것이다.
나. 여자 아이일 것이다.
보기2
ㄱ. $25$%
ㄴ. $33.3$%
ㄷ. $50$%
ㄹ. $66.7$%
ㅁ. $75$%

① 가, ㄱ

② 가, ㄷ

③ 나, ㄴ

④ 나, ㄹ

⑤ 나, ㅁ

[예시-7]
방정식 $x+y+z=7$을 만족하는 음이 아닌 세 정수 $x$, $y$, $z$를 순서대로 나열한 세 수의 순서쌍 $(x,y,z)$의 개수는?

① $34$

② $35$

③ $36$

④ $37$

⑤ $38$

[예시-8]
수증기가 응결하여 빗방울이 형성될 때, 시간에 대한 빗방울 부피의 순간변화율은 겉넓이에 비례한다고 한다. 빗방울을 완전한 구라고 생각할 때, 시간에 대한 겉넓이의 순간변화율은?

① 반지름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② 반지름 길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③ 반지름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④ 반지름 길이에 비례한다.

⑤ 반지름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예시-9]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y=f^{\prime}(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주어져 있다. 다음 중 $y=f(x)$의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예시-10]
아래 그림과 같이 수평으로 놓인 반구 모양의 용기에 기름이 가득 들어있다. 어느 날 기름이 새고 있는 것이 발견되어 확인해 보니 그림과 같이 A 위치에 작은 구멍이 하나 있었다. 기름은 적어도 전체의 몇 분의 몇이 남아 있겠는가? (단, 구멍의 크기는 무시하기로 한다.)

① $\dfrac{11}{16}$

② $\dfrac{13}{16}$

③ $\dfrac{12}{17}$

④ $\dfrac{13}{18}$

⑤ $\dfrac{11}{18}$

1992-05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의 문제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992년 5월 27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언어영역(국어)

시행 : 1992.5.27(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교육과정평가원

사진, 그림, 듣기파일 등은 빠져 있으며,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1번부터 6번까지는 듣고 푸는 문제입니다. 방송을 잘 들으면서 문제지를 동시에 보아 가며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듣는 내용은 한 번만 들려드립니다.
이제 여러분은 ‘교실의 환경 미화’에 대한 한 학생의 의견을 듣게 됩니다. 잘 듣고, 환경 미화에 대한 이 학생의 관점과 태도를 비판하는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물음> 환경 미화에 대한 이 학생의 관점과 태도를 비판하는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다음 어느 것입니까?

① 마이동풍(馬耳東風)

② 동문서답(東問西答)

③ 중구난방(衆口難防)

④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넌다

⑤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이번에는 뉴스 해설을 들려 드립니다. 이 뉴스 해설자의 논리 전개에 나타난 오류를 지적한 반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을 고르십시오.
<물음> 이 뉴스 해설자의 논리 전개에 나타난 오류를 지적한 반응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호들갑도! 그게 뭐 큰 돈이라고 저렇게 야단이지?

② 당연하지 뭐! 견물생심이란 말도 모르는 모양이지?

③ 지나치군! 단 한 사람이 그런 걸 가지고 싸잡아 말하는군.

④ 상관 없어! 누가 어쨌건 나만 정직하면 되는 거 아냐?

⑤ 웃기고 있네! 얘들은 돈이 뭔지도 모르니까 그런 거지.

다음은 학급 회의에서 오고간 두 사람의 발언을 듣게 됩니다. 이 두 사람의 발언을 들은 다음, 회의 진행이 잘 되도록 충고하는 내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을 고르십시오.
<물음> 이 회의에 대하여 충고하는 내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입니까?

① 감정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바른 결정에 이르는 데 방해가 되니 삼가야 한다.

② 발언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견해를 말하는 것은 회의 진행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삼가야 한다.

③ 회의 진행자는 자기의 의견 제시를 삼가고 참석자의 의견 발표를 도와야 한다.

④ 말하는 사람의 어떤 부분을 약점으로 삼아서 공격하는 것은 옳지 않으니 금해야 한다.

⑤ 발언자가 자기 의견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으니 조심해야 한다.

다음에는 ‘우정이란 어떤 것인가?’ 하는 데 대해, 생각이 다른 두 친구의 대화를 듣게 됩니다. 잘 듣고, 맨 나중에 말한 사람이 계속해서 말할 내용을 보기와 같이 정리할 때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당한 것을 고르십시오.
보기
진정한 친구라는 거는 말야         
<물음> 맨 나중에 말한 사람이 계속해서 말할 내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어느 것입니까?

① 가까울수록 예의를 지켜야 한다.

② 양쪽 다 친구일 때 중립을 지켜야 한다.

③ 가까우면 됐지, 응원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④ 편만 들기보다 바른 일을 하도록 도와야 한다.

⑤ 고통을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청소년 문화와 관련된 세 사람의 대화입니다. 잘 들은 다음, 세 사람이 다 같이 인정하고 있는 사실을 찾으시오.
<물음> 이 대화에서 세 사람이 다 같이 인정하고 있는 사실은 어느 것입니까?

① 청소년들에게 적절한 문화 공간이 없다.

② 청소년들의 행동에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③ 청소년들이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없다.

④ 청소년들이 천박한 외래 상업 문화에 물들어 있다.

⑤ 청소년들이 자극적이고 충동적인 것에 휩쓸리고 있다.

다음은 만해 한용운에 관한 강연 내용입니다. 잘 들은 다음, 이 강연이 만해 한용운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지, 가장 적당한 것을 고르십시오.
<물음> 이 강연이 강조하고 있는 바는 만해 한용운의 어떤 측면입니까?

① 시인

② 사상가

③ 종교인

④ 독립운동가

⑤ 생활인

이제 듣기 문제는 다 끝났습니다. 7번 문제부터는 읽고 답하는 문제입니다.
불필요한 의미 중복이 없이 제대로 된 문장은?

① 순간 그의 머리 속에는 뇌리 속을 스치는 기억 하나가 있었다.

② 도저히 수용하지 못해 용납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히 많습니다.

③ 제가 산첩첩 물겹겹한 이 산골까지 와서 살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④ 미리 자료를 예비한 분은 별도의 자료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⑤ 돌이켜 회고해 보건대 형극의 가시밭 길을 우리는 걸어 왔습니다.

문장 내 각 요소의 연결이 바르고 의미의 전달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① 행복은 얼마나 어려운가. 많은 사람들은 포기하고 말지만 그래도 다수는 얻기도 한다.

② 그러나 다행한 것은, 그의 불타는 창작 의욕이 그를 죽음에서 구해 내었으며 인류를 위해 훌륭한 예술을 창작할 것을 결심했던 것이다.

③ 베토벤의 위대함은, 그가 끊임없이 다가오는 운명적 고난에 굴복하지 않고 마침내 그것을 극복했다는 데 있다.

④ 아버님과 어머님은, 살아 계셨을 때처럼 시골집 문 밖에 나와 동구를 바라보시며 지금도 나를 기다리고 계실 것 같은 생각이 든다.

⑤ 재일 동포들은, 일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모든 의무를 다하고 있으면서도 차별과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다음 <보기>의 활동들을 두 가지 기준을 세워 교차 분류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치 못한 분류틀은?
보기
등산, 바둑, 토론, 테니스, 축구, 독서, 음악 감상, 조경
승부가 있음승부가 없음
정적
동적
정신적 활동신체적 활동
직업화 가능
직업화 불가능
경비가 필요함경비가 불필요함
실내 활동
실외 활동
혼자 할 수 있음혼자 할 수 없음
시설 필요
시설 불필요
장시간 소요단시간 소요
생산적
소비적
다음 주장을 독자에게 설득시키기 위한 논거로 적합치 못한 것은?
주장 : 사고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작문 공부를 해야 한다.

① 사고력은 언어를 처리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② 작문이란 머리 속에 있는 어떤 의미를 문자 언어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③ 의미를 문자 언어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바로 사고의 과정이다.

④ 분량이 많은 글을 쓰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판단이 빠르다.

⑤ 작문 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사고력 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글을 쓰기 위해서는 소재에 대한 다각적인 안목과 사고가 필요하다. ‘꽃’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보기>와 같이 구상하고, 그에 따라 소재의 여러 측면을 생각하여 정리하였다. ( ㉠ )과 ( ㉡ )에 가장 적합한 것은?
보기
[구상]
• 삶 속에서 인간이 꽃을 대하는 행태를 살펴 본다.
[소재의 여러 측면]
• 꽃
 가꾸는 꽃
 바라보는 꽃
 꺾는 꽃
 파는 꽃
 ( ㉠ )
 ( ㉡ )

① ㉠ : 지는 꽃 / ㉡ : 피는 꽃

② ㉠ : 웃는 꽃 / ㉡ : 시드는 꽃

③ ㉠ : 바치는 꽃 / ㉡ : 그리는 꽃

④ ㉠ : 훔친 꽃 / ㉡ : 놀란 꽃

⑤ ㉠ : 만든 꽃 / ㉡ : 숨은 꽃

다음 일화를 글의 서두에 배치하여 ‘근시안적이고 도량이 좁은 인간성의 반성’을 강조하는 주제로 글을 쓰려고 한다. 가장 효과적인 작성 방안은?
신출내기 변호사 링컨이 중요한 사건을 맡게 되었다. 다른 동료들은 모두 유능한 변호사들이었다. 그 중의 한 사람이 링컨을 보자 말했다.
“저 원숭이 같은 추물이 왜 여기에 왔나? 나는 저런 자와 함께 일하지 못하겠다.”
이런 모욕에도 링컨은 내색하지 않고, 자기를 면박한 그 변호사의 변론을 재판마다 따라다니며 경청했다. 링컨은 그의 친구에게 실토했다.
“그 분의 변론 솜씨는 대단하더군! 법률 공부 다시 해야겠어.”
몇 해 뒤, 링컨은 대통령이 되었다. 젊은 시절 그를 면박했던 변호사 스텐튼은 링컨의 신랄한 비판자가 되었다. 그러나 링컨은 스텐튼의 뛰어난 재능을 잊지 않았다. 장관 자리가 하나 비자 링컨은 서슴지 않고 스텐튼을 임명했다. 링컨이 암살되었을 때, 누구보다도 서러워한 것은 스텐튼이었다.

① ㅡ 윗글(일화) 제시
ㅡ 포용력의 결핍과 아집을 다룬 또 다른 일화 제시
ㅡ 두 일화의 대조를 통해 주제 부각

② ㅡ 윗글(일화) 제시
ㅡ 링컨의 대범성과 스텐튼의 재능 비교
ㅡ 두 사람의 결점을 비판함으로써 주제 부각

③ ㅡ 윗글(일화) 제시
ㅡ 링컨이 암살 당한 배경을 상세히 설명
ㅡ 미국 역사 속의 인종간 갈등을 통해 주제 부각

④ ㅡ 윗글(일화) 제시
ㅡ 토끼와 거북이의 우화 소개
ㅡ 거북이와 링컨의 유추를 통해 주제 부각

⑤ ㅡ 윗글(일화) 제시
ㅡ 링컨의 너그러운 성격에 대한 예찬
ㅡ 직접적이고 반복적인 주제 제시

[13~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한국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따지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는 편이다.
㉡ ‘따진다’는 말은 칭찬보다는 나무람의 뜻을 담고 쓰일 경우가 많다.
㉢ ‘꼬치꼬치 따지는 사람’보다는 ‘모르는 척 넘어가는 사람’이 환영을 받는다.
㉣ 따지는 것은 이지가 하는 일이며 감정의 소관사가 아니다.
㉤ 이지의 소관사인 따지는 일을 좋아하지 않는 사회라는 것은 이지의 발달을 위해서 조건이 불리한 사회임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춤 잘 추는 사람이 환영을 받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무용이 발달하기 어렵듯이, 따지는 소행이 환영을 받지 못하는 사회에서는 따지는 기능인 이지가 발달하기 어렵다.
경험에 비추어 보지 않고도 받아들일 수 있는 진술은?

① ㉠

② ㉡

③ ㉢

④ ㉣

⑤ ㉥

주장과 그 논거로 볼 수 있는 것끼리 짝지은 것은?

① 주장 : ㉠ – 논거 : ㉡ ㉢

② 주장 : ㉠ – 논거 : ㉣ ㉤

③ 주장 : ㉡ – 논거 : ㉢ ㉣

④ 주장 : ㉣ – 논거 : ㉡ ㉢

⑤ 주장 : ㉣ – 논거 : ㉤ ㉥

진술 ㉥의 정당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진술이 아닌 것은?

① 무용과 이지의 발달 과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② 인간의 활동은 사회적 기대의 산물이다.

③ 지성인의 사회적 지위가 무용인보다 대체로 높다.

④ 환영을 받지 않아도 제 할 일에 열심인 사람들도 적지 않다.

⑤ 인간의 능력은 시련 속에서 발달하는 법이다.

[16~1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시인에게는 자신에게서 창조적으로 샘솟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표현할 수 있는 완전한 무조건적인 자유가 허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완전한 자유 속에서만 위대한 시인은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외설을 시에 끼어 넣는 점잖지 못한 시는 허용될 수 없다.
(나)
모든 사람에게 표현의 자유를 무제한 허용하는 것은 언제나 국가 전체에 이익이 된다. 왜냐하면 개개인이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할 자유를 완전하게 누리는 것은 공동체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 자라나는 어린이들과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의 이름으로 이 주장을 한다.
(다)
내가 공연히 남을 비방한 일이 없음은 하늘이 알고 땅이 안다.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다. 그들은 세계의 흐름에 무감각한 사람, 낡은 인습적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 자기만이 진정한 우국지사라고 여기는, 정말로 아집으로 똘똘 뭉친 사람들이다. 그들이 우리가 말 못하는 벙어리로 있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라)
표현의 자유는 우리를 편하게, 따뜻하게, 깨끗하게 그리고 우애롭게 하는 지휘자 없는 합창이다. 폐쇄적이고 차별적이고 강압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이 사람들이 헛소리를 해대는 한에는 이 합창은 공연될 길이 없다. 우리 모두 이들을 침묵시키자. 그러면 표현의 자유는 당연히 도래하지 않겠는가?
(가)와 (라)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두드러진 오류는?

① 자가당착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

② 모호한 표현을 남발하고 있다.

③ 성급한 일반화를 내놓고 있다.

④ 상대방의 주장이 아닌 인품만을 트집잡고 있다.

⑤ 내세우는 주장과 무관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나), (다), (라)의 주장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오류는?

① 부당하게 적용된 비유를 통해 결론을 내리고 있다.

② 상대방의 사정이나 형편을 이용해 동의를 얻어내려 한다.

③ 공포 분위기를 만들어서 주장에 대한 동조를 얻어내려 한다.

④ 논점과 무관한 주장을 내놓고 있다.

⑤ 군중의 심리를 자극해서 주장에 대한 동조를 얻어내려 한다.

㉠에 나타난 오류와 동일한 오류를 보이는 것은?

①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무가치하다. 그는 사형선고를 받고 죽은 인물이니까.

② 인간의 자유를 박탈하는 것은 잘못이 없다. 범죄자와 정신병자들을 가두어 두는 것은 적절하고 필요한 조치니까.

③ 이 책은 아주 가치있는 내용을 담고 있음에 틀림없다. 이 책을 사서 읽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니까.

④ 귀신이 있긴 있다. 귀신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아직 아무도 증명하지 못한 것을 보니까.

⑤ 그 정치인은 우리의 좋은 친구임에 틀림없다. 그가 우리에게 직접 그렇게 말했으니까. 그리고 그 좋은 친구가 우리에게 거짓말을 할 리 없을 테니까.

[19~21]
다음 글을 읽고 그림을 참조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해주반은 소반 중에서 가장 조형적인 취향을 강하게 보여주는 형태로서 일반적인 소반이 네 개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는 데에 비해 넓은 판각(板脚)을 두 개 세워 놓은 형태로 되어 있다. 판각에는 卍자 壽자 囍자 등 문자 도안이나 꽃과 나비 등을 투각하여 우아하게 꾸미고 있다. 천판(天板)의 네 모퉁이도 능화형(菱花形)으로 부드럽게 돌려져 있으며, 양쪽의 판각 사이에는 구름 조각이 장식되어 구조를 보강해 주고 있다.
나주반은 전라남도 나주 지방의 소반으로서 네 개의 곧은 다리와 장방형을 보강하고 있는 운각이 특징을 이룬다. 천판은 각지게 ㉠귀접이하였고 다리와 다리 사이에는 나주반 특유의 가락지 모양이 견고하게 물려 있다.
한편 통영반은 판 아래 굽은 기둥 사이에 두 단의 중대가 둘러져서 견고성을 더해 주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천판 아래의 운각에는 당초(唐草) 형식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림 (가), (나), (다)를 해주반, 나주반, 통영반으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① (해주반) (가) (나주반) (나) (통영반) (다)

② (해주반) (나) (나주반) (다) (통영반) (가)

③ (해주반) (가) (나주반) (다) (통영반) (나)

④ (해주반) (나) (나주반) (가) (통영반) (다)

⑤ (해주반) (다) (나주반) (나) (통영반) (가)

윗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① 소반은 실용적 기능과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지닌다.

②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소반을 사용해 왔다.

③ 교역 상대의 차이가 소반 모양의 차이를 낳는다.

④ 소반의 모양은 그 쓰임새에 따라 결정된다.

⑤ 만든 사람의 기술 정도에 따라 소반 모양이 달라진다.

밑줄 친 말이 ㉠의 ‘귀’와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은?

① 네 귀가 반듯하다.

② 바늘 귀가 크다.

③ 귀가 솔깃하다.

④ 귀달린 천원

⑤ 귓가 절기다.

[22~2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러시아의 음악에서 우리는, 그것이 옛 음악이건 근세 음악이건 간에,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그들이 아주 강한 민족주의자이면서 절충주의자라는 사실이다. 민족주의와 절충주의의 두 가지 성격은 러시아의 현대 음악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근대와 현대의 러시아 음악에는 러시아 음악만이 갖는 독특한 성격이 있다.
(나)
다시 말해 러시아의 음악에는 민요, 교회 음악의 선율, 동양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러시아 음악의 배경에는 그들이 지난 두 세기 동안 흡수한 서양 음악의 모든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러시아의 음악은 민족주의적인 성격에 못지 않게, 서양의 것을 흡수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절충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들의 음악을 버티는 기둥은 민족적인 그리고 절충적인 두 성격이다.
(다)
러시아는 역사상으로 항상 고립되어 있던 민족이라고 일컬어진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철의 장막’이라는 말은 이미 천년 전부터 쓰여진 말이다. 러시아가 서구와 분리되어 고립된 것은, 거리상 그들과 멀리 떨어져 있다거나 기후가 다르다거나 또는 러시아 땅이 아시아에 깊숙이 밀려 와 있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광대한 지역에 마을이 분산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생활 자체가 고립적이었다.
(라)
러시아가 지리적으로 유럽에 속하면서 문화적으로 완전히 서구적이 아니라는 사실은 초기의 러시아 역사를 살펴보아야만 알 수 있다. 러시아는 서로마의 문화를 수입하지 않고 동로마의 문화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 때문에 러시아의 기독교는 그 후 천년간이나 로마 카톨릭이 아닌 희랍정교였다. 이 사실에 대한 이해가 러시아 문화를 연구하는 첫 관건이다.
(마)
러시아가 동로마와 접촉하게 된 주요 이유는 지리적인 편리함 때문이었다. 북쪽에서 내려온 바이킹 족이 키예프에서 처음으로 왕권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들 최초의 슬라브 족들은 농업과 목축을 했고 나무로 만든 우상을 섬겼다. 9세기 이후 몇 세기 동안 이들은 강을 따라 배를 타고 내려와서 동물의 모피, 꿀, 장식용 호박, 왁스, 전쟁 포로인 노예 등을 비잔틴의 고급 옷감, 포도주와 바꾸어 가지고 키예프로 다시 올라갔다. 이 때 강을 따라 올라간 것은 옷감이나 포도주만은 아니었다.
윗글 각 단락의 주된 화제를 잘못 나타낸 것은?

① (가) - 민족주의와 절충주의

② (나) - 민족적·절충적 두 성격

③ (다) - 서구와 분리 고립

④ (라) - 동로마 문화를 받아들임

⑤ (마) - 왕권 통치의 시작

윗글에서 <보기>의 글이 들어갈 자리로 가장 적당한 것은?
보기
이런 이유로 러시아의 음악은 민족주의적 성향을 유지할 수 있었다.

① (가)의 뒤

② (나)의 뒤

③ (다)의 뒤

④ (라)의 뒤

⑤ (마)의 뒤

윗글에서 러시아 문화를 바라보는 필자의 태도로 가장 두드러진 것은?

① 절충적 성장의 옹호

② 정치 의존성 중시

③ 경제적 기반의 강조

④ 고급 문화에 대한 편향

⑤ 문화의 모방성 역설

[25~2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수출 둔화와 국제 수지 악화, 소비재 수입 증대, 그리고 과소비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 우리 경제는 기업들의 설비 투자 둔화에 따른 제조업의 경기 하강이 예상됨에 따라 새로운 걱정거리를 안게 되었다. 이것은 특히 비제조업 분야에서의 호황과 대비되어 우리 경제의 불균형 성장을 야기하고 경제의 내실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되는 것이다.
(나)
한국은행이 최근 내놓은 기업 경기 전망 조사에 의하면, 1990년 이후 설비 투자 증가율이 계속 줄어들어 1992년 올 상반기에는 한 자리 수(7~8%)까지 주저 앉을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다)
기업의 설비 투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지난해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대규모 설비 투자가 끝났기 때문이다. 또 정권 교체기의 불안감도 문제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요인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이라 할 것이다. ㉠지난 3월의 총선거 이후 한국은행은 시중에 풀린 돈을 계속 거두어 들이고 있다. 증권시장도 침체되어 증시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자동차와 철강, 반도체, 가전업체 등의 분야는 투자 소요액을 상업 차관의 도입으로 메우려고 하나 국내 물가를 자극한다는 이유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특별 외화 대출도 상당 폭 축소되었다.
(라)
지금 우리의 경제 사정을 보면 긴축이 필요하다. 뛰는 물가를 잡고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려면 금융 긴축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정부는 긴축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고 올해 통화량 증가율을 18.5%로 묶어 엄격하게 운영해야 할 것이다.
(마)
정부는 무엇보다도 먼저 제조업이야말로 천하지대본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설비 투자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각종 지원 대책을 총수요 관리 정책과 관련시키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기업에 대한 신규 대출 심사와 회사채 및 외화 증권 발행 확대 등이 안정 기조의 유지는 고삐에 물려 실기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윗글의 주된 논지와 상치되어 논리 전개상 필요 없는 부분은?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⑤ (마)

윗글의 주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경제력과 국력과의 관계

② 제조업은 경제의 핵심

③ 한국 경제 상황의 악화

④ 제조업의 투자 증대책

⑤ 정치권과 경제 정책

㉠에서 제기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윗글이 가장 강조한 것은?

① 통화 안정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아 더욱 노력해야 한다.

② 정치권은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③ 외자 도입과 회사채 발행은 총통화 관리 차원에서 규제해야 한다.

④ 비제조업 분야를 지속적으로 억제해야 한다.

⑤ 물가 안정에만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28~3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로마제국의 쇠망사」의 저자인 에드워드 기번(1737~1794)은 기회있을 때마다 자기가 노예나 야만인이나 농부로 태어나지 않고 과학과 철학의 시대에, 자유로운 문명 국가에서, 명예로운 신분의 가문에서, 상당한 재산을 물려받고 태어났다는 점을 감사하곤 했다. 그러나 신으로부터 받은 육체적 은총은 별로 넉넉하지 못하여 평생을 병마에 시달려 지냈다. 기번은 자연의 학교나 사회 생활에서 고립에 빠졌지만 그는 이같은 상황을 활용하는 방법을 활용이 터득하였다. 서재는 그의 인생에서 최고와 위안이었으며 독서는 즐거움과 보람이 되었다. 후일 자신의 말대로 ‘대화는 이해를 넓혀 주지만 ㉠고독은 천재의 산실’이었던 것이다.
16세에 옥스포드 대학에 진학했을 때 기번은 박식하기는 박사를 쩔쩔매게 하고 무식하기는 어린 학생에게조차 부끄러울 정도였다. 교수나 학생중에 이 조숙한 어린 학생을 도와줄 만한 능력을 갖춘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던 것이다. 대학 시절 그는 종교 서적에도 탐닉하여 1년 뒤에는 카톨릭으로 종교를 바꾸었다. 아버지는 이에 격노하여 기번을 대학에서 자퇴시켜 스위스 로잔에 있는 한 목사의 집으로 보내 교화시키려 했다. 그는 ㉡집안에서는 비뚤어진 이단아로, 낯선 나라에서는 친구도 없이, 싼 하숙집에서 고독한 나날을 보냈다.
기번에 의하면 수 많은 역사적 사실들이 대부분 단순한 사실에 불과하지만, 그중에는 부분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는 도움이 되는 것도 있으며 또 어떤 사건의 계기나 역사적 인물의 특징을 판단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것도 있다. 이에 비해 역사의 전체적 흐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그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사실은 매우 드물다. 이들 사건들이 잡동사니처럼 얽혀 있는 방대한 혼돈 속에서 중요한 것을 판별하며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천재를 만나기란 더욱 어려운 것이다. 기번은 이러한 혼란스러워 보이는 역사적 사실들 속에서 그 의미를 추구하며 평가하는 것이 비판적인 역사가의 참다운 과제이고, 이 최고의 예술은 인류 역사의 불합리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믿었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아무리 편견을 없애려고 해도 완전히 떨쳐 버릴 수는 없고 역사의 중요한 인물들도 이러한 편견에 의해 움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역사가들은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 편견의 힘을 인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느껴야 한다. 외관상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고 놀라지 않아야 하며 때로는 검증이 필요없어 보이는 진리도 의심할 줄 알아야 한다. 인간의 논리적 추론 또한 편견에 물들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역사상의 어떤 사실이 야만인에게서 나타나면 경멸하면서도 비슷한 사실이 그리스인에게서 나타나면 존경한다. 그리고 동일한 역사가도 회교도가 쓴 것은 불경스럽다고 하고 유대인이 쓴 것은 신성시하는 것이다.
㉠과 가장 가까운 뜻을 가진 것은?

① 고독은 두꺼운 외투다. 그래도 마음은 그 밑에서 얼고 있다.

② 고독이 정신에 미치는 영향은 음식이 육체에 미치는 영향과 같다.

③ 고독은 비와 같은 것이다. 해질녘을 향하여 바다에서 오른다.

④ 고독은 욕되지 않다. 견디는 이의 값진 영광.

⑤ 고독은 방문하기엔 좋은 장소이지만 머무르기엔 쓸쓸한 장소다.

㉡이 암시하는 것은?

① 항상 몸이 약해 부모를 근심스럽게 만들었다.

② 국교를 버리고 카톨릭으로 개종했다.

③ 편향된 독서에만 열중하여 이단적 지식인이 되었다.

④ 대학 생활을 성공적으로 끝내지 못해 가문의 빛낼 수 없었다.

⑤ 고독을 즐겨 교수와 동료 학생들로부터 배척당했다.

기번의 역사관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개별적 사건은 중요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② 인간의 편견이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③ 방대한 혼돈 속에서도 역사의 논리는 존재한다.

④ 역사적 사건의 뒤에 숨은 의미를 읽어야 한다.

⑤ 이미 있는 역사 인식과 해석은 유럽 중심적인 것이다.

[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국의 대표적인 자연 생태계는 삼림이다. 기온과 강수량이 나무가 자라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삼림이 무성하다. 지구상의 모든 지역이 한반도처럼 삼림이 울창하지는 않다. 강수량이 적은 사막과 초원 지대에는 삼림이 형성되지 못하고, 기온이 낮은 극지에도 삼림이 형성되지 못한다. 지구상에는 한국과 같은 삼림 지대보다 사막과 초원의 면적이 더 넓게 펼쳐져 있다. 삼림이 형성됨으로써 경관이 수려한데, 특히 한반도는 온대에 속하므로 사계절의 경관이 뚜렷하게 변한다. 이처럼 수려한 경관의 삼림 면적이 지난 30년간 매년 5,000 헥타르씩 감소하고 있다.
삼림의 면적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도시와 공업단지 주변의 나무들은 생장하지 못하거나 죽어가고 있다. 그 원인은 대기 오염과 산성비에 있다. 대기 오염은 공기중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오존 등에 그 원인이 있다.
산성비는 대기중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염소가 빗물에 녹아들어 산성을 띠게 되는 것인데, 서울 주변에서는 이미 10년 전부터 내리고 있다. 장기간에 걸쳐 내린 산성비는 식물을 직접 고사시킬 뿐 아니라 토양을 산성화시켜 영양염류를 용탈시키고 알루미늄을 용출시켜서 간접적으로 식물과 수중 생물에 해를 끼친다. 정상 빗물은 pH 5.6인데 서울·빗물은 지난 10년간(1980~89) pH 4.17~4.68이었다. 서울의 빗물의 pH값은 유럽에서 산성비에 의해 삼림이 죽는 지역의 pH값과 비슷하다. 그곳의 연구자들은 삼림의 고사가 일어나기 30~35년 전부터 산성비가 내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 주변 소나무의 나이테를 조사한 결과, 1988년부터 자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의 연구자의 추정을 받아들여 서울에 산성비가 내리기 시작한 시기를 역으로 계산하면 ㉠1950년대 중반 내지 1960년대 초반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는 마침 연료를 장작 대신 무연탄으로 바꾸던 때였다. 앞으로 산성비가 계속해서 내리면 삼림이 큰 피해를 입어 유럽의 일부 지역처럼 삼림이 사막화할 것이다.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한국은 삼림이 무성한 삼림 지대에 속한다.

② 초원 지대는 기온이 낮아 삼림이 형성되지 못한다.

③ 유럽은 지금부터 30~35년 전에 삼림의 고사가 일어났다.

④ 연료를 무연탄으로 바꾸면서 산성비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⑤ 한국은 기온이 적절하여 삼림 면적이 점점 늘어난다.

윗글의 내용으로부터 추리할 수 없는 것은?

① 자동차의 증가는 물고기에 해를 입힐 수 있다.

② 무연탄을 연료로 한 결과 대기 오염이 심해졌다.

③ 공장의 대기 오염은 토양을 산성화시킨다.

④ 장작을 연료로 하면 삼림이 사막화할 것이다.

⑤ 황산화물이 삼림 고사의 원인아 될 수 있다.

㉠의 ‘추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유럽의 삼림 고사

② 대기 오염

③ 강수량

④ 산성비

⑤ 소나무의 나이테

[34~3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견해 차이와 더불어 ㉠두 과학관은 과학적 활동의 성격에 대해서도 또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 과학관에서는 과학은 합리적이며 엄밀한 학문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리고 그 근거의 많은 부분을 과학의 논리성에서 찾았다. 예를 들면 카르나프를 비롯한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과학은 귀납적 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귀납 논리를 엄밀한 논리로 정립하고자 애써 왔다. 또 포퍼와 같은 반증주의자들은 과학은 연역 논리의 엄격성 위에 성립하므로 합리적인 학문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역 논리와 귀납 논리라는 내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 논리적 엄격성 때문에 과학이 합리적인 학문일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토마스 쿤은 실제적인 과학적 탐구 활동은 이러한 논리나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과학자 개인의 주관이 더 많이 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그가 주장하는 심리적 탐구 활동이란 곧 패러다임의 지도를 받는 활동을 가리킨다. 이 패러다임에 근거한 연구 방법은 유비나 은유의 방법과도 유사한 것으로서, 어느 정도는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결코 명시적인 이론이나 규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암묵적이며 심리적인 것이다.
따라서 실제적인 과학의 탐구 활동은 명시적인 규칙에 따르는 것이라기보다는 암묵적인 지도에 따르는 것이며, 논리적인 성격보다는 다분히 심리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것이 쿤의 주장이다.
㉠이 가리키는 것은?

① 객관적 과학관과 전통적 과학관

② 전통적 과학관과 쿤의 과학관

③ 논리적 과학관과 포퍼의 과학관

④ 귀납적 과학관과 연역적 과학관

⑤ 카르나프의 과학관과 심리적 과학관

윗글에서 과학적 탐구 활동에 관한 쿤의 주장은?

① 합리적이며 엄밀한 활동이다.

② 귀납적 방법을 근간으로 한다.

③ 논리에 따라 기계적으로 진행된다.

④ 개인의 주관이 많이 작용한다.

⑤ 명시적 이론과 규칙을 따른다.

윗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전통적 과학관은 과학의 객관성을 인정한다.

② 포퍼는 전통적 과학관을 가지고 있다.

③ 카르나프는 귀납 논리의 엄밀성을 정립하려고 하였다.

④ 반증주의자는 과학을 합리적인 학문이라고 주장하였다.

⑤ 논리 실증주의자는 과학을 논리적인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하였다.

[37~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한국 사람들은 대체로 ㉠現世的, 實際的인 것에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즐기려 하며, 중시하려는 경향이 많다고 흔히들 말한다. 옛날 사람이 본디 그러했을 것이며, 근세에 와서는 거기에다 유교의 영향도 컸으리라 짐작된다. 그러나 가령 같은 불교에 있어서도 석가불만 아니라 삼국 시대의 유물로서 오히려 미륵불상의 절묘한 작품을 많이 볼 수 있다거나, 저 궁예가 미륵불의 現身이라고 자칭하였음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나)
한국의 불교는 禪을 위주로 하였으나, 교종을 겸한 조계종이 전체적인 주류를 형성하여 왔고, 그와 관련하여 지늘과 같은 창의적이며 총혜한 고승을 낳았다. 우리는 이 지늘의 사상을 탐구 천명함으로써, 한국 불교 사상이 어떤 점에서 그 특색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밝혀야 할 것이다.
(다)
흔히 말하기를, 조선 시대는 유학도들의 공리공론으로 망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한 예로서 四端七情論 같은 것은 오히려 세계 철학사를 빛낼 우리의 자랑거리가 될지언정, 무의미하다거나 해를 끼쳤다고 함은 지나친 혹평이 아닐 수 없다. 사단칠정론에 있어서와 같이, 하나의 철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몇 세기 동안이나 끊임없이 즐기차게 논의하여 왔음은, 아마도 다른 나라에서는 그 예를 찾지 못할 일일 것이다.
(라)
그러나 한국에서 생긴 천도교라는 종교가 있지 않은가. 人乃天의 宗旨는 현대의 그 어느 민주주의보다도 철저하고 깊은 것이 아닐 수 없다. 한갓 정치적인 민주주의가 아니라, 보다 철저한 윤리적, 종교적인 민주주의를 제시하는 종교다. 현대 사상은 휴머니티를 자주 문제 삼는다. 인간의 존엄성을 외친다. 그러나 천도교의 인내천 사상에서보다 더 뛰어난,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사상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윗글에서 ㉠이 뜻하는 바와 가장 가까운 속담은?

① 개똥 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

② 부뚜막의 소금도 집어 넣어야 짜다.

③ 정승 말 죽을 때는 가도 정승 죽은 데는 안 간다.

④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⑤ 이승 문 밖이 저승이다.

윗글 전체의 논리적 흐름으로 보아 글 (다)와 (라)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주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한국의 불교에는 독자성이 없다.

② 한국에는 독자적 사상이 없다.

③ 한국인은 유교 때문에 현세적이다.

④ 한국의 심리학은 공리공론이다.

⑤ 한국의 유교에는 독자성이 없다.

‘한국의 사상’에 대한 필자의 태도를 가장 잘 나타낸 말은?

① 수호(守護)

② 보호(保護)

③ 옹호(擁護)

④ 가호(加護)

⑤ 비호(庇護)

[40~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가)
다른 사람들이 이해한다는 것은 결국 우리 주위에 있는 사회 일반이 공통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는 이러한 음성으로 표현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언어가 본래 사회적 산물로서 객관성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언어는 도저히 주관적으로 좌우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언어는 고정화하여서 언제까지든지 그대로만 있어야 할 것인데 실상은 그렇지 아니하여 새 말이 자꾸 생기고, 있는 말도 그 뜻이 점점 변하는 일이 많다. 또 지금까지 쓰이던 말이 없어져 버리는 일도 있다. 그러므로 언어에는 생명이 있다고 한다. 생명이 있다는 것은 ⓒ언어가 신생, 성장, 사멸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
人文이 발달하여 갈수록 ⓓ언어에 빈곤을 느끼게 된다. 즉 이미 있는 말의 수효가 부족하여 ㉠마음 속에 있는 사상을 자유롭게 충분히 표현할 수 없을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하여 우리 각 개인이 필요를 느끼는 대로 개인의 의사에 따라 새 말을 자꾸 만들어 낸다면 이것은 큰일이다. 더구나 개인의 주관이라는 것은 출몰무쌍하고 변화난측하여서 주관대로 말을 창작하고 변화시키면 ⓔ언어의 수가 한정 없이 늘어날 터이요. 또 그 의미가 조변석개되어 큰 혼란에 빠지고 말 것이다.
(다)
국어의 가장 다채롭고 풍부한 자원은 그 어휘이다. 국어 사전을 펴보면 엄청나게 많은 단어들이 실려 있음을 볼 수 있다. 오늘날 우리 나라 국민의 일상어에 사용되는 어휘는 이 가운데 극히 적은 일부분이요. 시인이나 학자들의 어휘도 제한되어 있다. 많은 단어들이 사전에는 실려 있으나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어휘가 이렇게 사장되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큰 부끄러움이다.
(라)
지난 2,30년대만 해도 우리 나라 작가들은 어휘가 자못 풍부했다. 우리는 ‘거레, 켯속, 잔입, 나우, 버덩, 둔치’ 등을 이 시대의 작품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은 우리 민족의 기억에서 사라져 가고 있는 고유어 단어들의 몇 예에 지나지 않는다. 어휘는 우리 선조들이 머리 속에 소중히 간직했다가 후손에게 물려줌으로써 그 생명력을 보존해 온 것이다. 이 구슬 같은 보배들이 현대에 와서 아주 폐어가 된다면 우리 현대인은 민족의 큰 죄인이 되고 말 것이다.
(마)
우리 국민 모두가 국어를 소중히 여기고, 한평생 끊임없이 그것을 배우며 사는 길밖에 없다. 시인, 작가의 책임이 크고 학자와 교육자의 책임도 크다. 각급 학교의 국어 교육도 혁신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모든 국민이 국어를 아끼며 더욱 정확한 표현, 아름다운 표현, 풍부한 표현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 일이다.
윗글에 나타난 ⓐ~ⓔ까지의 ‘언어’라는 말을 다른 말로 바꾸었을 때 부적절한 것은?

① ⓐ 언어 → 말

② ⓑ 언어 → 의미

③ ⓒ 언어 → 날말

④ ⓓ 언어 → 어휘

⑤ ⓔ 언어 → 단어

㉠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까닭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새로운 외국 문물이 자꾸 들어오기 때문이다.

② 다른 사람이 새로 만든 말의 뜻을 모르기 때문이다.

③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④ 문화의 발달로 과거에 없던 관념이 생기기 때문이다.

⑤ 과거에 사용되던 고유의 단어가 많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윗글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① 언어가 빈곤한 것은 우리 고유의 단어들이 현대에 와서 사멸하였기 때문이다.

② 새 말이 필요할 때 사전에 사장되어 있는 알맞은 말을 살려 쓸 수 있다.

③ 2,30년대 작가들은 언어가 빈곤하여 표현이 어려울 때 고유어를 찾아 썼다.

④ 현대인은 고유어의 뜻을 잘 모르기 때문에 거의 쓰지 않고 있다.

⑤ 언어의 빈곤은 새 말을 만들어 씀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43~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위대한 문학을 읽고 가르치는 것은 인간의 취향이나 품격뿐만이 아니라 도덕적 감정마저 풍요롭게 하고 세련시킨다는 것이 당연한 전제로 여겨져 왔다. 즉 문학은 인간의 판단력을 계발시키고 야만주의에 저항하게 한다는 것이다. 고상하고 섬세하고 심오한 사상과 고매하고 세련된 감정을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확대하고 공감력을 넓힌다는 것은 문학 옹호론의 한 핵심을 이루고 있다. 즉 문학은 인간과 문화의 본질이요 원천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생각이 문학을 세속화 시대의 종교 대용품으로 간주했던 문학관과 친근 관계에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 ㉠ ) 교육은 그대로 상상적 이해와 공감의 확대로 파악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작품을 통해서 그러한 ( ㉠ ) 교육의 순간을 갖게 된다. 가령 우리는 「율리시즈」의 제 8장을 지적할 수도 있다.
저런 딱한 사람이 있나! 아주 어린애인데. 끔찍해. 정말 끔찍하군. ㉡앞을 보지 못하니 그는 무슨 꿈을 꿀 것인가? 삶의 그에겐 꿈이라. 저렇게 태어났으니 정의는 어디에 있단 말인가?
지팡이를 짚고 더듬으며 걸어가는 나어린 장님을 뒤따르면서 주인공 블롬이 생각하는 장면이다. 블롬의 많은 상념 중의 하나이다. 감기에 걸렸거나 눈을 감고 마시면 포도주 맛이 없다는 생각도 한다. 캄캄한 속에서 피우면 담배 맛이 없다는 말도 생각한다. 모두 앞 못 보는 사람의 어려운 처지에 대한 안스러움에서 나온 생각이다. 그러면서 앞을 보지 못하니 무슨 꿈을 꿀 것인가라고 덧붙이는 것이다. 또 정의나 공정이란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 하고 묻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앞 못 보는 불우한 사람들을 보아 왔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무슨 꿈을 꿀 것인가, 아니 꿈을 꾸는 것이 애시당초 가능하기나 할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해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선천성 맹인들의 꿈은 소리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따라서 많지 않다. 어려운 처지에 대한 깊은 상상적 공감에서 비로소 위와 같은 질문은 가능하다. 그리하여 그러한 공감에 이르지 못한 사람의 무심함을 부끄럽게 만들어 준다. 그 점 문학 읽기는 ( ㉠ ) 교육을 통한 인간화의 과정이라고 파악해서 큰 잘못은 없다.
문맥상 ㉠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는?

① 표현력

② 상상력

③ 분석력

④ 종합력

⑤ 비판력

㉡의 물음을 제기한 근거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꿈은 삶 이전의 문제이다.

② 꿈은 정상인들만의 특권이다.

③ 꿈은 이상을 추구하는 작용이다.

④ 꿈은 정의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다.

⑤ 꿈은 현실을 본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윗글의 주된 내용은 다음 중 어떤 물음에 대한 답변이라고 할 수 있는가?

① 문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②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③ 문학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④ 문학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

⑤ 문학을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46~49]
다음 시들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돌아 고이시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립어
함부로 쓴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전설(傳說)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여쁠 것도 없는
사실 발벗은 안해가
따가운 해ㅅ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호릿한 불빛에 돌아 앉어 도란도란거리는 곳,
―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나)
나는 바다로 가는 길로 걸어간다. 노오란 호박꽃이 많이 핀 돌담을 끼고 黃昏이 있다.
돌담을 돌아가면 ― 바다가 소리쳐 부른다. 바다 소리에 내가 젖는다. 내가 젖는다.
물바람이 ㉡生活처럼 차다. 요새는 모든 것이 짙은 커피처럼 너무도 쓰다.
나는 故鄕에 가고 싶다. 故鄕의 숲이, 언덕이, 시내가 그립다. 어린적 記憶이 波濤처럼 달려 든다.
바다가 어머니라면 ― 하고 나는 생각해 본다. 바다의 품에 안기고 싶다. 안기어 날개같이 부드러운 물결을 쓰고 맘 편히 쉬고 싶다.
水平線 아득히 아름거리는 銀色의 鄕愁. 나는 찢어진 追憶의 天幕을 깁고 있다. 여기 모랫벌에 주저 앉아서.
㉠에서 노래한 고향의 모습이 가장 구체적으로 형상화된 연을 (나)에서 찾는다면?

① 첫째 연

② 둘째 연

③ 넷째 연

④ 다섯째 연

⑤ 여섯째 연

㉡이 뜻하는 바가 ⓐ~ⓔ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형상화된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시 (나)의 심리 상태와 가장 가까운 뜻을 지닌 것은?

① 몸 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 보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 내고는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 데 산을 바라본다.

② 여기가 어데냐? 어쩌다 여기까지 흘러왔는가? 내가 이제 몇 살인가? 자꾸만 외롭다. 자꾸만 그립다. 옛날이. 지금쯤은 깊이 무럭무럭 나는 감자, 옥수수 얼마나 풍부하던 고향이었노?

③ 복사꽃이 피었다고 일러라. 살구꽃도 피었다고 일러라. 너이 오오래 정 들이고 살다 간 집, 함부로 함부로 짓밟힌 울타리에, 앵도꽃도 오얏꽃도 피었다고 일러라.

④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마을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⑤ 고향을 그리는 마음이란 짭짤하고도 달콤하며, 아름답고도 안타까우며, 기쁘고도 서러우며, 제 몸 속에 있는 것이로되 정체를 잡을 수 없는 것.

이 시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은?

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했다.

② 반복을 통하여 표현하려는 바를 부각시키고 있다.

③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향수의 정서를 표현하였다.

④ 그리움의 대상인 고향이 추억 속에 자리하고 있다.

⑤ 서술자는 고향에 못 가는 절망감에 사로잡혀 있다.

[50~53]
다음은 어떤 소설의 일부이다. 잘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잠시 안 보이던 건우가 어디서 다섯 홉짜리 정종을 한 병 들고 왔다. 이마에 땀이 번질번질한 걸 보면 필시 뛰어온 게 틀림없다. 아마 어머니가 시킨 일이려니 싶었다.
나는 미안스런 생각으로 건우 어머니가 따라주는 술잔을 받았다. 손이 유달리 작아 보였다. 유달리 자그마한 손이 상일에 거칠어 있는 양이 보기에 더욱 안타까울 정도였다.
기어이 저녁까지 대접하겠다고 부엌으로 가버린 뒤, 나는 건우를 앞에 두고 잔을 들면서, 그녀의 칠칠한 인사범절에 새삼 생각되는 바가 있었다. ⓐ나는 모든 것을 다시 보았다. 농삿집 치고는 유난히도 말끔한 마루청.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지 않은 장독대. 울타리 너머로 보이는 ㉠길찬 장다리꽃들...... 그 어느 것 하나에도 그녀의 손이 안 간 곳이 없으리라 싶었다. 이러한 집 안팎 광경을 통해서 나는 건우 어머니가 꽤 부지런하고 친절한 여성이라는 것을 ㉡고대 짐작할 수가 있었다. 젊음이 한창인 열아홉부터 ㉢악지세게 혼자서 살아왔다는 것과, 어려운 가운데서도 외아들 건우를 나룻배를 태워가면서까지 먼 일류 중학에 보내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농촌 아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건우의 ㉣입성이 항시 깨끗했다는 사실들이 어련히 안 그러리 싶어지기도 했다. 얼핏 보아서는 어리무던한 여인 같기도 하지만 유난히 ㉤볼가진 듯한 이마라든가, 역시 건우처럼 짙은 눈썹 같은 데선 그녀의 (  ⓑ  ) 읽을 수가 있었다.
㉠~㉤의 의미를 잘못 설명한 것은?

① ㉠ 길찬 — 줄기가 길고 미끈하여 늘씬한

② ㉡ 고대 — 지금 막 또는 곧바로

③ ㉢ 악지세게 — 고집부리는 힘이 세게

④ ㉣ 입성 — 옷차림과 몸가짐

⑤ ㉤ 볼가진 — 둥글고 작은 것이 튀어나온

ⓐ에서 ‘다시 보게’ 된 가장 포괄적인 계기는?

① 건우가 다섯 홉짜리 정종을 사 옴

② 상일에 거칠어 있는 유달리 작은 손

③ 저녁까지 대접하겠다는 건우 어머니의 호의

④ 건우 어머니의 칠칠한 인사범절

⑤ 건우를 나룻배를 태워 먼 일류 중학에 보내는 사실

윗글 전체의 흐름으로 보아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심상치 않은 의지랄까 정열 같은 것을

② 고독하면서도 어딘가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③ 풍상에 시달렸으면서도 잃지 않은 천진성을

④ 자식을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는 열정을

⑤ 무엇인가 남에게 말 못할 비밀이 있는 것을

다음 중에서 서술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하지 않은 표현은?

① 어머니가 시킨 일이려니 싶었다.

② 보기에 더욱 안타까울 정도였다.

③ 그녀의 손이 안 간 곳이 없으리라 싶었다.

④ 건우의 입성이 항상 깨끗했다.

⑤ 얼핏 보아서는 어리무던한 여인 같기도 하지만

[54~5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화설 경상 전라 양도 지경에서 사는 사람이 있으니 놀부는 형이요 흥부는 아우라. 놀부 심사 무거(無據)하여 부모 생전 분재(分財) 전답을 홀로 차지하고, 흥부 같은 어진 동생을 구박하여 건넌산 언덕 밑에 내떠리고, 나가며 조롱하고 들어가며 비양하니 어찌 아니 무지하리.
(나)
놀부 심사를 볼작시면, 초상난 데 춤추기, 불 붙는 데 부채질하기, 해산한 데 개 닭 잡기, 장에 가면 억매 흥정하기, 집에서 몹쓸 노릇하기, 우는 아이 볼기 치기, 갓난 아이 똥 먹이기, 무죄한 놈 뺨치기, 빚값에 계집 뺏기, 늙은 영감 덜미잡기, 아이 밴 계집 배 차기, 우물 밑에 똥누기, 오려논에 물 터 놓기, 자친 밥에 돌 퍼붓기, 패는 곡식 이삭 자르기, 논두렁에 구멍 뚫기, 호박에 말뚝 박기, 곱사장이 엎어 놓고 발꿈치로 탕탕 치기, ㉠심사가 모과나무의 아들이라.이 놈의 심술은 이러하되 집은 부자라 호의호식하는구나.
(다)
흥부는 집도 없어, 집을 지으려고 집 재목을 내러 갈 양이면, 만첩청산 들어가서 소부등 대부등을 와르릉 퉁탕 베어다가 안방, 대청, 행랑, 몸채, 내외 분합 물림퇴에 살미살창 가로다지, 입 구자(口字)로 지은 것이 아니라, 이놈은 집 재목을 내려 하고 수수밭 틈으로 들어가서 수숫대 한 뭇을 베어다가 안방, 대청, 행랑, 몸채 두루 짚어 말[斗]집을 꽉 짓고 돌아보니 수숫대 반 뭇이 그저 남았구나. 방안이 넓든지 마든지 양주(兩主) 드러누워 기지개 켜면 발은 마당으로 가고, 대가리는 뒷곁으로 맹자 아래 대문*하고, 엉덩이는 울타리 밖으로 나가니, 동리 사람들이 출입하다가 이 엉덩이 불러 들이소 하는 소리.
(라)
흥부 듣고 깜짝 놀라 대성 통곡 우는 소리, “애고 답답 설운지고. 어떤 사람 팔자 좋아 대광보국숭록대부 삼태육경 되어나서 고대광실 좋은 집에 부귀공명 누리면서 호의호식 지내는고. 내 팔자 무슨 일로 말[斗]만한 오막집에 지붕 말에 별이 뵈고, 문 밖에 세우 오면 방 안에 큰 비오고, 찬 방 안에 헌자리 벼룩 빈대 등이 피를 빨아 먹고, 앞문에 살만 남고 뒷벽에는 외만 남아 동지 섣달 한 풍이 살 쏘듯 들어오고, 어린 자식 젖 달라고 자란 자식 밥 달라니, 차마 설워 못 살겠네.”
(마)
집안에 먹을 것이 있든지 없든지, 소반이 네 발로 하늘께 축수하고, 솥이 목을 매여 달렸고, 조리가 턱걸이를 하고, 밥을 지어 먹으려면 책력을 보아 갑자일이면 한 때씩 먹고, 새앙쥐가 쌀알을 얻으려고 밤낮 보름을 다니다가 다리에 가래톳이 서서 파종하고 앓는 소리, 동리 사람이 잠을 못 자니 어찌 아니 설운손가.
*맹자 아래 대문: 볼 견(見)자를 말함. 즉 보인다는 뜻
㉠을 똑같은 뜻으로 <보기>와 같이 바꾸어 표현한다고 할 때 (    )안에 들어갈 적절한 말은?
보기
심사가 수숫잎 (    )하구나.

① 자라는 듯

② 뒤틀리듯

③ 울 듯

④ 흔들리듯

⑤ 눈 박은 듯

문맥상 ㉡과 관련된 해석으로 타당한 것은?

① 도덕률과 현실이 모순되고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② 놀부가 상당히 소비적인 생활을 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③ 인간의 행복은 타고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④ 서술자는 이 부분에서는 놀부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시키려 했다.

⑤ 놀부에게는 비난할 부분과 칭찬할 부분이 동시에 있음을 보여주려 했다.

(나)의 경우 놀부의 심술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지만 독자들은 놀부에 대한 증오나 비판에 앞서 웃기부터 한다. 다음 중 독자로 하여금 이와 비슷한 양상의 반응을 하도록 표현된 단락끼리 묶은 것은?

① (가)와 (다)

② (다)와 (라)

③ (라)와 (마)

④ (가)와 (마)

⑤ (다)와 (마)

[57~6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가)
성덕왕 시절에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가다가 바닷가에 이르러 점심을 먹는데, 곁에 바위가 병풍처럼 바다를 싸고 그 높이가 천 길이나 되었다. 그 위에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공의 부인인 수로가 보고서 좌우에 말하기를 “누가 꽃을 꺾어다 주겠느냐?”고 했다. 따르는 이가 “사람은 올라 가지 못할 곳입니다.”고 하고, 또 모두들 안 되겠다고 했다. 그 옆으로 어떤 노인이 암소를 끌고 지나가다가 부인의 말을 듣고 꽃을 꺾어다가 바치면서 노래를 지어 불렀다. 그 노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었다.
(나)
다시 이틀을 길을 가니 임해정이 있었다. 거기서 점심을 먹을 때에, 바다 용이 갑자기 부인을 납치해 바다로 들어갔다. 공은 넘어져 땅에 주저앉으면서 어찌 할 바를 몰랐다. 또 어떤 노인이 말했다. “옛 사람 말에 뭇입은 쇠라도 녹인다 했으니, 이제 바다 속의 짐승이 어찌 뭇입을 두려워하지 않겠습니까? 마땅히 경계 안의 백성을 불러 모아, 노래를 지어 부르게 하면서 막대기로 바닷가를 치면, 마땅히 부인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공이 그 말을 따랐더니, 용이 부인을 받들고 바다에서 나와 바쳤다. 공이 부인에게 바다 속의 일을 묻으니, “칠보궁전에서 먹는 것이 달고 향기로우며, 불에 익혀서 먹는 인간의 음식이 아니었습니다.”고 말했다. 또한 부인의 옷에서 이상스러운 향내가 났는데, 세상에서는 맡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다)
수로는 모습이 아주 아름다워 깊은 산과 큰 못을 지날 때면 번번이 신령스러운 것들에게 앗긴 바 되었다.
(라)
못사람이 부른 해가는 이렇다.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남의 부인을 앗아간 죄 그 얼마나 큰가.
내 만약 거슬러 내놓지 않으면,
그물로 너를 잡아 구워 먹겠다.
(마)
노인이 부른 현화가는 이렇다.
짙붉은 바위 가에
잡은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리시면
꽃을 꺾어 받자오리다.
(가)의 노인이 취한 행동과 (나)에서 용에 의한 납치 사건이 일어날 수 있게 한 공통적인 원인은?

① 점심을 먹음

② 노래를 부름

③ 바닷가를 지남

④ 주민들의 순진함

⑤ 수로의 아름다움

(가)~(마)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가)는 (마)의 창작 배경이라 할 수 있다.

② (나)는 (다)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③ (다)는 (가)의 결과라 할 수 있다.

④ (라)는 (나)의 요약이라 할 수 있다.

⑤ (마)는 (라)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윗글을 당시의 역사적 사건이 설화로 전해진 것으로 보기로 하자. 다음 <보기>를 바탕으로 하여 이 글을 재해석할 때 논리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은?
보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성덕왕 때 흉년이 심하여 백성들이 유랑(流浪) 생활을 하였으며, 왕이 신하를 파견하여 백성들을 구제했는데 특히 동쪽 지방에서는 백성들의 동요가 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① 순정공은 성덕왕이 파견한 신하로 볼 수 있다.

② 용은 중앙 정부에 반발하던 세력의 대표로 볼 수 있다.

③ (나)의 노인은 동요하던 백성들을 선동한 인물로 볼 수 있다

④ 백성들이 부른 노래는 군가(軍歌)의 기능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⑤ 수로부인을 돌려 준 것은 반발 세력의 항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나)는 다음 <보기>와 같은 이야기의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기>와 (나)를 대응시킨다면, <보기>의 요소 중 (나)에서는 그 역할이 불분명하게 나타난 것은?
보기
괴물이 아름다운 공주를 지하 세계로 납치했는데, 왕의 부탁을 받은 영웅이 그 괴물을 퇴치하고 공주를 구출했다.

① 괴물

② 공주

③ 지하 세계

④ 왕

⑤ 영웅